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08:55:54

Creatures of Sonaria/크리처 목록/4티어


||<-3><width=100%><table bordercolor=#000080><tablebgcolor=white><tablealign=center><#000080> 파일:CoS_newlogo.png
||
[ 크리처 ]
🦖크리처 목록
(1티어2티어3티어4티어5티어)
[ 능력 및 효과 ]
⚔️액티브 능력 ・ 🛡️패시브 효과
(상태이상)
[ 게임 플레이 ]
🎮공략 ・ 🧬돌연변이 ・ 📋임무
⛈️계절 및 날씨 ・ 🍖먹이 ・ ⛰️지형
🤝거래 ・ 🛍️상점
[ 수집 요소 ]
🔥아티팩트 ・ 🧸인형 ・ 🍄재화
🏅칭호 ・ ❤️토큰 ・ 🎨팔레트
[ 이벤트 ]
🎄이벤트
(2020~20212022
20232024)
[ 기타 ]
🛠️리코드 출시 이전 정보 ・ 🗑️삭제 및 취소 콘텐츠


Creatures of Sonaria 의 크리처 유형
[ 펼치기·접기 ]
• 표기 없음: 일반 크리처
• B: 뱃지 Badge 크리처
• D: 개발자 Developer 크리처
• DL: 일일 출석 Daily Login 크리처
• Ev: 이벤트 Event 크리처
• Exc: 독점 Exclusive 크리처
• Exp: 탐험가 Explorer 뽑기 크리처
• L: 한정판 Limited 뽑기 크리처
• M: 임무 Mission 크리처
• MS: 임무 시스템 Mission System 크리처
• R: 로벅스 Robux 상점 크리처
• RS: 로테이션 상점 Rotation Store 크리처
• S: 기간 Session 뽑기 크리처
• T: 시간 Time 뽑기 크리처
• Tk: 티킷 Tikit 뽑기 크리처
• Tr: 여행자 Traveler 뽑기 크리처
• W: 워든 Warden 크리처


1. 땅2. 바다3. 하늘
3.1. 비행
3.1.1. Angelic Warden(엔젤릭 워든) (W)3.1.2. Aolenus (아올레누스) (B)3.1.3. Archalium (아르칼리움) (D)3.1.4. Banishii (바니시) (R)3.1.5. Bazelii (바젤리) (R)3.1.6. Borenhir (보렌히르) (RS)3.1.7. Corvurax(코르부락스) (B)3.1.8. Cuxena(큐제나) (T)3.1.9. Erridea (에리데아) (Tk)3.1.10. Etheralotus (에테랄로투스) (Exc)3.1.11. Galtekron (갈테크론) (S)3.1.12. Haechionx (헤키옹크스) (T)3.1.13. Jetebene (제테벤) (Exp)3.1.14. Konomushi (코노무시) (Tr)3.1.15. Nakamaska (나카마스카) (Tr)3.1.16. Salrahn (살란) (Ev)3.1.17. Saukuryn (소쿠린) (RS)3.1.18. Valkyrie (발키리) (Ev)3.1.19. Verza (베르자) (Exc)3.1.20. Xeternos (제터노스) (Ev)
3.2. 전지형
3.2.1. Aesmir (에스미르) (Exp)3.2.2. Anutill (아누틸) (D)3.2.3. Dalghara (달가라) (Tr)3.2.4. Fellisio (펠리시오) (DL)3.2.5. Jotunhel (요툰헬) (Ev)3.2.6. Umbraxi(엄브락시) (Artifact)3.2.7. Ura (우라) (D)

1.

1.1. 육생

1.1.1. Arsonos (아르소노스) (M)

1.1.2. Boskurro (보스쿠로) (Exp)

1.1.3. Cavengauu (캐번가우) (MS)

1.1.4. Coniferon (코니페론) (Ev)

1.1.5. Cryptoth (크립토스) (Ev)

1.1.6. Exterreri (엑스테레리)

1.1.7. Fabraashe (파브라시) (Ev)

1.1.8. Felikxtrox (펠릭스트록스) (L)

1.1.9. Fleuralis (플뢰랄리스) (R)

1.1.10. Hisolidium (히솔리디움) (Ev)

1.1.11. Hyboria (하이보리아) (Ev)

1.1.12. Imeaorn (이미온) (Exp)

1.1.13. Kretśnik (크렛슈니크) (Exp)

1.1.14. Lerachu (레라추) (Exp)

1.1.15. Luxsces (럭세스) (RS)

1.1.16. Magnarothus (마그나로투스)

1.1.17. Moemoea (모에모에아)

1.1.18. Nyctoxon (닉톡슨) (D)

1.1.19. Pliays (플라이어리스) (Exp)

1.1.20. Qurugosk (쿠루고스크) (D)

1.1.21. Skulderouge (스컬더루주) (Ev)

1.1.22. Sana'ata (사나아타) (RS)

1.1.23. Thykallos (티칼로스) (S)

파일:ThykallosFe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5,500 회복률 5% 120 초당 2 회복 350 7,75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32
• 질주: 63
x1.25 4 7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육생 45분 1/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30%
• 출혈: 4
• 인대 파열: 35%
• 겨울 태그
• 유선형 신체
• 물 브레스: 1.2/DPS
제작자 출시 날짜
• Kyzenith 2022/9/24
획득 조건
기간 뽑기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Thykallos_art.png
크리처 설명문
티칼로스는 5~8마리씩 무리를 지어 해변에 서식하는 사회적인 크리처입니다. 시력이 그닥 좋지 않지만 엄청나게 길쭉한 더듬이 덕분에 뛰어난 후각과 촉각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들은 햇빛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진 신비한 고리들을 신체 주위에 두르고 다닙니다.
공식 설정 출처
* 티칼로스는 사회적인 크리처로, 해변에서 먹잇감을 찾기 위해 팀을 이루어 순찰한다. 주로 서식지에 침범한 외래종을 추적하므로 해당 지역의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톱니바퀴처럼 생긴 부유성 고리는 몸의 열을 조절하며 끓는 물을 뿜는 데에 도움을 준다.
* 티칼로스는 해변에서의 긴 추격 이후에 서로의 몸을 다듬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눈과 더듬이, 그리고 코에 뭍은 모래나 흙을 깨끗이 청소한다.
* 근시이기 때문에 시력이 좋지 않지만 민감한 더듬이가 이를 보완해준다.
* 티칼로스는 더위를 식히거나 아니면 단순히 분위기를 타기 위해 때때로 물속에 몸을 담그기도 한다. 이들은 건조한 환경에서는 잘 생존하지 못한다.
* 기쁘거나 자부심을 느낄 때 꼬리 끝을 씰룩거린다.
* 무리의 리더는 보통 꼬리의 크레스트가 가장 큰 암컷이 담당한다.

새우와 태양을 모티브로 한 크리처로, 기간 뽑기에 추가되었다.

개발자 공인 유사 반수생(Pseudo semi-aquatic)이라는 독특한 포지션을 지니고 있는 크리처로, 시스템 상 반수생 크리처가 아니지만 물속 생활에 도움을 주는 유선형 신체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겨울 테마 크리처가 아님에도 겨울이나 기근일 때 물속에 들어가도 저체온증에 걸리지 않도록 해주는 겨울 태그까지 달려있다.

다만 태생이 완전 육상 크리처인 탓에 유선형 신체 능력의 혜택을 제대로 받는 게 불가능하다. 우선 유선형 신체의 큰 의의는 물속에서 스태미나 용량과 회복률을 높여주는 것인데, 티칼로스 역시 물속에 15초 이상 있으면 스태미나가 240으로 늘어나지만 문제는 반수생 크리처가 아닌 탓에 스태미나 회복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여타 육상 크리처들과 마찬가지로 티칼로스 역시 스태미나가 전부 소진되면 익사 대미지를 받아 체력이 서서히 줄어들며 물 밖으로 나갈 때까지는 이를 막을 방법조차 없다. 허기가 줄어드는 속도를 늦추는 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물속에 오래 버티질 못하면 큰 의미가 없으니, 결국 티칼로스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은 이동 속도가 20% 증가하는 것밖에 없다. 걷기 속도가 32로 상당히 높게 책정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래도 유선형 신체를 뺀 나머지 스탯이나 특수 능력을 보자면 그렇게 성능이 나쁜 크리처는 아니다. 맷집과 공격력이 평균적으로 잘 잡혀있으며, 적당한 출혈 수치와 인대 파열 능력까지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전투에서도 유리하다. 차라리 반수생 생활을 신경쓰지 않고 평범한 육상 크리처로 사용한다면 크게 문제될 건 없다.

1.1.24. Tornir (토르니르) (RS)

파일:Tornir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6,200 회복률 4% 90 초당 2 회복 275 9,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2
• 질주: 62
x1.15 4 8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육생 45분 1/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60%
• 방어형 독: 1.5
• 강철 위장
• 광역 중독
• 전염병 브레스: 0.25/DPS
제작자 출시 날짜
• CatasticalCalamity 2023/4/22
획득 조건
로테이션 상점 - 에픽 등급 11,500슘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Tornir_art.png
크리처 설명문
한때 평화로운 초식 크리처였던 토르니르는 이제 숙주의 나이가 들수록 서서히 나무로 변이시키는 기생균에 굴북해버린 자의식이 없는 육식 크리처가 되었습니다. 토르니르가 죽으면 그 사체는 나뭇잎조차 없는 텅 빈 나무로 바뀝니다. 이 으스스한 나무들로 이루어진 숲이 이전에 목격된 적이 있으며, 몇몇 이들은 토르니르가 자신이 죽을 때가 되면 이 장소를 찾는다고 추측하기도 합니다.
공식 설정 출처
* 토르니르는 수 세기 동안 동족 간에 진화적 군비 경쟁을 벌여왔으며, 기생균을 제거하고 기생균의 진화에도 압도되지 않기 위한 진화 과정을 거쳤다.
* 자신의 털에서 자라난 포자를 방출해 커다란 포자 구름을 만들기도 한다. 토르니르의 기생균에서 나온 이 포자는 주변 환경과 해당 지역의 몇몇 불운한 크리처들을 뒤덮어 수많은 건강 문제를 일으키며 약한 크리처에게는 죽음을 초래하기도 한다.
* 암컷은 둥지를 만들기 위해 몸통에 달린 작은 발톱으로 커다란 알집과 이끼를 옮길 수 있다. 이들의 몸에서 나온 포자는 일찌감치 알을 감염시키지만 감염 징후는 나이가 많이 들었을 때 발생한다.
* 수컷은 몸통에 달린 작은 발톱으로 큰 먹이나 굴을 만들 때 사용되는 재료를 운반한다.
* 만약 뿔이 부러지거나 팔다리를 잃게 된다면 그 부위와 비슷하게 생긴 나무가 자리를 대신 차지한다.

1.1.25. Varskela (바스켈라) (Ev)

파일:Varskela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4,800 회복률 5% 110 초당 2 회복 320 7,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3
• 질주: 65
x1.3 4 6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잡식 육생 40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60%
• 출혈: 8
• 겨울 태그
• 빙하 브레스: 2/DPS
제작자 출시 날짜
• IcecreamNavacodo 2021/12/15
획득 조건
겨울 이벤트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Varskela_art.png
크리처 설명문
바스켈라는 텃세가 심하고 매우 공격적인 크리처입니다. 목과 등에 튀어나온 크고 촘촘한 고드름을 갑옷으로 사용하며, 팔다리와 꼬리의 고드름으로 공격자를 토막 내버립니다. 바스켈라는 빙하 동굴에서 살면서 영하 상태의 갑옷을 유지시키는데, 이 동굴은 녀석의 가죽에 물방울을 떨어뜨려 즉시 얼려버립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바스켈라는 미개봉된 정동을 찾는 걸 좋아하며, 자신의 새끼들이 장난감으로써 사용하게 나둔다. 어린 바스켈라는 정동을 갉아대면서 내부의 수정이 노출될 때까지 이를 가지고 논다.

3쌍의 팔다리를 지닌 고양잇과 맹수처럼 생긴 크리처로, 2021 겨울 이벤트 중 이벤트 재화인 벨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으며 5,000벨로 확정 구매가 가능하다.

겨울 이벤트 크리처임에도 불구하고 출시 당시에 겨울 태그가 붙어 있지 않은 상태로 나와 겨울에 물에 들어가면 저체온증 피해를 입고 추위 효과에 걸렸으나 3차 겨울 이벤트 업데이트 때 다른 겨울 이벤트 크리처들과 함께 겨울 태그가 붙었다.

닉톡슨 이후 두 번째로 빙하 브레스를 부여받았으며 이것으로 상대방의 이동 속도를 일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기초 공격력이 상당히 낮은지라 위압적인 모습과 달리 전투용으로는 약간 애매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잡식성이기 때문에 굳이 목숨 걸고 사냥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추가 업데이트를 통한 스탯 조정으로 공격력, 질주 속도, 출혈 수치에 버프가 이루어졌다. 특히 출혈 수치가 5에서 8로 증가했는데 이는 4티어 내에서 마그나로투스 다음으로 높은 수치이다.

1.1.26. Verdant Warden (버던트 워든) (W)

파일:VerdantWardenMale_redesign.png
[ 리디자인 이전 모습 펼치기·접기 ]
파일:VerdantWarden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8,500 회복률 8% 100 초당 2 회복 60↔420 14,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7
• 질주: 62
없음 4 7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초식 육생 45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65%
• 독 방어율: 20%
• 무리 치유사
• 식량 회복
• 워든의 분노
제작자 출시 날짜
• Stood_04 2021/4/23
획득 조건
부활절 이벤트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VerdantWarden_art.png
리디자인 전
파일:VerdantWarden_reart.png
리디자인 후
크리처 설명문
버던트 워든은 봄의 화신 그 자체라는 소문이 있으며, 종종 파라우스라는 이름으로 언급됩니다. 보통 개화기 때 볼 수 있는 평화로운 크리처이며 그 친화력 때문에 종종 다른 작은 생물이나 새들과 함께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 워든은 꽃이 핀 만과 평원에서 자연 서식합니다.

2021 부활절 이벤트 중 부활절 뽑기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두 번째 크리처. 아더 워든 이후 세 번째로 추가된 워든 계열의 크리처이다. 부활절 콘셉트에 맞게 토끼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여기에 켄타우로스와 같은 체형이 덧붙여진 모습이다.

이름을 해석하면 "신록의 관리자". 크리처 설명문에 언급된 또 다른 이름은 파라우스(Farhaus)이며, "생명의 파수꾼이자 봄을 가져오는 자(Sentinel of Life and Bringer of Spring)"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워든 계열인 만큼 이들의 고유한 능력인 워든의 분노를 사용할 수 있다. 능력 활성화 중 체력이 감소할수록 공격력이 오르는데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졌을 때는 420까지 차오른다. 능력 활성화 시 주위에 별 모양의 고리가 생성되며,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질 때에도 별 모양의 입자 효과가 뿜어져 나온다.

리메이크 이전에는 워든의 분노 말고는 아무런 특수 능력이 붙어있지 않았지만 이후 다른 워든 크리처들처럼 독 방어 능력(20%)이 붙었으며, 이후 리메이크가 이뤄지면서 서포터에 걸맞는 능력들도 붙었다. 같은 무리에 속한 구성원들의 회복률을 높여주는 무리 치유사와 Q키를 누르면 주변에 존재하는 크리처들의 허기와 갈증 수치를 일부 회복시키는 식량 회복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상대를 지원해줄 수 있다. 다만 부실한 공격력은 여전해서 전투용으로는 사용하기 힘들다.

현재 버그로 인해 공격 모션과 구르기 모션이 부자연스럽게 변하였다.

1.1.27. Yohsog (요소그) (Ev)

파일:Yohsog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7,800 회복률 5% 80 초당 2 회복 210 16,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3
• 질주: 56
없음 4 7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잡식 육생 60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60%
• 겨울 태그
• 얼음 브레스: 1.5/DPS
제작자 출시 날짜
• Stood_04 2022/1/1
획득 조건
겨울 이벤트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Yohsog_art.png
크리처 설명문
요소그는 소나리아 산의 얼어붙은 봉우리에 사는 크고 느릿느릿한 짐승입니다. 이들은 선천적으로 매우 게으르고 대부분의 시간을 눈 위에 누우면서 보냅니다.
공식 설정 출처
* 요소그의 새끼는 '소글렛(Soglet)'이라 부른다.

예티를 모티브로 한 크리처로 입가에 달린 커다란 뿔 한 쌍이 특징이다. 2021 겨울 이벤트 때 처음 출시되었으며, 이벤트 재화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4티어 크리처들 중에서도 중상위권 몸무게 수치를 지니고 있어 공격력 보너스를 쉽게 얻을 수 있고 맷집도 강하다. 또한 얼음 브레스를 사용할 수 있어 상대방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일정 확률로 냉동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단점으로는 낮은 스태미나 수치와 느린 질주 속도 때문에 느릿느릿하며 오래 뛰지 못한다.

원래는 닉톡슨처럼 눈 방어막 능력을 부여받을 예정이었지만 덩치가 너무 크고 양옆으로 길게 튀어나온 뿔로 인해 충돌 현상이 우려되어 대신 얼음 브레스를 얻은 것이라고 한다.

1.2. 반수생

1.2.1. Buff Eulopii (버프 율로피) (Ev)

1.2.2. Denjzi (덴지) (Ev)

파일:Denjzi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4,500 회복률 4% 95 초당 2 회복 240 13,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4
• 질주: 65
x1.4 4 9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반수생 45분 1/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70%
• 출혈: 6
• 인대 파열: 35%
• 톱니 이빨
제작자 출시 날짜
• HappyPoltergeist
• montejeska
2022/7/22
획득 조건
서머 파라다이스 이벤트 임무 완수[1]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Denjzi_art2.webp
크리처 설명문
덴지는 소나리아의 광활한 바다에 사는 희귀한 뱀 형태의 크리처입니다. 일반적으로 조수 아래 더 깊은 곳에 살지만, 때때로 해안가로 기어나와 먹이를 찾기 위해 수면 위로 올라오기도 합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덴지는 먼 거리를 쉬지 않으면서 이동할 수 있다.
* 바닷속 깊고 어두운 지역에서 생물발광을 이용해 먹잇감을 유인한다.
* 보통 2~3마리씩 무리를 지어 이동하지만 단독 생활을 하는 개체를 보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 기회주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찾을 수 있는 먹잇감은 무엇이든 먹을 것이다. 또한 덴지를 자극한다면 매우 공격적으로 바뀔 수 있다.
* 1년에 한 번 3~6개의 알을 낳지만 이 중 오직 25% 정도만이 성체까지 생존한다.
* 무리 내의 동족과 서로 긴밀하게 지내지만 덴지가 아닌 다른 종의 크리처럼 낯선 외부인에 대해선 공격적인 반응을 보인다.
* 종종 몸에 달라붙은 기생충을 떼어내거나 단순히 재미를 위해 모래 위에 뒹굴기도 한다.
* '춤'이나 '구애' 행동을 통해 동족과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 덴지는 켈프 꼭대기에서 잠을 청하며, 앞다리로 켈프를 붙잡아 고정시키고 켈프 잎을 베개처럼 사용해 눕는다.

거북처럼 등껍데기를 지닌 반수생 크리처로, 서머 파라다이스 이벤트 임무 시스템을 통해 전용 임무를 완수하면 얻을 수 있다. 덴지를 얻고 나면 임무가 매일 초기화되어 이벤트가 끝날 때까지 계속 획득할 수 있다.

육중한 덩치를 지니고 있으며 그에 걸맞게 몸무게가 만 단위인 것이 최대 장점. 이 정도면 준5티어급 스탯을 지닌 밀리트루아를 제외한다면 4티어 반수생 크리처들 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한다. 이동 속도는 그저 그런 수준이지만 Ctrl키로 활성화되는 매복 달리기 배율이 x1.4로 역대급으로 높아 짧은 순간에 빨리 이동할 수도 있다.

단점으로는 체력과 공격력은 덩치에 걸맞지 않게 상당히 낮다는 것이 특징. 체력 수치는 몸무게가 더 낮은 루어와 동급일 정도다. 매복 배율이 상위권에 들어가지만 이를 받들어줄 스태미나 수치도 상당히 낮아 스태미나 관리에도 꽤 신경을 써줘야 한다.

1.2.3. Equenix (에퀴닉스) (RS)

파일:EquenixFe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7,000 회복률 5% 85 초당 2 회복 270 11,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5
• 질주: 58
없음 4 7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초식 반수생 45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50%
• 눈부신 섬광
제작자 출시 날짜
• Xhosa_Onkai 2022/5/7
획득 조건
로테이션 상점 - 희귀함 등급 7,500슘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Equenix_art.png
크리처 설명문
에퀴닉스는 순하고 친근한 거구로, 종종 고아 크리처들을 입양하거나 다친 크리처들을 데려가는 모습이 목격됩니다. 이들은 수영을 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지만 뛰어난 수영 기술을 지니고 있으며, 때때로 강을 가로질러 작은 크리처들을 나르는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달이 없는 밤에 에퀴닉스는 완전한 제어력을 통해 복잡한 패턴으로 빛을 내며, 다른 에퀴닉스들과 소통하기 위해 이 빛을 사용합니다.
공식 설정 출처
* 에퀴닉스는 보스쿠로와 아종 관계에 있으며, 숲 대신 수역 환경에 적응해 있다.

을 모티브로 한 사족보행 크리처로, 로테이션 상점에 추가되었다. 로테이션 상점에서 희귀함 등급을 받았으며 7,500슘을 통해 확정 구매할 수 있다. 이름은 분점을 뜻하는 Equinox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반수생 크리처라서 물속에서 자유롭게 헤엄치면서 해조도 먹을 수 있다. 또한 눈부신 섬광 능력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상대의 움직임에 혼란을 주고 터널 시야로 만드는 게 가능하다. 공격력이 낮고 전투와 관련된 능력이 전무하지만 만 단위의 몸무게로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다.

생긴 모습이 같은 4티어 크리처인 보스쿠로와 많이 닮아서 선공개 당시 오죽하면 보스쿠로의 리디자인이 아니냐는 얘기까지 있었을 정도다. 일단 보스쿠로와 에퀴닉스 둘 다 같은 사람이 제작하였는데, 제작자에 의하면 에퀴닉스가 보스쿠로보다 더 일찍 만들어진 것이고, 보스쿠로를 만들 때 딱히 에퀴닉스를 염두에 둔 건 아니라고 한다. 다만 제작자는 유저들의 의견에 따라 두 크리처가 서로 아종 관계에 있다는 설정을 만들었다.

1.2.4. Lure (루어) (RS)

1.2.5. Militrua (밀리트루아) (M)

파일:Militrua.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8,000 회복률 4% 40 초당 2 회복 210 45,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14
• 질주: 50
없음 7 7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초식 반수생 70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55%
• 방어형 마비: 60%
• 유선형 신체
제작자 출시 날짜
• CatboyNathann 2021/5/14
획득 조건
초식 뽑기, 반수생 뽑기
(비밀 임무 완수 후 가능)
콘셉트 아트
없음
크리처 설명문
밀리트루아는 해저 바닥에 살아가는 극도로 방어적인 초식 크리처이며 공기 중 산소와 가까이 있기 위해 얕은 만 주변에 자리를 잡기도 합니다. 이들의 껍데기는 완전히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기 자신을 내구성이 매우 강한 크리처로 만들어줍니다. 껍데기에는 항상 전류가 흐르며 포식자가 공격을 할 때 전기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극도의 방어력 때문에 이들은 주변에 대형 육식 크리처가 있을 때에도 상당히 수동적으로 행동합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밀리트루아는 매우 온순한 거대 초식 크리처이며, 껍데기 아래로 파고들 수 있는 작은 육식 크리처를 제외하고는 거의 아무 것도 공격하지 않는다.
* 밀리트루아의 껍데기는 전류를 흘러보낼 수 있는 순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몸집이 큰 육식 크리처들은 이들을 함부로 공격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대부분의 포식자들이 이들 곁을 지나가기도 전에 죽기도 한다.
* 그러나 몸집이 작은 포식자들의 경우 다쳤거나 어린 개체를 목표로 하여, 이들이 완전히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껍데기 아래에 놓인 다리를 천천히 깨물어 쓰러뜨린다.
* 밀리트루아는 육지를 가로지르기 위해 수천 마리씩 떼를 지어 이동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깊은 바다속에서 지내며 오로지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서만 수면 위로 올라간다.
* 새끼를 다루는 데에 그리 능숙하지는 않지만 필요할 때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꼬리에 달린 가시를 사용하기도 한다.
* 전기낭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결정을 마찰시켜 특수한 형태의 전기를 충전 및 전도시킨다.

삼엽충과 등각류(Isopod),안킬로사우루스를 모티브로 한 비밀 임무 크리처. 해당 크리처를 뽑기에서 해금하기 위해서는 초식성 반수생 크리처[2]인 상태로 해조를 300 허기 수치 이상[3] 먹어야 한다.

4티어 내 워든 크리처들보다 상당한 몸무게를 지닌 크리처이다. 몸무게가 무려 45,000으로 4티어 내 1위. 갑주로 무장된 형태를 띤 만큼 탱커 역할에 상당히 충실한 크리처이다. 추가 업데이트로 야마투에 이어 방어형 마비 능력까지 부여받았는데 야마투보다 발동 확률이 높아 선공 유저에게 더욱 쉽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추가적으로 유선형 신체 능력도 부여받아 물속에서 15초 이상 잠수해 있으면 스태미나 수치 및 회복량과 이동 속도가 버프되고 허기가 줄어드는 속도가 느려지는데, 밀리트루아의 경우 스태미나가 40에서 80으로 버프된다.

다만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크리처라는 설정을 반영한 것인지 기본 스태미나 수치가 40으로 상당히 낮다. 육지에서 뛰기라도 하면 스태미나가 순식간에 거덜나며, 기본 이동 속도도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 기동성이 많이 떨어진다. 유선형 신체 능력을 통해 물속에 있으면 상술한 단점들이 어느 정도 해소되기 때문에 사실상 물속 생활이 반강제된다. 또한 100살까지 성장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무려 70분으로 말만 4티어지 사실상 5티어 크리처를 키운다 봐도 무방하다.

원래는 출혈 방어율 80%에 금강불괴 능력까지 가지고 있었지만 추가 업데이트를 통해 출혈 방어율은 너프되었고 금강불괴 능력은 삭제되었다.

반수생과 연관된 비밀 임무를 부여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첫 출시 때는 미완성 상태였던지라 반수생 활동이 불가능했는데 이후 업데이트를 통해 반수생 생활도 가능해졌다.

1.2.6. Polymonstrum (폴리몬스트룸)

파일:PolymonstrumFemale_redesign.png
[ 리디자인 이전 모습 펼치기·접기 ]
파일:Polymonstrum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5,000 회복률 4% 70 초당 2 회복 720 9,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19
• 질주: 55
x1.3 5 7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반수생 57분 1/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30%
• 겨울 태그
• 유선형 신체
제작자 출시 날짜
• CatboyNathann리디자인 전
• Senior_Puertasaurus리디자인 전
• CatasticalCalamity 리디자인 후
2021/1/31
획득 조건
육식 뽑기, 반수생 뽑기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Polymonstrum_art.png
리디자인 전
파일:Polymonstrum_reart.png
리디자인 후
크리처 설명문
폴리몬스트룸은 얼음물 주변에서 사냥 활동을 하는 특이한 크리처입니다. 큰 꼬리를 이용해 물속을 빠르게 헤엄치고, 큰 앞다리를 이용해 먹이를 때려죽입니다. 이들은 다수의 수염을 사용해 물 안팎의 작은 진동까지 감지할 수 있으며, 오직 적외선만 감지하는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폴리몬스트룸은 텃세가 매우 심하며, 종종 동족과의 결투로 인해 생긴 흉터를 자랑스럽게 드러내기도 합니다.
공식 설정 출처
* 폴리몬스트룸은 육지와 얕은 물 아래에서 사냥을 하며, 빽빽한 초목이나 해안선에 숨어 매복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 폴리몬스트룸은 매우 사나우며 기회가 된다면 무엇이든 잡아먹을 것이다. 다만 자신의 새끼나 부모는 여기서 제외된다.
* 폴리몬스트룸은 매우 좋은 어미 역할을 하며 자신의 새끼를 상냥하게 보살핀다. 이들은 성별이 없으며 무성생식을 통해 번식하는데, 엉덩이 부근에 달린 4개의 더듬이처럼 생긴 것들이 바로 새끼이다. 새끼는 단단해진 상태에서 어미의 몸에서 떨어져 나간 뒤 올챙이 형태로 융해되어 어미의 보살핌을 받는다. 성별이 없지만 폴리몬스트룸 부모는 보통 '어미'로 호칭된다.
* 새끼 폴리몬스트룸은 입을 가지고 태어나지 않기 때문에 먹이를 먹을 수 없으며, 굶어 죽기 전에 입을 제때 발달시켜야 한다.
* 폴리몬스트룸은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하나는 껍데기가 부드럽지만 에너지로 사용되는 햇빛을 좀 더 잘 흡수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껍데기가 극도로 단단해 충격에도 거뜬히 버틸 수 있다. 이러한 변종 형태는 태어날 때의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 어떤 크리처 종이든 폴리몬스트룸을 다치거나 죽을 걱정 없이 기를 수 있다. 어린 폴리몬스트룸은 자신이 처음 보는 크리처를 어미로 각인하여 위험이 닥칠 때 용감하게 어미를 지키기도 한다.
* 만약 폴리몬스트룸이 당신을 잡아먹고 싶어하는데 주변에 엄폐물이 없다면 그저 제자리에 앉은 채로 당신을 응시할 것이다.
* 이들의 공격은 매우 정밀하고 극도로 강력하며, 그 위력은 사람이 신칸센에 충돌하는 것과 비슷하다.
* '폴리몬스트룸의 여왕'이라고 부르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만한 초거대 크리처가 존재하며 먹잇감의 지능과 기억을 흡수할 수 있다. 이름은 '폴리폼(Polyphome)'.

갯가재을 모티브로 한 크리처로, 육식 및 반수생 뽑기에서 뽑을 수 있다. 이름은 툴리몬스트룸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며, 특유의 앞다리 형태 때문에 흔히 사마귀라 불리기도 한다.

4티어 반수생 크리처 중 가장 공격력이 높으며 그 수치는 무려 720. 5티어 내 웬만한 크리처들과 견줄 만할 정도로 강력하다. 또한 반수생인 만큼 물속에서 수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용 면에서는 웬만한 티어 4 크리쳐들보다 더 좋게 평가되기도 한다.

패시브 능력으로는 유선형 신체겨울 태그[4]를 가지고 있다. 유선형 신체 덕분에 물속에서 15초 이상 잠수해 있으면 스태미나 수치 및 회복량과 이동 속도가 버프되고 허기가 줄어드는 속도가 느려지는데, 폴리몬스트룸의 경우 스태미나가 70에서 140으로 버프된다. 또한 겨울 태그의 경우 겨울 또는 기근일 때 발생하는 추위 상태이상을 막아주기 때문에 이동 속도가 느려지거나 허기가 빨리 줄어들지 않는다.

수중에서는 상당히 쓸 만하지만 지상에서는 상당히 굼뜬 모습을 보여준다. 일단 기본 이동 속도가 상당히 느린 데다가 기본 스태미나도 고작 70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지상에서 오래 달리면 스태미나가 금방 소진된다. 이러한 단점들은 일단 물속에 들어가면 유선형 신체 능력을 통해 보완되기 때문에 사실상 수중 생활이 반강제되는 수준이다.

1.2.7. Starknol (스타크놀) (Exp)

파일:Starknol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6,200 회복률 5% 85 초당 2 회복 320 9,35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5
• 질주: 59
없음 4 8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초식 반수생 50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60%
• 출혈: 2
• 광역 충격
• 무리 치유사
• 물 브레스: 1.2/DPS
제작자 출시 날짜
• JaxonBirb 2023/4/1
획득 조건
탐험가 뽑기 기계 테마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Starknol_art.png
크리처 설명문
스타크놀은 흔히 3~4마리씩 무리를 지어 이동하며, 상당히 온순한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이들의 몸은 원기를 회복시켜주는 증기를 생산합니다. 기다란 꼬리는 물속에서 수영을 할 수 있게 도와주지만 보통은 육지에서 주로 활동합니다.
공식 설정 출처
* 스타크놀은 3~4마리로 구성된 무리를 형성하며, 종종 다른 크리처들을 치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 스타크놀은 물로 만들어졌으며 이 덕분에 수영을 할 때 자신을 둘러싼 물과 융합할 수 있다.
* 스타크놀의 신체를 이루는 물은 완전히 순수하며, 증기로 배출시켜 주변 크리처들을 치유할 수 있다.
* 새끼 스타크놀은 갑옷 입이 달린 형상변환 웅덩이 형태를 띠고 있다. 성장할수록 갑옷의 수가 점점 많아지게 되고 결국 성체의 모습을 가지게 된다.

기계 형태의 커다란 초식 크리처로, 탐험 토큰으로 해금하는 기계 테마의 탐험가 뽑기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오랜만에 나온 스팀펑크 테마의 크리처로, 전신에서 푸른색 증기를 내뿜는 게 특징이다. 전신이 물로 이루어져 있다는 설정이 있어 몸 대부분이 파란색 물 같은 형태로 되어 있지만, 재질 자체는 네온 재질이기에 커스텀을 밝게 칠하면 밝은 색으로 빛이 난다.

전체적인 스탯이 어느 한 부분에 몰려 있지 않은 무난한 스탯을 가지고 있다. 공격력이 높거나 맷집이 무시무시하거나 하는 장점은 없지만, 미미하지만 출혈 상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물 브레스를 사용해서 시야를 가릴 수 있다. 반수생이기에 위험한 상황에 쉽게 도주할 수 있으며 자신보다 강한 고티어 비행 크리처가 따라올 때도 구역 충격을 사용해서 거리를 벌릴 수 있는 등, 여러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하도록 생존에 도움이 되는 능력을 여럿 가지고 있다. 그 외에도 다른 크리처를 치유할 수 있다는 설정이 있어 무리 치유사 패시브도 가지고 있다.

여담으로 이전 콘셉트 아트를 보면 크기가 1티어 정도로 작은데, 출시 이전에는 저티어 정도의 크리처로 예정 되어 있던 것으로 보인다.

1.2.8. Therimorse (테리모스) (T)

1.2.9. Verklixin (버클릭신) (T)

파일:Verklixin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4,600 회복률 5% 110 초당 2 회복 250 4,4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1
• 질주: 70
없음 2.5 6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초식 반수생 40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40%
• 폭풍 브레스: 0.5/DPS
제작자 출시 날짜
• Cornpuff321 2021/7/24
획득 조건
시간 뽑기 10시간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Verklixin_art.png
크리처 설명문
다소 온순한 초식 크리처인 버클릭신은 해변에서 일광욕을 하거나 바다 밑 깊은 곳에서 수영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사회적은 크리처이며 흔히 3~5마리 정도가 모여 무리를 짓습니다. 수영 속도 자체가 그리 빠르지 않기 때문에 해류를 타면서 수영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사슴처럼 뿔이 달렸고 수달처럼 몸이 길쭉한 형태를 지닌 반수생 크리처. 업데이트로 새로 추가된 시간 뽑기와 함께 나온 크리처이며, 게임을 10시간 동안 플레이하면 뽑기에서 뽑을 수 있다.

폭풍 브레스 능력을 지니고 나온 최초의 크리처로, 브레스에 맞은 상대는 일정 시간 동안 화면이 흐려지고 이동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브레스 자체의 대미지가 그리 높은 편은 아닌지라 공격용으로 사용하기엔 다소 애매한 면이 있다.

울음소리나 반수생이라는 점을 미루어볼 때 루어의 스탯을 재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출혈 또한 가지고 있었으나 이후 패치로 출혈이 삭제됐다.

브레스를 가졌다는 것과 반수생이라는 점 외에는 같은 티어 내의 하늘 크리처에게 조차 밀리는 스탯을 가지고 있었는데 꾸준한 버프를 통해 현재는 적당한 수준의 크리처가 되었다.

1.3. 활공

1.3.1. Nolumoth (놀루모스) (RS)

파일:Nolumoth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4,300 회복률 5% 90 초당 2 회복 300 3,9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9
• 질주: 54
• 활공: 24
x1.25 4 7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광육식 활공 42분 1/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40%
• 방어형 독: 1.5
• 방사능: 0.5
• 강철 위장
• 벽 매달리기
제작자 출시 날짜
• undeary 2023/2/4
획득 조건
로테이션 상점 - 흔치 않음 등급 3,500 슘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Nolumoth_art.png
크리처 설명문
놀루모스는 천한 태도와 단순한 동기를 지닌 커다란 장님 비행 크리처입니다. 눈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몸에 있는 수염과 감지기관은 미세한 움직임과 냄새에 매우 예민하기 때문에 눈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주름 장식은 또한 독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나무와 동굴에 둥지를 만들며 천적을 피하거나 숨기 위해 나무에 매달리는 것을 선호합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놀루모스는 일반적으로 따뜻한 지역, 특히 녹지나 산악 지대 또는 탁 트인 평원에서 서식한다.
* 놀루모스는 식물처럼 의태할 수 있으며, 신체에 취약한 부분을 숨기고 수염을 식물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몸을 숨기는 걸 선호한다. 예외적으로 멋진 짝을 찾으려고 할 때에만 그 모습을 드러내며, 시력이 퇴화된 크리처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크고 괜찮은 후보라는 걸 보여주기 위해 수염을 비롯한 화려하고 인상적인 장식들을 뽐내면서 흥겨운 과시 행동을 한다. 이 모든 것은 몸 곳곳에 돋아난 수많은 감각 수염들이 사물을 쉽게 감지할 수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 놀루모스는 턱과 발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겁이 많은 크리처로, 주로 사체 청소를 하고 사냥을 자주 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은 엽록체가 포함된 격자 모양의 주름 장식으로부터 (충분하지는 않지만) 양분을 생산할 수 있다.
* 이들의 녹색 색소는 주름 장식의 엽록체로부터 유래한 것이며, 몸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색소는 이들이 선호 서식지에 있으면 더욱 선명해진다. 또한 주름 장식은 독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놀루모스가 위협을 느끼면 분비되어 방어용으로 사용된다.

파리지옥아바타 시리즈이크란을 모티브로 한 크리처로, 로테이션 상점에 추가되었다. 로테이션 상점에서 흔치 않음 등급을 받았으며 3,500슘을 통해 확정 구매할 수 있다.

최초의 4티어 활공 크리처이자 최초의 활공 광육식 크리처라는 타이틀을 동시에 달았다. 광육식 크리처는 밤이 되면 허기가 급속도로 감소하여 먹이 수급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는데 놀루모스는 활공 능력으로 넓은 구역을 비교적 빠르게 돌아다닐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에 자유로운 편. 또한 광육식인 만큼 썩은 고기를 먹어도 질병에 걸리지 않게 해주는 강철 위장도 가지고 있다.

0.5 수치의 방사능 능력도 가지고 있어 Q키를 누르면 주변에 방사능을 뿌릴 수 있다. 동력 비행은 불가능하지만 공중에 활공하면서 지오아렉스마냥 무차별적인 방사능 테러가 가능하다. 자신을 공격한 대상에게 중독을 거는 방어형 독 능력도 가지고 있어 방사능 능력과 조합해 상대에게 더 빠른 중독(방사능)을 걸 수도 있다.

특수 능력이 괜찮은 편이지만 그 대신 맷집은 상당히 부실하다. 활공 크리처인지라 전체적인 스탯이 비행 크리처에 가까우며 4티어 육생 크리처와 붙으면 맷집에서 크게 밀릴 수 있다. 또한 활공만 가능하고 동력 비행이 불가능해서 비행 크리처와의 전투에서도 기동성 때문에 불리해질 수 있다.
여담으로 리코드 프로필 사진중 하나에서 등장. 뇌우가 내린 상태에서 한 개체는 시루돈과 싸우고 있으며, 다른 한 개체는 미주스이마가 뒤에서 다가오는걸 눈치채지 못한다.

2. 바다

2.1. 수생

2.1.1. Aleicuda (알레이쿠다) (M)

2.1.2. Axothan (악소탄) (Exp)

2.1.3. Chamei (차메이)

2.1.4. Eiroca (에이로카)

2.1.5. Kohikii (코히키)

파일:Kohikii.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6,500 회복률 5% 90 초당 2 회복 600 8,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수영: 25
• 질주: 71
x1.25 4 5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수생 42분 4/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25%
• 출혈: 5
• 인대 파열: 35%
• 눈부신 섬광
• 야간 추적자
• 톱니 이빨
제작자 출시 날짜
• Monstergurl22 2021/9/4
획득 조건
육식 뽑기, 바다 뽑기, 출혈 뽑기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Kohikii_art.png
크리처 설명문
이들은 눈부시게 짝이 없는 생물발광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냥에 매우 진지하게 임하며 까다로운 먹잇감을 쫓을 때에는 자신의 빛나는 무늬를 흐리게 만듭니다. 이들의 허기는 거의 끝이 없기 때문에 사냥을 자주 나설 것입니다.
공식 설정 출처
* 코히키는 부모가 되었을 때 매우 사나워지며, 새끼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난폭하게 사냥할 것이다.
* 보통 한 번에 1~2마리의 새끼를 가진다.
* 이들은 재빠른 사냥꾼이다.
* 코히키는 외적이 자신을 죽이기 전에 그들을 단숨에 죽일 수 있다.
* 행동이 재빠르지만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방어력이 낮다.

심해 상어를 닮은 바다 크리처. 업데이트로 새로 추가된 시간 뽑기와 함께 나온 크리처이다.

출혈+인대 파열+톱니 이빨 조합으로 상대방을 출혈로 집요하게 공격하는 전략이 가능하다. 인대 파열로 스태미나 회복률이 감소한 대상은 오래 질주하지 못할 것이며 톱니 이빨 능력으로 출혈 회복률를 감소시키는 디버프까지 걸린다면 이만큼 짜증나는 상황이 없을 것이다. 출혈 전문 크리처이면서 공격력은 500으로 상당히 높아 대미지가 쏠쏠하게 나올 것이다.

추가 업데이트로 밤중에 시야를 환하게 만드는 패시브 능력인 야간 추적자와 3초 동안 상대의 방향 조작에 혼란을 주고 시야를 일정 시간 동안 터널 형태로 좁게 만드는 눈부신 섬광까지 부여받았다. 따라서 현재 바다 크리처들 중에서 독보적으로 특수 능력이 많다.

단점으로는 공격력이 높지만 체력과 몸무게는 다른 4티어 바다 크리처들에 비하면 조금 낮다. 바다 크리처 특징 상 육지 크리처보다 스탯이 한 단계 높게 책정되어 있긴 하지만 다른 4~5티어 바다 크리처들을 상대할 때 맷집 싸움은 비추천된다. 또한 머리와 입이 작은 까닭인지 공격 판정이 비정상적으로 좁아 작은 물고기 하나 잡는 데에도 꽤나 고생해야 한다.

여담으로 첫 출시 당시에는 초식성으로 나왔었다. 크리처 설명문에 먹잇감을 사냥한다는 내용이 떡하니 있기도 해서 많은 유저들을 의아하게 만들었는데, 이후 오류인 것으로 밝혀져 추후 패치로 정상적인 육식 크리처가 되었다.

원래 시간 뽑기 전용 크리처로 나와서 게임을 50시간 동안 플레이해야 뽑기에서 뽑을 수 있었지만 이후 업데이트로 그 자리를 츠바빌리스크에게 넘겨주고 일반 뽑기로 옮겨졌다.

현재 리디자인이 되었지만 아직 4티어 문서에는 나오지 않았다. 리코드로 오면서 리메이크와 함께 4티어 수생 최강자로 자리 잡았다 장로가 되면 공격력이 720(!!)이라는 4티어 내에서 가장 높고 5티어 일부보다 높은 공격력이 나온다 게다가 켄딜 2차 리디자인 전에는 4티어인 코히키가 5티어인 켄딜 보다 공격력 체력 속도 등 몸무게를 제외한 대부분의 켄딜의 상위호환인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그렇다 보니 4티어 내 에서도 최상급의 강함을 가진데다 빠른 속도가 겹쳐 아라키유도 컨트롤만 좋으면 잡는 미친 모습도 생겼다. 게다가 고질병이였던 공격 범위도 어느정도 개선된 덕분에 입지가 좋아져 한 개의 서버당 코히키 1마리는 꼭 있는상황이 생기게 되었다

3. 하늘

3.1. 비행

3.1.1. Angelic Warden(엔젤릭 워든) (W)

3.1.2. Aolenus (아올레누스) (B)

파일:Aolenus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4,200 회복률 5% 90 초당 2 회복 275 3,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7
• 질주: 63
• 비행: 25
x1 4 6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잡식 비행 40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10%
• 출혈: 4
• 인대 파열: 30%
• 강철 위장
• 예리한 관찰자
제작자 출시 날짜
• Aelures 2020/12/26
획득 조건
베타 크리처 현재 획득 불가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Aolenus_art.png
크리처 설명문
아올레누스는 커다란 조류형 포식자로, 땅에서 큰 먹이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을 만큼 힘이 세고 튼튼한 다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큰 몸집 때문에 먹잇감을 오랜 시간 동안 쫓지 못하므로 이들은 하늘 위에서 급강하하여 먹잇감을 공격하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공식 설정 출처
* 아올레누스는 자신의 파트너 또는 짝을 향해 귀여운 춤을 추기도 한다.
* 재미를 위해 자신보다 작은 크리처를 들었다 내렸다 하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피닉스를 모티브로 한 크리처. 그래서 타오르는 듯한 느낌을 주는 붉은색 깃털과 긴 꼬리 깃털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스탯이나 능력은 피닉스와 비슷한 점이 없다. 써보면 알겠지만 크기가 상당히 크지만 맷집 자체는 약한 편이다.

베타 기간 중 Beta Tester 뱃지를 얻은 유저들만에게 지급된 크리처이기 때문에 일회용을 슘으로 구매, 거래 또는 둥지에서 태어나는 것 이외에는 플레이할 방법이 없다. 뱃지 통계에 따르면 현재 544,698개의 계정이 영구 아올레누스를 소지하고 있다.[5]

유년기에서 청소년기까지는 굵은 바람 궤적을 남기다가 성체가 되면 얇고 여러 갈래로 나뉘는 궤적을 남긴다. 또 성년기가 되면 날개에 있는 깃털에서 어두운 빛의 궤적을 남기는데 색이 어두워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어차피 궤적은 남에게 보이지 않으므로 사실 상 큰 의미는 없다.

4티어 하늘 크리처들 중 무게가 많이 낮은 편에 속한다. 비슷한 무게를 지닌 베나트록스와 아르칼리움은 브레스라도 있으나 이쪽은 출혈 이외의 아무런 전투 능력도 없다. 그나마 출혈이 다른 하늘 크리처들에 비해 높긴 하지만 출혈만을 보고 사용하기에 단점이 너무 많다. 공격력이 강한 편이 아니고 무게가 낮기 때문에 장점을 살리기 힘들다.

4티어 비행 크리처 내에서 빠른 비행 속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워낙 기본 스탯이 부실해서 게임 플레이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출혈이 많이 높은 편이 아니라 히트 앤드 런을 하기에도 애매하다. 덩치가 큰 만큼 스태미나도 낮게 책정되어 있어서 비행 중 수시로 활공을 하여 스태미나 관리를 해야 한다.

이후 업데이트를 통해서 체력, 몸무게, 출혈 수치, 출혈 방어율이 버프되었으나 같은 베타 크리처인 케루쿠가 버프를 먹고 상당히 좋아진 것과 다르게 아올레누스는 아직까지도 4티어 하늘 크리처는커녕 3티어 하늘 크리처에게조차 밀린다.

베타 기간에 나왔으나 거래 서버에서는 그 가치가 아직까지도 1년 전과 비슷하다. 다른 4티어 하늘 크리처인 요툰헬이나[6] 살란 등의 크리처들의 가치가 계속 오르는 것을 보면 상당히 안타까울 따름이다.

추가 업데이트로 상대의 체력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예리한 관찰자 능력을 부여받았다. 치유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예리한 관찰자 능력을 부여받은 건 아올레누스가 처음인데, 이를 통해 상대의 체력 수준에 따라 전투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제대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나중에는 상대의 스태미나 재생 속도를 늦추는 인대 파열과 썩은 고기도 먹을 수 있게 해주는 강철 위장 능력도 부여받았다.

3.1.3. Archalium (아르칼리움) (D)

파일:Archalium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3,800 회복률 8% 145 초당 3 회복 220 2,8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2
• 질주: 63
• 비행: 28
x1.2 3 6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잡식 비행 40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25%
• 구름 브레스: 0/DPS
제작자 출시 날짜
• Shegoran
• Stood_04
2021/12/25
획득 조건
개발자 크리처 구매 400로벅스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Archalium_art.png
크리처 설명문
아르칼리움은 순수함을 상징하는 크리처로, 모피에 금빛 끈무늬가 새겨져 있습니다. 수많은 날개가 하늘 위로 빗질하듯 날아오를 수 있게 해주며, 자신의 머리 위에 떠 있는 구름을 자체 브레스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여덟 번째로 등장한 개발자 크리처로, 게임 개발자 중 한 명인 Erythia을 대표한다. 일반적인 뽑기가 아닌 400 로벅스를 지불해야 얻을 수 있으며 2021 겨울 이벤트 때 이벤트 크리처와 함께 출시되었다.

길쭉한 몸통에 짧은 사지와 3쌍의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비행 시 날개 끝에 바람 형태의 궤적이 생기는 게 특징이다. 다리가 짧은 걸 반영해서인지 지상에서 뛰는 속도가 4티어 하늘 크리처들 중 가장 느리지만 비행 속도는 나름 중상위권이며 상당히 높은 스태미나가 이를 보완해준다.

아르칼리움의 진가는 신규 능력인 구름 브레스에 있으며 사용시 자신에게 즉시 진흙+체력 회복+스태미나 재생+갈증 수치 회복 효과를 부여해준다. 즉 자가 치유형 브레스라는 것. 이 브레스만 사용한다면 광육식 크리처마냥 물을 전혀 마실 필요가 없을 정도다. 일단 DPS가 0이고 브레스를 적중당한 플레이어의 화면에 초록색 효과가 뜨지만 소쿠린의 브레스처럼 아무런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단점으로는 스탯 자체가 전투용에 부적합하다는 것. 체력과 몸무게 수치가 4티어 하늘 크리처 내 최하위인지라 높은 공격력과 몸무게 수치를 지닌 크리처한테 순살당할 수 있을 정도다. 브레스 사용으로 체력을 회복할 수 있긴 하지만 초당 회복 수치가 적기 때문에 상대방의 집요한 공격중에 사용하다가 체력도 제대로 회복 못하고 죽을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3.1.4. Banishii (바니시) (R)

파일:Banishii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4,000 회복률 6% 100 초당 2 회복 215 4,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5
• 질주: 66
• 비행: 24
x1.15 4 7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비행 42분 1/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25%
• 공격형 독: 1.5
• 다수의 힘
• 전광석화
제작자 출시 날짜
• CatasticalCalamity 2022/10/8
획득 조건
로벅스 상점 1,575로벅스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Banishii_art.png
크리처 설명문
바니시는 바젤리만큼이나 영리한 사막 서식종으로, 여왕 체계와 유사한 생태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들은 주행성 크리처이며 반짝이고 반사 능력이 뛰어난 장신구로 자신을 꾸미는 걸 좋아합니다. 이들의 여왕은 사막 궁전에 살아가며 가능한 한 많은 빛을 반사하기 위해 수천 개의 거울로 궁전을 꾸미고 다닙니다. 바니시는 자신과 대척점에 선 바젤리와 달리 야수 같은 힘보다는 속력을 선호하지만 그럼에도 외적에게 상당한 피해를 주는 능력이 있습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바니시 무리는 자신들의 은신처를 반사 능력이 뛰어난 금속이나 거울로 도배하여 최대한 많은 빛을 끌어모은다.
* 이들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이 자신과 주변 환경을 깨끗하게 만든다고 믿고 있다.(물론 따뜻하다고도 생각한다)

뱀을 닮은 머리가 달린 드래곤 형태의 크리처로, 로벅스 상점(1,575로벅스)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음과 양(陽)을 상징하며 음을 상징하는 바젤리와 대척점에 있는 존재라는 설정.

전광석화라는 고유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 Q키를 누르면 스태미나의 5%를 1초마다 소모하면서 이동 속도를 점점 증가시키며, 스태미나가 5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이동 속도가 최대 30%까지 증가한다. 이때 비행 속도의 경우 25에서 최대 32까지 증가한다. 이 정도면 4티어 내에서도 가장 빠른 비행 속도인 셈. 이 외에도 공격형 독과 무리 내에 동일종이 많을수록 추가적인 스탯 버프를 부여하는 다수의 힘 능력도 가지고 있다.

단점으로는 생각보다 부실한 스펙. 속도가 빠르고 독 능력도 있어 괜찮나 싶기도 하지만 그놈의 처참한 몸무게가 문제가 된다. 체력도 별로 높지 않은 편이라 4티어 일부 육식 크리처들과 5티어 육식 크리처들에게 서너대만 맞으면 바로 반죽음 상태가 될 정도로 맷집이 약하다.

비싼 가격에 판매되는 만큼 독특한 특수 능력과 멋진 외형을 가지고 있긴 하나 1,575로벅스라는 역대급 가격[7]으로 나온지라 소나 스튜디오가 돈맛을 봤냐며 까는 유저들이 있음과 동시에 바니시가 로벅스 크리처 팔이의 시작일 거라며 우려하는 유저들이 많다.

3.1.5. Bazelii (바젤리) (R)

파일:Bazelii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4,500 회복률 5% 75 초당 2 회복 325 5,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2
• 질주: 64
• 비행: 22
x1.2 4 7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비행 45분 4/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30%
• 출혈: 2
• 무절제한 분노
• 야간 추적자
제작자 출시 날짜
• CatasticalCalamity 2022/10/16
획득 조건
로벅스 상점 1,800로벅스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Bazelii_art.png
크리처 설명문
바젤리는 바위 절벽과 동굴에 서식하는 야행성 포식자입니다. 이 종들은 매우 지능적이며, 별 아래 얼음 산맥에 거주하고 있는 고대 여왕의 능력을 통해 무기를 제조할 수 있습니다. 자신과 대척점에 선 바니시보다 더욱 짐승 같고 강력하지만 힘을 위해 속력을 희생하였습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바젤리는 종종 어둡고 날카로운 암석과 결정을 수집해 간단한 장식품이나 추가적인 갑옷을 만드는 데에 사용한다.
* 다른 종과 마주하면 귀, 발톱, 꼬리, 볏의 움직임을 통해 조용히 의사소통하는 것을 선호한다.
* 바젤리의 신체는 비록 자연적으로 빛을 내지 않지만 일부 무늬의 경우 특정한 빛에 노출되면 어둠 속에서 빛을 낸다. 새끼의 경우 포식사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빛을 내지 않는다.

푸른 드래곤 형태의 크리처로, 로벅스 상점(1,800로벅스)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음과 양(陰)을 상징하며 양을 상징하는 바니시와 대척점에 있는 존재라는 설정. 또한 디자인 일부는 원래 출시 예정이었다가 취소된 크리처인 커러션에서 따왔다고 한다.

대척점에 선 바니시와는 공통점이 많으면서 일부 차이점이 존재한다. 둘 다 4티어+육식+하늘 크리처이고, 상체를 든 드래곤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이름에도 돌림자가 존재한다. 다만 밝고 성스러운 느낌이 나는 바니시와 달리 바젤리는 어둡고 불길한 느낌으로 완전히 대비되며, 바니시가 속도 중시라면 바젤리는 공격 중시의 스탯을 지니고 있는 게 차이점이다.

무절제한 분노라는 고유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 Q키를 누르면 바니시의 전광석화처럼 스태미나를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데, 이때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바니시와 달리 바젤리는 공격력을 증가시킨다. 스태미나가 5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공격력이 최대 30%까지 증가하며 325의 공격력이 최대 422까지 증가한다.

고유 능력만 잘 사용하면 체력이 낮은 저티어 크리처 정도는 간단하게 썰어버릴 수 있지만 속력 대신 힘을 발달시켰다는 설정처럼 비행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기동성은 떨어지는 편. 육탄전 중심인 하늘 크리처라는 점에서 같은 4티어인 살란과 비슷하다.

바니시와 마찬가지로 결코 만만치 않은 로벅스 가격으로 팔리고 있다. 그 가격은 바니시보다 더 높은 1,800로벅스로, 한화 30,000원에 팔리는 1,700로벅스를 구매해도 100로벅스가 부족할 정도다.

리코드 프로필 사진 중 하나에서 홀로 센터로 등장. 날씨가 워든의 성운인 상태에서 수면 위를 가로지르며 나는 모습이다.

3.1.6. Borenhir (보렌히르) (RS)

파일:Borenhir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6,500 회복률 4% 75 초당 2 회복 235 9,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2
• 질주: 58
• 비행: 20
x1.15 5 8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비행 50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100%(면역)
• 겨울 태그
• 눈 방어막
제작자 출시 날짜
• JaxonBirb 2022/12/3
획득 조건
로테이션 상점 - 희귀함 등급 7,500슘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Borenhir_art.png
크리처 설명문
보렌히르는 아툴리스의 후계자이며, 살아있는 크리처를 만들기 위한 완벽한 시도물이기도 합니다. 보렌히르는 크기보다 기능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덩치가 더 작습니다. 이들의 기술력 및 마법 능력은 매우 강하며 그 힘은 몸 전체에 분포된 코어에 저장됩니다. 보렌히르는 아툴리스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소나리아의 불가사의한 존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보렌히르는 흔히 아툴리스와 시간을 많이 보내며, 서로를 돕는 관계이다.
* 보렌히르는 아툴리스보다 더욱 생동감이 넘치고 표현력이 뛰어나며, 다른 크리처들처럼 먹고 마시면서 살아갈 필요가 있다.

흰올빼미[8]와 눈 결정을 모티브로 한 크리처로, 로테이션 상점에 추가되었다. 로테이션 상점에서 희귀함 등급을 받았으며 7,500슘을 통해 확정 구매할 수 있다.

올빼미류와 무생물스러운 외관이 한 데 어우러진 모습에서 볼 수 있듯이 아툴리스와 관계 있는 종으로, 보렌히르는 이 아툴리스의 후계자라는 설정이다. 그래서 아툴리스와 공통점이 있으면서도 대비되는 점이 많은데, 고대 석상 느낌의 아툴리스와 달리 마치 사이보그와 같은 미래 느낌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고, 맷집을 내세운 아툴리스보다 덩치는 작지만 이동 속도가 더 빠르며, 초식성인 아툴리스와 달리 육식성이라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아툴리스처럼 출혈 방어율이 100%로 출혈에 완전 면역이지만 독 방어 능력은 존재하지 않는다. 몰랑가이 이후 세 번째로 눈 방어막 능력을 부여받았으며 Q키를 누르면 자신의 몸을 지킬 수 있는 이글루 형태의 방어막을 생성할 수 있다. 눈 방어막을 설치한 상태에서는 허기와 갈증 수치가 3배 속도로 감소하지만 기초 식욕 수치가 상당히 높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버틸 수 있다. 기타 추위 상태 이상을 막아주는 겨울 태그 능력도 가지고 있다.

4티어 비행 크리처들 중에서 체력과 몸무게가 많이 나가 맷집이 강하지만 그와 반대로 이동 속도는 상당히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아툴리스보다야 빠르긴 하지만 동일 티어의 크리처들과 비교해봤을 때는 굼벵이 그 자체. 따라서 다른 크리처를 사냥할 때 다소 불편할 수 있다.

버그인지 의도된 사항인지는 불명이지만 눈 방어막 능력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땅에서 스페이스바를 눌러 날아오르면 보렌히르 자신은 눈 방어막 안에 들어가 있지 않고 상대방만 가두는 플레이가 가능하다.이 경우에서 보렌히르는 갇힌 크리쳐에게 피해를 받지 않지만 피해를 입힐 수는 있기 때문에 플레이어들이 가장 싫어하는 크리처 중 하나이다.하지만 리코드 버전에서는 무조건 보렌히르도 함께 들어가기 때문에 의도되지 않은 사항인 것으로 추정된다.

3.1.7. Corvurax(코르부락스) (B)

3.1.8. Cuxena(큐제나) (T)

3.1.9. Erridea (에리데아) (Tk)

파일:ErrideaFe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5,250 회복률 4% 65 초당 2 회복 425 8,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5
• 질주: 57
• 비행: 18
없음 5 8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초식 비행 60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35%
• 출혈: 3
• 무절제한 분노
제작자 출시 날짜
• wiachko 2023/3/18
획득 조건
티킷 뽑기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Erridea_art.png
크리처 설명문
에리데아는 장엄하고 자기만족적인 크리처로, 영역이 상당히 넓으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영역을 침범하는 외부자를 공격하려 듭니다. 이 크리처는 모든 것들을 경시하고 항상 자신의 우월성을 증명하려고 노력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보석 장식을 자랑할 기회를 절대 놓치지 않을 것입니다.

3.1.10. Etheralotus (에테랄로투스) (Exc)

파일:Etheralotus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9,500 회복률 6% 80 초당 2 회복 150 8,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2
• 질주: 57
• 비행: 19
없음 5 7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잡식 비행 55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45%
• 겨울 태그
• 광역 충격
• 폭풍 브레스: 0.5/DPS
제작자 출시 날짜
• undeary 2022/12/3
획득 조건
독점 크리처 모더레이터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Etheralotus_art.png
크리처 설명문
이 희귀한 잡식 크리처는 공중을 매끄럽게 날아다니며, 꽁꽁 얼은 반짝이 가루를 흩뿌리면서 그 자취를 남깁니다.

푸른색 와이번 형태의 크리처로, 시그마톡스에 이어 세 번째로 출시된 독점 크리처이다. 공식 디스코드 서버를 관리하는 모더레이터들에게만 지급되며 거래 또한 모더레이터만 가능하다. 모더레이터 이외의 유저들의 경우 모더레이터가 주관하는 이벤트를 통해서 얻을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일회용 크리처(수컷)는 슘 상점에서 937슘으로 구입할 수 있고 거래도 모든 유저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체력과 몸무게 수치는 사실상 준 5티어급이라 봐도 될 정도로 높아 4티어 내에서 상위권 수준의 맷집을 가지고 있지만... 낮은 공격력과 비행 속도가 발목을 잡는다. 같은 속도를 가진 5티어 비행 크리처 상 토아레와 심지어는 1 더 빠른 보렌히르에게 정면 승부로 질 정도. 따라서 전투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비추천된다.

다행히 상대를 마비시키고 30초 동안 느리게 만드는 능력인 구역 충격과 흐린 시야와 이동 속도 감소를 걸 수 있는 폭풍 브레스를 가지고 있어 위험한 상황에서 빠져나올때 활용할 수 있다.

3.1.11. Galtekron (갈테크론) (S)

파일:Galtekron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2,800 회복률 5% 140 초당 2 회복 175 2,8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55
• 질주: 60
• 비행: 30
x1.2 4 8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비행 35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20%
• 출혈: 2
• 강철 위장
• 벽 매달리기
• 구름 브레스: 0/DPS
제작자 출시 날짜
• Stood_04 2022/6/25
획득 조건
기간 뽑기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Galtekron_art.png
크리처 설명문
갈테크론은 대부분의 삶을 하늘 위에서 보내는 조용하고 온화한 스캐빈저입니다. 이들은 나아가는 방향에 신경을 쓰지 않고 기류에 몸을 맡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비행하지 않을 때는 벽에 몸을 고정시켜 휴식을 취합니다. 다른 크리처들은 날아다니는 갈테크론의 모습을 맑은 하늘과 좋은 날씨의 신호로 받아들입니다.

뱀과 와이번을 섞은 듯한 형태의 크리처로, 기간 뽑기에 추가되었다.

소추리, 케루쿠, 트루솔비바 이후 오랜만에 벽 매달리기 능력을 부여받은 크리처이다. 따라서 육지 크리처 닫기 힘든 높은 절벽에 붙은 채로 안전하게 스태미나를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자가치유형 능력인 구름 브레스도 가지고 있기에 전투 중 회복에도 유리하다. 추가 업데이트로 강철 위장 능력도 부여받아 썩은 고기를 먹어도 질병에 걸리지 않는다.

단점으로는 호리호리한 체형에서 볼 수 있듯이 맷집이 약하다는 것. 다른 4티어 하늘 크리처들과 비교해봤을 때 몸무게는 아르칼리움과 동급일 정도로 낮은데 체력은 이 둘보다 더 낮다. 출혈 능력이 달려있긴 하지만 수치가 하위권에 머무르기 때문에 전투에 큰 기대를 하긴 어렵다. 결국 동일한 티어의 크리처들과 직접 싸우는 건 그리 좋은 선택이 아니다.

3.1.12. Haechionx (헤키옹크스) (T)

3.1.13. Jetebene (제테벤) (Exp)

파일:Jetebene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5,800 회복률 4% 95 초당 2 회복 165 7,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8
• 질주: 62
• 비행: 21
x1.2 4 7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비행 45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75%
• 출혈: 1
• 강철 위장
• 유선형 신체
• 산성 브레스: 1.3/DPS
제작자 출시 날짜
• CatasticalCalamity & SkyAero 2023/4/29
획득 조건
탐험가 뽑기 기계 테마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제테베네 컨셉아트.png
크리처 설명문
한때 고대의 상어 종이었던 이들은 외계에서 온 나노봇과 공생 관계를 형성하였습니다. 이후 수천 년의 진화 끝에 완전히 융합하여 제테벤이라고 알려진 존재가 만들어졌습니다. 성별이 존재하지 않는 이 종은 수십만 마일 떨어진 곳에서 자신들을 부르는 수수께끼의 에너지원을 찾아내기 위해 땅 곳곳을 배회합니다.

3.1.14. Konomushi (코노무시) (Tr)

파일:KonomushiFe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2,000 회복률 4% 65 초당 3 회복 650 3,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32
• 질주: 70
• 비행: 25
x1.35 3 5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비행 42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40%
• 인대 파열: 35%
• 유선형 신체
• 투명화
제작자 출시 날짜
• torviin 2023/1/7
획득 조건
여행자뽑기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Konomushi_art.png
크리처 설명문
코노무시는 소나리아의 온대림과 모래 언덕에 걸쳐 분포하는 매우 뛰어난 사냥꾼입니다. 오직 암컷만으로 이루어진 이 곤충은 서로 서식지가 다른 두 아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아종끼리 만나면 서로를 공격하려 할 것입니다.
공식 설정 출처
* 코노무시는 온대림과 모래 언덕에 서식하며 각 지역마다 고유한 아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대림 아종은 주름 장식이 많고 훨씬 세련된 반면, 모래 언덕 아종은 훨씬 더 크고 거친 데다가 더 뾰족한 가시를 지니고 있다.
* 두 아종 전부 암컷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무성생식의 한 형태인 단성생식을 통해 번식한다. 따라서 수컷 코노무시는 존재하지 않는다.
* 두 아종이 서로와 마주치게 되면 서로 싸우거나 쫓아내려고 할 것이다.

사마귀를 모티브로 한 크리처로, 핵설라인과 함께 여행자 뽑기에 처음으로 추가되었다. 이름은 잎사귀벌레의 일본어 명칭인 '코노하무시(コノハムシ)'에서 따왔다.[9]

암컷으로만 이루어진 종족이라는 설정은 대벌레나 채찍꼬리도마뱀처럼 단성생식을 하는 동물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인데, 비슷한 설정의 럭세스나 이스타후아틀과 달리 인게임 내에서 암수 차이가 구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사실 암수 차이가 아닌 서식지별 아종 차이를 구현한 것으로, 수컷으로 설정하면 프릴 장식이 많은 온대림 아종, 암컷으로 설정하면 뾰족한 가시를 지닌 모래 언덕 아종을 표현하는 것이다. 다만 이것은 배경 설정 상 얘기일 뿐이고 둥지를 만드려면 크리처 커스텀 창에서 무조건 암컷으로 설정해야 한다.

티칼로스에 이어 제대로 된 수영이 불가능함에도 유선형 신체 능력이 붙은 유사 반수생 속성의 크리처이기도 하다. 물속에 15초 이상 있으면 스태미나가 130으로 증가하고 이동 속도도 20% 증가하지만 반수생 크리처가 아닌 만큼 물속에서 스태미나를 회복시키지 못하므로 실질적으로 받을 수 있는 혜택은 속도 증가밖에 없는 셈이다. 게다가 티칼로스와 달리 겨울 태그조차 붙어있지 않기 때문에 겨울 및 기근일 때 물속에 들어가면 얄짤없이 체력이 깎이게 되므로 주의.

상대의 스태미나 회복 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인대 파열과 Q키를 누르면 몸을 투명하게 만들어 은신할 수 있는 투명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공격력은 무로 650으로 4티어 비행 크리처들 중 최강. 저티어 크리처 정도는 순식간에 해치울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다.

하지만 무지막지한 공격력과 반대로 체력과 몸무게 수치는 4티어 내 최하위권에 머무르는 유리대포. 체력이 고작 2,000 밖에 되지 않으며 4티어 비행 크리처 중 체력이 낮은 것으로 유명한 그 아르칼리움보다 더욱 낮은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 대부분의 3티어 크리처들보다 낮기 때문에 맷집은 그야말로 종잇장이나 다름 없다. 4~5티어 크리처와 맷집으로 싸우는 건 꿈도 못 꿀 일이고 3티어 크리처와 싸울 때에도 조심해야 할 정도다.

원래는 육해공 전부를 돌아다닐 수 있는 전지형 크리처로 나올 예정이었지만 개발 중 방향을 바꿔 일반적인 비행 크리처로 변경되었다. 특수 능력 중에 유선형 신체가 있는 것도 이때 당시의 흔적이며, 이거 말고도 수영 모션을 잘 보면 꼬리 부분(실제 곤충으로 치면 배 부분)을 마치 지느러미처럼 젓는 걸 볼 수 있다.

3.1.15. Nakamaska (나카마스카) (Tr)

파일:NakamaskaFe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2,600 회복률 4% 30 초당 1 회복 340 4,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4
• 질주: 69
• 비행: 26
x1.2 4 6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비행 40분 4/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20%
• 출혈: 1.5
• 공격형 독: 1.5
• 강철 위장
• 생명 흡수
• 야간 추적자
• 벽 매달리기
제작자 출시 날짜
• malarkeii 2023/1/21
획득 조건
여행자 뽑기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Nakamaska_art.png
크리처 설명문
나카마스카는 무리를 지어 여행하는 것보다 혼자 사는 것을 선호하는 야행성 크리처입니다. 주로 밤에 나타나 사냥을 하며, 무리를 지어 다니는 경우는 드뭅니다. 오직 새끼를 키울 때에만 무리를 지으며, 새끼는 어린 나이에 독립하여 자신만의 여행을 떠날 것입니다. 이들의 사냥 방식은 올빼미나 독수리와 가장 유사하며, 조용히 사냥을 진행하여 먹잇감의 머리 위를 맴돌면서 자신들의 기다란 발톱으로 먹잇감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줍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나카마스카는 낮 동안에 수면을 취하지 않는다면 밤에 있을 사냥에 쓰일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이전에 살해했던 크리처의 사체를 뒤질 것이다.
* 이들의 깨물기 공격에는 먹잇감을 소화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독소가 포함되어 있다.

해골을 쓴 드래곤 형태의 크리처로, 아보티우스와 함께 여행자 뽑기에 추가되었다. 디자인은 젤다의 전설 시리즈에 나오는 무쥬라의 가면에서 따왔으며 이름은 필리핀어로 '가면을 쓴 것'이라는 뜻이다.[10]

출혈공격형 독을 가지고 있어 상대를 공격할 때마다 출혈 피해와 중독 피해를 동시에 줄 수 있으며, Q키를 눌러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생명 흡수 능력으로 상대를 공격할 때마다 체력을 흡수할 수 있다. 야행성 크리처라는 설정답게 야간 추적자 능력도 가지고 있어 자신의 야간 시야를 4단계로 올리고 주변 다른 크리처들의 야간 시야 능력치를 1단계로 낮추는 디버프를 걸 수 있다.

특수 능력도 괜찮고 공격력도 어느 정도 강해서 전투용으로 쓸 만하지만 딱 한 가지 특징 때문에 저평가를 받는데, 바로 30이나 되는 최하위 스태미나 수치. 스태미나 수치가 중요한 비행 크리처임에도 게임 내 스태미나 수치가 제일 낮다. 이 때문에 잠깐만 뛰거나 날아도 스태미나가 금세 바닥나는 광경을 볼 수 있으며, 다른 크리처와 속도전을 할 때 상당히 주의해야 할 특징이기도 하다. 또한 코노무시만큼 극단적인 유리 대포는 아니지만 체력 수치가 상당히 낮은 편이다.

원래 나카마스카의 디자인은 기블리의 리디자인으로 사용될 예정이었는데, 기존의 기블리가 가지고 있는 전투기+사막 테마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 디자인으로 평가 받았던지라 결국 별개의 크리처로 활용되었다.[11]

3.1.16. Salrahn (살란) (Ev)

파일:Salrahn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4,500 회복률 4% 60 초당 2 회복 400 4,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5
• 질주: 64
• 비행: 21
x1.2 4 6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비행 45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35%
• 강철 위장
• 공포
제작자 출시 날짜
• JaxonBirb 2021/10/23
획득 조건
할로윈 이벤트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Salrahn_art.png
크리처 설명문
살란은 언데드처럼 보이는 커다란 비행 와이번 크리처입니다. 살란은 매우 똑똑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들을 과소평가하지 마십시오. 밤이 되면 이들은 지상에서 약탈을 일삼고 자신들의 가족이 배를 채울 때까지 모든 것을 파괴하고 다닙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낮 시간의 살란은 매우 지능적이고 침착하지만 밤이 되면 매우 무자비한 괴물로 변모한다.
* 살란은 매우 자상한 부모이기도 하다.
* 살란은 돌고래나 범고래처럼 다른 크리처들을 괴롭히기도 한다.

좀비 와이번 형태의 크리처로 몸 곳곳에 뼈가 튀어나온 것이 특징이다. 2021 할로윈 이벤트 때 처음으로 출시되었으며 전용 이벤트 재화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이전에 나온 4티어 하늘 크리처들과 다르게 육탄전에 알맞는 스탯을 부여받은 것이 특징. 특히 공격력이 4티어 하늘 크리처들 중에서 가장 높고 몸무게 수치도 상당하여 작은 크리처들을 상대로는 꽤나 효율적인 대미지를 뽑아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같은 날에 출시한 언돌리과 마찬가지로 공포 능력도 부여받았다.

단점으로는 비행 속도가 4티어 하늘 크리처들 중 가장 느리다는 것과, 부실한 특수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 공포 능력 이외에 전투와 관련된 특수 능력이 결여되어 있는 데다가 브레스 능력도 없기 때문에 재빠르고 브레스 사용이 가능한 크리처들을 상대로는 상당히 버거워질 수 있다.

3.1.17. Saukuryn (소쿠린) (RS)

파일:SaukurynMale_redesign.png
[ 리디자인 이전 모습 펼치기·접기 ]
파일:Saukuryn.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6,200 회복률 4% 85 초당 2 회복 245 7,4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8
• 질주: 60
• 비행: 20
없음 5 7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초식 비행 50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20%
• 치유 브레스: 0/DPS
제작자 출시 날짜
• Erythia 2020/9/13
획득 조건
로테이션 상점 - 흔함 등급 1,500슘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Saukuryn_art.png
리디자인 전
파일:Saukuryn_reart.png
리디자인 후
크리처 설명문
소쿠린은 온순하고 거대한 짐승으로, 자신의 꽃을 끊임없이 건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열매와 건강한 과일을 갈구합니다! 소쿠린은 지상에서 느린 데다 스태미나 수치가 낮지만 비행 및 광역 치유와 관련된 능숙한 능력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벚나무그리폰의 모습을 하고 있는 크리처. 꽃과 이파리가 몸 이곳저곳에 붙어있으며, 두 번째 색상 팔레트 임무 또한 만개 계절과 관련되어 있다.

4티어 비행 크리처들 중 몸무게 수치가 상위권에 들어가기 때문에 적어도 4티어 이하의 비행 크리처들을 상대로는 물기 공격을 통해서 우위를 쉽게 점할 수 있다. 다만 비행 속도는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 비행 중 꾸준한 활공 전환으로 스태미나 관리를 하는 게 중요하다.

2021년 7월 3일 업데이트로 일반 뽑기에서 기간 뽑기로 옮겨짐과 동시에 치유 브레스 능력이 추가되었으며, 같은 무리에 속한 아군에게는 치유를, 적에게서는 체력 흡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전에 브리퀵처럼 무리 치유사 능력을 얻게 될 것이라 언급되었지만 이후 방향을 바꿨는지 다른 형태의 치유 능력을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체력, 몸무게, 공격력 등에서부터 매우 우수한 크리처였는데 여기에 브레스까지 부여받아 요툰헬을 이은 사기 크리처가 아니냐는 말이 있다. 특히 요툰헬이 업데이트를 거치면서 너프를 여러 번 겪은 만큼, 소쿠린의 브레스 업데이트 이후 요툰헬을 사용하는 유저수가 눈에 띄게 줄어들기도 하였다.

브레스의 DPS가 0으로 표기 되어 있으나 대미지가 들어가는 오류가 있었다. 이후 업데이트로 대미지가 들어가지 않게 수정되었으나 같이 무리를 지은 아군을 회복시키는 능력 또한 막혀버렸다.

2021년 할로윈 이벤트가 시작됨과 동시에 소쿠린의 리디자인 모델 또한 적용되었다. 다만 이전의 리디자인된 크리처들이 스탯과 능력에 수정이 가해진 것과 달리 소쿠린은 이전에 기간 뽑기로 옮겨지면서 이미 새로운 능력을 부여받았기에 디자인만 변경되었을 뿐 스탯에는 아무런 수정이 가해지지 않았다.

이후 업데이트로 로테이션 상점에 옮겨졌다. 여기서 흔함 등급을 받았으며 1,500슘을 통해 확정 구매할 수 있다. 추후 리코드 스타터 세 종들 중에서 로벅스 결제를 통해 구매하는 방식으로 추가되었으머 로테이션에서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3.1.18. Valkyrie (발키리) (Ev)

파일:Valkyrie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3,200 회복률 8% 200 초당 3 회복 -200[A] 3,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32
• 질주: 72
• 비행: 34
없음 3 5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잡식 비행 30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40%
• 광역 돌풍
• 예리한 관찰자
제작자 출시 날짜
• JaxonBirb 2021/10/23
획득 조건
LSS 임무 아이리우스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Valkyrie_art.png
크리처 설명문
이 크리처들은 매우 오래 사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옛 기록에 의하면 수천 년이나 산다고 합니다. 발키리에 관한 수많은 이야기가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이들이 아스가르드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들은 우아하게 하늘을 날며, 만약 발키리를 한 마리라도 목격한다면 행운이 깃든다고 합니다.

용의 모습을 한 크리처로, 2022년 LSS 이벤트 때 출시되었다. '공중'이라는 의미를 가진 아이리우스(Aerius) 임무를 완수하고 누적 15,000슘을 기부해야 얻을 수 있다. 이름은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발키리에서 그대로 따왔다.

우라처럼 지상에 있을 때에도 공중에 떠다니는 것이 특징인데, 마법을 이용하여 공중에 가만히 떠 있는 우라와 달리 발키리는 그런 능력이 없어서인지 지상에 가만히 있는 상태에서도 보는 사람이 힘들어질 정도로 열심히 날개를 퍼덕인다. 다만 모션이 이래도 스태미나를 잡아먹진 않으니 안심하자. 먹이를 먹거나 물을 마실 때에도 벌새마냥 쉴 새 없이 날개를 퍼덕이며 오직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만 날개짓을 그만 둔다.

비행 속도는 4티어 하늘 크리처 중 1순위. 따라서 3티어 수준의 비행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 원래 성장 시간이 40분이었다가 추가적인 스탯 조정으로 30분으로 줄어들어 4티어 크리처들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한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애니무넬 이후 세 번째로 음수값 공격력을 부여받았다. 즉 상대방을 공격할 때 대미지를 주지 않고 오히려 치유를 해주는 순수 힐러 계열의 크리처이다. 이에 따라 상대방의 체력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예리한 관찰자 능력도 부여받았다.

상대에게 대미지를 전혀 줄 수 없기 때문에 전투용으로 전혀 사용할 수 없으며 이 때문에 종종 코서들의 표적이 되곤 한다. 비슷한 처지의 애니와 무넬은 그래도 덩치가 작고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몸을 숨기기에 용이하지만 발키리는 완전 반대의 입장이라 상대의 공격에 대처하기가 힘들다. 그나마 상대의 이동 속도를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광역 돌풍 능력을 사용하면 상대를 잠깐이나마 따돌릴 수 있다.

3.1.19. Verza (베르자) (Exc)

파일:Verza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5,500 회복률 5% 85 초당 2 회복 425 9,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30
• 질주: 60
• 비행: 10
x1.15 4 8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잡식 비행 55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55%
• 골절: 15%
• 예리한 관찰자
• 황금 브레스: 0.25/DPS
제작자 출시 날짜
• Yorevole 2023/2/4
획득 조건
독점 크리처 공인 제작자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Verza_art.png
크리처 설명문
베르자는 아마 조용한.. 크리처인 듯합니다. 이들은 언뜻 봤을 때 불친절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창작물을 다른 이들과 공유하는 것을 좋아하고 상대에게 약간의 호기심을 보인 끝에 마음을 열 수도 있습니다. 이들은 움직이는 것부터 먹는 것, 마시는 것까지 모든 일에서 우아함을 발산하지만 위협을 느끼거나 분노할 때는 극도로 무서운 존재가 될 수 있습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베르자는 자신의 친구들, 특히 새끼 베르자와 함께라면 꽤 귀엽고 장난스럽게 굴 수 있다. 이들은 서로와 다른 종류의 크리처들에게 장난을 치기도 한다.
* 베르자의 피는 황금색을 띤다.[13]
* 베르자의 서식지는 우주 혹은 꿈 속의 은하수와도 같은 구역이며, 인게임의 사막에 해당된다.[14]

우주와 관련된 요소(은하수, 블랙홀)와 꿈을 모티브로 한 크리처로, 에테랄로투스에 이어 네 번째로 출시된 독점 크리처이자 4번째 독점 크리처이다. 공식 디스코드 서버에서 활동하는 창작자들 중 게임에 큰 기여(서버 배너 제작, 게임 아이콘 제작 등)를 한 공인 제작자들에게만 지급되며 거래 또한 공인 제작자만 가능하다. 공인 제작자 이외의 유저들의 경우 공인 제작자가 주관하는 이벤트를 통해서 얻을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일회용 크리처(수컷)는 슘 상점에서 937슘으로 구입할 수 있고 거래도 모든 유저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켄타우로스 체형에 팔 한 쌍은 신체와 분리되어 있으며 등 뒤에는 마치 라이진처럼 고리형 장식이 달려 있다. 또한 머리의 경우 턱이 여러 갈래로 갈라진 기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체적인 형상이 상당히 무생물스럽고 기괴한지라 여러모로 게임 내에서 가장 이질적인 크리처로 평가된다.

생김새와 다르게 의외로 비행도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 또 하나 특별한 점이 있다면 게임 내 최초로 골절 능력을 부여받은 비행 크리처라는 것. 그러니깐 다른 비행 크리처와 전투할 때 상대의 몸무게 수치와 운에 따라 골절을 걸어 추락시킬 수도 있다는 얘기가 된다. 특히 상대의 체력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예리한 관찰자 능력도 가지고 있어 전투에 큰 도움이 된다. 상대의 시야를 흐리게 만들 수 있는 황금 브레스 능력은 덤.

체력과 몸무게 수치가 비행 크리처답지 않게 상당히 높아 맷집이 강한 것도 장점이다. 그러나 맷집을 대가로 기동성을 포기하였는데, 비행 속도가 고작 10으로 거진 5티어, 그 중에서도 웬만한 탱커형 크리쳐들 수준이라는 것이 큰 단점이다. 심지어 같은 4티어에 비슷한 맷집을 가지고 있음에도 비행 속도는 한참 빠른 보렌히르에테랄로투스를 생각하면 더더욱 비교된다. 따라서 비행 속도가 빠른 크리처와의 공중전은 비추천되며 부득이하게 공중전을 할 경우 어떻게든 골절을 넣어 추락시킨 뒤 지상에서 싸우는 것이 좋다.

3.1.20. Xeternos (제터노스) (Ev)

3.2. 전지형

3.2.1. Aesmir (에스미르) (Exp)

파일:Aesmir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8,000 회복률 7% 70 초당 2 회복 225 20,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6
• 질주: 53
• 비행: 13
없음 5 10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초식 전지형 65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100%(면역)
• 독 방어율: 25%
• 광폭화
• 예리한 관찰자
제작자 출시 날짜
• Xhosa_Onkai 2023/4/15
획득 조건
탐험가 뽑기 은하수 테마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Aesmir_art.png
크리처 설명문
에스미르는 구름 사이에 사는 온순한 거구입니다. 이들은 하늘의 별들을 뱃속에 붙잡는데 성공했으며, 밝고 매혹적인 불빛으로 길 잃은 크리처들을 안전한 곳으로 이끌고 다닙니다. 낮에는 에스미르를 찾아볼 수 없는데, 소문에 의하면 만약 해가 뜰 때 에스미르를 따라간다면 안전하고 먹을 것이 넘쳐나는 낙원에 도착할 수 있지만 그곳에서 영원히 갇히게 된다고 합니다.
공식 설정 출처
* 에스미르는 때때로 낮 동안 수면 위에 배를 드러낸 채 둥둥 떠다니기도 한다. 왜 이러한 행동을 하는지에 대해서 알려진 것이 없지만 다쳐서 그런 것은 아닌 듯하며,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수면 아래로 잠수한다.
* 에스미르는 유성우가 내리는 동안 큰 무리를 지으며, 유성우가 멎을 때까지 서로 뱅뱅 돌면서 놀다가 이후에는 서로 흩어진다.
* 에스미르는 붉은 달이나 일식이 발생하는 동안에는 모습을 감추는 것으로 보인다.
* 자신의 무리에서 너무 오랫동안 벗어난 개체는 뱃속의 별들을 소실할 수도 있는데, 이는 대부분 자신의 연약함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두려움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 화가 난 에스미르는 몸 색깔이 붉게 변한다.
* 에스미르는 매우 감정적인 크리처이며 자신의 감정을 발성으로 표현한다. 이들이 내는 대부분의 소리는 울부짖음에 가까우며 정상적인 울음소리는 대부분의 크리처들이 들을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낮다.
* 에스미르는 실질적으로 번식이 불가능하며, 새로운 에스미르는 수면에 비치는 별빛에 의해 만들어진다.

은하수 테마 크리처들 중 최초로 전지형을 부여받은 크리처로 우주와 고래를 합친 듯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이름은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애시르 신족에서 따왔다.

성장 시간은 65분으로 웬만한 5티어 크리처들과 맞먹을 정도고 스탯도 매우 출중하다. 출혈 방어율 100%, 독 방어 25%에다 20,000이라는 몸무게, 8,000의 체력을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탱커 크리처이며 10%로 위스프의 저주라는 디버프를 걸어 상대를 공격할 때마다 공격력이 5%식 증가하는 광폭화도 가지고 있다. 또한 예리한 관찰자로 상대방의 체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공격력도 225로 다른 4티어 크리처와 비슷한 수준이다.

에스미르는 전지형이며 초식이기 때문에 먹이 수급이 굉장히 쉬우나 크기가 매우 크고 굼벵이 같은 기동성에다 스태미나도 굉장히 낮으므로 민첩한 크리처들에게 다굴당하기 십상이다. 또한 에스미르처럼 기본 스태미나가 낮은 전지형 크리처들 대부분은 유선형 신체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물속에서는 스태미나가 늘어나지만 에스미르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스태미나 관리가 상당히 까다롭다.

3.2.2. Anutill (아누틸) (D)

파일:AnutillFe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3,600 회복률 5% 100 초당 2 회복 170 3,25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4
• 질주: 72
• 비행: 26
x1.25 4 6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전지형[15] 32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15%
• 출혈: 2
• 공격형 독: 2
• 눈부신 섬광
• 유선형 신체
제작자 출시 날짜
• torviin 2023/2/25
획득 조건
개발자 크리처 구매 400로벅스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Anutill_art.png
크리처 설명문
아누틸은 위엄 있는 외모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고난 협잡꾼이기도 합니다. 반짝이는 물체를 수집해 산더미로 쌓아 올리고 더 작은 크리처들을 갈취하면서 살아가며, 이들의 속도는 다른 크리처들보다 한 발 더 앞서 나가게 해줍니다.
공식 설정 출처
* 아누틸은 "경멸스러운 도둑" 그 자체이며 반짝이는 물체나 보석을 수집하는 것을 좋아한다.
* 아누틸은 방울뱀과 비슷하게 꼬리를 흔들 수 있다.
* 아누틸은 물속에서 잠을 잘 때 날개로 자신을 감쌀 수 있다.

열한 번째로 등장한 개발자 크리처로, 게임 개발자 중 한 명인 EastByEastz를 대표한다.

곤충과 방울뱀을 섞은 듯한 모습을 한 크리처로, 2023년 2월 24일 업데이트로 추가됐다. 전체적으로 보면 잠자리를 닮았지만 아틀라스장수풍뎅이, 메뚜기, 방울뱀 등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

오프랄리전 이후 오랜만에 나온 개발자 크리처로, 전지형 크리처라는 점 덕분에 육해공을 전부 돌아다닐 수 있다. 그러나 아누틸의 경우 유년기 시절에 비행이 불가능하며 청소년기(34살)가 되어서 날개가 붙은 뒤에야 가능해진다. 또한 고르고니쿠스처럼 눈꺼풀이 구현되어 있어 가만히 있을 때 눈을 깜빡이며, 눕기를 사용했을 때 눈을 감고 잠을 잔다.

공격형 독출혈을 동시에 지니고 있고 이동 속도가 빠른 덕분에 히트 앤 런 전략에 좋다. 여기에 눈부신 섬광을 사용하여 적의 빈틈을 노리거나 물속에서 도주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선형 신체 능력을 통해 물속에서 15초 이상 잠수해 있으면 스태미나 수치 및 회복량과 이동 속도가 버프되고 허기가 줄어드는 속도가 느려지는데, 아누틸의 경우 스태미나가 100에서 200으로 버프된다.

뛰어난 기동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에 따라 전체적인 스탯이 다른 4티어 전지형 크리처들과 비교해 봤을 때 3티어 비행 크리처와 비슷할 정도로 낮다. 전투 중에는 최대한 맞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며 상대에게 독과 출혈 수치를 빠르게 채우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출혈 방어율와 체력이 낮은 편이기에 출혈 상태 이상에 취약하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3.2.3. Dalghara (달가라) (Tr)

파일:DalgharaFe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7,000 회복률 5% 120 초당 2 회복 180 8,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7
• 질주: 63
• 비행: 21
없음 5 10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초식 전지형 48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40%
• 눈부신 섬광
• 유선형 신체
제작자 출시 날짜
• xinnten 2023/2/25
획득 조건
여행자 뽑기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Dalghara_art.png
크리처 설명문
달가라는 거대하고 우아한 하늘 가오리로, 대규모의 무리를 지어 소나리아의 하늘을 가로질러 여행합니다. 선천적으로 온순한 성격을 띠고 있지만 자극을 받으면 사납게 돌변합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달가라는 마치 코끼리가 사람을 귀여워하는 것처럼 1티어 크리처를 귀여운 존재로 바라본다.
* 달가라는 다른 온순한 크리처, 특히 델모틴과 마찬가지로 무리 내 구성원들과 매우 애정이 깊다. 마치 "휴일날 이웃들을 초대해 식사를 대접하는 다정한 가족"과도 같다.
* 진흙이나 일반적인 오물 등을 경멸한다.

가오리를 모티브로 한 크리처로, 여행자 뽑기에 처음으로 추가되었다. 크리처 자체는 베타 시절부터 공개되었지만 출시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으며, 한 번 리지다인을 거친 뒤에야 출시되었다.

체력과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대신 이동 속도가 굼뜬 전형적인 탱커형 크리처이지만 특이하게도 스태미나 수치는 다른 4티어 전지형 크리처들과 별 차이가 없는 편. 따라서 비행 중에 스태미나 관리가 상당히 쉬운 편이다. 게다가 유선형 신체 능력까지 붙어있어 물속에 15초 이상 있으면 스태미나가 120에서 240으로 증가해 오랜 시간 동안 수영을 할 수 있다. 탱커치곤 기동성이 의외로 좋다는 것이 큰 장점인 셈이다. 또한 Q키를 누르면 3초 동안 방향 조작에 혼란을 주고 시야를 일정 시간 동안 터널 형태로 좁게 만드는 눈부신 섬광 능력도 가지고 있다.

단점으로는 아무래도 굼뜬 크리처인만큼 재빠른 크리처들을 상대로 전투하기엔 부적절하다는 것. 특히 덩치가 큰 만큼 피격 범위도 넓어 작은 크리처의 집요한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도 있다. 또한 성장 시간은 48분으로 다른 4티어 전지형 크리처들보다 더욱 느리게 성장하므로 성장 난이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다.

3.2.4. Fellisio (펠리시오) (DL)

파일:Fellisio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3,500 회복률 5% 120 초당 2 회복 230 3,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5
• 질주: 74
• 비행: 25
x1.3 3 6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전지형 35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20%
• 출혈: 2
• 투명화
• 폭풍 브레스: 0.5/DPS
제작자 출시 날짜
• Kyzenith 2022/12/5
획득 조건
일일 출석 보상 28일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Fellisio_art.png
크리처 설명문
어두운 동굴과 밤하늘의 불가사의한 비행 크리처이자 짙은 남색의 매혹적인 수중 크리처 펠리시오는 육해공을 누비는 무시무시한 포식자입니... 잠깐, 저 녀석 지금 이끼 공을 가지고 놀고 있는 건가요??? 갸르릉거리기까지 한다고요?!
공식 설정 출처
* 펠리시오는 갸르릉거리거나 쉿쉿 소리를 내는 등 고양이와 유사한 행동을 하며 동시에 프리를 부풀리기도 한다.
* 어린 펠리시오들은 서로와 매우 가까이 붙어다니며 스스로 사냥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성정할 때까지 서로 싸움놀이를 즐긴다.
* 수컷은 텃세가 상당히 심하며 목 장식을 크게 부풀려 영역 지배권을 과시한다.
* 이들은 어둠 속에서 먹잇감을 유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발광 기관을 진화시켰지만 가장 최근 세대는 훌륭한 야간 시야를 발달시켰기 때문에 현재는 동족을 유혹하는 데에 사용된다.
* 펠리시오는 효율적인 야간 사냥을 위해 피트 기관과 같은 콧구멍뿐만 아니라 두 번째 눈까지 발달시켰다. 따라서 야행성 위주의 생활을 하며, 탁한 물속에서도 사냥을 할 수 있다.
* 펠리시오는 크라타 페레티나의 매우 먼 친척이다. 두 종은 수중 생활을 했던 다리 여섯 개의 크리처를 공통 조상으로 두고 있으며, 육상 생활에 적응하면서 덩치가 커지고 강인한 앞다리를 발달시키기 위해 세 번째 다리쌍을 포기한 크라타 페레티나와 달리 펠리시오는 비행 생활에 적응하면서 공기역학적 신체를 진화시켰고 세 번째 다리쌍을 날개로 발달시켰다. 또한 두 크리처 전부 조상에게서 물려받은 부드럽고 말랑한 아가미다발을 목과 등에 두르고 있지만 펠리시오는 진화 과정에서 독성을 잃어버렸다.
* 펠리시오의 몸은 털이 아닌 갯민숭달팽이처럼 부드러운 피부와 아가미다발로 덮여 있다.

고양이와 갯민숭달팽이를 모티브로 한 전지형 크리처로, 첫 번째로 추가된 일일 출석 보상 크리처이다. 4주 연속으로 출석해서 얻을 수 있다.

육해공 모든 곳을 돌아다닐 수 있고, 비행 속도가 빠르며 스태미나가 넉넉한 덕분에 티어 대비 기동성이 상당히 좋다. 폭풍 브레스로 상대의 시야를 흐리게 만들고 이동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데다, 투명화 능력으로 몸을 숨길 수 있어 생존력도 좋은 편.

여담으로 얼굴이 납작하며, 사족보행 드래곤 형태를 띄는 모습이 마치 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투슬리스와 닮았는데, 실제로 투슬리스와 라이트 퓨리에게서 어느 정도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리코드 프로필 사진중 한 사진에서 센터로 등장. 악소탄이 수면에서 덮치려 하는 것을 날아서 피하는 모습이

3.2.5. Jotunhel (요툰헬) (Ev)

파일:Jotunhel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4,000 회복률 5% 80 초당 2 회복 300 4,0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30
• 질주: 64
• 비행: 23
x1.25 5 6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전지형 42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25%
• 출혈: 1.5
• 겨울 태그
• 유선형 신체
• 물 브레스: 1.2/DPS
제작자 출시 날짜
• Malarkeii 2021/1/8
획득 조건
겨울 이벤트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Jotunhel_art.png
크리처 설명문
요툰헬은 다양한 물고기 및 육지 크리처를 먹잇감으로 삼는 포유류형 반수생 비행 크리처로, 균형 잡힌 비행사이자 수영선수입니다. 이들의 솜털과 지방층은 강한 타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줍니다.

물범과 와이번을 합쳐 놓은 듯이 생긴 크리처. 이름은 요툰헤임(Jötunheimr)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2020 겨울 이벤트 중 Christmas Badge를 얻은 뒤 크리스마스 뽑기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었으며, 이후 2021 겨울 이벤트에는 전용 재화인 벨을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다. 니톨탈루스 이후 두 번째로 추가된 전지형 크리처이다.

브레스 업데이트 이후 물 브레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브레스를 통해 상대방의 시야를 3초 동안 흐리게 만들며, 일정 확률로 상대방의 체력을 흡수할 수 있다.

육해공을 전부 돌아다닐 수 있다는 점과 하늘 크리처 중 체력 수치가 가장 높고, 원거리 브레스를 사용한다는 점 때문에 한동안 사기 크리처 취급을 받아 많은 유저들의 증오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브레스 공격에 취약한 그라모스에게 있어서는 그야말로 천적이나 다름 없을 정도. 결국 제작진 측에서도 이를 인지해 체력 수치와 브레스 공격력을 낮추는 너프 패치를 시행했다.

이후 업데이트로 유선형 신체 능력을 부여받았다. 유선형 신체 능력 덕분에 물속에서 15초 이상 잠수해 있으면 스태미나 수치 및 회복량과 이동 속도가 버프되고 허기가 줄어드는 속도가 느려지는데, 요툰헬의 경우 스태미나가 80에서 160으로 버프된다. 능력 추가와 함께 질주 속도는 버프되고 비행 속도는 너프되었는데, 비행 활동보다는 수중 활동에 좀 더 초점을 맞춘 스탯 변경으로 보인다.

2022년 겨울 이벤트 3주차 때 보리얼 워든과 함께 모션이 개선되었으며 움직임이 전보다 생동감 있게 바뀌었다.

여담으로 아라키유와 놀록과 비슷한 사례로 영어 발음을 종종 '조툰헬'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는데 요툰헬의 이름은 어디까지나 요툰헤임(Jötunheimr)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되므로 요툰헬로 부르는 것이 맞다.

3.2.6. Umbraxi(엄브락시) (Artifact)

3.2.7. Ura (우라) (D)

파일:UraMale_new.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2,700 회복률 10% 100 초당 2 회복 175 3,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1
• 질주: 75
• 비행: 27
없음 5 7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잡식 전지형 35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35%
• 물바람
• 유선형 신체
• 패시브 치유
제작자 출시 날짜
• XTinyDragonX 2021/7/31
획득 조건
개발자 크리처 구매 400로벅스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Ura_art.png
크리처 설명문
우라는 고독하게 살아가며 꽤 유순한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들의 사냥터는 주로 대양이며 바다와 하늘을 민첩하고 동등하게 가로지릅니다. 우라는 항상 움직이고 잠을 적게 자는 데다가 발로 낼 수 있는 속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들을 육지에서 발견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입니다.
공식 설정 출처
* 우라는 믿을 수 없을 만큼 지능적인 데다가 말도 할 수 있지만 의도적으로 말하지 않기로 선택하였다.
* 우라는 소나리아 역사에서 신화 속 생물이자 "폭풍의 운반자"로서 큰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우라가 천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바다를 가로지르는 혹독한 악천후를 따라다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 우라는 공중에 떠다니기 위해 신체 주변의 풍류를 조절하는데, 이때 이동할 때마다 강한 바람 터널이 형성되어 비행 중 강우에 면역이 된다.

다섯 번째로 등장한 개발자 크리처로, 게임 개발자 중 한 명인 NauticaElurra를 대표한다.

동양 용을 모티브로 하였으며 그 모습답게 육지는 물론이고 바다에 헤엄치거나 하늘도 날 수 있는 전지형 크리처로 나왔다. 여기에 잡식성이기 때문에 먹이 수급이 편하다는 장점도 있다.

게임 내 최초로 물바람 능력을 부여받았으며, Q키를 눌러 주변에 있는 대상의 화면을 터널 형태로 좁게 만들며, 공격력 및 일부 특수 능력의 위력을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디버프를 10초 동안 부여한다. 또한 우라만의 고유한 패시브 치유 능력도 가지고 있는데 우라 자신과 치유 대상이 서로 가까이 붙은 채 함께 누우면 치유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Ura 자체의 회복률 또한 10%로 상당히 높기 때문에 진흙을 묻히지 않아도 체력이 빨리 차오르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여러 게임의 치유 능력 캐릭터들이 그렇듯, 전투와 관련된 스탯이 매우 부실하다는 단점이 있다. 4티어 내에서 체력이 상당히 낮은 편이고, 여기에다 공격과 관련된 특수 능력이 전무하기 때문에 4티어 이상의 강한 크리처와 싸우기에는 벅찰 수 있어서 웬만하면 싸우지 말고 도망치는 것을 추천한다.

추가 업데이트로 어색했던 모션 및 모델 질감이 수정되었다. 모션의 경우 기존의 뻣뻣했던 모션에서 부드러운 모션으로 수정되어 전보다 더욱 자연스러워졌다.

이후 유선형 신체 능력을 부여받았다. 유선형 신체 능력 덕분에 물속에서 15초 이상 잠수해 있으면 스태미나 수치 및 회복량과 이동 속도가 버프되고 허기가 줄어드는 속도가 느려지는데, 우라의 경우 스태미나가 100에서 200으로 버프된다.


[1]
• 반수생 크리처 3마리를 성체로 성장시키기
• 물로 10번 매복하기
• NPC 물고기를 25마리 죽이기
• 물속에서 30분 동안 있기
[2] 잡식성인 반수생 크리처로는 완수할 수 없으니 주의.[3] 대략 해조 50개 정도를 먹으면 된다.[4] 아마 얼음물 주변에서 사냥 활동을 한다는 설정 때문인듯.[5] 다만 티킷 업데이트 이후 영구 크리처를 티킷 포인트로 바꾸는 기능이 추가되었기에 실제로는 이보다 더 적을 수 있다.[6] 요툰헬은 속성 브레스 추가 이후 가격이 미친듯이 오르기 시작했다.[7] 한화 25,000원에 팔리는 1,700로벅스를 구매해야 얻을 수 있을 정도.[8] 좀 더 정확히는 아크 시리즈에 나오는 눈올빼미라고 한다.[9] 그런데 중간에 '하(ハ)'가 빠지면서 일본인 입장에서 조금 웃긴 이름이 되었는데, 코노무시라고 적으면 평범하게 '이 벌레(此の虫)'라는 뜻으로도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10] 다만 이름만 필리핀어에서 따온 것이지 크리처 디자인까지 필리핀 문화에 따온 것은 아니며, 모티브는 어디까지나 무쥬라의 가면이라고 한다.[11] 기블리의 리디자인은 따로 만들어질 예정이다.[A] [13] 현재 베르자의 고기 및 피 색깔은 평범한 붉은색이며 추후 해당 설정에 맞게 수정될 예정이다.[14] 해당 크리처 제작자인 Yorevole에 따르면 테라리아신성한 사막을 생각하면 된다고 언급했다.[15] 유년기 시절에는 날개가 없어 비행 및 활공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