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관련 정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크리처 | 🦖크리처 목록 (1티어 ・ 2티어 ・ 3티어 ・ 4티어 ・ 5티어) |
능력 및 효과 | ⚔️액티브 능력 ・ 🛡️패시브 효과 🩸상태이상 | |
게임 플레이 | 🎮공략 ・ 🧬돌연변이 ・ 📋임무 ⛈️계절 및 날씨 ・ 🍖먹이 ・ ⛰️지형 🤝거래 ・ 🛍️상점 | |
수집 요소 | 🔥아티팩트 ・ 🧸인형 ・ 🍄재화 ・ 🏅칭호 ・ ❤️토큰 ・ 🎨팔레트 | |
이벤트 | 🎄이벤트 (2020~2021 ・ 2022 ・ 2023 ・ 2024) | |
기타 | 📜공식 설정 ・ 🛠️리코드 출시 이전 정보 ・ 🗑️삭제 및 취소 콘텐츠 | }}}}}}}}} |
|
1. 개요
|
지형과 플레이어의 위치를 알려주는 미니맵. M키를 눌러 열 수 있다.
|
Creatures of Sonaria의 지형을 모아둔 문서. 크리처는 지형지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각 지역 임무를 통해 슘을 획득할 수 있다.
1.1. 지형 오브젝트 및 상호작용
|
지상 지형에서 볼 수 있으며, 이 위에서 상호작용(E키)을 하면 크리처가 진흙에 몸을 비비는 행동을 하고 90포인트의 진흙투성이와 냄새 숨기기 상태이상을 부여받는다.[1] 이를 통해 상대의 냄새 감지로부터 피할 수 있고 체력 재생량 버프를 받을 수 있다.
진흙을 묻힐 때 상태이상을 받기 전이라면 조작키를 눌러 진흙 묻히기를 취소할 수 있지만 상태이상을 받게 될 경우 크리처가 묻히기 행동을 멈추는데 이때는 조작키가 먹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크리처의 습격에 무방비해질 수 있다. 따라서 주변에 위험한 크리처가 없는지 잘 확인하고 진흙을 묻히는 게 좋다.
|
하늘에서 볼 수 있으며, 비행/활공 크리처가 기류와 접촉할 경우 화면이 주황빛을 띠면서 비행 속도가 빨라진다.
|
양옆으로 좁은 수중 지형에서 볼 수 있으며, 수생/반수생 크리처가 해류에 접촉할 경우 화면이 하얀빛을 띠면서 수영 속도가 빨라진다.
|
화산섬과 자부심의 바위 아래에 있는 수중 동굴에서 볼 수 있으며, 크리처가 용암에 접촉할 경우 지속적으로 화상 피해와 폐질환 상태이상을 받게 된다. 다만 화산 적응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용암에 접촉해도 피해를 받지 않는다.
|
지상 지형과 수중 지형을 연결해주는 관문으로, 육지 위로 올라갈 때 큰 불이익을 받는 수생 크리처가 지상 지형의 웅덩이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바다와 분리된 웅덩이에서 뜬금 없이 수생 크리처가 나오는 것도 대부분 이 포털 때문이다.[2]
화산섬에 표시된 특수한 아이콘이 해당 지형에 이주 효과가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
모든 지형 중 한 군데에서 무작위로 활성화되는 버프 효과로, 지상 지형과 수중 지형을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 이주 효과가 활성화된 지형에 방문하면 이주 지역 상태이상을 받게 되며 성장 속도가 10% 빨라지고 둥지의 알 발달 속도도 10% 빨라진다. 크리처를 빠르게 성장시키고 싶거나 둥지의 알을 빨리 부화시키고 싶다면 해당 효과가 활성화된 지형으로 가면 된다.
|
맵 곳곳에 무작위로 생성되는 오브젝트로, 둥지에 알 하나가 박힌 형상을 띠고 있다. 상호작용 시 무작위의 일회용 크리처를 얻을 수 있으며 만약 슬롯이 꽉 찬 상태라면 슬롯에 있는 일회용 크리처 하나를 포기하고 얻어야 한다. 종종 금색 또는 은색을 띤 알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 알과 상호작용 시 둥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돌연변이가 적용된 일회용 크리처를 얻을 수 있다.
|
일부 지형 중 한 군데에서 무작위로 생성되는 포털로, 소나리아와 그림자 섬 지형을 오갈 수 있게 해준다. 포털을 타기 위해서는 30마리 이상의 영구 크리처를 보유해야 하며 사용하는 중인 크리처의 나이가 66살 이상이 되어야 한다.
파일:CoS_CorruptionPool.png |
- 부패한 웅덩이(Corruption Pool)
그림자 섬에 존재하는 보라색 웅덩이로, 접촉 시 부패 상태이상을 건다.[3] 다만 그림자 크리처는 해당 웅덩이에 들어가더라도 대미지나 상태이상을 입지 않는다.
그림자 섬에 자생하는 독특한 외형의 식물로, 작게 자라난 촉수 안으로 들어가면 포자를 뿜어대며 10포인트의 네크로 독과 6포인트의 독을 건다.
1.2. 지상
1.2.1. 밀림
|
|
Jungle 밀림 |
지도 좌측 상단에 있는 지형으로, 나무를 비롯한 식물이 많이 자라 있으며 진입 시 배경이 초록색으로 변한다. 나무가 무성하고 굴이나 바위 같은 지형지물이 많이 있으며 고기나 물 수급 또한 어렵지 않아 티어가 낮은 크리처를 키우기 용이한 지역이다. 이 외에도 33살 이상의 크리처는 정글에 스폰할 수 없기에 스텟이 부실한 유년기의 크리처를 키우기 좋다.
생존하기 쉬운 지형임에도 불구하고 장애물이 많고 성체 크리처는 잘 스폰되지 않는 지형이기에 많은 수의 유저들이 밀림에 머무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
Angelic Shrine 앤젤릭 사당 |
동굴에 있는 숨겨진 곳에는 앤젤릭 워든의 사당이 존재한다. 동굴 출입구가 통과 가능한 벽으로 숨겨져 있기 때문에 게임을 처음 하는 유저라면 헤맬 수도 있다.
1.2.2. 자부심의 바위
파일:CoS_PrideRocks.png |
파일:CoS_PrideRocks2.png |
Pride Rocks 자부심의 바위 |
맵의 상단에 존재하는 지형으로, 라이온 킹에 나오는 듯한 바위 지형이 있다. 중앙에는 커다란 호수가 있어 물 수급이 쉬운 편이며 호수 아래에는 용암 지대가 존재한다.
바로 왼편에 있는 밀림과의 경계가 상당히 애매하기 때문에 서쪽으로 조금 가기만 해도 밀림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큰 문제가 되진 않지만 지역 임무를 할 때 조금 불편할 수도 있다.
1.2.3. 화산섬
|
|
Volcano Island 화산섬 |
커다란 화산이 존재하는 지형으로, 화산 주변에는 용암 웅덩이가 존재하며 닿을 시 높은 대미지와 함께 화상을 입게 된다.[4] 겉보기에 위험해 보이는 지형 이미지와는 다르게 용암 웅덩이만 피한다면 꽤나 아늑한 지형인데, 물과 식량 공급도 쉬운 편이고 높은 화산과 이곳저곳의 동굴들 덕분에 다양한 자연재해로부터 대처하기 쉽다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화산에 있는 물 웅덩이는 바다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부 수생 크리처가 물을 마시는 크리처를 기습하는 일도 종종 벌어진다.
|
Garra Shrine 가라 사당 |
화산 내부에는 가라 워든의 사당이 존재한다. 용암 폭포 뒤편으로 가면 확인할 수 있다. 바쳐야 하는 먹이양은 250포인트.
1.2.4. 늪지 언덕
|
|
Swamp Hill 늪지 언덕 |
맵의 좌측에 존재하는 지형으로, 물 웅덩이와 진흙으로 뒤덮여 있다. 지상에 있는 지형이지만 일부가 물에 잠겨 있거나 물 웅덩이가 막고 있어 일반적인 크리쳐가 아닌 반수생 크리처를 키우기에 적합한 지형이다. 이러한 점 때문인지 많은 유저들이 꺼리는 지형이다.
말무리 모래톱 지형에서 포털을 타고 이동하면 수생 크리처를 사용해서도 갈 수 있다.
|
Ardor Shrine 아더 사당 |
늪지대 구석에는 아더 워든의 사당이 존재한다. 늪지 언덕 방문 시 곧바로 눈에 띄는 장소에 있기 때문에 다른 사당보다 찾기가 훨씬 쉽다. 대신 바쳐야 하는 먹이양이 무려 2,500포인트으로 역대급이기 때문에 시간이 남아도는 게 아니라면 굳이 방문할 필요가 없는 곳이다.
1.2.5. 레드우드 숲
|
|
Redwoods 레드우드 숲 |
맵의 좌측에 존재하는 지형으로, 키 큰 레드우드가 자라 있다. 이 덕분에 등반가 효과를 지닌 크리처들이 활동하기 좋은 곳이다.
1.2.6. 중부 암벽지대
|
|
Central Rockfaces 중부 암벽지대 |
맵의 한 가운데 있는 지형으로, 유저들에게 흔히 중앙이라고 지칭되는 지형이다.
맵 중앙이니 만큼 대부분의 메인 이벤트가 이곳에서 열리며, 물과 식량 수급이 안정적이기에 많은 유저들이 모여 있는 장소이다. 높은 바위 덕분에 비행 크리처를 키우기 유리한 곳이기도 하며, 수생 크리처가 사용할 수 있는 수중 터널도 존재한다.
1.2.7. 꽃의 만
|
|
Flower Cove 꽃의 만 |
맵의 우측에 있는 지형으로, 유저들에게 흔히 꽃동굴이라고 지칭된다. 물과 식량 공급이 안정적이며 자연 재해를 피하기에 좋은 지형이기에 사막 오아시스와 사구 다음으로 많은 유저들이 머무는 지형이다.
땅굴 안이나 보스전 아레나 등에서 그대로 메뉴로 간 뒤 다시 스폰할 경우 무조건 꽃의 만에 스폰된다. 이유는 땅굴 안과 보스전 아레나가 맵 오른쪽 맨 끝에 생성되는데. 이 상태에서 메뉴를 가면 가장 가까운 스폰 포인트인 꽃의 만에 스폰되기 때문이다.
|
Verdant Shrine 버던트 사당 |
꽃의 만에는 버던트 워든의 사당이 존재한다. 아더 워든의 사당처럼 눈에 잘 띄는 곳에 있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다. 바쳐야 하는 먹이양은 500포인트.
1.2.8. 툰드라
|
|
Tundra 툰드라 |
좌측 하단에 존재하는 지형으로, 눈으로 뒤덮여 있으며 진입 시 배경이 흰색으로 바뀐다. 물과 식량 공급이 쉽기도 하고 레드우드 숲이나 사막 같은 지형에서 올라오는 유저들도 있어 맵 구석에 박혀 있는 것치곤 유저가 가끔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33살 미만의 크리처가 스폰되는 지형이기에 간혹 유년기의 크리처가 이곳에서 돌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혹 툰드라의 연못에서 수생 크리처가 튀어 나오는 일이 있는데, 낙석지대의 심해에 툰드라로 가는 포털이 있기 때문이다.
1.2.9. 산악지대
|
|
Mountains 산악지대 |
맵 하단에 존재하는 지형으로, 툰드라만큼은 아니지만 눈으로 뒤덮여 있다는 특징이 있다. 맵의 자잘한 동굴들과 높은 산 덕분에 은신처는 많지만 식량과 물 공급이 어려운 편에 속하기에 대부분의 유저들은 메사와 툰드라를 지나는 길목 정도로 생각하는 지형이다.
|
Boreal Shrine 보리얼 사당 |
설산의 동굴 안에는 보리얼 워든의 사당이 존재한다. 바쳐야 하는 먹이양은 750포인트.
1.2.10. 메사
|
|
Mesa 메사 |
밝은 색의 지층으로 뒤덮인 지형으로, 맵 자체가 좁고 높은 바위로 뒤덮여 있으며 장애물과 은신처가 다양한 곳에 존재한다.
다양한 장애물과 은신처, 그리고 33살 미만의 크리처만 스폰 가능한 구역 등 유년기 크리처를 위해 만든 장소인데 가끔 고티어 크리처들이 한 데 모여있는 광경을 볼 수 있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바로 옆에 붙어 있는 사막 지형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데, 사막 지형에는 플레이어들이 많이 모이기 때문에 당연히 음식의 수와 물의 신선도가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그렇다보니 신선한 음식물을 찾아 이곳에 오는 경우가 많다.
|
Hellion Shrine 헬리온 사당 |
1~2티어만 간신히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메사 동굴에는 헬리온 워든의 사당이 존재한다. 바쳐야 하는 먹이양은 무려 50포인트로 역대 최저. 따라서 많은 유저들이 애용하는 사당이다.
1.2.11. 사막
|
|
Desert 사막 |
맵의 좌측 하단에 있는 지형으로, 유저들에게 흔히 오아시스라고 불린다.
Creatures of Sonaria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지형으로 리코드 전부터 거의 대부분의 유저가 왔다 갔다 하는 유서 깊은 지형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땅, 비행, 수생 가리지 않고 다양한 서식지와 식성의 크리처가 머무르며 유저가 좀 있는 서버라면 사람이 항상 붐비는 지형이라고 할 수 있다.
유저가 많은 것은 좋은 일이지만 만약 자신이 충분히 강하지 않거나 친한 유저가 없다면 가지 않는 게 좋다. 크리처가 많으니 정말 다양한 일이 벌어지는데, 흔히 코서라고 하는 대학살이 자주 일어난다. 일부 유저는 친한 유저를 불러 단체로 코서를 벌이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정치질과 욕설이 난무하며 서버의 질이 더러워지기도 한다.
이렇듯 여러 유저가 모이는 장소이기에 언제나 누군가 돌변하여 다른 크리처를 죽이는 일은 흔한 일이며, 자신이 충분히 강하다고 생각하여도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가지 않는 것이 좋다.
1.2.12. 잊혀진 해안
|
|
Forgotten Shores 잊혀진 해안 |
2024년 9월에 새롭게 추가된 지형으로, 꽃의 만과 사막 사이에 있다. 특징적인 아치형 바위가 산재해 있으며 수생 크리처들이 활동하기 좋은 물 구덩이가 다수 존재한다.
1.2.13. 그림자 섬
|
|
Shadow Isle 그림자 섬 |
그림자 섬 티저 영상 |
2025년 2월에 새롭게 추가된 지형. 2024-2025 겨울 이벤트부터 하늘에서 추락하는 보라색 운석을 통해 떡밥을 흘렸으며, 이후 이 운석이 소나리아에 충돌하여 그림자 섬이 생겨났다는 설정이다. (첫 번째 티저 영상, 두 번째 티저 영상, 세 번째 티저 영상)
지형 전체가 어두운 보라색을 띠고 있으며 지형 곳곳에 보라색 감염물이 자라나고 있다.[5] 또한 다른 지형들과 비교해봤을 때 상당히 이질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그림자 섬만의 고유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 포털은 보유 크리처 종류가 20종 이상일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오직 성체 크리처(66살 이상)로만 들어갈 수 있다.
* 포털을 사용할 경우 그림자 섬의 여러 포털 중 한 곳에 무작위로 이동한다. 일반 맵의 포털과 달리 그림자 섬의 포털은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으며 이 포털을 통해 다시 일반 맵으로 되돌아갈 수 있지만 도착 지형은 무작위로 정해진다.
* 일반 맵에서 얻은 먹이를 들고 포털을 사용할 경우 들고 있던 먹이가 사라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외부음식 반입금지
* 그림자 섬은 일반 맵 기준 남동쪽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만일 포털 없이 일반 맵에서 그림자 섬으로 진입하려는 경우 메뉴로 강제 디스폰된다. 이는 그림자 섬에서 일반 맵으로 갈 때에도 마찬가지.
* 그림자 섬은 미니맵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형지물 형태와 위치는 플레이어가 스스로 찾아내야 하며, 먹이 위치는 냄새 맡기를 통해 찾아야 한다.* 포털을 사용할 경우 그림자 섬의 여러 포털 중 한 곳에 무작위로 이동한다. 일반 맵의 포털과 달리 그림자 섬의 포털은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으며 이 포털을 통해 다시 일반 맵으로 되돌아갈 수 있지만 도착 지형은 무작위로 정해진다.
* 일반 맵에서 얻은 먹이를 들고 포털을 사용할 경우 들고 있던 먹이가 사라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그림자 섬은 일반 맵 기준 남동쪽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만일 포털 없이 일반 맵에서 그림자 섬으로 진입하려는 경우 메뉴로 강제 디스폰된다. 이는 그림자 섬에서 일반 맵으로 갈 때에도 마찬가지.
* 그림자 섬에서는 땅굴 파기 능력을 통한 땅굴을 생성할 수 없다.
* 그림자 섬에서 암컷 크리처로 둥지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만 수컷 크리처로 영역을 생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 그림자 섬에는 육식 크리처가 먹을 수 있는 일반 사체와 초식 크리처가 먹을 수 있는 그림자 잔디(Shadow Grass)라는 고유한 먹이 유형이 존재한다. 그림자 잔디는 일반 맵의 잔디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수량 제한이 존재하며, 섭취 시 일반 맵의 베리와 동일하게 포만감 상태이상을 제공한다.
* 그림자 섬의 물은 신선도가 100%로 표시되지만 마시면 무조건 병약 상태이상에 걸린다. 따라서 그림자 섬에 진입하기 전에 목마름 수치를 충분히 채우거나 강철 위장 효과를 지닌 크리처를 가져오는 게 좋다.
|
파일:CoS_CorruptionPool.png |
* 그림자 섬에서 다른 플레이어 크리처를 처치할 경우 확률적으로 병든 아티팩트를 얻을 수 있다.
여러모로 유저 적대적인 환경을 지니고 있는 지형이며, 병든 아티팩트 획득 방법에서 알 수 있듯이 대놓고 유저들끼리 싸우라고 내놓은 일종의 아레나 지형이나 다름 없다. 게임에 익숙치 않은 초보 유저는 웬만하면 실력을 쌓고 들어가는 것이 좋다.
|
Shadow Shrine 그림자 사당 |
그림자 섬 중앙에는 나무 형태의 그림자 사당이 존재한다. 바쳐야 하는 먹이양은 2,500포인트로 아더 워든의 사당과 맞먹는다. 다른 워든 사당들과 달리 먹이를 전부 바치면 그림자 아티팩트라는 고유한 아티팩트를 얻을 수 있다.
1.3. 수중
1.3.1. 말무리 모래톱
|
|
Algae Sandbar 말무리 모래톱 |
좌측 상단에 존재하는 지형으로, 모래와 조류로 이루어져 있다.
늪지 언덕으로 연결된 포털이 있으며 지형 자체에는 따로 특별하다 할 특징이 존재하지 않지만 갓 태어난 수생 크리처는 모두 이 지형에서 스폰된다.
1.3.2. 낙석지대
|
|
Rocky Drop 낙석지대 |
맵 중앙에 있는 지형으로, 바위로 이루어져 있어 숨을 곳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수면 위로는 여러 개의 하늘섬이 존재한다.
수생 크리처들이 포털이나 수중 터널 등으로 호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면 대부분 이 지형에서 돌아다닌다. 지형 자체가 다양한 지형의 사이에 있다 보니 수면 위로 비행 크리처가 날아다니는 일이 흔한데, 이런 비행 크리처를 사냥하는 재미로 수생 크리처를 사용하는 유저들이 많이 보인다.[6] 그렇기에 비행 크리처를 사용한다면 높게 날아서 이동하거나 다른 곳으로 돌아서 가는 것이 좋다.
| |
Eigion Shrine 에이기온 사당 | Novus Shrine 노부스 사당 |
심해 가장 깊숙한 곳에는 에이기온 워든의 사당, 하늘섬 꼭대기에는 노부스 워든의 사당이 존재한다. 한 지역에 두 워든의 사당이 위치해 있는 유일한 곳이기도 하다.
1.3.3. 산호초
|
|
Coral Reef 산호초 |
화산섬과 꽃의 만 사이에 위치한 지형으로, 이름처럼 형형색색의 산호가 산재해 있다. 화산섬과 꽃의 만을 이어주는 육교도 존재하는데 밤이 되면 조석으로 인해 물에 잠긴다.
화산섬 호수쪽으로 연결된 통로가 있다.
1.3.4. 바닷말 심해
|
|
Seaweed Depths 바닷말 심해 |
사막과 꽃의 만 사이에 위치한 지형으로, 켈프처럼 생긴 키 큰 바닷말이 다수 자라고 있다. 매사로 연결된 포털이 있다.
1.3.5. 초록빛 여울
|
|
Grassy Shoal 초록빛 여울 |
바닷말 심해에서 동쪽으로 가면 볼 수 있는 지형으로, 해저면 대부분이 물풀로 덮여 있다. 사막의 오아시스로 연결된 포털이 있다.
1.4. 워든 사당
맵 곳곳에 숨겨져 있는 요소들로 여러 먹이를 바칠 수 있다. 각 지형의 사당들은 각 워든의 모습을 한 조각상이 있고 그 앞에 먹이를 바치는 비석이 있는 공통적인 형태를 띄고 있다.먹이를 일정량 바치면 총 2개의 보상을 주며, 이후 20분 동안 쿨타임에 들어간다.
보상 유형 | 보상 |
아티팩트 | 워든의 돌,[7] 워든의 보석[8], 그림자 아티팩트[A] |
일반 보상 | • 부스트: 미광 부스트, 생존 부스트, 성장 부스트, 스탯 증가 부스트, 토큰 탐지 부스트 • 팔레트: 워든의 저주, 워든의 축복, 병든 그림자[A] • 토큰: 부활 토큰, 불완전 성장 토큰, 완전 성장 토큰, 외모 변경 토큰, 약한 미광 토큰, 강한 미광 토큰 |
[1] 진흙이 없는 곳에서 N키를 누르면 마찬가지로 크리처가 몸을 비비는 행동을 하지만 냄새 숨기기 상태이상만 받을 수 있다.[2] 다만 뜀박질 위력이 뛰어난 크리처라면 포털 없이도 바다에서 튀어나와 지상의 웅덩이에 다이빙할 수도 있다.[3] 화산 지형 주변에 있는 용암과 비슷한 효과를 가진다.[4] 화산 적응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이에 면역이다.[5] 이 감염물의 디자인이 2024 공식 설정 이벤트 때 등장한 감염물과 비슷한데 이와 연관이 있는지는 불명.[6] 심지어 뜀박질 위력이 뛰어난 수생 크리처는 하늘섬까지 도달하는 경우도 있다.[7] 보리얼 워든, 헬리온 워든, 버던트 워든, 엔젤릭 워든, 가라 워든 사당에 바칠 시[8] 아더 워든, 에이기온 워든, 노부스 워든 사당에 바칠 시[A] 그림자 사당에 바칠 시[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