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7 21:05:05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역대 대학수학능력시험
2006 수능 2007 수능
(2006.11.16.)
2008 수능


1. 개요2. 모의평가
2.1. 6월 모의평가 (20060601)2.2. 9월 모의평가 (20060906)
3. 수능 (2006년 11월 16일 시행)4. 둘러보기 틀

1. 개요

2006년 11월 16일에 실시되었다. 이 수능부터 목요일에 실시되기 시작해서 목요일에 실시한 첫 번째 수능이 되었다. 588,899명이 접수해 551,884명이 응시했다. 주요 응시자는 호돌이 세대, 올림픽 둥이제6공화국[1]의 시작에 태어났던 1988년생이다.[2] 일시적인 수능등급제 이전 마지막 수능이었으며 2008학년도에 수능등급제가 시행될 것이 우려되었던 나머지 재수를 꿈꾸기 어려웠던 수능이었다. 수능샤프는 회색계열의 이전 해와 동일한 모양의 샤프가 제공되었다.

사실상 입시에서 수능 비중이 극강으로 높았던 마지막 수능으로 평가받는다. 수능의 수준이 높은 편이었던데다 2007학번까지는 교내 내신등급제가 실시되지 않았던, 전설의 평어 수우미양가 시절이었기 때문. 2007 수능의 주요 응시자인 1988년생이 고등학교 1학년이었던 2004년까지도 높은 평어를 위한 내신 부풀리기가 횡행하던 때이기에 대학에서 고교 내신을 크게 신뢰하지 않은 탓이다. 수능 비중이 워낙 높았던 나머지 서울대를 제외한 수도권 유수 대학에서도 정시 모집에서 대학별고사를 응시하지 않고 원서접수만 하면 되었던 시절이다. 필적 확인란 문구는 '넓은벌 동쪽끝으로 옛이야기'.[3]

2. 모의평가

2.1. 6월 모의평가 (20060601)

전반적인 수준은 문이과 모두 작년 수능보다 어려웠다. 이 시험은 또한 언수외 3영역 1컷이 모두 90점 아래로 잡힌 유일한 모의평가이다.

언어영역의 수준은 1컷 87점(만점 표준점수 144점)으로 어렵게 출제되었고 만점자는 44명(0.008%)이었다. 평균 56.59점(표준편차 19.78) . 2006학년도 6월 평가원 모의고사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원점수 94점부터 백분위 100이었다.

수리영역은 가형 1컷 86점이었고 만점자 396명(0.27%)이었다.(만점일 시 표준점수는 선택 미분과적분 기준 150점) 나형은 1컷 77점이었고 만점자 368명(0.09%)이 나왔다. 가형은 2006학년도 수능시험보다 약간 어려운 수준이었고 나형은 크게 어려웠으며, 모든 문제를 다 맞은 경우 표준점수는 165점이 나왔다.

외국어영역은 1컷 88점이었고 만점자 1468명(0.25%)으로 작년 수능보다 어렵게 출제되었다. 표준점수 최고점 148점.

사회탐구는 윤리(1컷 39, 만점비율 0.072%), 국사(1컷 39, 만점비율 0.092%)를 제외하고 무난하게 출제되었다.
과목 1등급컷 만점 표준점수 만점자 수 만점 비율(%)
윤리 39 82 122 0.072
국사 39 80 58 0.093
한국지리 47 67 3290 1.570
세계지리 45 69 122 0.338
경제 지리 45 68 262 0.644
한국 근현대사 41 77 239 0.138
세계사 42 76 38 0.118
법과 사회 47 67 1209 2.007
정치 47 66 1015 1.020
경제 45 69 543 0.679
사회문화 43 74 413 0.195
평균 43.64 72.27

과학탐구는 크게 어려운 과목이 없었다. 모든 과목의 1컷이 44~48점이었다.
과목 1등급컷 만점 표준점수 만점자 수 만점 비율(%)
물리 I 47 72 1868 1.635
화학 I 45 72 897 0.506
생물 I 48 67 3797 2.220
지구과학 I 44 72 243 0.226
물리 II 46 70 259 1.364
화학 II 47 71 1364 1.857
생물 II 45 70 481 0.735
지구과학 II 44 72 131 0.915
평균 45.75 70.75

2.2. 9월 모의평가 (20060906)

전반적인 수준은 작년 수능보다 쉬웠다.

언어영역은 1컷 96(만점 표준점수 128점)으로 6월 모의평가보다 상당히 쉬웠다. 만점자 수도 1929명(0.355%)으로 꽤 증가했다. 그럼에도 작년 수능보다는 어려웠던 편.

수리영역은 가형 1컷 90(선택 미분과적분 선택시 만점 표준점수 140점, 다른 과목 선택시 141점이 가능한데 2명 존재함.)으로 6월과 비슷했으나 만점자 수가 674명(0.615%)으로 6월 모의평가보다 늘어났다. 참고로 이 시험의 수리 가형 응시자는 109467명으로 이 때부터 수리영역 응시자 중 21~22% 만 수리 가형을 응시하였다. 나형은 1컷 96점(표준점수 최고점 142점)이었고 만점자 7262명(1.78%)으로 매우 쉬워졌다.

외국어영역은 1컷 94점(만점 표준점수 134점)이었고 만점자 3111명(0.574%)으로 2006학년도 수능 및 당해 6월 모의평가보다 쉬웠다.

사회탐구는 법과 사회(1컷 41점, 만점비율 0.178%), 한국 근현대사(1컷 42점, 만점비율 0.145%), 정치(1컷 42점, 만점비율 0.10%)가 어려운 편이었고 나머지 과목은 무난하게 나왔다.
과목 1등급컷 만점 표준점수 만점자 수 만점 비율(%)
윤리 44 70 914 0.608
국사 44 72 272 0.484
한국지리 44 70 779 0.385
세계지리 42 75 25 0.069
경제 지리 44 72 78 0.163
한국 근현대사 41 76 227 0.145
세계사 45 72 236 0.796
법과 사회 47 78 100 0.179
정치 42 75 97 0.101
경제 44 73 589 0.767
사회문화 47 67 2509 1.228
평균 44.00 72.73



과학탐구는 I과목이 전부 무난하게 출제되었으나(물리 I 1컷 47, 화학 I 1컷 43점 등), II과목이 지구과학 II(1컷 44)를 제외하고 어렵게 출제되었다. 물리II 1컷 42(만점비율 0.21%), 화학II 1컷 37(만점비율 0.067%), 생물II 1컷 37(만점비율 0.047%)로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과목 1등급컷 만점 표준점수 만점자 수 만점 비율(%)
물리 I 47 69 2091 1.991
화학 I 43 74 683 0.400
생물 I 42 75 372 0.224
지구과학 I 45 70 487 0.455
물리 II 42 77 33 0.205
화학 II 37 83 43 0.067
생물 II 37 83 29 0.047
지구과학 II 44 72 56 0.408
평균 42.13 75.38

3. 수능 (2006년 11월 16일 시행)

언어영역은 지난 해 수능이 너무 쉬웠기 때문에 약간 어렵게 출제되었다. 극악의 6월 모의평가와 물 같은 수준의 9월의 사이에서 9월 쪽에 좀 더 가깝게 나왔다. 1등급 컷 95점, 2등급 컷 91점으로 무난한 수준이었다. 7차교육과정 들어와서 언어영역의 수준이 많이 떨어진 탓도 있다. 만점 표준점수 132점이었고 만점자 1827명(0.332%). 평균점수는 69.37점(표준편차 18.89)으로 2005, 2010수능보다 약간 높은 정도였다.
언어영역이 60문제 90분으로 실시된 마지막 수능이다. 2008학년도부터는 50문제 80분으로 감축. (~2013학년도)

수리 가형은 2006학년도 수능와 대동소이하게 출제되어 1등급 컷은 89~87점[4] 사이에서 형성되었다. 만점 표준점수 145점이었고 만점자 수 345명(0.294%)으로 이 역시 2006학년도 수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수리 나형은 9월 모의평가처럼 대폭 쉽게 출제되어 1등급 컷이 96점까지 형성되었다. 교대를 지원하기 위해 나형으로 바꾼 이과생들의 경우 나형의 표준점수가 폭망한데다 가형의 인센티브도 받지 못해 오히려 불리했던 때였다. 나형의 만점 표준점수는 140점이었고 만점자 수 6741명(1.76%)이었다.

외국어영역은 전년도에 비해 대폭 쉽게 출제되어 1등급 컷이 96점에서 형성되었다. 본격 EBS내신의 시작으로, 교재와 지문이 완전히 같은 문제가 출제되기도 하여 논란이 있었다. 2회의 모의평가보다 확실히 쉬웠다. 만점 표준점수 134점, 만점자 수 5551명(1.01%)으로 만점을 받아도 백분위 99였다.

특이하게 외국어 듣기 1번부터 정답률이 36%로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나와 시작부터 다소 당황한 학생들도 있었다.[5] 이 1번이 1점 자리 문제였는데, 원래 외국어에서 2점 3점을 틀려서 98,97을 받는 학생은 많아도 1점을 틀려 99점이 나오는 경우의 수는 그리 많지 않은데, 유난히 이 시험에선 99점을 받은 학생이 많이 나왔다.[6] 또한 듣기 17번 문제가 정답률 24%를 기록하는 등[7] 독해는 평이했으나 듣기 일부에서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다.

사회탐구는 변별력이 센 문제들이 많이 나왔다. 윤리는 1등급컷은 39이었고 만점 표준점수 81, 만점자수 94명(0.058%)이었다. 한국지리의 1등급 컷은 41점, 만점 표준점수 74점, 만점자 수 137명(0.064%)이었고, 사회문화 1등급 컷도 42[8], 만점 표준점수 75점, 만점자 수 157명(0.069%)으로 형성되었다. 그 밖에 3역사 과목은 수준이 대체로 쉬웠다는 평가(1컷 47~48점).
과목 1등급컷 만점 표준점수 만점자 수 만점 비율(%)
윤리 39 81 94 0.058
국사 47 68 1658 2.385
한국지리 42 74 137 0.064
세계지리 43 73 83 0.219
경제 지리 44 73 104 0.192
한국 근현대사 48 68 5011 2.976
세계사 46 68 672 2.029
법과 사회 47 67 1955 3.131
정치 45 70 670 0.630
경제 46 71 993 1.128
사회문화 42 75 157 0.069
평균 44.91 71.64

과학탐구는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열렸었다. 생물1(1컷 47점)과 지구과학1(1컷 47점)을 제외하고는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물리2의 경우 만점자가 전국에 9명(0.049%)당시 물리2의 1등급 커트라인은 원점수 37점으로, 7차교육과정 수능이 실시된 이래 탐구영역 1등급컷 최저점을 기록했다. 이는 아직도 경신되지 않았다.
특히 이번 물리 II에서 10번 문제는 오답률 88% 기록하였다. RC 회로와 관련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았다면 첫 번째 선지부터 오답을 골라 틀렸을 것이다.

메가스터디의 물리 강사 김성재는 이번 물리 II 시험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2006학년도 수능이 워낙 쉽게 나와서 평가원이 이번에 난이도를 확 높였습니다. 작년이 쉬웠으니까 올해는 난이도가 높았고, 내년에는 난이도가 또 다시 내려갈 것입니다.
실제로 2008학년도 수능 물리 II는 복수정답 논란이 생기며 1등급 컷이 47점에서 형성되었다.

물리2가 워낙 어려웠던 탓에 기억에 오래 남아있을 뿐, 화학2의 1컷은 40점,[9] 생물2는 41점, 물리1은 43점으로 작년에 비해 난이도가 대폭 상향되었다.
과목 1등급컷 만점 표준점수 만점자 수 만점 비율(%)
물리 I 43 74 199 0.175
화학 I 45 72 734 0.400
생물 I 47 70 2355 1.318
지구과학 I 47 67 1575 1.374
물리 II 37 83 9 0.049
화학 II 40 79 35 0.046
생물 II 41 77 59 0.085
지구과학 II 45 73 107 0.714
평균 43.125 74.38

전영역 만점자는 2006학년도에 이어 2007학년도에도 등장하지 않았지만, 499점으로 만점에서 딱 1점 모자라 전국 수석을 차지한 학생은 있었다. 탐구영역, 특히 과학탐구영역이 까다로웠던 탓으로 추정. 사회탐구 역시 학생들이 많이 선택하는 과목(윤리, 한국지리, 사회문화 등)들에서 정답률 10%대 킬러문제들이 넘쳐났기 때문에 만점이 쉽지 않았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수리 가형과 탐구영역이 까다로웠지만 나머지 영역은 비교적 평이했고 수리 나형은 당시 기준으로 가장 쉬웠으므로 전체적으로는 물수능도 불수능도 아닌 평수능 정도로 볼 수 있다. 또한, 2007학년도에는 6월,9월,수능 모두 1등급컷=만점인 과목이 하나도 없었다.

4.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1c1d1f><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역량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width=100%> 언어(言語) 수리(數理)
추론·자료해석
자격·지식
}}}
영역
하위 문서
역사 · 등급 구분점수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논쟁 및 비판 · 기타 · 사건 사고 · 절대평가 전환 논란 · 학습 조언 · 시험장
기타
시간표 · 9등급제 · 모의평가 · 수능 샤프 · 필적 확인란 문구 · 물수능 · 불수능 · EBS 수능(수능특강 · 수능완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1c1d1f><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도입 이전 1994 1995 1996
▣ 1차 실험평가(1990년)
▣ 2, 3, 4차 실험평가(1991년)
▣ 5, 6, 7차 실험평가(1992년)
▣ 2회 시행
8. 20.(금), 11. 16.(화)
▣ 첫 수요일 수능
▣ 인문·자연·예체능 구분 도입
▣ 본고사 시행 마지막 해
1997 1998 1999 2000
▣ 수리 영역 주관식 도입
▣ 수능 만점 200점→400점
오나타 사건
▣ (수시 모집 첫 시행) ▣ 선택과목·표준점수 도입
▣ 첫 수능 만점자 배출
▣ 응시 인원 최다
2001 2002 2003 2004
▣ 제2외국어 영역 신설
▣ 전 과목 만점자 수 최다(66명)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EBS FM에서 카세트 테이프로 변경
▣ 성적표 등급 표기 첫 시행
▣ ‘수리 · 탐구 영역 ( I )’은 ‘수리 영역’으로 명칭 변경, ‘수리 · 탐구 영역 (II)’는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으로 분리
▣ (정시 라군 폐지)
▣ (특차 전형 폐지)
▣ (수시 제도 30% 확대)
▣ 9월 모의평가 도입(2002년 9월 3일)
▣ 소수점 배점 반올림 성적표 지급 소송 사태 발생
▣ 6월 모의평가 도입(2003년 6월 11일)
▣ 소수점 배점 전면 폐지, 정수 배점 전환
첫 복수 정답 인정
2005 2006 2007 2008
▣ 첫 예비평가 실시(2003년 12월 4일)
▣ 수리 가형 선택 과목 도입
▣ 탐구 선택 과목 도입
▣ 직업 탐구 도입
▣ 제2외국어/한문 영역 명칭 변경
▣ 스페인어Ⅰ 명칭 변경
▣ 아랍어Ⅰ · 한문 도입
▣ 인문 · 자연 · 예체능 구분 폐지
대규모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발생
▣ 부산 APEC 정상회의로 인한 수능 1주일 연기
▣ 시험 시 전자기기 압수 의무화, 수능 샤프 일괄 제공, 필적확인란 문구 도입
▣ 시험일 수요일 → 목요일 변경 '수능 등급제' 시행 및 논란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논란
▣ (내신등급제 도입)
2009 2010 2011 2012
▣ 수능 등급제 폐지
▣ 표준점수 • 백분위 제도 환원
▣ 눈으로 미리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제지에 겉표지 도입
▣ 수능 연기 (신종플루)(정상 시행)
▣ (수시 1학기 모집 폐지)
▣ G20 정상회담으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
▣ EBS 70% 연계 시행 (~2021)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카세트테이프에서 CD로 변경
▣ 필적확인란 문구 사전 유출 사고
▣ 중국산 수능 샤프 입찰 비리 논란
▣ (수시 공통 지원서 도입)
▣ '만점자 1%' 조정 정책 공표
▣ 채점 시 이미지 스캐너 도입
▣ 수리 영역 문제지 8면에서 12면으로 변경
▣ 탐구 선택과목 수 4 → 3과목으로 축소, 과학탐구Ⅱ 과목에 대한 최대 선택 수 제한 폐지
2013 2014 2015 2016
▣ '만점자 1%' 조정 정책 2년 실시 후 폐지
▣ (수시 모집 지원 6회 제한)
▣ 두 번째 예비평가 실시
언수외국수영 명칭 변경
▣ 국어 · 수학 · 영어 A / B 형 체제 도입 및 언어 듣기 폐지
▣ 탐구 선택과목 수 3 → 2과목으로 축소
▣ 기초 베트남어 도입
▣ 한문 [math(\rightarrow)] 한문 I 으로 명칭 변경
수능 출제오류 관련 소송전 최초 발생
▣ 영어 A / B 형 체제 1년 실시 후 폐지
2017 2018 2019 2020
▣ 시험일 11월 셋째 주 목요일로 변경
▣ 스마트 워치 등 전자 시계 착용 금지
▣ 수능 모의평가 실물 정답지 미배부
▣ 국어 A / B형 체제 폐지
▣ 수학 A / B형 체제 폐지 및 가 · 나형 체제 환원
▣ 수학 영역 세트 문항 폐지
▣ 한국사 절대평가 전환 및 필수 영역화
▣ 기초 베트남어 [math(\rightarrow)] 베트남어Ⅰ으로 명칭 변경
수능 연기(지진)
▣ 영어 절대평가 전환
▣ 국어 영역 정오표 지급
▣ 국어 영역 난이도 조절 실패 사과
▣ 재수생 수능 성적표 사전 유출 파동
2021 2022 2023 2024
▣ 수능 연기 및 첫 12월 시행(코로나19)
▣ 자연계 기하·벡터 제외
▣ 수능 개편 1년 유예
한국사 영역 2009개정교육과정 유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한국사 영역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
2025 2026 2027 2028
(시행 미정)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 국어•수학•탐구 영역 선택과목 폐지
▣ 탐구 영역 통합사회, 통합과학 공통 응시 체제로 전환
▣ 심화수학[미적분2(미적분), 기하] 수능 출제 배제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은 단일 시험지로 모든 수험생들이 응시
}}}}}}}}} ||


[1] 1988년 2월 25일생 부터 ~ 현재[2] 빠른 1989년생까지 포함.[3] 정지용 시인의 '향수'에서 발췌하였다.[4] 수리선택과목 때문이다. 미분과 적분에서만 13점을 틀리면 1등급이었다.[5] 원래 외국어 1번 듣기는 첫 시작이니만큼 학생들에게 긴장하지 말라는 의미에서 매우 쉽게 내주는 경우가 흔하다[6] 2006수능의 경우 외국어 99점을 받은 학생이 전국에서 불과 14명이었으나, 2007수능의 경우 1096명에 달했다.[7] 이는 메가스터디 등으로 정답률 확인이 가능한 2005~2024수능에서 가장 정답률이 낮은 수능 영어 듣기 문제이다.[8] 참고로 사회문화에선 이 수능시험에서 처음으로 PSAT유형의 표, 그래프 해석 문제가 나와 수험생들을 당황케 했다. 이 두 문제의 정답률은 둘다 10%대로 매우 낮아서 사문 컷을 낮추는데 기여했다. 보통 사회문화에선 특유의 비슷비슷한 개념을 말장난해 킬러문제를 만드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시험을 기점으로 사문 킬러문제의 패러다임이 표, 그래프 해석으로 바뀌게 되고 17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러한 경향성이 유지되고 있다.[9] 이 두 과목은 당시에도 자연계 상위권 학생들이 주로 응시하는 과목이었다. 그런데도 저런 자비없는 등급컷이 나온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