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에 대한 내용은 13 공포증(매직 더 개더링) 문서 참고하십시오.
공포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555555> 숫자 | <colcolor=#000000,#ffffff>4 · 13 · 17 |
인물 (외적) | 광대 · 대인 · 외국인 · 사회 · 히잡 | |
인물 (내적) | 기독교 · 무신론자 · 이슬람 · 채식주의자 · 창녀 · 고독 | |
성적 지향, 젠더 | 남성 · 동성애자(게이포비아 · 레즈보포비아) · 양성애자 · 여성 · 트랜스젠더 | |
공간 | 거대 · 고소 · 광장 · 무대 · 비행 · 심해 · 폐소 · 학교 · 화장실 | |
행동 | 공포 · 구토 · 전화 · 배움 · 살인 · 스마트폰 금지 · 주사 · 춤 · 죽음 · 고독 | |
대상 | 거미 · 길이가 긴 단어 · 뱀 · 시체 · 유령 · 첨단 · 피 · 화학 · 환 |
1. 개요
Triskaidekaphobia[1]이탈리아를 제외한 서양에서 숫자 '13'을 불길하게 생각하여 13에 대한 공포를 느끼는 것으로 중세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3일의 금요일에 대한 공포증은 'Friggatriskaidekaphobia' 로 부른다.
2. 원인
주로 13일의 금요일이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12보다 1 큰 수이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더 많다. 흔히들 기독교의 예수가 죽은 날이라고 한다.3. 사례
- 건물에는 13층, 아파트[2]나 호텔 등에는 13호가 없는 경우가 많은데 보통 13층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3] 이 때문에 롯데월드타워도 13층은 기계실로 만들었고 4자 금기 때문에 4층도 기계실이다. 대한민국에서 4를 'Four'의 약자인 'F'로 대체하듯이 'Thirteen'의 약자인 'T'로 대체하는 경우도 가끔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병원에서 4층에 수술실, 중환자실을 넣을 정도로 4자 금기가 거의 사라졌으니 한자문화권의 4자 금기보다 더 심하다. 사실 서양에서도 특히 유럽은 수백 년 이상 된 건물도 보수공사와 시대에 따른 용도변경을 해 가면서 계속 쓰는 특성상 13층은커녕 10층 이상 건물 자체가 흔치 않아 이 문제가 잘 일어나진 않는다. 서양에 13층이 있는 건물도 있다.
- 서양권 축구 선수, 특히 잉글랜드나 스페인 선수들은 등번호를 13으로 받는 것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4] 그래서 13번은 보통 필드플레이어가 아닌 골키퍼들이 받는다.
- 나스카 레이싱에서는 우승 사례가 없다. 이 때문에 차량넘버를 13으로 쓰는 선수가 거의 없을 뿐더러 우승 가능성이 거의 없는 차량 취급당하고 있다.
- 닥터후도 이를 피하지 못했다. 12대 닥터가 13대 닥터로 재생성할 때 13이라는 숫자 때문에 후비안들이 작품이 망하는 게 아닌가 우려했는데 그게 현실이 되어 버렸다…
- 인천국제공항에 13번 탑승구는 존재하지 않는다.[5] 다만 대한민국의 다른 국제공항은 탑승구가 13번 이상까지 있더라도 13번을 결번하지 않았다.
- 프랑스 파리에서 2015년 11월 13일 금요일에 테러가 일어난 후 13 공포증을 가진 파리 시민이 늘어났다.
- [[아폴로 13호|아폴로 13호]]가 19시 13분에 발사되어 임무를 실패했지만 악조건에서도 승무원을 전원 생존시켜 돌아왔기 때문에 성공적인 실패라고도 볼 수 있다.
- 뉴 호라이즌스에 원자력 전지를 설치하는 날이 13일의 금요일이었는데 사람들이 이를 너무 불안해하자 부하직원들이 임무 총책임자였던 앨런 스턴에게 핵연료 주입일을 단 하루만 연기시켜 달라고 요청했다. 앨런 스턴은 과학자가 뭔 미신이나 믿고 앉았냐며 아랫사람들의 제안을 거부하고 13일의 금요일에 플루토늄을 주입하는 절차를 강행했다. 핵연료 주입은 별 문제 없이 끝났고 앨런 스턴은 원자력 전지 설치가 끝난 뉴 호라이즌스 앞에서 혼자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 사진이 지상에서의 마지막 뉴 호라이즌스의 사진이다. 이 사진이 마지막 사진이 된 이유는 뉴 호라이즌스가 폭발한 게 아니라 저 사진을 찍고 탈 없이 성공적으로 우주로 날아갔기 때문이다.
- 13번째 알파벳은 M인데 히브리어로 죽음을 뜻하는 Movet의 첫 글자다. 영어에도 mortality라는 단어가 있다. 이탈리아어에도 Morte라는 단어가 있다.
- 일본 오사카메트로의 경전철 뉴트램은 1993년 무인운전 폭주 및 충돌사고를 일으켜[6] 해당 차량인 제13편성은 영구결번되었다.
- Microsoft Office 2010의 버전은 원래 13이 될 예정이었으나 13 공포증 때문에 13을 건너뛰고 14로 정하였다.
- 1988 서울 올림픽 당시 선수촌에 설치되었던 24대의 공중전화들 중에 13번은 이용하는 사람이 없어서 텅 비어 있었는데 88번으로 바꾸었더니 이용자들이 줄을 서서 기다렸다는 일화도 있다. 당시 신문 기사 보기
- 작곡가 쇤베르크도 13을 두려워했다. 그는 1874년 9월 13일에 태어났다는 이유로 어린 시절에 따돌림을 당했으며 호텔에 묵을 때에도 13호실 혹은 13층에 묵기를 꺼렸고 작곡할 때 페이지 표기를 할 때도 13 대신 '12A'등으로 표기했다. 오페라 '모세와 아론'도 원문 철자가 13글자가 되자 'Moses und Aron'[7]으로 표기했다. 심지어 13의 배수인 78도 두려워해 자신이 78세에 죽을 것이라고 두려워했는데 실제로는 76세에 사망했다.[8][9] 일각에서는 쇤베르크가 12음 기법을 창안한 이유도 그가 13을 무서워해서라는 이야기가 떠돈다. 이에 대한 얘기가 2019년 4월 9일에 방영된 신비한TV 서프라이즈를 통해 소개되었다.
- KD 운송그룹은 서울 버스 13번을 통해 회사를 일궈나갔던 역사가 있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13에 거부감이 적고 지금도 경기광주 면허로 13번 버스와 여기서 파생된 1113번, 1113-1번, 1113-2번이 존재한다.
- 타로 카드 중 13번이 데스(죽음, 사신)이다.
- 미국 전투기 계열 중 틴 시리즈 기체에서 F-13만 빠졌다.
- 일본항공의 13번째 A350-900(JA13XJ)는 도쿄 국제공항 지상 충돌 사고로 전소되었다.[10]
4. 관련 문서
- 3의 저주
- 4자 금기
- 17 공포증: 13 공포증의 이탈리아 버전이다.
- 13일의 금요일 시리즈
[1] 발음은 [ˌtɹɪskaɪdɛkəˈfəʊbi.ə\] '트리스카이데카포비아'다. 열셋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τρεισκαίδεκα(트레이스카이데카)에 공포증을 뜻하는 phobia가 결합되었다.[2]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어느 아파트 단지에는 4동은 당연히 없고 13동도 없는(!) 곳이 있다.지도 보기[3] 이 경우 12층에서 바로 14층으로 간다.[4] 모든 서양권이 그렇진 않고 예외적인 케이스로 등번호 13번이 선호받는 경우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독일 대표팀에서 13번은 에이스의 번호로 게르트 뮐러, 미하엘 발락, 토마스 뮐러가 대표적이다.[5] 4자 금기 때문에 4번뿐 아니라 44번, 244번도 없는 것과 달리, 113번은 있다.[6] 퇴근시간대 만원 열차가 제동불량으로 종점인 스미노에코엔역을 50m 지나쳐 선로 단말에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나 무려 217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사진[7] 원래대로라면 'Moses und Aaron'으로 표기해야 한다.[8] 그런데 점쟁이가 그에게 '7+6=13'이니 76세에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한 적이 있다.[9] 그런데 그의 사망일은 7월 13일로, 심지어 요일도 금요일이었다. 그는 한평생 13이란 숫자를 노이로제 수준으로 두려워하고 기피했지만 결국 13일의 금요일에 숨을 거두고 말았다.[10] 일본항공은 A350-900을 총 16대 도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