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23:38:19

17 공포증


공포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DD,#555> 숫자, 기호, 단어 <colcolor=#000,#ccc>4 · 8 · 13 · 17 · 666 · · · 일부 수학기호(π, 등) · 길이가 긴 단어
인물 (외적) 광대 · 노인(틀딱) · 대인 · 사회 · 아동() · 외국인(백인, 유대인, 흑인 등) · 정치인 · 창녀 · 코미디언
인물 (내적) 공산주의자 · 기독교도 · 무슬림 · 무신론자 · 사탄주의자 · 채식주의자 · 페미니스트
성적 지향, 젠더 남자 · 동성애자(게이, 레즈비언) · 아동성애자 · 양성애자 · 여자 · 트랜스젠더
공간 거대 · 고소 · 광장 · 무대 · 비행 · 심해 · 폐소(밀실, 어둠) · 학교 · 화장실
행동 고독 · 고문 · 공포 · 구토 · 배움 · 스마트폰 금지 · 전화 · 죽음(사형, 살인 등) ·
대상 귀신 · 시체 · 적색육(개고기, 고양이고기, 인육 등) · 첨단(가위, 주사기, 등) · · 화학 · · 히잡
동물 대상 · 거미 · 다지류(돈벌레, 지네) · 맹수(사자, 호랑이 등) · 바퀴벌레 · · · 벌레 · 상어
}}}}}}}}} ||


1. 개요2. 원인3. 사례

1. 개요

Heptadecaphobia[1]

숫자 17을 싫어하는 현상으로, 이탈리아에서만 발견된다. 이탈리아에서 17은 한자문화권4[2], 이탈리아를 제외한 서양권13 포지션이다.

2. 원인

17의 로마 숫자 표기인 XVII의 애너그램인 VIXI가 라틴어로 '나는 나에게 주어진 인생을 다 살았다.'가 되는 것에서 유래한다.

3. 사례


[1] 발음은 '헵타데카포비아'다. 열일곱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δεκαεπτά (데카엡타)에 공포증을 뜻하는 phobia가 결합되었다. 이탈리아어로는 Eptacaidecafobia(엡타카이데카포비아)로 발음한다.[2] 일본에서는 9마저도 싫어한지만 다르다. 반면에 중화권은 1314도 싫어하고 4로 끝나는 숫자는 물론 40번대 역시 꺼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