觀을 대용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瞰 문서 참고하십시오.
觀 볼 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見, 1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5획 | ||||
중학교 | |||||||
観 | |||||||
일본어 음독 | カン | ||||||
일본어 훈독 | み-る | ||||||
观 | |||||||
표준 중국어 | guān, gu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觀은 '볼 관'이라는 한자로, '보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보다 |
음 | 관 | |
중국어 | 표준어 | guān, guàn |
광동어 | gun1 | |
객가어 | kôn | |
민동어 | guăng | |
민남어 | koan | |
오어 | kuoe (T1) | |
일본어 | 음독 | カン |
훈독 | み-る[1] | |
베트남어 | quan |
뜻을 나타내는 見(볼 견)과 소리를 나타내는 雚(황새 관)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엄밀히 말하면 다음자로, 대다수의 경우에는 평성(표준중국어의 경우 guān)으로 읽으나, '망루(望樓)', '누대(樓臺)', 도교 사당 따위의 나타낼 때는 거성(표준중국어의 경우 guàn)으로 읽는다.
중학교 교육용 한자 중 획수가 가장 많다.
한국에서는 약자로 𣁐(U+23050, ⿰文見)을 쓰기도 한다.
3. 용례
조선시대 觀이 '관광', '보러다니다'의 뜻을 가질 때는 명나라를 상대하여서만 쓸 수 있었으나 조선후기에는 청나라를 다녀왔을 때도 사용했다고 한다. #3.1. 단어
- 가치관(價値觀)
- 개관(槪觀)
- 객관(客觀)
- 경관(景觀)
- 관객(觀客)
- 관광(觀光)
- 관념(觀念)
- 관람(觀覽)
-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 관상(觀相/觀想)
- 관심법(觀心法)
- 관음(觀音/觀淫)
- 관점(觀點)
- 관중(觀衆)
- 관찰(觀察)
- 관찰사(觀察使)
- 관측(觀測)
- 낙관(樂觀)
- 달관(達觀)
- 미관(美觀)
- 방관(傍觀)
- 비관(悲觀)
- 사관(史觀)
- 세계관(世界觀)
- 염세관(厭世觀)
- 외관(外觀)
- 자연관(自然觀)
- 장관(壯觀)
- 주관(主觀)
- 직관(直觀)
- 참관(參觀)
- 체관(諦觀)
3.2. 고사성어/숙어
- 관풍찰속(觀風察俗)
- 관형찰색(觀形察色)
- 달인대관(達人大觀)
- 명약관화(明若觀火)
- 무소가관(無所可觀)
- 무일가관(無一可觀)
- 백무가관(百無可觀)
- 별무가관(別無可觀)
- 본유관념(本有觀念)
- 일무가관(一無可觀)
- 일심삼관(一心三觀)
- 좌정관천(坐井觀天)
3.3. 인명
- 관륵(觀勒)
- 김관석(金觀錫)
- 미즈키 코토리(観月 小鳥)
- 미즈키 하지메(観月 はじめ)
- 사에키 카즈미(佐伯 和観)
- 소우게츠 노조미(蒼月 希観)
- 왕관(王觀): 조위의 인물
- 요시자키 미네(吉崎 観音)
- 이관술(李觀述)
- 이케구치 에칸(池口 恵観)
- 카미오 미스즈(神尾 観鈴)
- 칸논자카 돗포(観音坂 独歩)
- 칸논지 니코루(観音寺 にこる)
- 타케다 간류사이(武田 観柳斎)
- 탁발관(拓跋觀)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 𥋣[⿰目賈](볼 가)
- 看(볼 간)
- 監/䁍(볼 감)
- 𥋥[⿱䀠兔](볼 격)
- 見(볼 견)
- 䚉(볼 계)
- 䚌(볼 고)
- 𥍁[⿱歸目](볼 귀)
- 𧠋[⿱見廾](볼 극)
- 覲(뵐 근)
- 𥄜[⿰目𠫘](볼 글)
- 𧡺[⿰耆見](볼 기)
- 矃(볼 녕)
- 𥄋[⿰目內](볼 뉵)
- 𥄽[⿻𫠠⿰⿱二目丶](볼 니)
- 𥋡[⿳䀠冖弜](볼 당)
- 睹(볼 도)
- 覽(볼 람)
- 𥌛[⿰目黎](볼 려)
- 覝(볼 렴)
- 瞜(볼 루)
- 𥉳[⿰目留](볼 류)
- 𥌿[⿰目隸](볼 리)
- 矕(볼 만)
- 睰(볼 말)
- 䁅(볼 맹)
- 矈(볼 면)
- 覭(볼 명)
- 𥈆[⿰目冒](볼 모/휵)
- 䙿(볼 미)
- 盿(볼 민)
- 眪(볼 병)
- 䀯(볼 보)
- 𧠾[⿰孚見](볼 부)
- 䀻(볼 빙)
- 𧡢[⿰宣見](볼 선)
- 睲(볼 성)
- 䙼/釗(볼 소)
- 視(볼 시)
- 瞫(볼 심)
- 謁(뵐 알)
- 閱(볼 열)
- 盶(볼 원)
- 𧢧[⿰巂見](볼 유)
- 𥌟[⿱⿰⿱上矢余目](볼 의)
- 覿(볼 적)
- 𥇓[⿰目定](볼 정)
- 睵(볼 재)
- 睼(볼 제/천)
- 𥍋[⿰目巂](볼 주)
- 睃(볼 준)
- 𧠝[⿰㐱見](볼 진)
- 眰(볼 질)
- 𥉷[⿰目戚](볼 척)
- 瞻(볼 첨)
- 䀙(볼 체)
- 𥉻[⿰目祭](볼 체/찰)
- 矚(볼 촉)
- 瞅(볼 추)
- 瞟(볼 표)
- 䚂(볼 혁)
- 矎(볼 현)
- 䙽(볼 혈)
- 䀨(볼 활)
- 眖(볼 황)
- 𥄖[⿰目𰅭](볼 흘)
- 䁯(볼 흡)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顴(광대뼈 관)
- 𤮴[⿰雚瓦](두레박 관)
- 鸛(황새 관)
- 𣰻[⿰雚毛](모직물 구) - 氍(모직물 구)의 동자.
- 勸(권할 권)
- 飌(바람 풍) - 風(바람 풍)의 고자.
- 酄(고을이름 환)
- 歡(기쁠 환)
- 𱥙[⿰雚殳]
- 𮦃[⿰雚隹]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TV, 영화, 오페라 등을 '감상한다'라는 의미에서는 見る 대신 観る로도 많이 쓰고, 똑같이 みる라고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