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21:44:54

홍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홍기(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467f,#005ba6 20%,#005ba6 80%,#00467f);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1-3대 제4대 제5-8대 제10대
프란체스카 도너 공덕귀 육영수 홍기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 윤보선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최규하
제11·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이순자 김옥숙 손명순 이희호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 노태우 대통령 김영삼 대통령 김대중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권양숙 김윤옥 - 김정숙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 문재인
제20대
김건희
대통령 윤석열 }}}
}}}}}}}}}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파일:홍기 전 대한민국 영부인.jpg
출생 1916년 3월 3일
충청북도 충주군 주덕면
(現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
사망 2004년 7월 20일 (향년 88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원수묘역-1호
활동기간 제10대 대통령 배우자
1979년 12월 6일 ~ 1980년 8월 1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본관 남양 홍씨 당홍계[1] (南陽 洪氏 唐洪系)
부모 아버지 홍병순, 어머니 권재희
형제자매 3녀 중 막내
배우자 최규하
자녀 장남 최준홍 (1943.6.11 ~)
차남 최종석 (1949.2.28 ~ )
장녀 최종혜 (1953.9 ~ )
학력 독학
종교 유교
신체 163cm[2] }}}}}}}}}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에서4. 기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제10대 최규하 대통령배우자.

2. 생애

파일:최규하 대통령 내외 사진.jpg
부부 사진
1916년 3월 3일 충청북도 충주군 주덕면(現 충주시 주덕읍)에서 아버지 홍병순(洪炳純)과 어머니 안동 권씨 권재희[3] 사이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가 한학자로 알려져 있으며, 웃어른으로부터 한문을 배우며 교양을 쌓았으나 정규 교육기관에는 다니지 않았다. 다만 남편인 최규하 전 대통령이 주일대표부에 근무하던 8년간 일본어를 공부해 능숙하게 구사하였다고 하며[4]말레이시아 한국대사관에서 영어를 익혔다고 한다.

성균관 박사이자 최규하의 할아버지인 최재민과 한학자인 홍기의 할아버지 간에는 이미 교류가 있던 사이였으며, 이를 계기로 할아버지의 중매로 19살 되던 1935년에 연하의 최규하와 결혼하였다. 남편 최규하가 도쿄고등사범학교(현 쓰쿠바대학)와 만주 대동학원에 유학하던 시절에는 함께 동행하지 않고 시댁인 강원도 원주시에서 시부모를 모시면서 생활했다.
파일:external/www.pa.go.kr/L_HG_03.jpg
하늘색 옷을 입은 영부인 홍기.
최규하가 만 8개월 10일간 재임한 탓에 홍기 역시 역대 대통령 배우자 중 활동 기간이 가장 짧았다. 대외 활동에서 가장 드러나지 않는 조용한 성품으로, 전통적인 한국 여인의 부덕을 지녔다는 평을 들었다.

소박하고 서민적인 풍모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일화로 최규하 전 대통령 권한대행이 대통령에 당선된 후 1979년 12월 6월, 총리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향후 영부인 직무 구상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홍기는 "각하의 건강에 더욱 신경 쓰겠다"고만 대답하였다. 이에 기자들이 여성의 사회참여에 대해서 묻자 "나는 구식 여성이라서..."라고 말끝을 흐렸다. 보다 못한 청와대 관계자가 화제를 전환시켜 영부인께서 청와대 김장을 직접 모두 담갔다고 소개하자 그제서야 본인도 '김장 30포기를 강원도식으로 직접 담갔다'고 자랑스럽게 대답했다.

기자들도 화제를 돌려 여가시간에는 무엇을 하느냐는 질문에는 '테레비나 보죠'라고 답변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대통령 배우자 치고 너무 생각 없어 보일 수 있으나 바로 전임 대통령 배우자는 좋은 뜻으로, 후임 대통령 배우자는 나쁜 뜻으로 유명했던 반면 홍기는 상대적으로 소박하고 다소곳하며 서민적인 분위기가 당시 국민들에게는 신선한 인상을 남겼다.
파일:홍기 여사.jpg
굳은 표정으로 단상에 앉은
전두환 취임식의 홍기
실제 홍기는 청와대 시절 양로원과 보육원 지원에만 앞장섰을 뿐 대외활동을 삼갔다. 하지만 1980년 9월 1일 전두환 전 대통령의 취임식에서는 조용한 평소 이미지와 달리 남편 최규하 전 대통령에게 짜증을 내는 등 날카로운 모습을 보였으며 취임식장에서 전두환이 화동들에게 꽃을 받을 때 한복 저고리로 눈물을 훔치기까지 했고 이순자와 단상에서 악수를 할 때는 잠시 손을 잡고 이내 놓아버리기도 했다.

최규하 전 대통령의 사저인 서교동 집은 홍기가 살 만하면 그만이라며 못 고치게 해 남루한 편이라고 한다. 실제로 홍기가 사망할 당시 10년 이상 사용하던 그릇장, 외교관 시절 사용하던 유리잔들, 생전에 사용하던 돌절구와 오이지 누르는 돌, 연탄 보일러, 빨래 물을 긷는 펌프가 그대로 있었다고 한다.

매년 가계부를 거르지 않고 썼다고 한다. 홍기가 총리 부인으로서 총리 공관에 머물던 시절 쓴 가계부에는 겉장에 친필로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 106, 국무총리 공관, 국무총리 부인 洪基>라고 기재하였고, 책장을 넘기면 콩나물 등 부식을 구입한 명세가 적혀있었다고 한다. 선비다운 풍모로 검소한 생활을 했던 최규하 전 대통령에 걸맞은 소박했던 면모를 볼 수 있는 부분이다.
홍기의 빈소를 찾은 이수성 전 국무총리
말년에 알츠하이머병을 앓았다. 2004년 남편 최규하 전 대통령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 고향에 안장되었고 2년 후인 2006년 남편 최규하 전 대통령도 사망하면서 남편과 함께 국립대전현충원에 합장되었다. 육영수 이후 두 번째로 남편보다 먼저 사망한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이기도 하다.

3. 대중매체에서

4. 기타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8080> 파일:최규하투명.svg최규하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08080> 일생 일생
가족 아버지 최양오 · 어머니 이응선 · 아내 홍기 · 아들 최윤홍 · 아들 최종석 · 딸 최종혜
역대 선거 제10대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10.26 사건 · 12.12 군사반란 · 5.17 내란
관련 단체 박정희 정부 · 최규하 정부 · 외무부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최규하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최규하 정부 참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49년 8월 15일 이승만 대통령 대한민국
1960년 8월 13일 윤보선 대통령 대한민국
1963년 12월 5일 12월 17일 박정희 대통령 대한민국
1967년 6월 23일 육영수 영부인 대한민국
1979년 12월 7일 최규하 대통령 대한민국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 12월 7일 홍기 영부인 대한민국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전두환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이순자 영부인 대한민국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노태우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김옥숙 영부인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김영삼 대통령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손명순 영부인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김대중 대통령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이희호 영부인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노무현 대통령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권양숙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이명박 대통령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김윤옥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9일 박근혜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문재인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김정숙 영부인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하인리히 뤼프케 대통령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빌헬미네 뤼브케 영부인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 2월 1일 2월 7일 이스마일 나시루딘 국왕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7일 틍쿠 인탄 자하라 왕비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시리낏 끼띠야콘 왕비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5일 장제스 총통 중화민국
1968년 5월 10일 5월 18일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 에티오피아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반티에우 총통 남베트남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티마이아인 제1부인 남베트남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하마니 디오리 대통령 니제르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아이샤 디오리 영부인 니제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대통령 엘살바도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영부인 엘살바도르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오마르 봉고 대통령 가봉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조세핀 봉고 영부인 가봉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대통령 세네갈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영부인 세네갈
1980년 5월 11일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 국왕 사우디아라비아
1980년 5월 14일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1981년 6월 25일 수하르토 대통령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5일 시티 하티나 영부인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9일 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1년 6월 29일 틍쿠 아프잔 왕비 말레이시아
1981년 7월 6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필리핀
1981년 7월 6일 이멜다 마르코스 영부인 필리핀
1981년 10월 13일 로드리고 카라소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1년 10월 13일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영부인 코스타리카
1982년 5월 10일 사무엘 도 대통령 라이베리아
1982년 6월 7일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 자이르
1982년 6월 7일 보비 라다와 영부인 자이르
1982년 8월 25일 압두 디우프 대통령 세네갈
1982년 12월 21일 케난 에브렌 대통령 튀르키예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 대통령 수단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영부인 수단
1983년 9월 10일 후세인 1세 국왕 요르단
1983년 9월 10일 누르 왕비 요르단
1984년 4월 9일 하사날 볼키아 국왕 브루나이
1984년 4월 21일 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국왕 카타르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다우다 자와라 대통령 감비아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치렐 자와라 영부인 감비아
1985년 5월 17일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대통령 파키스탄
1985년 5월 20일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6년 9월 4일 4월 10일 엘리자베스 2세 국왕 영국
1986년 9월 4일 4월 16일 보두앵 국왕 벨기에
1987년 4월 7일 아메드 압달라 대통령 코모로
1988년 11월 3일 이스칸다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8년 11월 3일 자나리아 왕비 말레이시아
1989년 11월 3일 11월 20일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대통령 서독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프랑스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다니엘 미테랑 영부인 프랑스
1990년 6월 21일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대통령 파라과이
1990년 11월 5일 괸츠 아르파드 대통령 헝가리
1991년 9월 13일 아즐란 샤 국왕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13일 투안쿠 바이눈 왕비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25일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대통령 멕시코
1992년 8월 13일 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 대통령 과테말라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피델 라모스 대통령 필리핀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영부인 필리핀
1994년 11월 7일 11월 21일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 대통령 칠레
1994년 12월 5일 12월 9일 레흐 바웬사 대통령 폴란드
1995년 2월 7일 2월 16일 이슬람 카리모프 대통령 우즈베키스탄
1995년 2월 21일 3월 6일 로만 헤어초크 대통령 독일
1995년 3월 28일 4월 3일 젤류 젤레프 대통령 불가리아
1995년 6월 26일 7월 7일 넬슨 만델라 대통령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 9월 26일 9월 29일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 아르헨티나
1996년 7월 23일 9월 4일 알바로 아르수 대통령 과테말라
1996년 7월 23일 페르난두 카르도주 대통령 브라질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스페인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왕비 스페인
1996년 11월 26일 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 국왕 말레이시아
1996년 12월 10일 12월 15일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 우크라이나
2000년 2월 22일 3월 3일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대통령 이탈리아
2000년 2월 22일 3월 6일 자크 시라크 대통령 프랑스
2006년 3월 12일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 알제리
2007년 3월 26일 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2007년 3월 28일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국왕 카타르
2009년 5월 13일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카자흐스탄
2009년 11월 12일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 페루
2012년 5월 30일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스웨덴
2012년 11월 21일 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 대통령 아랍에미리트
2018년 10월 8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프랑스
2019년 하랄 5세 국왕 노르웨이
2021년 6월 14일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 오스트리아
2021년 6월 16일 펠리페 6세 국왕 스페인
2021년 6월 16일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왕비 스페인
2021년 8월 25일 이반 두케 대통령 콜롬비아
2021년 9월 21일 보루트 파호르 대통령 슬로베니아
2023년 7월 13일 안제이 두다 대통령 폴란드
2023년 11월 21일 찰스 3세 국왕 영국
2024년 11월 16일 디나 볼루아르테 대통령 페루 }}}}}}}}}


[1] 부친이 29세손으로 추정되므로 30세 ○섭(燮) 항렬이지만 항렬을 따르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2] 출처[3] 추밀공파(樞密公派) 권중표(權重杓, 1845 ~ 1884. 6. 4)의 차녀이다.[4] 일제강점기 초반에 태어나 젊은 시절 일본어를 강제로 모국어로 써야 했던 적이 있었다. 그래서 이 시기에 태어난 사람들은 일본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경우가 많다. 당장 김종필이나 박정희 등을 봐도 알 수 있는 부분.[5] 동아일보 (2022.5.26. 문화면 기사 하단) : 대통령 침실 앞엔 피아노, 욕실엔 사우나… 靑속살 32년만에 공개.[6] 젊은 시절에는 182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