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4:45:01

홀짝법칙

1. 개요2. 이유3. 사례
3.1. Microsoft Windows
3.1.1. 포르자 시리즈
3.1.1.1. 포르자 호라이즌 시리즈
3.2. BEMANI 시리즈
3.2.1. beatmania IIDX
3.2.1.1. 시리즈의 난이도3.2.1.2. 테마의 방향성3.2.1.3. 부제목의 작명 방식
3.2.2. 유비트 시리즈
3.2.2.1. 10만점 보너스 열리는 방향3.2.2.2. 성우 보이스3.2.2.3. 밝은 테마와 어두운 테마3.2.2.4. 유비트 대회고전3.2.2.5. 기타
3.2.3. 리플렉 비트 시리즈3.2.4. 사운드 볼텍스
3.3. 바운스볼(오리지날 한정)

1. 개요

홀수이냐 짝수이냐에 따라 특성이 바뀌는 법칙을 말한다. 꼭 법칙이라고 말하지는 않지만 인간 심리가 자기 짝을 찾게 되는 경우가 많아서 의외로 여러 방면에서 보인다. 무언가가 계속 번갈아가며 특징을 나타낼 때 쓰이는 말이기도 하다.

2. 이유

보통 특정 제품의 주기적 출시제품을 놓고 이 법칙이 많이 거론되는데, 일단 첫 번째(및 홀수) 작품은 안정적이게 설계하여 다음 작품의 발판을 만들어내고, 두 번째(및 짝수) 작품은 도전적이게 설계하여 새로운 시도를 하게 된다는 설이 있다. 이 때, 짝수 작품이 망하면 그대로 홀짝법칙이 적용되어 다음 작은 안정적으로 가고, 흥하면 그 때부터 홀짝법칙이 역전이 된다고 한다.

3. 사례

3.1. Microsoft Windows

외국에서 짤방으로도 만들어졌을 만큼[26] 꽤 잘 알려진 홀짝법칙의 사례 중 하나.[27][28] 홀수 제품군[29]은 흥하고 짝수 제품군[30][31]은 망한다(...)는 징크스이다.

다만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윈도우즈의 홀짝법칙에는 다분히 억지 밈에 가까운 부분도 있다. 위 짤방에서 망한 짝수로 분류된 Windows 95의 경우 윈도우 UI의 기본을 정립하면서 그야말로 혁신을 불러왔으며 PC 보급률을 크게 끌어올리는 데에 일조했고 상업적으로도 매우 성공한 OS이다. 빌 게이츠 또한 이후 윈도우 98을 발표할 때 앞으로 95와 같은 혁신은 없다고 말할 정도로 큰 변화를 가져온 OS였다. 물론 이후에 만들어진 Windows 98이 상당히 잘 만들어진 물건인 데다가 요구 사양과 호환성도 전작과 차이가 거의 없었던 덕에 Windows 95가 상당히 빨리 사라졌다는 점에서 망했다고 본 모양이지만, 사실 95가 실패했으면 98이고 XP고 없었을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이 만화영상에서처럼 95, 98은 빼고 Me부터 홀짝 법칙을 적용하기도 하며, 이 타임라인에서처럼 95, 98 모두에 후한 점수를 줌으로써 홀짝법칙을 일정 부분 포기하기도 한다. 한편 95는 홀수, 98은 짝수, 98SE를 홀수[32]로 보는 경우도 있는 것을 보면 이래저래 꿰맞추는 경우가 많은 듯.

사실 Windows 제품군 자체가 짝수 버전의 제품에서는 실험적인 도전을 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한다. 예를 들어 XP → 비스타에서는 GPU 테마 가속, UAC 등 이후 윈도우즈 시리즈의 기초가 확립되는 변화가 일어났고, 7 → 8의 경우 시작 화면으로 대표되는 UI 개편이 대표적이다. 그러다 보니 무리수도 두게 되고 호환성 문제도 생기며 경로의존성도 적용되는지라 이래저래 혹평을 받게 되는 모양.

2023년 현재 최신 버전인 Windows 11은 짝수 번째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조금 애매하나 역시나 홀짝법칙을 벗어나지 못하고 기대 이하라는 평이다.

3.1.1. 포르자 시리즈

마이크로소프트 게임즈에서 유통중인 포르자 시리즈는 본래 모터스포츠만 홀수 해에 발매했지만 2012년에 호라이즌 1편 발매를 기점으로 홀수 해에 모터스포츠를, 짝수 해에 호라이즌을 발표하게 돼서 홀짝법칙이 성립되었다.
3.1.1.1. 포르자 호라이즌 시리즈
메인 시리즈의 모터스포츠와 호라이즌간의 상부상조를 넘어, 하위 시리즈인 호라이즌 내에서도 홀짝법칙이 있다. 홀수 넘버는 차량과 싱글 위주의 성향이 강하고 짝수 넘버는 배경과 멀티 위주의 성향이 강하다. 또한, 홀수 넘버는 자유도가 높아 DLC를 제외하고 플레이어의 재량에 맡겨지는 편인 반면, 짝수 넘버는 업데이트에 유저들의 의견이 반영되어 유저 참여형 컨텐츠가 비교적 많은 편이다.

호라이즌 2부터 확장팩 DLC에도 홀짝법칙이 생겨났다. 첫번째 확장팩은 신규지역, 두번째 확장팩은 제휴 컨텐츠이다.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다.

3.2. BEMANI 시리즈

3.2.1. beatmania IIDX

3.2.1.1. 시리즈의 난이도
싱글 플레이 기준으로, 시리즈의 홀짝이 바뀜에 따라 해당 버전 수록곡의 전반적인 난이도 경향이 달라진다.

3rd style에서 처음 등장한 HolicHELL 코스의 난도가 매우 어려웠기에 유저들 사이에서 회자되면서 법칙이 만들어졌다. 투덱 내 최초의 홀짝 법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원조 홀짝법칙은 짝수 버전인 10th style에서 One More Lovely와 KING 코스가 등장하면서 일단락되었다. 다만 그 이후에도 버전에 따라 난이도 경향[33]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기에 이후 사례도 표로 정리하였다.

비록 게임 내부에 난이도의 지표가 될 수 있는 레벨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난이도라는 건 주관성이 강하기 때문에 다른 법칙에 비하여 법칙에 대한 근거가 부실한 편이다. 각각 예를 들자면 11 IIDX RED 이전은 당시 게임 내 최고 난이도 표기였던 ANOTHER의 레벨이 책정되지 않았다는 점, 12 HAPPY SKY 이후는 게임 내 최고 레벨인 12레벨의 편차가 너무 심하여 유저들이 자의적으로 분류한 비공식 난이도표에 의존해야 한다는 점이 문제로 꼽힌다.
버전 최고난도곡[34] 레벨 및 난이도[35] 난이도 인플레
3rd style Holic 레벨 11 심함
4th style LUV TO ME(UCCHIE'S EDITION) 레벨 11 완만함
5th style V 레벨 12
(지력 D)
심함
6th style G2 레벨 11 완만함
7th style Colors (radio edit)[36] 레벨 12
(지력 C)
심함
8th style 레벨 12
(개인차 D)
완만함
9th style one or eight 레벨 12
(개인차 D)
심함
10th style One More Lovely 레벨 12
(지력 C)
심함[37]
11 IIDX RED 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 레벨 12
(지력 A)
심함[38]
기존 홀짝법칙 붕괴.
이 이후부터는 대체로 짝수 버전이 강세.
12 HAPPY SKY 레벨 12
(지력 S+)
심함
13 DistorteD 嘆きの樹 레벨 12
(지력 S)
완만함
14 GOLD Fascination MAXX 레벨 12
(개인차 S)
완만함[39]
15 DJ TROOPERS MENDES 레벨 12
(지력 A)
완만함
16 EMPRESS 卑弥呼 레벨 12
(지력 S+)
심함
17 SIRIUS Almagest 레벨 12
(지력 S)
완만함
18 Resort Anthem 灼熱Beach Side Bunny 레벨 12
(개인차 S+)
심함
19 Lincle DIAVOLO 레벨 12
(개인차 S+)
완만함
20 tricoro Plan 8 레벨 12
(개인차 S+)
심함
21 SPADA Sigmund(L) 레벨 12
(지력 S+)
심함[40]
22 PENDUAL Verflucht(L) 레벨 12
(지력 S+)
심함
23 copula 灼熱 Pt.2 Long Train Running 레벨 12
(개인차 S+)
완만함
24 SINOBUZ ICARUS(L) 레벨 12
(지력 S+)
심함
25 CANNON BALLERS EMERALDAS 레벨 12
(지력 S)
완만함
26 Rootage X-DEN 레벨 12
(지력 S+)
심함
27 HEROIC VERSE GuNGNiR(L) 레벨 12
(지력 S+)
심함
28 BISTROVER Sinus Iridum/SAMURAI-Scramble(L) 레벨 12
(지력 S+)/(개인차 S+)
심함[41]
29 CastHour Illegal Function Call(L)/RAGE feat.H14 of LEONAIR 레벨 12
(지력 S+)/(개인차 S+)
완만함[42]
30 RESIDENT Beyond Evolution 레벨 12
(지력 S+)
심함
31 EPOLIS 惑星鉄道 레벨 12
(지력 S+)
완만함
3.2.1.2. 테마의 방향성
시리즈의 홀짝이 바뀜에 따라 테마의 방향성도 교대로 마니악 또는 캐주얼이 된다.

11 IIDX RED 이후부터 모든 시리즈에 부제목이 붙기 시작하면서 시리즈의 테마가 이전보다 더욱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시리즈가 이어지면서 각 시리즈의 테마도 버전의 홀짝 유무에 따라 바뀐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버전 넘버의 십의 자리가 바뀌는 시기를 제외한다면 최근 버전까지도 일관되게 유지되어온 법칙이다.

아래는 각 버전의 테마 및 방향성을 정리한 표이다. 테마의 방향성은 단지 테마의 키워드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게임 내에서의 연출까지 모두 고려하여 판단되었다.
버전 넘버 부제목 키워드 테마의 방향성
11 IIDX RED 음악 장르의 다양화[43] 마니악
12 HAPPY SKY 여름 하늘[44] 캐주얼
13 DistorteD 왜곡 마니악
14 GOLD 1980년대 클럽 캐주얼
15 DJ TROOPERS 군인 마니악
16 EMPRESS 여왕 캐주얼
17 SIRIUS 우주 마니악
18 Resort Anthem 휴양지 캐주얼
19 Lincle 아키바계 서브컬처 캐주얼
20 tricoro 다변화 복합적[45]
21 SPADA 전설, 도검 마니악
22 PENDUAL 시계, 시공 복합적[46]
23 copula 철도 캐주얼
24 SINOBUZ 닌자 마니악
25 CANNON BALLERS 자동차 레이싱 캐주얼
26 Rootage 도서관, 서고 마니악
27 HEROIC VERSE 영웅, 특촬물 복합적[47]
28 BISTROVER 요리, 여행 캐주얼
29 CastHour 채널, 방송 캐주얼
30 RESIDENT DJ, 원점회귀 마니악
31 EPOLIS 근미래 도시 마니악
32 Pinky Crush 박람회 캐주얼
3.2.1.3. 부제목의 작명 방식
시리즈의 홀짝이 바뀜에 따라 부제목의 작명 방식과 글자 수가 교대로 달라진다.
버전 넘버 부제목 작명 방식 글자 수[48]
19[49] Lincle 조어(造語)[50] 6
20 tricoro 조어[51] 7
21 SPADA 일반명사 5
22 PENDUAL 조어[52] 7
23 copula 일반명사 6
24 SINOBUZ 조어[53] 7
25 CANNON BALLERS 일반명사[54] 13
26 Rootage 일반명사 7
27 HEROIC VERSE 일반명사 11
28 BISTROVER 조어[55] 9
29 CastHour 조어[56] 8
30 RESIDENT 일반명사 8
31 EPOLIS 조어[57] 6
32 Pinky Crush 일반명사 10

3.2.2. 유비트 시리즈

유비트 시리즈의 홀짝법칙은 거의 전부가 유비트 프롭에서 깨졌다. [58] 사실 유비트 소서에서 이 규칙들이 거의 다[59] 깨질 뻔 했는데, 소서 로케테스트 당시엔 사방으로 열리는 방식이였고, 성우 보이스도 여자였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TCG2012와 제품공개 홈페이지에서 보여진 버전은 기존 홀수버전처럼 측면에서 열리는 방식과 남자 보이스를 채택하면서 홀짝법칙을 계속 이어가게 되었다.

홀짝법칙이 한번씩 다 깨졌긴 했지만,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 기준으로 유비트 시리즈에 적용되는 홀짝법직은 아래와 같다. 법칙이 깨진 경우에는 기울임체 처리하였다.
3.2.2.1. 10만점 보너스 열리는 방향
시리즈의 홀짝이 바뀜에 따라 10만점 보너스가 열리는 방향도 교대로 측면 또는 사방이 된다.
작품명 보너스 열리는 방향
유비트 측면
유비트 리플즈 사방
유비트 니트 측면
유비트 코피어스 사방
유비트 소서[풀필] 측면
유비트 프롭 측면
유비트 큐벨 사방
유비트 클랜 측면
유비트 페스토 측면
유비트 애비뉴[비욘드] 측면
3.2.2.2. 성우 보이스
시리즈의 홀짝이 바뀜에 따라 성우 보이스도 교대로 여성 또는 남성이 된다.
작품명 성우 목소리
유비트 리플즈 여성
유비트 니트 남성
유비트 코피어스 여성
유비트 소서 남성
유비트 소서 풀필 여성
유비트 프롭 여성
유비트 큐벨 남성
유비트 클랜 여성
유비트 페스토 여성
유비트 애비뉴 남성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 남성
3.2.2.3. 밝은 테마와 어두운 테마
시리즈의 홀짝이 바뀜에 따라 테마도 교대로 밝거나 어두운 테마가 된다.
작품명 테마
유비트 어두움
유비트 리플즈 밝음
유비트 니트 밝음
유비트 코피어스 어두움
유비트 소서 밝음
유비트 소서 풀필 어두움
유비트 프롭 밝음
유비트 큐벨 밝음
유비트 클랜 어두움
유비트 페스토 밝음
유비트 애비뉴 어두움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 어두움

유비트 큐벨 이후로 작품 밖에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유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3.2.2.4. 유비트 대회고전
유비트 대회고전의 각 파트의 홀짝이 바뀜에 따라 작곡가도 교대로 코나미 소속 또는 외부 작곡가가 된다.
다룬 시리즈 곡 명 작곡가 작곡가의 소속
유비트 소서 풀필 Dream drip macchiato TAG 코나미
유비트 니트 幸せが鳴る夜に PAN 외부
유비트 프롭 Pegasus Expander 코나미
유비트 코피어스 Welcome to the Mosh Pit lapix 외부
유비트 큐벨 Glitter Cube dj TAKA 코나미
유비트 리플즈 雨上がりの空に 猫大樹 외부
유비트 소서 Radius Sota F. 코나미
유비트 클랜 少女、摩天楼へ U1 overground 코나미
유비트 ROCK ju C-Show 외주
프로토타입 pedigree S-C-U 코나미
코나미 소속의 작곡가 명의에는 BEMANI Sound Team 표기가 되어 있다.
3.2.2.5. 기타
유비트 프롭 이전까지:
기본 마커가... 레이더형 셔터형 게이지형 레이더형 셔터형
작품명 유비트 유비트 리플즈 유비트 니트 유비트 코피어스 유비트 소서[풀필]

유비트 프롭 이후부터:
기본 마커가... ???[63] 셔터형 게이지형? 셔터형 게이지형
작품명 유비트 프롭 유비트 큐벨 유비트 클랜 유비트 페스토 유비트 애비뉴[비욘드]

홀짝법칙은 아니지만, 기본 마커의 형태도 3시리즈 마다 같은 형태다. 애초에 홀짝으로 반복되지도 않거니와 유비트 프롭부터 규칙이 다 깨졌기 때문에 그다지 언급되지도 않는 규칙이다.

3.2.3. 리플렉 비트 시리즈

시리즈에서 각 작품마다 TAG의 원소 시리즈가 한 곡씩 나왔는데, 홀수번째 곡인 Diamond Dust, Cosmic Hurricane은 제목이 첫자만 대문자, 짝수번째인 UNLIMITED FIRE, LIGHTNING THUNDERBOLT는 제목 전체가 대문자로 되어 있다. 다만 볼짜에서는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가 발매 될 때까지 안 나오면서 깨진 것 같다. 또한 선행해금곡을 제외하면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곡이 홀수번째에는 DEADLOCK, IX, X-TREME 6처럼 상당히 고난이도로 나온 반면 짝수번째에는 Fly to Next World, カーテンコール・メモリーズ 같이 무난한 난이도로 나왔다. 다만 이것은 조금 애매한게 다른 곡들은 몰라도 콜레트는 선행해금곡 때문에 마지막 업데이트라는 개념이 약간 희석되어보인다. 그리고 IX는 연동 이벤트 곡이다

3.2.4. 사운드 볼텍스

3.2.4.1. ΩDimension
ΩDimension Phase 5(5+ 포함)까진 홀수 페이즈에선 최종 해금곡의 최상위 패턴이 20레벨이고, 짝수 페이즈에선 19레벨이다라는 홀짝법칙이 성립하였으나, Phase 6부턴 성립하지 않게 되었다.
Phase 곡명 최상위 패턴 난이도 최상위 패턴 레벨 홀짝법칙 성립 여부
1 WHITEOUT MAXIMUM 20 O
FIN4LE ~終止線の彼方へ~
2 TWO-TORIAL 19 O
3 I 20 O
4 Awakening 19 O
Xéroa
5 & 5+ Xronièr 20 O
6 ΣmbryØ 20 X
*Feels Seasickness...*
7 ΣgØ 20 O
8 * Erm, could it be a Spatiotemporal ShockWAVE Syndrome...? 20 X
3.2.4.2.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 결승곡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가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에 처음 참가한 KAC 2012부터 The 4th KAC까진 홀수 번째 KAC에선 결승곡이 한 곡이며, 짝수 번째 KAC에선 결승곡이 두 곡이다라는 홀짝법칙이 성립했으나, Lachryma《Re:Queen’M》 한 곡만 등장한 The 5th KAC 이후론 홀짝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현재까지 홀짝법칙이 이어지고 있다. The 10th KAC부터 프리 부문과 여성 부문으로 분리되었는데, 홀짝법칙에 따르면 다음 KAC에선 결승곡이 한 곡 모자라게 되는데, 어떻게 될지는 다음 KAC까지 기다려야 한다.

또한 Lachryma《Re:Queen’M》이 등장한 The 5th KAC부턴 홀수 번째 KAC에선 결승곡이 BEMANI 좋아요 랭킹의 상위권에 오르며, 짝수 번째 KAC에선 결승곡이 순위에 오르지 못하거나 중ㆍ하위권에 머무른다는 홀짝법칙이 이어지고 있다.
KAC 회차 곡 명 작곡가 BEMANI 좋아요 랭킹 순위
2012 Max Burning!! BlackY 미집계
2013 For UltraPlayers cosMo@暴走P
Bangin' Burst かめりあ
4th Everlasting Message ぺのれり 3위
5th Lachryma《Re:Queen’M》 かねこちはる 2위
6th iLLness LiLin かねこちはる 5위[1703]
HE4VEN 〜天国へようこそ〜 カモメサノエレクトリックオーケストラ 6위[1702]
7th I 黒魔 2위
8th ΣmbryØ かぼちゃ 8위
*Feels Seasickness...* かめりあ 순위 외
9th 666 RoughSketch 1위
10th XHRONOXAPSULΞ Silentroom 순위 외[22겨울]
MixxioN MisoilePunch♪ 순위 외[22봄]

3.3. 바운스볼(오리지날 한정)

바운스볼 오리지날의 경우 태양계를 완전히 벗어나고부터(즉, 알파 센타우리부터) 월드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추가요소의 유형이 교대로 바뀐다. 짝수번째 월드인 알파 센타우리[69], 글리제 581[70], 알골[71], 말머리 성운[72], 게 성운[73]에서는 공의 이동을 돕는 장치 혹은 아이템이 추가되며, 홀수번째 월드인 엡실론 에리다니[74], 벨레로폰[75], 베텔게우스[76], VV 시퍼이 A[77], 초신성[78]에서는 공을 터뜨리는 장애물이 추가된다. 그러나 22번째 스테이지인 블랙홀에서 장애물이 추가되면서 이 홀짝법칙은 깨지고 말았다. 다만, 블랙홀의 장애물은 아이템(별 포함)을 운반하는 능력이 있어 도움이 되긴 하다.


[1] 단, 링크 안에는 게오르기 말렌코프가 빠져 있다는 것이 흠이다. 항목을 본다면 알겠지만 말렌코프를 포함한다면 스탈린과 말렌코프 둘 다 머리숱이 풍성하기 때문에 깨진다.[2] 홀수번째 본선 진출(1954, 1990, 1998, 2006)은 망하고 짝수번째 본선 진출(1986, 1994, 2002, 2010)은 선전한다. 즉, 이대로라면 2014년은 망한다는 얘기. 그리고 망했다.[3] 단, 2006년은 단순히 망했다고 볼 수 없는 것이 일단 대한민국의 첫 원정 월드컵 본선 첫 승을 달성했고, 성적도 1승 1무 1패로 준수한 편이었다.[4] 2018년은 1승 2패로 16강 진출에 실패했으나 상대가 스웨덴, 독일, 멕시코 이렇게 3팀이라 승점 1점 따기도 어렵지 않겠냐는 예상도 있었고, 결과적으로 디펜딩 챔피언 독일을 2:0으로 이겨 16강 진출에 실패했지만 깊은 인상을 남겼다.[5] 2022년은 1승 1무 1패로 16강 진출에 성공하였다.[6] 2012년 서건창은 넥센이 발굴한 신고선수 출신의 빛나는 리드오프이자 신인왕, 2013년 서건창은 신인왕 출신 맞나 싶을 정도로 폭망, 2014년 서건창은 최다득점, 전인미답의 201안타, 최다 3루타 기록등을 싹 갈아치우고 팀을 포스트시즌으로 이끌었으며 골든글러브와 영예의 MVP 수상, 2015년 서건창은 부상 후 돌아왔지만 1군에서(!) 타격폼 수정을 위해 1달을 날리고 주력이 무너진 상태에서 몇경기 나오지도 않고 8실책을 기록하며 역적라인에 이름을 자주 올린다. 그리고 2016년은 골든글러브 수상.[7] 짝수해에만 잘한다는 이야기로 유명했다. 06, 08, 10, 12년 성적이 07, 09, 11년에 비해 좋았고 13년 제법 하면서 법칙을 깨는가 싶었는데 이후엔 나이 탓인자 선발 출장도 줄면서 그냥 못하는 투수가 되었다.[8] 2010, 2012, 2014년 월드 시리즈를 우승하고 2016년에는 월드 시리즈는 가지 못했으나 디비전 시리즈까진 나갔는데 2011, 2013, 2015년은 포스트시즌 진출조차 하지 못하였다.[9] 그래도 여기선 전작보단 쓸만해졌고 커비 말고도 다른 너프된 캐릭터들이 많은지라 상대적으로 중간티어에 속해있다.[10] 호불호가 갈린 7(파워업키트 제외), 13편은 예외.[11] 원래는 코엑스에서 매년 열렸지만, 2005년부터 킨텍스로 옮겼다.[12] 시즌 1 로꼬 당시 24세, 시즌 3 바비 당시 20세, 시즌 5 비와이 당시 24세, 시즌 7(777) 나플라 당시 27세[13] 시즌 2 소울다이브 당시 넋없샨 35세, 지토, 디테오 33세, 시즌 4 베이식 당시 30세, 시즌 6 행주 당시 32세[14] Hot Issue, Muzik(2009), 거울아 거울아, Heart To Heart(2011), 이름이 뭐예요?(2013), 미쳐(2015)[15] HUH(2010), Volume Up(2012), 오늘 뭐해(2014), 싫어 (Hate)(2016)[16] 1집 10 Minutes, 3집 U-Go-Girl, 5집 Bad Girls[17] 2집 Get Ya`, 4집 Chitty Chitty Bang Bang, 6집 Black[18] 2집과 4집 때의 표절 논란[19] 달라달라, WANNABE, 마.피.아. In the morning, SNEAKERS, CAKE[20] 마.피.아. In the morning, CAKE는 미묘한 편이나 전자는 멜론 연간 TOP 100에 들었고, 후자는 마.피.아. In the morning 등 다른 홀수 번째 노래나 짝수 번째 노래 중 ICY, Not Shy의 성적을 넘지 못해 멜론 연간 TOP 100에 들지 못했지만 LOCO, Cheshire, UNTOUCHABLE의 성적을 넘어섰다.[21] ICY, Not Shy, LOCO, Cheshire, UNTOUCHABLE[22] ASAP, RUN2U, Teddy Bear[23] SO BAD, 색안경 (STEREOTYPE), BEAUTIFUL MONSTER, GPT[24] Bubble[25] Cheeky Icy Thang[26] 윈도우 8 자리에 트롤 페이스가 들어간 건 8 출시 직후에 나온 짤이라 "뻔하지 않겠니?" 하는 의미가 있었기 때문. 결국 망하면서 정말 Shit으로 판명났다.[27] 가정용 혹은 클라이언트 버전으로 개발된 경우만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Windows Server 계열이나 서버, 워크스테이션이 타겟인 Windows NT, Windows 2000 등은 넣지 않는 게 옳다. 이를테면 기업용이었던 Windows 2000의 경우 개발 당시의 이름은 Windows NT 5.0이었으며 출시일은 2000년 2월이었고, 이후 버전인 Me의 출시일은 2000년 9월이다. 용도 구분 없이 출시일로만 홀짝법칙을 적용할 경우 Windows 98 다음인 Windows 2000이 망하고 Windows Me가 흥했다는 이치에 안 맞는 이야기가 되어버린다. Windows 98SE를 넣으면 맞긴 하다.[28] 본문의 짤방에는 Windows 3.1이 첫 번째로 제시되어 있는데, 사실 3.x 버전까지는 독립된 OS라기보다는 MS-DOS 안에서 돌아가는 에 가깝다.[29] Windows XP, Windows 7, Windows 10. 마지막의 Windows 10은 숫자 자체는 짝수지만 원래 Windows 9으로 나오려던 것이라 이쪽에 넣는다.[30] Windows Me, Windows Vista, Windows 8(8.1), Windows 11[31] Windows 8.1은 Windows 8과 함께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8.1이 태블릿으로 어느 정도 흥했다지만 애초 Windows 태블릿은 아이패드안드로이드 태블릿에 비해 비중 자체가 매우 작았다.[32] Windows 98 SE는 사실상 Windows 98의 확장된 업그레이드용 제품에 가깝긴 하다.[33] 특히 비공식 난이도표 최고난도인 S+의 수록 여부[34] 최고난도라고 하여 무조건 해당 작품의 보스곡인 것은 아니다. 이는 제작진이 해금 이벤트 등으로 명목상의 보스곡을 지정하고, 레겐다리아 난이도가 난립하는 후기 버전으로 갈수록 두드러진다.[35] 레벨은 최신 버전 기준, 12레벨의 난이도는 5ch 비공식 난이도표의 하드 클리어 난이도 기준이다.[36] SPA 난이도 추가. 레겐다리아를 제외하고 구곡 추가 채보가 해당 버전의 최고난도가 된 사례는 이 곡이 유일하다.[37] 신곡들의 평균 난도가 구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음.[38] 시리즈 최고난도 경신.[39] 개전에 넣을 곡이 부족해서 FIRE FIRE를 넣는 등 당시 전반적인 난이도는 낮았다.[40] 레겐다리아 난이도 최초 도입.[41] 작열2보다 어려운 스크곡 등장[42] 보스곡을 제외하면 전반적인 난이도 분포가 전작에 비해 낮은 편이다.[43] RED는 Revolutionary Energetic Diversification(혁명적이며 정력적인 다양화)의 약칭이다.[44] 출처[45] RED, BLUE, YELLOW에 따라 작품 테마를 일신하였다. 이 중 RED, BLUE는 마니악에 가까우며, YELLOW는 캐주얼에 가깝다.[46] 현대 테마는 캐주얼, 미래 테마는 마니악에 가깝다.[47] 테마는 마니악, 스토리 모드는 캐주얼에 가깝다.[48] 띄어쓰기 제외[49] 법칙 자체는 20 tricoro부터 확립되었다. 하지만 조어를 작명 방식에 도입한 버전은 19 Lincle이 최초이므로 편의상 병기하였다.[50] Link + Circle[51] tricolor + ころころ[52] PENDULUM + DUAL[53] しのび + BUZZ[54] 결과적으로는 일반명사이지만, 작명 자체는 CANNONBALL과 BALLERS의 합성으로 이루어졌다.[55] BISTRO + ROVER[56] BroadCast + Hour[57] Near FuturE + POLIS[58] 테마 밝기 법칙은 유비트 큐벨에서 깨졌고, 유비트 페스토에서 개최된 유비트 대회고전 작곡가 홀짝법칙은 유비트 클랜편, ROOM 8에서 깨졌다.[59] 테마 밝기 제외[풀필] 유비트 소서 풀필은 소서와 한 작품으로 간주한다.[비욘드] [풀필] [63] 기본 마커의 형태를 지칭할 말이 없다[비욘드] [1703] 2017년 3월 BEMANI 좋아요 랭킹[1702] 2017년 2월 BEMANI 좋아요 랭킹[22겨울] 2022 Winter BEMANI 좋아요 랭킹[22봄] 2022 Spring BEMANI 좋아요 랭킹[69] 직진조절발판[70] 워프용 블랙홀과 화이트홀[71] 밟을 수 있는 파란 레이저[72] 고속이동 아이템[73] 벽타기 블록[74] 밟을 수 없는 빨간 레이저[75] 레이저 상자[76] 반투명화 아이템, 공중을 떠다니는 회전표창[77] 산탄 발사기[78] 소멸 레이저 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