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9:08:30

유비트 시리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비트 시리즈의 초대작에 대한 내용은 유비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비마니_로고.svg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현역 아케이드 기종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popn_jamfizz_l.jpg 파일:ddr_world_l.jpg 파일:gitadora_galaxywave_l.jpg 파일:jbbta.jpg
beatmania IIDX
32 Pinky Crush
pop'n music
Jam&Fizz
DanceDanceRevolution
WORLD
GITADORA
GALAXY WAVE
jubeat
beyond the Ave.
파일:reflesia_icon.png 파일:ac_sdvx6.png 파일:nos_op3_icon.jpg 파일:drs_icon.png 파일:ac_dancearound.png
REFLEC BEAT
유구의 리플레시아
SOUND VOLTEX
EXCEED GEAR
노스텔지어
Op.3
DANCERUSH
STARDOM
DANCE aROUND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다른 작품 문서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가정용 및 모바일
☆: 국제판이 별도로 출시
모바일
jubeat
(모바일)
REFLEC BEAT
plus
beatmania IIDX
INFINITAS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팝픈뮤직
Lively
beatmania IIDX
ULTIMATE MOBILE
GITADORA
코나스테
노스텔지어
코나스테
DanceDanceRevolution
GRAND PRIX
지원 종료 작품
아케이드 단종 beatmania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 팝픈스테이지 | DanceDanceRevolution Solo | 키보드매니아 | beatmania III | 댄스 매니악스 | 파라파라 파라다이스 | 맘보 아 고고 | ee'MALL | 토이즈 마치 | 댄스 86.4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XG | 미라이다갓키 | 댄스 에볼루션 아케이드 | BeatStream | MÚSECA
개발 중단 랩 프릭스 | 오토이로하 | 채향DJ 아니쿠라게 | 유비트 (2020) | NEW pop'n music (2020)
모바일 단종 팝픈 리즈민 | DanceDanceRevolution S / S+ | GITADORA for iOS & Android
개발 중단 DanceDanceRevolution ULTIMATE MOBILE | SOUND VOLTEX ULTIMATE MOBILE
PC(코나스테) beatmania IIDX INFINITAS (2015 구버전)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e스포츠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BEMANI 탑랭커 결정전 |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 | BEMANI MASTER KOREA | BEMANI PRO LEAGUE}}}}}}}}}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대한민국 상황 | 유니아나 | 아티스트 (명의 삭제 논란) | 수록곡 | 음반 | 히나비타♪ | 반메시♪ | 그랜드슬램
SONGS | 좋아요 랭킹종료 | Backstage종료생방송(가) | 이벤트 (종료)
SDVX FLOOR | MÚSECA Compe.종료 | 팝픈 크리에이터즈 파티종료
e-amusement | Amusement IC | CARD CONNECT
KONMAI | 버전 번호 | 기판 | 더미 데이터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52200.png유비트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아케이드 버전
파일:jubeat_version_1.png 파일:jubeat_version_2.png APPEND 파일:jubeat_version_3.png APPEND 파일:jubeat_version_4.png APPEND
파일:jubeat_version_5.png 파일:jubeat_version_6.png 파일:jubeat_version_7.png 파일:jubeat_version_8.png
파일:jubeat_version_9.png 파일:jubeat_version_10.png 파일:jubeat_version_11.png 파일:jubeat_version_12.png
가동중
기타 버전
쥬크비트
업데이트 중단
유비트 리부트
개발 중단
파일:jubeatmobile.png
서비스중
관련 문서
수록곡 | 삭제곡 | 마커 | EMBLEM 종류 | 음반 | 인사법 | 난이도 표기 문제 | BONUS TUNE | 코스 |
칭호 | 비공식 난이도표 (레벨 9) | 기네스 | 엑설런트 | Excellent Master | 토털 베스트 스코어 | 옆비트 | 유비터 | 88배치
}}}}}}}}}||



파일:attachment/jubeat_logo.jpg
파일:eacache.s.konaminet.jp/logo_blue.png
파일:jubeatbtamachine.png

jubeat(영어권) / ユビート(일본 본토) / 丘比特(중국 본토) / 樂動魔方(대만) / 홍콩, 마카오는 불명

1. 개요2. 역사 및 현황3. 게임성
3.1. EXPERT OPTION3.2. 튜토리얼 동영상
4. 기종
4.1. 아케이드
4.1.1. 업그레이드
4.2. 구조4.3. 기타 기종, 시뮬레이터4.4. 신기체
5. 그 외6. 관련 문서7.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BEMANI 시리즈로 출시된 코나미의 리듬 게임 시리즈. 프로듀서는 노자키 미츠히로.[1]

제목인 Jubeat에서 J는 묵음이므로 '유비트'라고 읽어야 한다. 유비트는 일본어로 손가락을 뜻하는 유비(ゆび)와 beat의 합성어번역하면 손 가락 정도 되려나, 혹은 jubiliant(반가운)+beat의 합성어라고 한다. 그래서 가끔씩 이름을 처음 보는 유저들은 비트라고 읽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스태프들이 제목을 지을 때 이런 식으로 잘못 읽는 것을 노렸다고 한다.[2][3] 북미판으로 준비하던 유비트의 이름은 UBeat / Jukebeat.

전자악기의 일종인 AKAI 사의 MPC에서 모티브를 따 왔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실제로 MPC에는 유비트와 비슷하게 정사각형의 고무 패드가 4×4 배열로 놓여져 있다.[4] 보통 드럼 샘플을 배열해서 드럼 머신으로 쓴다. 다만 MPC는 샘플 음을 내는 악기인 데 비해 유비트에는 키음이 없기 때문에 모양만 따왔다고 볼 수 있다.

유비트 시리즈의 제작진은 원래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시리즈의 제작진. 실제로 인게임 용어에서 기타도라와 유비트는 서로 같거나 유사한 부분이 많은데, 엑설런트가 원래 기타도라 시리즈에서 먼저 쓰였다던가, 난이도 체계도 BASIC-ADVANCED-EXTREME의 표기를 쓰고[5], 판정 시스템이 PERFECT-GREAT-GOOD-POOR[6]-MISS 라던가,[7] 유비트가 유비트 페스토에서 9레벨 이상의 난이도는 소숫점 표기를 도입했는데, 기타드럼 쪽에서 먼저 사용되고 있던 난이도 체계인 것[8] 정도가 있다. 결정적으로 현재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XG 시리즈에 참여하고 있는 스태프의 상당수가 유비트 초기 제작진[9]이었다는 데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10]

이후 XG 시리즈의 개발과 유비트의 히트 등으로, 기타도라를 메인으로 만들고 유비트를 부업으로 삼던 초기의 기타도라 시리즈 출신의 스태프들은 손을 때고 코피어스에 이르러 유비트를 메인으로 삼는 현재의 스태프진이 되었다. 유비트 이후로 기존 BEMANI 시리즈의 제작진이 완전신기종을 개발하는 일도 종종 생겼다.[11]

시리즈의 모든 작품이 e-amusement pass 서비스를 지원한다. BEMANI 시리즈 중에서는 시리즈 첫 작품부터 e-amusement pass를 지원한 첫 사례.

2. 역사 및 현황

3. 게임성

와이드 모니터를 90도 회전시킨 화면 위에 투명한 패널을 덮은 4행 4열의 총 16개의 사각형 중에서 노래에 맞춰서 노트가 나오는 부분을 터치하는 리듬게임. 패널 하나당 버튼이 4개씩 들어있다. 게임 방식은 간단히 말해 음악게임두더지게임.

DanceDanceRevolution처럼 키음에 해당하는 요소가 아예 없고, 심지어 시리즈 초기에는 곡이 끝난 후 최대 콤보 수 등 자세한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다[18] 그 대신 뮤직바라는 독특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선곡 화면에서 곡을 선택하면 막대그래프 식으로 어떤 구간에서는 얼만큼 노트가 나오는 지를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써, 직접 플레이하지 않고도 그 곡의 노트수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런데 이 뮤직바도 높이에 8칸이라는 한계가 존재해서, 1줄의 구간 동안 나오는 노트가 그 이상으로 많으면 뮤직바상으로 보이지 않는 노트가 존재하게 된다. EXT 노트수 1000개에 육박하는 Beastie Starter의 뮤직바가 967개의 AIR RAID FROM THA UNDAGROUND보다 빈약한 것이 그 예. 또한 유비트 소서에 들어서 노트수 900개를 훌쩍 넘기는 물량곡들이 많아진 관계로 뮤직바 시스템의 장점 또한 흐려지고 있는 중.

겉보기에는 16개의 패널을 누르는게 상당히 어려워 보이지만 다른 리듬게임들에 비해서 완화되어 있는 판정, 반복적인 패턴들로 인해 전체적으로 어려움이 적어진 점, 그리고 드럼류의 페달이나 건반류의 스크래치 등 몸을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어려움이 없다는 점, 무엇보다도 유저들이 직관적으로 손을 쓸 수 있게 되어 있는 구조가 라이트유저들에게 각광받게 되었다. 또한 다른 비마니 게임들과 달리 클리어 판정에 시시각각 변화하는 타입의 게이지가 아닌, 획득 점수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잘 나가다가 한순간에 망쳐 클리어를 놓치는 경우가 다른 비마니 게임에 비해 확연히 적다는 점 역시 라이트 유저들을 이끌어내는데 한 몫 했다고 볼 수 있다.

엑설런트라는 요소는 '라이트 유저를 하드코어 유저로 바꾼다.'라는 취지로 과도하게 플레이를 하게끔 하는 단점도 있지만, 단기간 안에 꿈의 플레이를 해볼 수 있다는 기회가 되면서 오히려 고수층과 라이트유저들을 대거 유입시키는데 성공, 이후 해당 유저들이 정착해 하드코어화되어 상향평준화를 이루고 있다. 반대로 유비트로 리듬게임을 시작하여 다른 리듬게임에 손을 대게 되고, 이후에 오히려 소모적인 엑설런트부담감을 느껴서 다른 리듬게임의 난이도나 클리어의 재미가 취향에 맞아 건너가는 유저들도 꽤 있다.

3.1. EXPERT OPTION

곡 선택창에서 15번 패널의 SETTING을 누르면 각종 설정과 더불어 EXPERT OPTION을 추가한다라는 버튼이 있는데 그 버튼을 누른 뒤 대한민국 기준 500원, 일본은 파세리를 이용하여 설정이 가능하다. 일본은 파세리가 아니면 설정이 불가능하며 각 튠마다 설정 여부를 정할 수 있는데 한국은 파세리가 없어서 1튠에서만 설정이 가능하고 그 뒤로는 옵션 철회가 불가능하다.

익스퍼트 옵션에서 설정 가능한 목록은 다음과 같다.

아래는 EXPERT MODE에서 빠진 옵션이다.

3.2. 튜토리얼 동영상

전체적인 튜토리얼 설명 내용은 모든 버전을 통틀어 같다. 초대작에선 카드 없이 플레이할 경우 무조건 출력되었지만 유비트 리플즈에서는 튜토리얼 가능/불가능의 모드를 별도로 선택하는 형태로 변경, 이후 로컬 플레이/온라인 플레이가 통합된 유비트 니트부터는 아예 카드 없이 플레이하는 사람들에게 별도의 튜토리얼 곡을 제공을 하는 형태로 고정이 되었다가 프롭부터 다시 카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처음부터 튜토리얼을 진행하게 바뀌었다.


유비트 니트의 튜토리얼 영상



유비트 큐벨의 튜토리얼 영상



유비트 클랜의 튜토리얼 영상

튜토리얼의 BGM은 니트부터 天国と地獄를 사용한다.(통상 버전보다 템포가 느리다)

유비트 클랜에서는 후반부가 홀드 노트로 변경되었지만, 여전히 노트수가 44개. (홀드 노트 수는 10개)

4. 기종

기본적인 디자인은 플레이 방식 특성상 큐브를 컨셉으로 했다. 상단엔 아크릴 장식이 있고 그 뒤편에 시리즈별 보드를 부착할 수 있게 되어있다. 중간에 디스플레이 패널과 게임 버튼이 있는데, 한 화면을 두 영역으로 나눠 사용한다. 패널이 있는 부분의 아래쪽으로 돈통과 기판이 탑재되며, 하단부에는 전원부와 LED장식이 들어간다. 스피커는 화면과 상단 아크릴 장식 사이에 양쪽으로 트위터와 메인 우퍼가 들어가며 하단의 장식 안쪽으로 서브우퍼1개가 들어가있는 형태, 즉, 4.1채널로 구성되어있다.

4.1. 아케이드

번호 이름 출시일 국내 출시일 비고
1 유비트 2008년 7월 17일 2009년 2월 10일
2 유비트 리플즈 2009년 8월 5일 2009년 8월 27일
2.5 유비트 리플즈 어펜드 2010년 3월 18일 미출시 일본에만 출시
3 유비트 니트 2010년 7월 29일 2010년 8월 10일
3.5 유비트 니트 어펜드 2011년 3월 21일 미출시 어펜드 최초 해외출시[19]
4 유비트 코피어스 2011년 9월 15일 2011년 9월 27일
4.5 유비트 코피어스 어펜드 2012년 3월 14일 미출시 마지막 어펜드
5 유비트 소서 2012년 9월 25일 2012년 11월 16일
6 유비트 소서 풀필 2014년 3월 3일 2014년 4월 1일 소서의 어펜드를 가장한 신작[20]
7 유비트 프롭 2015년 2월 20일 소서 시리즈 이후 2년만의 테마 변경 신작
8 유비트 큐벨 2016년 3월 30일 2016년 4월 28일 The 5th KAC에서 발표
9 2017년 7월 26일 2017년 7월 31일
10 유비트 페스토 2018년 9월 5일 2018년 9월 10일 역대 최장 기간 가동 (약 4년)[21]
11 유비트 애비뉴 2022년 8월 3일 원래 차기작 예정이던 유비트 리부트는 개발 취소
12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
]]
2023년 9월 20일 유비트 애비뉴와 컨셉을 공유하는 신작

현재 아케이드 게임의 하드웨어가 대부분 그렇듯 유비트도 PC 베이스의 하드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양은 다음과 같다. 유비트 소서에서 HDD가 SSD로 변경되었다.
초기형 기판 (Type 3)
(초대작 ~ 코피어스 어펜드)
후기형[2012] 기판(Type 6)
(소서 ~ )
후기형[2018] 기판(Type 9)
(페스토 ~ )
CPU 인텔 셀러론 M 370 1.5GHz 자세한 정보 인텔 셀러론 B810 1.6GHz 자세한 정보 AMD RX-421BD (멀린 팔콘) 2.1(3.4)GHz APU
RAM DDR2 256MB[24] DDR3 2GB Innodisk DDR4-2400 4GB
VGA ATI 라데온 E4690 MXM 자세한 정보[25] AMD Radeon R7 내장 그래픽 (800MHz)
M/B unknown 변종 인텔 보드[26] Intel H61 Embedded Board Mini-ITX (Ennoconn ADE-6291 Industrial Motherboard)
모니터 26~27인치 오픈프레임 Monitor[27]
저장 장치 SATA 3.5 inch HDD 80GB (초대작 ~ 니트 어펜드)
SATA 3.5 inch HDD 250GB (코피어스 ~ 코피어스 어펜드)
SATA2 Intel SSDSA2CT040G3 SSD 40GB innodisk 3MG2-P SATA3 2.5" SSD 64GB
사운드 Realtek ALC888
OS Windows XP Embedded 32bit Windows XP Embedded 32bit(~ 2019년)
Windows 7 Embedded 32bit (2020년 ~)[28]
Windows 7 Embedded 32bit
I/O Control USB 2.0 기반의 I/O Control PCB[29]

신품 기체의 가격은 1000만원 내외. 다만 2008년 첫 출시 이후 15년을 바라보고 있어, 저렴한 중고 기체도 상당히 많은 편이다. 다만 같은 기체라도 생산 시기에 따라 세세하게 개선되는 부분은 있다 .2008~2009년 생산기체는 남경전자에서 OEM 방식으로 생산한 기체이고, 이후에는 유니아나의 수원 공장에서 자체 생산되고 있다. 외관으로 연식 확인하는 방법

기체의 기판은 KONAMI BEMANI PC를 사용하고 있다. 초대작 ~ 코피어스 어펜드까지는 Type 3 기판을 사용하였고, 유비트 소서에서 e-amusement participation을 적용한 Type 6 기판으로 변경한 이후에는 기판 업그레이드 없이 인터넷을 통해 신작이 업데이트되는 형식으로 발매되고 있다. 다만, 2018년부터 생산되는 기체부터는 Type 6 기판의 부품이 단종된 영향으로 Type 9 기판이 적용되어 있다. 유비트 애비뉴 출시 기준 마지막 기판 업그레이드가 10년이 되었다 보니 신작이 나올 수록 프레임 드랍이나 각종 사양 문제에서 비롯한 버그(매칭 캔슬, 곡 플레이 중 프리징, 블루스크린 등)들이 나오기도 한다. 유비트 제작진들도 이를 인지하고 있어 실제로 신기판이 적용된 신기체가 개발되었으나 패널 크기가 커진 것의 영향으로 게임성이 달라져 악평을 받고 그대로 개발 취소가 되어버렸다.

4.1.1. 업그레이드

유비트 코피어스까지는 업그레이드 킷을 통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하였다. 업데이트가 진행될 때 마다 각 오락실에서 신청을 하여 업그레이드 킷을 받고, 하드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가격은 구성품의 차이 때문에 유동적이었지만 100~300만원 선.

e-amusement participation을 도입한 유비트 소서 이후로는 온라인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판넬은 발매 이후에 따로 배송이 되는데, 부착 여부는 업주 자율에 맡기기 때문에 오락실마다 박혀있는 판넬이 제각각이다. 마지막으로 업그레이드 킷이 적용된 유비트 소서 판넬을 장착하고 있는 오락실이 많지만 어떤 곳은 코피어스 판넬을 그대로 달고 있기도 한다. 후면 판넬은 대부분 자주 교체하거나 아예 장착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 편.

또한 과거에 나온 기체들을 리파인하는 경우도 있다. 새로 출고한 기체처럼 깔끔하며 패널도 새 것. 좌측 또는 우측면에 검은 스티커에 적혀있는 모델명에 생산 당시 현역 가동중인 시리즈명이 붙기 때문에[32] 해당 기체의 연식을 알 수 있다.[33]

4.2. 구조

조작부는 바깥쪽에서부터 아크릴 패널 - 고무(러버돔) - 감지 센서 - 아크릴 판 - 모니터이다. 고무는 아크릴패널 하나당4개씩 총 64개가 있으며, 감지센서는 아크릴 패널 2개를 묶어서 총 8개가 있다. 아크릴 패널을 누르면 러버돔이 들어가면서 감지 센서를 건드리게 되고, 그것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감지 센서는 선으로 이어져 조작부 PCB로 가게 되며, 조작부 기판은 컴퓨터 내의 I/O보드로 연결된다.

러버돔은 개당 약 1000원이며 한 기체의 고무를 전부 교체하면 60000원대가 나온다 한다. 유비트의 간접인식이나 박힘은 대개 러버돔을 교체하며, 눌러도 아예 인식이 안되는 것은 감지 센서가 고장난 것이다. 아무래도 고무의 가격이 상당하다보니 간혹 중국제 고무[34]를 혼용하기도 하는데 이러면 고무의 모양이 달라 인식이 완벽하지 않고, 패널도 무거워진다. 만약 검은색이 아닌 다른 고무를 쓴다면 거의 중국산 고무라 봐도 된다.

4.3. 기타 기종, 시뮬레이터


컴퓨터로 유비트 에뮬레이터를 사용할때는 별도 컨트롤러가 필요한데, 그런 컨트롤러를 만들 여력이 없다든가, 따로 없다면 키패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41]

4.4. 신기체

신기체 관련 트윗
JAEPO 2020 코나미 부스에서 출전 타이틀로 리듬 게임 신기체 2종[42]이 발표되었고, 그 중 하나가 유비트 신기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2월 5일 공개된 PV에서는 차기작 이름이 jubeat(ユビート)라고 나와 있고, 10년 넘게 써 오던 로고까지 바뀌어 있어 신 태고의 달인마냥 시리즈 리부트가 될 가능성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불명. maimai DX처럼 신작이 신기체에서만 돌아가는지도 알려지지 않았다.

신기체는 기존기체와 달리 전반적으로 크기가 커졌는데, 상단 조명 유닛이 간소화된 대신 패널 위 모니터가 2배정도 커졌으며, 패널 크기가 8*8cm로 약 20% 커진 영향으로 각 패널간의 거리도 늘어났다. # 또한 기체의 방향이 약간 비스듬히 놓여져 있는 것도 포인트. 손 작은 사람들이 불만을 표하는 것 같다.

그러나 이후 이렇다 할 정보가 공개되지 않고 있다가 2022년 8월 3일 구기판으로 유비트 애비뉴가 출시되면서 유비트 신기체는 사실상 개발이 중지된 것으로 보고있다.

5. 그 외

파일:T2dLoR7.png
* 틴탑의 노래 '미치겠어'의 뮤직비디오 1분 37초 부근에 나왔다. 하지만 뮤비가 떴을 때 해당 팬들이 큰 민폐를 끼쳐서 한동안 뒤숭숭한 적이 있다. 거병 문서도 참고. 촬영 장소는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 액션.

6. 관련 문서

7. 외부 링크


[1] 닉네임은 만푸쿠(まんぷく). 이 게임 제작진이 다 그렇듯 기타도라 개발진 출신이며 기타프릭스 1st부터 프로그래머로 참여한 고참 중 하나. 또한 코나미 고베 개발소의 BEMANI 부서의 총괄 프로듀서이기도 하다. 맛스루가 워낙에 어그로를 많이 끌어서 맛스루를 프로듀서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맛스루는 정확히는 디렉터다.[2] 유비트 대회고전의 ROOM 10 - PROTOTYPE의 CHECK POINT 3의 코멘트에서 발췌.[3] 사실 독일을 비롯해 몇몇 유럽 국가에서는 J를 발음기호에 나와있는 것처럼 반모음으로 그대로 읽는다.[4] 다만 MPC500이라는 모델의 경우는 3×4 배열이다.[5] GFDM XG에서는 기타도라쪽에서 NOVICE - REGULAR - EXPERT로 표기를 바꾸고, MASTER라는 최상위 난이도를 신설했다, GITADORA에서는 BASIC - ADVANCED - EXTREME - MASTER로 고정되었다.[6] GITADORA 시리즈로 넘어간 현재 기타도라에선 OK로 대체되었다. 한편 유비트에서는 마커 선택 화면에서 마커를 테스트해 볼 수 있는데 GOOD까지는 그대로 읽어 주지만 POOR는 EARLY 또는 LATE로 나온다.[7] 소서 풀필에서 판정 이름들이 나왔다.[8] 서로의 차이점은 기타드럼에서는 0.00부터 9.99까지 0.01 단위로 표기 레벨이 바뀌지만, 유비트에서는 9.0부터 10.9까지 0.1 단위로만 레벨이 책정되는 정도이다.[9] 대표적으로 유비트 니트까지의 사운드 디렉터는 기타도라 시리즈의 사운드 디렉터인 이즈미 무츠히코이다. 유비트 니트 어펜드부터 숏쵸가 사운드 디렉터를 맡고 있는데, 그 또한 기타도라 스태프 출신이다.[10] 다만 유비트 소서 풀필에선 댄스 댄스 레볼루션 스태프 출신인 후지모리 소타가 잠시 사운드 디렉터로 참여한 적이 있다.[11] 대표적인 예로 비트매니아 IIDX 제작진들은 리플렉 비트 시리즈를, 댄스 댄스 레볼루션 제작진들은 댄스 에볼루션DANCERUSH를, 팝픈뮤직 제작진들은 노스텔지어 시리즈를 만들었다.[12] 이 게임도 한때 코나미 e-AMUSEMENT PASS 대응 게임중에서 마작 파이트 클럽과 더불어 매출 탑을 달리는 게임이었으나 현재는 인기가 많이 떨어졌다는 점이 유비트와 비슷하다.[13] 대표적으로 어펜드. 하지만 이것은 유비트 코피어스 어펜드를 끝으로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14] 바나패스도 비슷한 이유로 철권카드라 많이 불린다. 근데 이쪽은 그냥 바나패스라는 이름을 모르는 사람도 있다. A:바나패스 주세요 B:네? A:아.. 그.. 철권카드요 B:(철권디자인 카드를 꺼내듬) A:.....[15] 해당 이벤트 꼴찌가 DANCERUSH STARDOM인데, 가동된 지 2년도 안 된 최신작인데다 퍼포먼스 중심의 게임이다 보니 납득이 되는 상황이다. 그런데 유비트 시리즈는 나온 지 11년이 넘었다. 말이 좋아 뒤에서 2등이지 사실상 꼴찌인 상황.[16] 코로나 전까지만 해도 유비트는 일본 내에서 여전히 BEMANI 중 가동 매장수 1위였다.[17] 2024년 7월 기준 일본 내에서는 기타프릭스보다 가동 매장수가 적다.[18] 소서 풀필 ~ 프롭에서는 NORMAL MORE, COURCE, ARENA 모드를 선택하거나 Expert Mode를 적용하였을 경우 상세 판정 표시를 보여주었다가(노멀 모드에서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았다) 모드가 폐지된 큐벨~페스토에서는 EXPERT MODE를 추가한 이후에만 확인 가능한 추가 유료 기능으로 남아있었다. 이후 페스토부터 제한이 풀려 항상 자세한 결과를 표시하도록 변경되었다.[19] 대한민국 제외[20] 실제로 이후 작품에서는 소서와 별개 시리즈로 분류된다.[21] 페스토 출시일부터 애비뉴 출시일까지 일본은 1429일, 대한민국은 1425일 가동했다.[2012] 12년도 이후 기체[2018] 18년도 이후 기체[24] 일본 내수용 기기 중 일부는 512MB인 것도 있다. EZ2AC EV 이전의 구형 기판과 동일한 용량. 다만 음파 크래시 버그는 사운드 데이터 규격이 시스템이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너무 커서 발생하는 버그로, 유비트 시리즈의 경우 나타날 확률이 매우 적지만, 프레임 저하등의 문제가 있는 편.[25] 기판 업그레이드 이후에도 변경되지 않은 부품이다.[26] 임베디드에 최적화된 저전력 산업용 보드이며 상업용 PC 중에 이에 가까운 모델을 꼽자면 DELL 제품군의 완제품 PC 보드와 그 구조가 매우 유사하다.[27] 90˚ 회전하여 사용. 최근 생산분은 1920×1080을 지원하는 모니터를 사용하나, 초기 기체는 해상도가 1360x768인 모니터를 사용하며 유비트 시리즈의 프로그램은 여기에 맞춰져 가동된다. 사운드 볼텍스의 구기체/신기체도 이러한 경우가 있지만, 사운드 볼텍스의 경우에는 모니터의 권장 해상도에 맞게 출력된다.[28] Windows XP Embedded의 판매 및 지원기간이 2019년으로 최종 종료되었기 때문에 변경된 것이다.[29] 패널, LED 조명 등을 제어[30] 대부분 시게이트 제품이다.[31] 애비뉴부터는 범용 패널을 사용한다.[32] 2010년 생산기체면 유비트 니트라 적혀있다.[33] 중량, 모델, 제조번호와 KC표시에 품명, 제조사, 제조년월, 모델명이 있다.[34] 대개 유빗콘을 만드는 DJ DAO에서 판매하는 고무를 쓴다.[35] 엑스페리아 Only지만 적절하게 받아서 build.prop를 해상도에 맞춰 변경하면 실행된다. 단, 일부 기기(구글 플레이. 갤럭시 S II HD LTE갤럭시 노트 등)에서 메뉴 진입이나 곡 선택하면 소리는 나는데 정작 플레이시 소리가 안나고 조금 있다가 마커가 멈춰버리는 등 이상현상이 조금 있다. 웬만한 기기에선 다 잘 되는 듯. 옵티머스 빅 ICS나 갤럭시 S3 등에서 정상 작동이 보고됨.[36] 원판이 저작권 문제로 사장됐으나, 부활해 현재 홀드보면도 지원한다.[37] 자신의 mp3파일을 이용해 노트 자동생성이 가능하나, 채보 퀄리티는 그저 그렇다.[38] 중국에서 만든 앱. 안드로이드 기본 음악 플레이어에 의존하는지 기본 플레이어가 실행중일때만 소리가 나온다.[39] 한국인 개발자 호요가 만든 앱. Google Play Game 을 이용하여 타인 혹은 자신의 이전 기록과 매칭을 지원한다. 추가로 위에서 말한 Andjuist와 Touchbeat-J 채보를 지원한다.[40] iOS를 위한 탈옥앱이다. 판정용으로는 그저 그렇지만, 채보 연습용으로 좋다. 현재 큐벨 테마까지 등장했다.[41] 그러나 한국에서 파는 키보드/키패드중 정사각형 16칸 배열이 아닌 키패드가 많은데(대부분 맨 오른쪽이 -키, +키, 엔터키로 3개밖에 없다), 다이소에서 파는 TG삼보의 키패드는 일본 네티즌이 많이 쓰는 ELECOM의 키패드처럼 16칸 배열이 되어있다.(탭키, /키, *키, -키, 숫자키, +키, .키, 엔터키)[42] 원래는 신기체 1종, 신규 타이틀 1종으로 발표되었다가 어느 시기부터 신기체 2종으로 변경되었다. 나머지 하나는 NEW pop'n music Welcome to Wonderland![43] 코나미에서 다시 보컬을 불러서 리핑한 라이센스곡[44] 지금은 여러 차기작들이 나온 관계로 카드를 사용하기만 하면 바로 출현한다.[45] 단, 유비트 채보를 제대로 표현하려면 4줄이 필요한데 알송 가사는 최대가 3줄이라 레이아웃이 이상하게 보인다.[46]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에 총 3대가 있으나(니트 1대, 페스토 2대) 모두 네트워크를 연결하지 않아 10곡 내외의 추천곡만 플레이 가능(페스토 한정. e-amusement participation 참조.)하다.[47] ADJUST festo와 동일한 포맷.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