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0:35:56

헤븐즈 도어(죠죠의 기묘한 모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더 죠죠랜즈에 등장하는 동명의 스탠드}}}에 대한 내용은 [[헤븐즈 도어(더 죠죠랜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헤븐즈 도어(더 죠죠랜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헤븐즈 도어(더 죠죠랜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더 죠죠랜즈에 등장하는 동명의 스탠드: }}}[[헤븐즈 도어(더 죠죠랜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헤븐즈 도어(더 죠죠랜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헤븐즈 도어(더 죠죠랜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d54390>
파일:제4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로고.png
등장 스탠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max-width:10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죠스케 일행
<rowcolor=#525151,#000000>
모리오초스탠드 유저
초반부
<rowcolor=#525151,#000000>

중후반부
<rowcolor=#525151,#000000>

기타
<rowcolor=#525151,#000000>
}}}}}}||

파일:Kishibe-Rohan_Symbol.png

키시베 로한 관련 문서 열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2px; word-break:keep-all"
파일:rohan-p4.png
파일:rohan-p9.png
파일:rohan-tskr.png
4부
키시베 로한
9부
키시베 로한
외전
키시베 로한
스탠드 (4부 · 9부 · 외전) · 작중 행적 · 미디어 믹스
허나 거절한다 · 핑크 다크의 소년
}}}
}}}}}} ||
파일:천국의문3.png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파일:천어어국의문.png
<colbgcolor=#303030,#000000> 애니메이션
}}}}}}}}}}}} ||
헤븐즈 도어
[ruby(天国への扉, ruby=ヘブンズ・ドアー)]|Heaven's Door[1]
CV 사쿠라이 타카히로[2][3] (櫻井孝宏)
Part 4 TVA
올 스타 배틀 R
카미야 히로시(불명확)[4] (神谷浩史)
All Star Battle》·《Eyes of Heaven
해외판 성우 빅 미뇨냐 (Vic Mignogna)
Part 4 TV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상세 프로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헤븐즈 도어
스탠드 유저 키시베 로한
명칭 유래 밥 딜런의 곡
Knockin' on Heaven's Door
타입 등장 초반: 현상형
정신공격형
등장 후반: 인간형
색적 탐사형
정신공격형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스탯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파일:헤븐즈 도어1121.png
<colbgcolor=#303030,#000000> 헤븐즈 도어
파괴력 - D 스피드 - B 사정거리 - B
지속력 - B 정밀동작성 - C 성장성 - A
}}}}}}}}}}}} ||
}}}}}}}}} ||
1. 개요2. 외형 및 특징3. 능력
3.1. 스탯3.2. 종이책
4. 단점5. 화이트스네이크와의 비교6. 기타

" 기억을 가져가겠다."

1. 개요

<nopad> 파일:Unit_Rohan_Kishibe_(Voiceless!).png <nopad> 파일:attachment/jbaasb-heavens-door.jpg <nopad> 파일:HeavensDoorEoH.png <nopad> 파일:ASBR-STAND-HD.png
SS ASB EoH ASBR
{{{#!folding [ 펼치기 · 접기 ]<nopad> 파일:천국의문1.png <nopad> 파일:천국의문2.png
TVA 설정화
<nopad> 파일:external/blogfiles9.naver.net/%C7%EC%BA%EC%C1%EE_%B5%B5%BE%EE.png <nopad> 파일:아이캐치 헤븐즈 도어.jpg
TVA 아이캐치[5]
15화[6] 26화 }}}

만화 죠죠의 기묘한 모험 4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의 등장인물 키시베 로한스탠드.

2. 외형 및 특징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Heaven%27s_door_rohan_kishibe_c372.png파일:heavens-door-jojo.gif
첫 등장 시는 실체가 없는 스탠드로서, 키시베 로한 본인이 그린 만화 원고를 상대에게 보여주는 것으로 발동되는 스탠드였지만 이후 성장하면서 키시베 로한의 모험 ①부터 캐릭터를 허공에 그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위바위보 소년이 온다 ①에서 그리는 것보다는 스탠드체를 불러내는 듯한 연출로 해당 캐릭터를 불러내더니 가위바위보 소년이 온다 ②에서 부터 아예 스탠드체로 취급된다.

투명한 모자를 쓰고 괴도를 연상시키는 모습의 스탠드체는 로한 본인의 연재작 '핑크 다크의 소년'에 나오는 주인공의 모습이다. 스탠드체를 소환하는 방식이 로한이 직접 스탠드체를 그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자신의 연재작의 주인공을 그린 듯. 처음엔 인간에 가까운 생김새였지만, 갈수록 다소 로봇에 가까운 디자인으로 그려지고 있다.
원작자 아라키 히로히코가 가지고 싶다고 한 스탠드이기도 하다. 이외에도 작가 본인도 손수 작화만 해도 단 3일 만에 끝내고, 키시베 로한 그 자체도 자신이 닮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아라키 히로히코의 만화술이 정식으로 발매되었을 때 메인 표지에 자신과 키시베 로한이 포옹하고 있는 그림을 그리는 등 키시베 로한은 여러모로 작가의 페르소나이다.

3. 능력

쉬운 조건으로 적을 제압하고 정신까지 조종하는 사기적인 스탠드지만, 작품의 원활한 위기 전개를 위해서 활약상이 적은 편.[7] 아군치고는 능력이 너무 강하다는 점에서는 3부의 무함마드 압둘 / 같은 부의 니지무라 오쿠야스 / 5부의 판나코타 푸고가 연상되기도 한다.[8]

그나마 비중을 없애버리거나 지능을 낮춘 여타 인물과 달리 로한의 비중은 높은 편이며 판단력도 좋은 대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하이웨이 스타에 당할 때처럼 헤븐즈 도어가 진작에 무력화당하고 로한 본인의 기지로 위기를 돌파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어린아이나 어느 정도 지능을 보유한 동물에게도 쓸 수 있다.

3.1. 스탯

3.2. 종이책

4. 단점

5. 화이트스네이크와의 비교

정신조작능력이라는 점에서 엔리코 푸치의 화이트스네이크와 비교되기도 한다.
부산물
자아
장점
단점

덕분에 나온 것이 6부의 메이드 인 헤븐戰에 죠타로가 로한을 데려갔더라면 필승이었을 거라는 죠죠팬 사이에서의 유명한 떡밥이 있다. 시간이 엄청나게 가속된 상태에서도 절대 마감일을 넘기지 않는 스피드라면 날아오는 푸치신부를 붙잡아 써넣는 게 가능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역시 스피드가 A급에다 심지어 정밀동작성도 A인 스타 플래티나마저도 메이드 인 헤븐의 속도를 잡아내지 못하였으니 실제로 로한이 잡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반대로 푸치의 조력자가 되었을 때의 상성도 최고. 화이트스네이크와 보조할 수 있어서 죠타로의 기억에서 메이드 인 헤븐의 방법을 찾는 것도 가능했을 테고, 유령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니 DIO의 뼈에 명령을 내리는 것도 가능성이 없진 않다.

6. 기타

후반부가 되면 접촉만으로 능력을 발동할 수 있지만 아무래도 로한 본인이 직접 허공에 스탠드체를 그려서 소환하는 것이 인상깊고 간지나서인지 ASBEoH에서는 스탠드체를 직접 그려서 소환한다. 특히 필살기 연출(ASB의 HHA & GHA, EoH의 DHA)은 무조건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스탠드체를 그리는 연출이 사용된다.


[1] 북미에서 번역 작업이 거쳐진 TVA / ASB / EoH 등의 매체에서 등장한 스탠드들은 대부분 저작권에 의한 개명이 이뤄졌으나, 헤븐즈 도어는 명칭이 바뀌지 않았다. 명칭의 모티브 자체는 Knockin' on Heaven's Door이긴 하나, '헤븐즈 도어'라는 단어는 이전부터 보통명사로서 사용되었기 때문.[2] 이전 황금의 선풍에서 브루노 부차라티를 맡았다.[3] 4부 TVA 28화에서 하이웨이 스타의 정보를 읽을 때 로한이 헤븐즈 도어를 빌려 말을 하였다.[4] 일반적으로 '본체의 성우 = 스탠드의 성우'이지만, 매체들 중에서 본체의 목소리임이 뚜렷한 소리를 내지 않아 불명확하다.[5] 실루엣은 스탠드 유저인 키시베 로한.[6] 아이캐치 공개 당시 헤븐즈 도어의 모습이 아직 공개되지 않아서 실루엣 처리가 되어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스탠드 유저의 이름과 스탠드의 이름이 반대로 되어있다는 점. 이후 26화에서 제대로 수정되었으나, 스타 플래티나 더 월드의 아이캐치에서도 또다시 뒤바뀜 오류가 일어난다. BD에서는 수정되었다.[7] 특히 최종전에선 하야토를 간단히 제압시키고 가장 먼저 키라의 행방을 찾아내면서 그 강력함이 부각되었으나, 곧바로 바이츠 더 더스트의 희생양이 되어 그대로 퇴장당해 아무런 활약을 못했다.[8] 그래서 이런 제약이 없는 외전에서는 정체 불명의 존재를 상대로 위기를 탈출하는 만능 키 취급이다.[9] 다만 작중에서 스탠드체가 생긴 뒤 그림으로 발동시킬수는 없어졌는지는 부정확하다. 작중 상황에서는 그럴 필요도 없었고 로한 본인도 자기 집이 아닌 다른 곳에서 습격당한 상황이 다수라 다른 그림을 꺼낼 수 없었기 때문.[10] 아예 없진 않은데 맨 인 더 미러는 파괴력과 스피드가 모두 일반인 수준인 C이며, 아예 파괴력+스피드가 없음으로 나온 페이즐리 파크도 러시를 날린 적이 있다.[11] 헤븐즈 도어의 능력을 특정 대상을 매개체로 정보를 확인하는 사이코메트리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대상의 시점을 기준으로 한 기억만 읽을 수 있다.[12] 이 경우 '스탠드 능력자가 아니게 된다'가 아니라 '내가 스탠드 능력자라는 걸 자각하지 못한다' '스탠드를 쓰고 싶지 않다'라고 적으면 그만이기 때문.[13] 통상적으로 스탠드체끼리는 간섭이 가능하고, 스탠드 자체가 스탠드 사용자의 정신 발현체임을 감안하면 유령 자체도 일종의 정신 발현체라 볼 수 있으므로 헤븐즈 도어가 통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A] 초반과 후반의 헤븐즈 도어 둘 다 지닌 능력.[B] 초반과 후반의 헤븐즈 도어 둘 다 해당되는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