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2 22:11:27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20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37321><tablebgcolor=#f37321>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svgHanwha Life Esports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404041;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igers 2015
ROX Tigers 2016
2017 2018
Hanwha Life Esports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

Hanwha Life Esports 역대 시즌
2024 시즌 2025 시즌 2026 시즌
1. 개요2. LCK 스토브리그/20243. 2024 LoL KeSPA Cup
3.1. B조 풀리그3.2. 퀄리피케이션 스테이지3.3. 녹아웃 스테이지
4.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4.1. 그룹 배틀4.2. 플레이-인4.3. 플레이오프4.4. 결승전4.5. 총평
5. 2025 First Stand Tournament6. 2025 LoL Champions Korea
6.1. 1~2 라운드6.2. Road to MSI6.3. 3~5 라운드
7. 팀별 둘러보기

1. 개요

Great Challengers
스프링 3위, 서머 우승으로 국내 리그 성적은 리브랜딩 이후 역대 최고였지만 1시드로 나간 월즈에서는 아쉽게 8강에서 떨어진 가운데 스토브리그를 시작한 한화생명의 2025 시즌이다.

2. LCK 스토브리그/2024

파일:2025HLEOfficial.jpg
강팀 중에서는 T1과 함께 역대급으로 평온한 스토브리그를 보내고 있다. 그 이유로 피넛, 제카, 딜라이트가 2년 계약이고 1년 계약인 바이퍼도 대전 로컬이라는 상징성으로 한화생명에 대한 애정을 확실히 보여주는 선수라 재계약으로 잡아둘 가능성이 높으며 설령 놓쳐도 룰러와 페이즈라는 상급 매물이 시장에 풀리는 게 확정적인 상황이다. 거기에 한상용 감독이 '한화생명은 올해도 돈을 쓸 생각이다'라고 직접 언급했고, 영입 경쟁 대상 선수에게는 '절대 거절할 수 없는 조건을 제시한다' [1][2]라는 코멘트까지 남겨 상위권 매물 영입 경쟁 머니게임에서 절대 지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11월 17일 LPL의 썰쟁이 한이가 젠지의 로스터를 공개했는데, 기인의 재계약을 예상했다. 이렇게 되면 한화생명은 기존의 탑인 도란의 재계약을 목표로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시에 11월 18일까지 기인의 계약을 지켜봐야한다는 것으로 보아 아직 기인 영입을 배제할 순 없는 상황이다. 한 가지 확실한 건 기인 혹은 도란이 2025시즌 한화생명의 탑이 될 확률이 매우 높다. 허나 기인이 젠지와의 재계약에 합의했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도란과 1년 더 같이 갈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

11월 19일 오후 9시 30분, 공식 유튜브를 통해 바이퍼와의 재계약을 했음을 밝히며 3년 연속 한화생명과의 동행을 이어갔다.# 나는 바이퍼 원딜의 신!

11월 20일 오후 9시 30분 도란과의 계약을 종료하였다.

11월 20일 오후 10시 제우스의 영입을 공식 발표하였다. 계약 서비스타임은 제우스에게 옵션 권한이 있는 1+1년. 다만 제우스 영입 과정에 T1 프런트와 에이전시 간 잡음이 있었고 이 때문인지 계약 확정부터 오피셜 발표 사이 기간이 길지 않았던 탓에[3] 로스터 공개영상 없이 SNS 게시글로만 대체하였다. 이후 12월 1일 영상을 공개하였다.#-번개 칠 때까지 기다렸다는게 학계의 정설-

11월 22일 기준 모든 팀들이 감코진이 정해지는 와중에 한화생명만 유일하게 감코진이 정해지지 않고 있다. 보통 최인규 감독과 재계약을 했으면 진작에 오피셜이 나왔겠지만 재계약은 커녕 FA 오피셜조차 나오지 않는 중.

11월 26일 공식 SNS를 통해 최인규 감독과의 재계약을 발표했다.

12월 19일 공식 SNS를 통해 신동욱 코치와 계약을 발표하면서 1군 로스터를 완성시켰다. 여담으로 22drx 코치들을 완성시킨 것은 덤.

스토브리그 총평은 선수단만큼은 23 징동 게이밍에 비견될만한 역대급 슈퍼팀이라는 평가다. 피넛-제카-바이퍼-딜라이트의 조합은 이미 작년 서머 우승으로 인해 검증된 조합이었는데, 주사위형 탑 라이너 도란의 빈 자리를 무려 월즈 리핏을 기록한 역체탑 후보 제우스로 대체하고 메타픽 분석 자체는 잘하지만 메타픽 해석이 느려서 고생하던 코치진도 베릴이 많은 도움을 받았다며 감사를 표한 신동욱 코치를 영입해 보강하며 이번 스토브리그의 승자 중 한 팀으로 평가되고있다.

특히 다른 팀들이 샐러리캡 이슈로 돈을 많이 쓰지 못하는 환경이 만들어졌는데, 한화생명은 모기업이 아낌없이 지원을 해줄 수 있다는 점을 역이용해서 오히려 다른 팀들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그냥 샐러리캡 벌금 내고 말지'라는 마인드로 샐러리캡마저 무시하고 돈을 쓰는 전략을 사용했고, LCK 팀들은 물론 차이나 머니로 유명한 LPL마저 아예 돈 싸움으로 한화생명과 붙지도 못하는 상황을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물론 최인규 감독에 대한 불안감과 전통적으로 T1을 나간 선수가 T1 시절에 비해 좋은 평을 받지 못했던 잠재적 위험 사례도 결코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제우스가 이적한 팀에서 얼마나 적응을 잘 해낼지와 보강된 감코진이 작년의 실패를 얼마나 극복해낼지가 시즌 최대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피어리스 밴픽으로 진행되는 시즌이라서 챔피언 폭과 밴픽도 매우 중요한데, 한화가 월즈에서 부진할 당시 티어 정리와 더불어 선수 개인의 챔프 폭 관련해서 이야기도 나오기도 했기에 챔프 폭에 따른 다양한 승리 전략과 밴픽 또한 관건이다.

3. 2024 LoL KeSPA Cup

Hanwha Life Esports
<colbgcolor=#ff6b01><colcolor=#fff> 감독 [[최인규(1994)|최인규
DanDy
]]
코치 [[이재하(1998)|이재하
Mowgli
]]|[[김현식(e스포츠)|김현식
Bibra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7. [[신윤환|신윤환
Roost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 [[조승훈(프로게이머)|조승훈
Grizzly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 [[김건우(프로게이머)|김건우
Zeka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오영웅|오영웅
Tempest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 [[박도현(2000)|박도현
Vip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3. [[유환중|유환중
Delight
]]
파일:KeSPA_Cup_logo_white.png 2024 LoL KeSPA Cup B조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KeSPA_Cup_logo_white.png 2024 LoL KeSPA Cup 경기 결과표
조별 풀리그 B조 B




8
4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T1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세트 1 1 0 0 1 0 1 1 1 1
0 0 1 1 0 1 0 0 0 2
결과 2




3




4








3위
전적 1 2 2 2 3 3
0 0 1 2 2 2
득실 +1 +2 +1 0 +1 +1
순위 1 1 2 3 3 3
이미 국가대표 경력이 있던 제우스피넛은 불참했고 이를 대신해 2군에서 루스터그리즐리, 식스맨으로 템페스터가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3.1. B조 풀리그

3.2. 퀄리피케이션 스테이지

파일:케스파컵 심볼 (화이트).svg 퀄리피스테이션 R1 2경기
kt Rolster W L Hanwha Life
Esports
R2 M3 진출 결과 R2 M2 진출

B조 3위로 퀄리피케이션 스테이지에 진출하면서 A조 3위인 KT와 맞붙게 되었다.
파일:케스파컵 심볼 (화이트).svg 퀄리피케이션 스테이지 R2 2경기
Hanwha Life
Esports
W L Nongshim
RedForce
R3 M1 진출 결과 탈락
파일:케스파컵 심볼 (화이트).svg 퀄리피케이션 스테이지 R3 1경기
kt Rolster L W Hanwha Life
Esports
탈락 결과 R4 진출
파일:케스파컵 심볼 (화이트).svg 퀄리피케이션 스테이지 R4 녹아웃 진출 결정전
Chinese Taipei L W Hanwha Life
Esports
탈락 결과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한화생명이 KT를 3라운드에서 제압하며 4라운드에 진출하는데 성공, 이 경기에서 대만 올스팀과의 녹아웃 마지막 티켓을 두고 결전이 치러진다.

3.3. 녹아웃 스테이지

파일:케스파컵 심볼 (화이트).svg 녹아웃 스테이지 1경기
(2024.12. 00:00)
OKsavingsBank BRION 2 1 Hanwha Life Esports
× × ×
결승 진출 결과 4강 탈락

4.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Hanwha Life Esports
파일:2025 LCK CUP HLE.jpg
<colbgcolor=#ff6b01><colcolor=#fff> 감독 [[최인규(1994)|최인규
DanDy
]]
코치 [[이재하(1998)|이재하
Mowgli
]]|[[신동욱(e스포츠)|신동욱
Shine
]]
분석 [[김현식(e스포츠)|김현식
Bibra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0. [[최우제|최우제
Zeus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1. [[한왕호|한왕호
Peanu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 [[김건우(프로게이머)|김건우
Zeka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 [[박도현(2000)|박도현
Vip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4. [[유환중|유환중
Delight
]]
<colcolor=#fff>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경기 결과표
<colbgcolor=#555169> 라운드 VS GROUP ELDER <colbgcolor=#898696>






P.I 2R PO 1R PO 2R PO 3R 결승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세트 <colbgcolor=#555169><colcolor=#fff> 0 2 2 1 2 2 3 3 3 3
2 0 0 2 0 0 2 2 2 2
<rowcolor=#000> 결과





2













전적 0 1 2 2 3 3
1 1 1 2 2 2
득실 -2 0 +2 +1 +3 +3
<rowcolor=#000> 순위 5 2 2 2 2 2

4.1. 그룹 배틀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5경기
(2025. 01. 17.)
GROUP ELDER 2 0 GROUP BARON
Gen.G Hanwha Life
Esports
- × × -
1승 결과 1패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9경기
(2025. 01. 19.)
GROUP ELDER 0 2 GROUP BARON
kt Rolster Hanwha Life
Esports
× × - -
1승 1패 결과 1승 1패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9경기 Player of the Match
김건우
(Zeka)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4경기
(2025. 01. 23.)
GROUP BARON 2 0 GROUP ELDER
Hanwha Life
Esports
Nongshim
RedForce
- × × -
2승 1패 결과 1승 2패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4경기 Player of the Match
박도현
(Viper)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7경기
(2025. 01. 25.)
GROUP BARON 1 2 GROUP ELDER
Hanwha Life
Esports
Dplus KIA
× × ×
2승 2패 결과 4승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22경기
(2025. 01. 31.)
GROUP ELDER 0 2 GROUP BARON
DRX Hanwha Life
Esports
× × - -
3승 2패 결과 3승 2패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22경기 Player of the Match
박도현
(Viper)

4.2. 플레이-인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인 2라운드 2경기
(2025. 02. 08.)
Hanwha Life
Esports
2 0 DRX
- × × -
PO 1라운드 진출 결과 3라운드 진출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인 2라운드 2경기 Player of the Match
김건우
(Zeka)

4.3. 플레이오프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오프 1라운드 2경기
(2025. 02. 13.)
T1 2 3 Hanwha Life
Esports
× × × × ×
6위 결과
2라운드 진출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오프 1라운드 2경기 Player of the Match
최우제[4]
(Zeus)

플레이오프 R1 단두대매치이자 바론 그룹 1위/2위간의 대결, 그리고 도란과 제우스의 팀 스왑 이후 첫 번째 맞대결이다.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
(2025. 02. 16.)
Gen.G 2 3 Hanwha Life
Esports
× × × × ×
패자조 진출 결과
승자조 진출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 Player of the Match
유환중[5]
(Delight)
그룹스테이지 전승+장로 그룹 1위 디플이 농심을 플옵 2라운드 상대로 지목하면서 지난 서머 결승전에 이어 또 다전제서 붙게되었다.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오프 3라운드 승자조
(2025. 02. 19.)
Dplus KIA 2 3 Hanwha Life
Esports
× × × × ×
결승 진출전 진출 결과
결승 진출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오프 3라운드 승자조 Player of the Match
최우제[6]
(Zeus)

4.4. 결승전

파일:LCK CUP 결승전 로고 화이트.svg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FINALS

2025년 2월 23일 일요일
<rowcolor=#888597> LoL PARK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3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Hanwha Life Esports Gen.G
× × × × ×
우승 결과 준우승
2025 First Stand 진출
파이널 MVP
파일:2025 LCK Cup Final MVP.jpg
최우제
(Zeus)

승자조에서 디플러스 기아를 상대로 5세트 혈전 끝에 결승전에 진출한 한화생명이다. 물론 올라오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바론 그룹 1시드 였음에도 그룹 배틀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며 시작이 불안하였으나 플레이-인에서부터 폼을 점점 회복하기 시작하더니 플레이오프에서는 T1과 젠지를 5꽉으로 끌고가 승리하더니 심지어 이번 LCK 컵 매치 전승 중이던 디플러스 마저 격파하면서 결승 직행에 성공하였다. 이 경기 승리 시 LCK 컵 초대 우승팀 및 올해부터 시행되는 2025 First Stand Tournament에 LCK 대표로 출전하게 된다.

결국 젠지가 최종전에서 디플러스 기아를 3:0으로 잡고 올라오면서 2024 LCK 서머 결승에 이어 다시 한번 만나게 되었다.

4.5. 총평

시작은 미약했으나 끝은 창대했다. 그룹 배틀만 하더라도 제우스를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한 것이 무색하게 불안한 경기력을 보였지만, 플레이-인에서 DRX를 완파하며 힘을 가다듬더니 플레이오프에서 4경기 20꽉이라는 강행군을 전부 버텨내고 우승을 차지했다. 심지어 피어리스가 적용된 대회에서 5꽉을 4연속으로 치르면서 전부 이겼다는 점에서 선수단의 넓은 챔피언 폭과 감코진의 적절한 밴픽이 모두 적절하게 어우러졌다는 평이다.

5. 2025 First Stand Tournament

Hanwha Life Esports
파일:2025 FST HLE.jpg
<colbgcolor=#ff6b01><colcolor=#fff> 감독 [[최인규(1994)|최인규
DanDy
]]
코치 [[이재하(1998)|이재하
Mowgli
]]|[[신동욱(e스포츠)|신동욱
Shine
]]
분석 [[김현식(e스포츠)|김현식
Bibra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0. [[최우제|최우제
Zeus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1. [[한왕호|한왕호
Peanu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 [[김건우(프로게이머)|김건우
Zeka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 [[박도현(2000)|박도현
Vip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4. [[유환중|유환중
Delight
]]
<nopad>
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오렌지.svg 2025 First Stand Tournament 경기 결과표
<rowcolor=#45002c> 라운드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


4강 결승
<colbgcolor=#ECE5E7><colcolor=#45002c>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세트 2 2 2 2 3 3
0 0 1 1 0 1
결과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 전승



전적 1 2 3 4 4
0 0 0 0 0
득실 +2 +4 +5 +6 +6
순위 1 1

창단 이후 월즈가 아닌 국제 대회 및 첫 퍼스트 스탠드 LCK 대표로 나가게 되었다.

LCK를 대표하는 강팀을 모두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국내에서는 증명을 마쳤으나, 아무리 국내 성적이 매우 좋아도 국제 대회 성적이 따라주지 못하면 최고의 팀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고, 작년 월즈에서 최인규 감독을 필두로 8강 광탈이라는 좋지 못한 성적을 받으며 절치부심했던 한화생명 입장에서는 국제 대회 우승을 통해 확실한 증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국제전 성적이 좋은 LCK 입장에서도[7] 기세와 자존심을 이어가야 하는 과업을 맡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관건은 역시 최인규 감독을 비롯한 감코진들이 상대팀 분석과 변화된 메타 파악을 얼마나 잘 해와서 밴픽을 잘해내 작년 월즈의 참사를 극복하느냐라고 볼 수 있는데, 최인규 감독이 명장으로 평가되지 못하는 굴레가 바로 단기 메타 해석 실패와 국제 대회 상대팀 분석 실패로 인한 작년 월즈 8강 참사 때문이었기에[8] 이번에야말로 국제전 우승을 통해 자신에 대한 평가를 반전시킬지가 관건이다.

감코진 뿐만 아니라 모든 선수가 국제전에서 증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제우스는 T1을 나오고 처음 치르는 국제전에서 이전만큼의 파괴력을 보여줄 수 있는지, 피넛은 최근 2년간 국제전에서의 약세, 특히 LPL 팀을 상대로 좋지 못한 전적을 극복해낼 수 있는지[9][10], 제카는 의외로 약세를 보이고 있는 LPL 미드 라이너와의 대결에서[11][12] 얼마나 좋은 모습을 보여줄지, 바이퍼는 월즈가 아닌 첫 국제 대회에서[13] LPL과 LCK를 제패한 그 폼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을지, 딜라이트는 2023~2024 시즌 국제전 부진을 극복하고 이번 LCK 컵에서 만나는 상대마다 서포터 차이를 내며 우승에 기여한 최고의 서포터의 기량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팀적으로도 전신이자 전성기였던 락스 타이거즈 시절 결국에는 이루지 못했던 국제전 우승의 꿈에 도전할 수 있는 천금같은 기회이고, 우승하게 된다면 T1, 젠지, 디플러스 기아, DRX 다음으로 국제전을 우승한 다섯 번째 LCK 팀, 초대 퍼스트 스탠드 우승 팀으로 이름을 남길 수 있을 뿐더러 한화생명이 e스포츠에 거액을 투자했던 이유라고 할 수 있는 기업 홍보에도 굉장히 큰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비록 대회 규모는 크지 않지만 굉장히 의미 깊고 중요한 대회라고 할 수 있다.

5.1.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

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퍼플.svg 라운드 로빈 2경기
(2025. 03. 10.)
Hanwha Life Esports 2 0 Top Esports
- × × -
1승 결과 1패
파일:OPPO 로고.svg Player of the Series
김건우
(Zeka)

이번 2025 FST에서 우승 후보로 평가받고 있는 한화생명과 TES가 첫 날부터 맞붙게 되었다.

한화생명이 제우스 영입 이후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적용된 플레이오프 Bo5 다전제 경기에서 무려 4경기 연속 5꽉을 전부 승리하며 결국 우승까지 차지하는 등 피어리스에 대해서 완벽히 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이번 대회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고 있다.

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퍼플.svg 라운드 로빈 5경기
(2025. 03. 12.)
Hanwha Life
Esports
2 0 CTBC
Flying Oyster
- × × -
2승 결과 1승 1패
파일:OPPO 로고.svg Player of the Series
최우제
(Zeus)

TES, KC를 2:0으로 꺾고 첫 승을 수확한 한화생명과 CFO의 맞대결. CFO가 한화생명을 상대로 1세트만 따내도 엄청난 수확이라 할 정도로 한화생명의 압도적인 승리로 예측된다.
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퍼플.svg 라운드 로빈 8경기
(2025. 03. 13.)
Karmine Corp 1 2 Hanwha Life
Esports
× × ×
1승 3패 결과 3승
파일:OPPO 로고.svg Player of the Series
김건우
(Zeka)

2승을 거두어 4강 진출 확정을 지어놓은 한화생명과 TES를 2:0으로 완파하면서 연패의 늪에서 탈출한 KC의 맞대결. 한화생명의 우세로 점쳐지고 있지만 KC 또한 TES전에서 경기력이 급격히 올라간 모습을 보여준데다 매치 승리 시 4강에 진출이어서 전력을 다해 상대할 것이기에 아무리 체급 차이가 있더라도 결코 방심할 수 없는 상대이다. 한화생명은 이번 경기를 세트 포인트 상관없이 이기기만 해도 자력으로 1위 확정을 짓는다.

여담으로 T1을 거쳐간 탑라이너인 칸나와 제우스의 맞대결이 주목된다.[14]
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퍼플.svg 라운드 로빈 10경기
(2025. 03. 14.)
Team Liquid
Honda
1 2 Hanwha Life
Esports
× × ×
1승 3패 결과 4승
파일:OPPO 로고.svg Player of the Series
최우제
(Zeus)

이미 4강 진출 및 1위 확정을 지은 한화생명과 4강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싶은 TL의 맞대결.

앞선 9경기에서 CFO가 TES를 상대로 승리하였기 때문에 이번 경기에서 승리 시 4강에서 TES와 맞붙게 되며 패배할 시 KC와 맞붙게 된다.

5.2. 녹아웃 스테이지

파일:퍼스트 스탠드 심볼 퍼플.svg 4강 2경기
(2025. 03. 15. 18:00 KST)
Hanwha Life
Esports
3 0 Top Esports
- - × × × - -
결승 진출 결과 탈락
파일:OPPO 로고.svg Player of the Series
한왕호
(Peanut)


전이 퍼스트 스탠드 개막전에 이어 4강에서 다시 한번 맞붙게 되었다. 당시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에서 한화생명이 2:0으로 승리를 거둔 바 있다.

한화생명이 이번 대회에서 실험픽을 기용했음에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TES는 직전 CFO 경기에서 최악의 폼을 거두며 패배했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는 한화생명의 압승으로 예측된다.

다만 LPL이 그룹 스테이지에서 부진했어도 다전제에 들어서기만 하면 전혀 다른 팀이 된 것 처럼 좋은 경기력을 보여 승리하기도 했었고 한화생명이 작년 월즈에서 경험을 한 바 있으며, 바이퍼가 TL전 승리 인터뷰에서 여전히 제일 위협적인 팀을 TES라고 뽑았을 정도로 방심을 절대 하면 안될 것이다.

해당 경기 승리 시 리브랜딩 이후 첫 국제전 결승이자 2015 월즈 이후 약 10년만에 결승 진출하게 된다.

5.3. 결승전

파일:퍼스트 스탠드 로고.svg
2025 First Stand Tournament 결승
2025년 3월 16일 일요일 17:00 KST
LoL PARK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3 1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Hanwha Life Esports Karmine Corp
× - × × × -
우승 결과 준우승
파일:OPPO 로고.svg 파이널 MVP
김건우
(Zeka)

한화생명이 4강에서 TES를 3:0으로 꺾고 올라오면서 팀 리브랜딩 이후 처음이자 2015 월즈 이후 무려 3424일 만에 국제전 결승 무대에 밟게 되었다. 맞대결 상대는 CFO를 5세트 끝에 승리하고 올라온 KC.

5.4. 총평

10년의 시간, 58명의 도전자들, 그리고 첫 국제전 우승
한화생명의 팀 리브랜딩 이후 처음이자 KOO Tigers의 2015 월즈 준우승 이후 10년만에 국제전 결승 진출에 성공해냈고, 결국 그토록 염원하던 국제전 트로피를 들어올리데 성공했다. 이로써 한화생명은 2025시즌의 골든 로드 도전 자격을 획득했다.

6. 2025 LoL Champions Korea

Hanwha Life Esports
파일:2025 LCK HLE.jpg
<colbgcolor=#ff6b01><colcolor=#fff> 감독 [[최인규(1994)|최인규
DanDy
]]
코치 [[이재하(1998)|이재하
Mowgli
]]|[[신동욱(e스포츠)|신동욱
Shine
]]
분석 [[김현식(e스포츠)|김현식
Bibra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0. [[최우제|최우제
Zeus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1. [[한왕호|한왕호
Peanu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 [[김건우(프로게이머)|김건우
Zeka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 [[박도현(2000)|박도현
Vip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4. [[유환중|유환중
Delight
]]

6.1. 1~2 라운드

<colcolor=#fff>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5 LoL Champions Korea 1~2라운드 경기 결과표
<colbgcolor=#555169> 라운드 1라운드 <colbgcolor=#898696> R
1



2라운드 <colbgcolor=#898696> R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DN 프릭스 로고.svg파일:DN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BNK FearX 2025.pn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DN 프릭스 로고.svg파일:DN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BNK FearX 2025.png
세트 <colbgcolor=#555169><colcolor=#fff> 0 2 2 2 2 2 2 2 2 2 2 2
2 1 1 0 0 0 0 1 0 0 0 0
<rowcolor=#000> 결과
전적 0 1 2 3 4 5 6 7 8 8 9 10 11
1 1 1 1 1 1 1 1 1 1 1 1 1
득실 -2 -1 0 +2 +4 +6 +8 +9 +11 +11 +13 +15 +17
<rowcolor=#000> 순위 8 7 6 4 3 3 2 2 2 2 2 2 2 2 2
Hanwha Life
Esports
0 2 Gen.G
× × - -
1패 결과 1승

개막전 첫 경기부터 2025 LCK컵 결승 리매치가 성사되었다. 지금까지 한화생명이 젠지를 상대로 19연패를 기록했지만 2024 서머 결승전을 기점으로 2025 LCK 컵까지 다전제에서 전부 승리하여 전력 차이를 어느 정도 좁혀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Bo3에서의 성적은 좋지 않고 개막전 성적도 현재 7연패를 기록중이기에 이를 끊어낼 지도 주목받고 있다.

또한 라인 스왑이 제거된 패치 버전으로 진행되기에 이미 퍼스트 스탠드에서 경험해본 한화생명 입장에서는 그나마 경험이 없는 젠지보다 유리하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이후 휴식기가 길었기에 그 감각을 어느정도 유지시켰느냐가 관건이다.

결국 개막전의 악몽이 되살아나면서 젠지를 상대로 완패당했다. 그나마 2세트에서 초반 스타트가 좋았으나 쵸비의 슈퍼 캐리에 밀렸던 것도 있었지만 선수 전원 부진했던 탓에 결국 LCK 컵 개막전 데자뷔가 되고 말았다.
Hanwha Life
Esports
2 1 kt Rolster
× × ×
1승 1패 결과 1패
파일:LCK 심볼.svg 1라운드 5경기 Player of the Match
최우제
(Ze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wiki style="margin: -16px -11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파일:LCK_TOP.png 파일:LCK_TOP.png 영어해설 파일:LCK_BOT.png 베트남어해설 파일:LCK_BOT.png
국내분석데스크 파일:LCK_TOP.png 파일:LCK_TOP.png 영어분석데스크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png 옵저버 파일:LCK_BOT.png
미디어 파일:LCK_TOP.png 파일:LCK_TOP.png 파일:SOOP 로고.svg 파일:LCK_TOP.png 파일:치지직 로고.svg 파일:LCK_TOP.png
제우스 8표, 바이퍼 5표
}}}}}} ||
}}}}}}}}} ||
지난 개막전에서 충격의 완패를 당한 후 KT와 맞붙게 되었다.

3세트 접전 끝에 첫 승을 신고하게 되었다.
DN FREECS 1 2 Hanwha Life
Esports
× × ×
3패 결과 2승 1패
파일:LCK 심볼.svg 1라운드 11경기 Player of the Match
김건우
(Zek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wiki style="margin: -16px -11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파일:LCK_MID.png 파일:LCK_SUP.png 영어해설 파일:LCK_SUP.png 베트남어해설 파일:LCK_MID.png
국내분석데스크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png 영어분석데스크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png 옵저버 파일:LCK_MID.png
미디어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png SOOP 팬투표 파일:LCK_TOP.png 치지직 팬투표 파일:LCK_MID.png
제카 10표, 딜라이트 2표, 제우스 1표
}}}}}} ||
}}}}}}}}} ||
2주차 첫 상대는 현재 2연패 중인 DN 프릭스를 상대하게 되었다. 전력 차이에서 한화생명이 강우세일거라는 예측이지만 지난 KT전에서 피넛과 제카가 부진하는 모습을 보였기에 다음 상대가 T1인만큼 이 경기에서 경기력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한화생명이 KT전에 이어 3세트 접전 끝에 힘겹게 승리를 따내면서 2연승을 기록했다. 2세트에서 제우스와 바이퍼가 흔들리며 세트패를 내주긴 했으나 3세트에서 제카가 혼자서 15킬을 내는 등 양학쇼를 펼치며 팀 승리에 큰 공헌을 냈다.
Hanwha Life
Esports
2 0 T1
- × × -
3승 1패 결과 2승 2패
파일:LCK 심볼.svg 1라운드 17경기 Player of the Match
김건우
(Zek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6px -11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영어해설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베트남어해설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국내분석데스크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영어분석데스크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옵저버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미디어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SOOP 팬투표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치지직 팬투표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제카 8표, 피넛 5표
}}}}}} ||
}}}}}}}}} ||

2주차 SATURDAY SHOWDOWN

이번 주 최대 매치로 손꼽힌 만큼 치열한 양상이 전개될 것으로 보였지만 그것이 무색하게 한화생명이 T1을 2:0으로 압승을 거두면서 3연승을 달렸다. 1세트 초반에 T1이 3킬을 먼저 따내고 그 3킬을 핵심인 제우스와 바이퍼로만 실속있게 채우면서 성장을 말려버려 고지를 유리하게 선점했지만, 피넛의 활약으로 이를 뒤집기 시작하더니 한타가 열릴 때마다 대승을 거두며 1세트를 역전승으로 선취, 이어진 2세트는 오히려 초반부터 압살하면서 1세트보다 더 압도적으로 경기를 이끌어가며 킬을 제외한 오브젝트에서 퍼펙트를 기록할 정도로 일방적인 상황이 연출되었다.
DRX 0 2 Hanwha Life
Esports
× × - -
1승 4패 결과 4승 1패
파일:LCK 심볼.svg 1라운드 23경기 Player of the Match
최우제
(Ze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6px -11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영어해설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베트남어해설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국내분석데스크 파일:LCK_SUP.png파일:LCK_SUP_white1.png 파일:LCK_SUP.png파일:LCK_SUP_white1.png 영어분석데스크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옵저버 파일:LCK_SUP.png파일:LCK_SUP_white1.png
미디어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SOOP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치지직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제우스 7표, 피넛 3표, 딜라이트 3표
}}}}}} ||
}}}}}}}}} ||

한화생명이 압도적인 폼을 선보이며 4승 고지에 올랐다. 2세트에서 DRX의 저력에 잠시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제우스가 사이드를 극한으로 밀어내어 그대로 넥서스까지 밀며 승리를 따냈다.
Nongshim
RedForce
0 2 Hanwha Life
Esports
× × - -
3승 3패 결과 5승 1패
파일:LCK 심볼.svg 1라운드 28경기 Player of the Match
최우제
(Ze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6px -11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영어해설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베트남어해설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국내분석데스크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영어분석데스크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옵저버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미디어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SOOP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치지직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제우스 8표, 제카 3표, 바이퍼 2표
}}}}}} ||
}}}}}}}}} ||

한화생명이 농심을 상대로 무자비하게 학살하며 5승 대열에 합류했다. 이번 경기에서 제우스-피넛-제카의 상체 조합이 더욱 돋보였던 경기. 1세트에서 1티어픽들을 풀어주었음에도 전 라인에서 앞서가고 있었고 제카가 펜타킬을 내버리며 그대로 넥서스까지 부수면서 승리했고 2세트도 역시 농심이 다양한 조합을 시도조차 하지 못하게 막아버리면서 압도적인 체급을 내세우며 매치승을 기록했다.
Hanwha Life
Esports
2 0 OKSavingsBank
BRION
- × × -
6승 1패 결과 2승 5패
파일:LCK 심볼.svg 1라운드 34경기 Player of the Match
한왕호
(Peanut)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5px -10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영어해설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베트남어해설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국내분석데스크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영어분석데스크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옵저버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미디어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SOOP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치지직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피넛 7표, 제우스 4표, 바이퍼 2표
}}}}}} ||
}}}}}}}}} ||


OK브리온과의 맞대결이자, 2024 케스파컵 4강 리벤지 매치.

한화생명이 체급으로 OK브리온을 가볍게 제압하면서 6연승 달성에 성공했다.
Dplus KIA 1 2 Hanwha Life
Esports
× × ×
5승 3패 결과 7승 1패
파일:LCK 심볼.svg 1라운드 40경기 Player of the Match
박도현
(Vipe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5px -10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영어해설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베트남어해설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국내분석데스크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영어분석데스크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옵저버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미디어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SOOP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치지직 팬투표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바이퍼 7표, 제카 5표, 제우스 1표
}}}}}} ||
}}}}}}}}} ||

디플러스와 1라운드 2위를 두고 격돌을 벌인다.

첫 매치는 불안한 폼을 보이며 패배했지만, 이후 2세트부터는 상대 조합의 약점을 잘 파고드는 경기력을 보이며 승리하는 데에 성공, 2위 자리를 굳건히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BNK FEARX 0 2 Hanwha Life
Esports
× × - -
4승 5패 결과 8승 1패
파일:LCK 심볼.svg 1라운드 42경기 Player of the Match
최우제
(Ze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6px -11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영어해설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베트남어해설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국내분석데스크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영어분석데스크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옵저버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미디어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SOOP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치지직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제우스 10표, 피넛 2표, 제카 1표
}}}}}} ||
}}}}}}}}} ||

BFX가 2세트에서 저력을 내며 약간 고전하는 모습을 보이긴 했으나 체급으로 찍어누르며 8연승 달성, 1라운드를 2위로 마쳤다.
Hanwha Life
Esports
2 0 Nongshim
RedForce
- × × -
9승 1패 결과 6승 4패
파일:LCK 심볼.svg 2라운드 46경기 Player of the Match
최우제
(Ze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5px -10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영어해설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베트남어해설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국내분석데스크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영어분석데스크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옵저버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미디어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SOOP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치지직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제우스 11표, 바이퍼 2표
}}}}}} ||
}}}}}}}}} ||

한화생명이 1세트는 무난히 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2세트에서 초반에 앞서가다 너무 신난 나머지 후반 뒷심을 발휘한 농심에게 역전패를 당할 직전까지 왔으나 제우스의 하드 캐리로 장로 한타에서 대승을 거두며 재역전승을 거두게 된다.
OKSavingsBank
BRION
0 2 Hanwha Life
Esports
× × - -
4승 8패 결과 10승 1패
파일:LCK 심볼.svg 2라운드 56경기 Player of the Match
박도현
(Vipe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5px -10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영어해설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베트남어해설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국내분석데스크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영어분석데스크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옵저버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미디어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SOOP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치지직 팬투표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바이퍼 9표, 제카 2표, 제우스 1표, 피넛 1표
}}}}}} ||
}}}}}}}}} ||

이번 경기에서 한화생명이 무난히 2:0 완승을 거두었다 OK브리온의 예상치 못한 저력이 있었으나 지난 농심전과는 다르게 역전에 대한 빌미를 제공하지 않으며 체급으로 밀어붙이며 승리를 가져왔다.
Hanwha Life
Esports
2 0 DRX
- × × -
11승 1패 결과 3승 9패
Road to MSI 진출
파일:LCK 심볼.svg 2라운드 60경기 Player of the Match
박도현
(Vipe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5px -10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영어해설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베트남어해설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국내분석데스크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영어분석데스크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옵저버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미디어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SOOP 팬투표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치지직 팬투표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바이퍼 10표, 제우스 3표
}}}}}} ||
}}}}}}}}} ||

이변이 없는 한 한화생명의 압승으로 예측되며 해당 경기 승리 시 RtM 진출을 확정 짓는다.

사전 예상대로 한화생명의 압승으로 끝나면서 RtM 1라운드 진출을 확정 지었다. 2세트에서 DRX의 맹추격으로 약간 주춤거렸지만 결국 체급으로 누르면서 2:0으로 마무리했다.
kt Rolster 0 0 Hanwha Life
Esports
- - - - - -
결과
파일:LCK 심볼.svg 2라운드 63경기 Player of the Match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5px 10px"
{{{#!wiki style="margin: -15px -10px; font-size: 0.66em;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 국내해설 - - 영어해설 - 베트남어해설 -
국내분석데스크 - - 영어분석데스크 - - 옵저버 -
미디어 - - SOOP 팬투표 - 치지직 팬투표 -
}}}}}} ||
}}}}}}}}} ||

현재 폼이 매섭게 올라온 KT와 맞붙게 되며 한화생명의 승리로 예측되지만 지난 2024 서머 2라운드때 쉬바나를 픽했다가 호되게 당한 기억이 있기에 방심은 금물이다.

해당 경기 승리 시 후반기 레전드 그룹 진출 확정전신인 락스 타이거즈 시절 포함 팀 최다 연승[15]을 갈아치우게 된다.

6.2. Road to MSI

6.3. 3~5 라운드

<colcolor=#fff>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5 LoL Champions Korea OOO 그룹 3~5라운드 경기 결과표
<colbgcolor=#555169> 라운드 3라운드 <colbgcolor=#898696> R
3



4라운드 <colbgcolor=#898696> R
4



5라운드 <colbgcolor=#898696> R
5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파일:TBD_LOL.png
세트 <colbgcolor=#555169><colcolor=#fff>
<rowcolor=#000> 결과
전적
득실
<rowcolor=#000> 순위

7. 팀별 둘러보기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LCK 2025 시즌 팀별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HLE GEN DK T1 KT
파일:BNK FearX 2025.png 파일:DN 프릭스 로고.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BFX DNF NS DRX BRO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0%;
해당 팀별 목록은 2025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1] 이후 밝혀진 바에 따르면 실제로 제우스에게 롤 e스포츠 역사상 페이커에게만 제시될 정도로 희귀한 선수 옵션 1+1년 계약이라는 정말 거절할 수 없는 조건을 제시했다. 1년이 아까운 프로게이머에게 팀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1년 후에 마음대로 탈퇴할 수 있다는 조건을 달아준 것은 팀 입장에선 엄청난 손해를 감수하는 조약이기에 상당히 파격적이다. 더군다나 페이커는 원 클럽 플레이어에 팀의 상징이라는 무게감이 달려 있기에 선수 본인도 쉽게 발동하기 어려운 옵션이지만, 제우스는 타 팀에서 이적해 온 선수라 계약 해지를 결정하는 게 전혀 어렵지 않다.[2] 다만 제우스의 연봉을 감당해 줄 수 있는 팀이자 동시에 우승권에 가까운 팀은 한화를 제외하면 T1이나 젠지, 넓게 봐서 DK 정도 밖에 없다. T1은 이적 과정에서의 사건으로 리턴 가능성이 매우 적고, 젠지는 기인, DK는 시우와 다년 계약이 되어 있기에 이번 시즌이 끝나고 한화에서 나와 FA가 된다고 해도 막상 경쟁팀이 없을 수도 있다.[3] 기사에 따르면 19일 오후 3시 40분에 한화 계약서에 도장을 찍었다고 알려졌다.[4] 제우스 7표, 피넛 2표, 바이퍼 2표[5] 딜라이트 10표, 제우스 1표[6] 제우스 6표, 제카 3표, 피넛, 딜라이트 1표[7] 2022월즈 DRX 우승, 2023월즈 T1 우승, 2024 MSI 젠지 우승, 2024 EWC T1 우승, 2024월즈 T1 우승 4개 대회 연속으로 LCK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라이엇 주관 대회로 한정해도 3연속 우승이다.[8] 파멸적인 탑 차이로 진 것도 사실이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감코진의 밴픽에 있다는 지적이 많았을 정도로 감코진의 책임이 컸다는 평이 많았다.[9] TES의 카나비는 LPL 정상급 정글러이다. 거기에 LCK서는 많이 이겼지만 최근 국제전 경험도 풍부한데다가 롤파크 적응에 가장 용이하고 작년 인스파이어드의 누누에 혼쭐난 점 때문에 LTA 대표 엄티도 위험할 수 있다.[10] 게다가 TES의 탑과 정글은 전통의 조합인 369-카나비라서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물론 제우스가 369 상대로 매년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이번에는 피넛과 호흡을 맞추다보니 합에서는 아직 밀릴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국제대회에서 제우스와의 호흡이 얼마나 잘 맞느냐가 중요할 것으로 전망된다.[11] 2020~2021 시즌에 LPL 미드 라이너로 뛰면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스프링에는 전체적으로 부진했고, 특히 중국인 미드 라이너들 상대 전적이 좋지 못했다. 물론 LCK 복귀 이후 만난 LPL 중국인 미드는 샤오후와 나이트 둘 뿐이라서 표본이 부족하지만, 나이트 상대로는 작년 월즈 8강 다전제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패배를 거두었기에 중국인 미드라이너들 상대로 확실하게 증명해야 한다.[12] 호재인 부분은 LPL 스플릿 1에서 나이트의 BLG가 예선에서 DRX 시절 본인의 코로나 이슈로 땜빵 출전을 했던 세텝의 TT에 발목이 잡혀 조 2위가 되며 패자조로 떨어지고, 패자조 준결승에서 TES에 패배하며 탈락했으며, 결국 상대는 TES의 크렘으로 확정되었다. 크렘은 작년에서야 국제전을 처음 치르렀고 MSI, EWC, 월즈까지 거치며 단기간에 많은 국제전 경험을 쌓았지만 나이트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체급이 낮다는 평이 많다. 하지만 그 나이트를 이기고 결승에 진출하여 우승을 거두었고, MSI와 EWC에서 쵸비 상대로 대등하거나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준 바도 있었기에 현재 LPL 최고의 중국인 미드라이너이므로 확실하게 경계할 상대이다.[13] LCK 시절은 물론 LPL 시절에도 유독 스프링과 인연이 없어서 MSI 출전 경험이 없다. 그래서 이번이 봄에 열리는 국제 대회 첫 출전이다. 게다가 상대도 월즈 우승 출신에 최근 기량이 물오른 재키러브라서 쉽지 않은 대결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14] 현재까지 전적이 8승 1패로 제우스가 우세이다.[15] 이전 최다 기록은 2025 스프링 GE 타이거즈, 2016 스프링 락스 타이거즈때 세웠던 11연승이며 이후 2025년 5월 11일, 2025 LCK 2라운드 60경기 DRX전에서 최다 타이 기록 및 리브랜딩 이후 최다 연승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