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492b><tablebgcolor=#00492b> | OKSavingsBank BRION 역대 시즌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통합 이전 | ||||||
NaJin White Shield | 2012 | 2013 ☆ | 2014 ☆ | ||||
NaJin Black Sword | 2012 | 2013 ★★★ | 2014 ☆☆☆ | ||||
통합 이후 | |||||||
NaJin e-mFire | 2015 | ||||||
KONGDOO MONSTER | 2016 ★☆☆ | 2017 ☆ | 2018 | ||||
BRION Blade | 2019 | 2020 | |||||
hyFresh BLADE | 2020 | ||||||
Fredit BRION | 2021 | 2022 | |||||
BRION | 2023 | ||||||
OKSavingsBank BRION | 2023 | 2024 | 2025 ★ |
OKSavingsBank BRION 역대 시즌 | ||||
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2026 시즌 |
1. 개요
OK저축은행 브리온의 2025 시즌을 다루는 문서.2. LCK 스토브리그/2024
스토브리그를 2주 가량 앞둔 상황에서 젠지와 함께 아무 소식이 없다. 그나마 한상용 감독에 의하면 이번에는 좋은 소식이 있을 것 같다는 것이 전부. 젠지마저 2주 전부터 소식이 들려오는 데 반해 이쪽은 찌라시마저 조금 들려오는 상황이다.[1]11월 15일 탑라이너 모건과 재계약을 맺으며 가장 늦게 스토브리그를 시작했다. #
그리고 다음날 11월 16일 서포터 폴루의 최종 잔류를 다시 알리며 내년 2025 시즌의 주전을 임하는게 확정되었다. #
그후 11월 18일 1군의 엔비, 페이트, 카리스, 풀배, 샘버와 2군의 강인, 또이브, 아이보리, 에포트, 에노쉬까지 대다수 선수들이 계약 종료 소식이 나왔으며 전력분석관 조커까지 팀을 떠나게 되었다. 이렇게 로스터에는 1군 로스터로 발표된 모건과 폴루, 3군에서 LCK AS에 출전 중인 빈센조만이 남게 되었다.
11월 18일 2군 역체팀 KT롤스터의 일원 중 한명인 함박과 동체미 클로저 영입설이 나돌고 있다.[2]
11월 20일 미드라이너 클로저의 영입을 발표했다. #
11월 20일 원딜로 태윤과 하이프의 영입설이 나오고 있다.
11월 21일 정글러 함박의 영입을 발표했다. #
11월 22일 원딜 하이프의 임대 영입과 불의 영입을 발표했다. #
11월 23일 김도엽 코치의 영입을 발표했다. #
11월 28일 최성원 코치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
결과적으로는 2군 골든로드를 달성했던 KT 2군의 함박과 하이프를 데려오고, 광동의 스프링 플옵을 이끈 불도 영입하였으며, 무엇보다 피어엑스와의 영입 경쟁에서 승리해 동체미 클로저까지 영입하며 다이소 로스터를 갈아엎고 동부 다크호스 느낌의 로스터를 완성하는데 성공했다. 함박-클로저-하이프는 리브 샌드박스 시절 한솥밥을 먹었던 적이 있는데 이번에 브리온 1군에서 만나게 되었다.
3. 2024 LoL KeSPA Cup
1군 선수들만 출전한다.1일차부터 2군을 보낸 KT에게 패배하며 분위기가 일순간에 가라앉았다. 내년 시즌도 하위권을 전전할 것 같다는 암울한 반응까지 나올 정도. 그래도 직후 중화 타이페이[3], 광동 2군을 상대로 완승을 거두며 1군의 강함을 증명해내는 데에는 성공했다. 그리고 3일차 시작과 동시에 3승을 달성하며 가장 먼저 퀄리피케이션 진출을 확정지었으며, DRX전에서 패배했지만 4팀이 3승 2패로 동률을 기록하자 경기 시간 차이로 조별 리그 1위를 차지했다.
퀄리피케이션 1라운드 젠지전에서 패배했지만, 이어서 열린 2라운드 디플러스전에서 특유의 담원 슬레이어 기질로 역배를 터뜨리고 승리하며 두번째로 4강에 진출했다. 이후 서머 우승팀 한화생명까지 킹 슬레이어의 면모와 함께 잡아내며 1군 기준 2016 케스파컵 이후 8년 만에 결승에 진출했다.[4]
결국 결승에서 디플러스를 3:1로 잡아내며 창단 첫 케스파컵 우승이자 1군 기준 11년 만의 우승을 달성했다. 이는 매우 고무적인 일로, 여태 패배의 수렁에서 도무지 벗어날 기미가 보이지 않던 팀이 우승컵을 쥐게 된 것인데다 소위 "위닝 멘탈리티"라는 것을 장착할 수 있는 매우 큰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케스파컵 총평은 직전 시즌과 비교도 안 될 정도의 강팀이 되었다는 평. 1일차 첫 패배는 그저 운이 나빴을 뿐이라는 듯 이적생 클로저와 함박, 하이프의 활약이 돋보였고, 폴루 역시 묵묵히 제 역할을 해줬고 대회 MVP 모건의 공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1군 로스터인 디플러스를 두 번씩이나 잡아냈다는 것도 기분 좋은 부분으로, 특히 디플러스의 경우 월즈에 진출한 작년보다 로스터가 좋아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는데 이런 디플러스를 이겼으니 더욱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내년에는 플레이오프권(8위)이나 레전드 그룹(서부권) 진출까지도 노려볼 수 있을 것이란 반응도 존재하지만, 케스파컵 우승팀들은 보통 시즌 전 많은 경기를 소화하는 만큼 전략적으로 분석할 만한 데이터 또한 많아지는데다[5] 2군이 출전한 팀들도 다수였고, 경기 수 역시 많은 편이 아니었기에 지금의 우승에 심취하지 말고 다음 시즌에 새롭게 바뀌는 메타를 확실하게 적응해야 더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을 것이다.
4.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colcolor=#fff> | ||||||||
<colbgcolor=#555169> 라운드 | VS GROUP ELDER | <colbgcolor=#898696> 그 룹 배 틀 최 종 성 적 | P.I 1R | |||||
팀 | | | | | | | ||
세트 | <colbgcolor=#555169><colcolor=#fff> 승 | 1 | 0 | 2 | 0 | 1 | 0 | |
패 | 2 | 2 | 0 | 2 | 2 | 2 | ||
<rowcolor=#000> 결과 | 패 | 패 | 승 | 패 | 패 | 8 위 | ||
전적 | 승 | 0 | 0 | 1 | 1 | 1 | 1 | |
패 | 1 | 2 | 2 | 3 | 4 | 4 | ||
득실 | -1 | -3 | -1 | -3 | -4 | -4 | ||
<rowcolor=#000> 순위 | 2 | 4 | 3 | 3 | 3 | 3 |
특이한 점은 케스파컵 우승에도 불구하고 다른 팀들의 기대치가 낮은지 마지막까지 선택받지 못했다는 것.[6]
- 1라운드 DRX전 - 2:1 패배
- 2라운드 농심 레드포스전 - 2:0 패배
- 3라운드 Gen.G전 - 2:0 승리
- 4라운드 kt 롤스터전 - 2:0 패배
이후 KT VS. DNF전에서 KT가 승리하며 플레이-인 진출이 확정되었다.[8]
- 5라운드 디플러스 기아전 - 2:1 패배
- 플레이-인 1라운드 농심 레드포스전 - 2:0 패배
허나 백중세일 거란 예상과 달리 귀신같이 폼이 떨어지며 2:0 완패로 쓸쓸히 LCK컵을 마쳤다. 클로저는 여전히 좋은 폼을 보여주었고 하이프도 분전했지만, 이외의 선수들이 좋지 않은 모습을 여럿 보여준 것이 너무나 컸다.
LCK 컵에서의 브리온을 요약하자면 2024 KT의 하위 호환이자 어게인 도깨비 팀. 고점은 전승 중인 젠지를 셧아웃할 정도로 높지만 저점은 농심에게 셧아웃을 당할 정도로 심각하게 낮다. 그런 와중에 고점보다 저점이 더 자주 터지는 지라 연패만 쌓는 중이다. 미드에게 투자를 한 값은 제대로 보여줘 클로저가 계속 팀을 지탱해 주었지만, 정말 클로저만 지탱해주는 수준인지라 그것을 승리로 이끌지를 못하는 형편이다.
결국 최하위보다 조금 높은 8위로 쓸쓸히 퇴장하였으며, 가장 상황이 좋지 않은 정글과 서폿을 보강하지 못한다면 프랜차이즈 이후 한 번을 제외하고 항상 겪은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를 또 한 번 경험할 걱정을 해야 할 것이다.[9]
5. 2025 LoL Champions Korea
함박이 CL로 샌드다운되고 엘림이 콜업되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응은 썩 좋지 않은데, 함박의 폼이 좋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지만 엘림도 함박 못지않게 처참한 폼으로 1군급이 아니라는 것만 증명했기 때문에 팬덤에서는 이 무브에 의아한 시선을 보냈다. 그러나 4월 1일, 크로코를 영입하면서[10] 이번 시즌에는 반드시 성적을 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 다만 이미 1라운드 통합 로스터 제출이 완료되어 크로코는 2라운드부터 출전이 가능하다. 이것으로 OK브리온의 상체는 모건-크로코-클로저라는 경험도 많고 실력도 있는 괜찮은 라인업이 되었다.
LCK 정규시즌 동안에는 임대 선수인 하이프의 원 소속팀 상대 출전 금지 조항이 발동되어 KT와의 경기에 출전할 수 없다.
5.1. 1~2 라운드
- 1주차 3경기 VS NS 0 : 2 패배
첫 경기로 LCK컵에서 2전 2패를 기록하며 본인들을 탈락시킨 농심과 만나게 되었다. LCK컵의 복수를 할 수 있을지가 관건. 함박 대신 엘림이 출전하는 첫 경기다.
허나 LCK컵과 달라진 것 없는 실력으로 2:0 완패를 기록, 농심에게 매치 10연패를 당하는 최악의 상성 관계를 입증해버렸다. 우려가 많았던 엘림이 2세트에서 분전한 것은 긍정적이지만 기존 24시즌 멤버인 모건과 폴루의 부진이 지속되어 해결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대로라면 크로코가 와도 하위권일 것이란 비관적인 여론까지 나오는 등 전망이 밝지 않다.
- 1주차 7경기 VS BFX 1 : 2 패배
새터데이 쇼다운 상대로 LCK컵 최하위였던 피어엑스를 만나게 되었다. 폼은 브리온이 더 좋아보이나 지금껏 BFX 상대 매치 6연패를 찍고 있는데다 BFX에겐 새터데이 쇼다운 도입 이래 전승이라는 기분 좋은 징크스도 있어 쉽게 예측하기 어려운 경기다.
1세트는 클리어의 하드 쓰로잉을 받아먹으며 역전승을 이루었지만 2, 3세트를 연달아 패배해 역전패를 기록, LCK 5대회 연속 1주차 전패라는 최악의 스타트로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강해졌다는 걸 증명해야 할 최소한의 경기에서마저 패배하자 시작부터 여론도 최악으로 치닫는 중.
- 2주차 12경기 VS DK 0 : 2 패배
2주차 첫 상대로 케스파컵에서 2연승을 따냈으나 LCK컵에서 접전 끝에 패배한 디플러스와 맞붙는다. 디플러스의 정배이나 케스파컵의 기억을 되살리면 승리할 가능성도 있다. 이번 경기부터 함박이 콜업되어 다시 선발로 출전한다.
하지만 반전은 없었고, 결국 2:0으로 패하며 공동 꼴찌가 되었다.
- 2주차 15경기 VS DNF 2 : 1 승리 (POM: Clozer)
똑같이 최하위권으로 시작하면서 브리온보다도 상황이 좋지 않다 평가받는 DN를 만났다. DN의 상황이 워낙 좋지 않아 브리온의 승리가 예상되지만 달리 말하면 이 매치를 질 경우 최하위는 확정적이라고 봐야 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
1세트에서 전 라인이 밀리며 패배하자 분위기가 싸해졌으나, 다행히 2, 3세트를 완전히 압도하며 승리를 거두었다. 우선 최하위 경쟁에선 잠시나마 벗어나며 숨을 고를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현재까지 브리온 대진이 좋은 편이었던데다[11] 승리의 과정도 졸전에 가까웠던지라 여전히 실력의 반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 3주차 24경기 VS KT 2 : 1 승리 (POM: HamBak)
3주차 첫 상대로 동일한 전적에 똑같이 미드만 정상이란 평을 받는 kt를 상대하게 되었다. 다만 kt가 크게 흔들리던 LCK컵 때도 다 이긴 세트를 비디디 한명에게 가로막힌 뒤 멘탈이 나간 듯 다음 세트에 완패를 당했던 만큼, 상위호환격 평가를 받는 kt를 이기기는 쉽지않아 보인다.
허나 예상을 깨고 접전 끝에 KT를 잡아내며 24 스프링 이후 1년만에 정규시즌 2연승에 성공했다.[12]
- 3주차 27경기 VS GEN 2 : 0 패배
2번째 새터데이 쇼다운 상대로 프랜차이즈 이후 압도적인 성적차를 보이던 젠지를 만났다. 압도적인 격차가 예상되나 의외로 젠지가 브리온에게 충격적인 완패를 당하는 일이 꽤 있는지라[13] 브리온 입장에선 약간이나마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이변 없이 문자 그대로 탈탈 털리며 압도당하며 3연승에는 실패했다.
- 4주차 34경기 VS HLE 2 : 0 패배
4주차 첫 경기로는 22년 외엔 단 한번도 잡지 못한 한화생명을 만나게 되었다. 한화생명이 여전히 최상위 폼을 보여주는데다 킹슬레이어 기질도 유독 한화생명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등 여러 비관적 전망이 겹쳐 승리를 따내기는 어려워보인다.
클로저가 꽤 분전했으나 압도적인 체급에 밀려 실험실을 대놓고 개장한 한화생명에게 압도당했다.
- 4주차 39경기 VS T1 2 : 1 승리 (POM: Clozer)
4주차 두번째 경기에 크게 흔들리는 T1을 만나게 되는데, T1이 흔들리긴 하나 브리온의 핵심인 클로저를 상대하는 페이커의 폼은 여전히 좋은지라 그리 낙관적인 상황은 아니다.
그러나 1세트에서 역전승을 따내고, 2세트에서 크게 대패했지만 3세트를 긴 싸움 끝에 승리하며 업셋에 성공했다. 이로써 현재 로스터 구성 5개월만에 한젠티딮을 모두 잡아내었으며, 동부 경쟁에서 꽤나 유리해졌다. 거기에 2년만에 1라운드 3승을 달성한 것은 덤.
- 5주차 44경기 VS DRX 2:1 패배
1라운드 마지막 상대로 동부 경쟁팀인 DRX를 만나게 되었다. 승리가 낙관되긴 하지만, 브리온이 유독 같은 동부에게 발목을 잡히는 일이 많은지라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 우려대로 2:1로 패배, 10년만의 1라운드 4승을 할 기회와 3연승의 가능성을 날려버리며 8위로 1라운드를 마쳤다.
- 5주차 50경기 VS DNF 2:1 승리 (POM: Croco)
2라운드 첫 상대는 1라운드 전패를 하며 역대급 위기에 봉착한 DNF와 만나게 되었다. 본격적으로 크로코가 출전하는 경기인 만큼 해당 경기를 승리해 분위기 반등을 노릴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이후 2:1로 승리하며 7위로 올라섰다. 크로코는 훌륭한 폼을 보여주며 데뷔전을 POM으로 장식했고 하이프도 펜타킬을 따내는 등 긍정적인 부분도 많았지만, 모건의 저점과 밴픽 문제로 세트패를 당했다는 것이 아쉬운 부분. 동시에 득실차가 매우 안좋아졌다.
- 6주차 51경기 VS BFX :
2라운드의 두번째 상대로 6위권 경쟁을 하게 된 피어엑스와 만났다. 1라운드 때 5대회 연속 1주차 전패라는 치욕을 선사한 피어엑스인데다 해당 경기를 이겨야 동부 경쟁에서 큰 우위를 점할 수 있기에 승리가 간절한 상황이다.
5.2. 3~5 라운드
6. 팀별 둘러보기
| ||||
| | | | |
HLE | GEN | DK | T1 | KT |
| | | | |
BFX | DNF | NS | DRX | BRO |
| ||||
[1] 한상용 감독에 의하면 최우범 감독이 본인에게 이야기를 안 해준다고. 그나마 외부 영입이 최소 1명 있다는 정도까지 풀기는 했다.[2] 이미 2번 10등을 박은 상황에서 올해도 또 꼴찌를 하면 프랜차이즈 심사에서 실격당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도는 상황에서 샐러리캡 도입, 올해로 끝나는 네이밍 스폰서 OK저축은행과의 계약 등이 맞물려 과감한 투자를 보이는 듯 하다.[3] 무려 직전 시즌 월즈를 진출한 멤버에서 정글 한 명만 바뀐 LCP 기준 초호화 라인업이었다. 물론 바뀐 정글이 이름값만 있고 폼은 전성기 대비 살짝 아쉬운 상태였긴 했지만.[4] 3년 전 케스파컵 결승은 챌린저스 팀이 이루어낸 것이다.[5] 대표적으로 2019 케스파컵 우승팀 아프리카가 케스파컵 우승 이후 플옵권을 넘어 우승권팀 그 이상을 볼 수 있다고 평가받았지만, 주측 선수들의 부진 내부 악재들로 인해 서부권은 고사하고 플레이오프 말석 자리를 노리는 신세로 전락한 적이 있다.[6] 이에 관해선 추측이 꽤 있는데, 새롭게 적용되는 피어리스 드래프트에 적응을 하지 못한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다. 물론 하위권으로 평가받던 피어엑스가 꽤나 빠르게 뽑힌 것을 감안하면, 단순히 2024 서머에서의 성적 순으로 뽑은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7] 다만 브리온의 경우 BNK나 DNF에 비하면 탈락 확률이 제일 낮긴 하다. 일단 DNF가 KT를 이겨버리는 이변을 일으키지 않는 이상 DNF 이상은 웬만해선 확정이고 한 술 더 떠서 BNK는 매치승이 아니면 세트고 뭐고 탈락 확정이기 때문.[8] 디플러스전을 0:2로 패배해 1승 4패 -5인 DNF와 동률이 되더라도 앞선 젠지전을 승리한 덕분에 농심을 잡은 DNF보다 승자승 점수에서 앞서 최하위는 면하게 된다.[9] 물론 올해부터는 8위만 해도 플레이-인에 갈 수 있는 만큼 현재의 성적만 나와도 어찌저찌 막차는 탈 수 있다. 허나 정말 지금의 상황대로라면 이번처럼 곧바로 플레이-인 1라운드에서 광탈하는 결과를 낼 수도 있다.[10] hyFresh BLADE 시절인 2020 시즌 이후 4년 반 만의 OK브리온 복귀이다.[11] 서부권 중에서도 상위권인 티젠한은 아직 만나지도 않았고, 최하위 경쟁 중인 두 팀을 2주차까지 모두 만났다.[12] 당시엔 1라운드 마지막과 2라운드 첫 상대였던 광동을 연이어 잡은 것이었기에, 서로 다른 팀을 연속으로 잡아낸 건 굉장히 오랜만이다.[13] 당장 2023 서머 9주차에 2:0으로 이긴 이후 첫 승리인 2025 LCK컵에서도 2:0 승리를 기록하며 젠지 상대로 2번 연속 승리를 2:0로 한 유일한 팀이 브리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