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학 Pulmonology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7CEC0,#272727><colcolor=#333,#fff> 전문과목 | 호흡기내과 · 심장혈관흉부외과 · 이비인후과1 · 소아청소년과2 · 소아외과2 | |
해부학 | 상기도 | 코 · 비강 · 인두 · 후두 | |
하기도 | 기도(신체) · 기관지 · 폐 · 폐포 | ||
흉강 | 횡격막 · 흉막 · 흉강 | ||
생리학 | 호흡 · 질식 · 폐활량 | ||
상기도 질환 | 상기도감염 · 급성폐쇄성후두염 · 부비동염 · 비염 · 아구창 · 인후염 · 편도선염 · 재채기 · 코막힘 · 후비루증후군 | ||
하기도·폐 질환 | 가래 · 과호흡 증후군 · 급성호흡부전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 기관지 확장증 · 기침 · 폐수종 · 폐색전증 · 폐암 | ||
폐쇄성 | 만성 폐쇄성 폐질환 (만성 기관지염 · 모세기관지염 · 폐기종) · 천식 | ||
감염성 | 급성 기관지염 · 폐결핵 · 폐농양 · 폐렴 (레지오넬라병 · 미코플라즈마 폐렴 · 클라미디아 폐렴 · 헤모필루스 폐렴 · 폐렴구균 폐렴 · 폐렴성 페스트) | ||
호산구성 | 베게너육아종증 · 만성 기관지폐 아스퍼질로스증 · 척 스트라우스 증후군 · 폐흡충증 | ||
직업성 | 규폐증 · 석면폐증 · 악성중피종 · 진폐증 | ||
간질성3 | 간질성폐질환 · 굿파스쳐증후군 · 유육종증 · 폐섬유증 | ||
흉막 질환 | 기흉 · 농흉 · 흉수 | ||
기타 호흡기 감염증 | 디프테리아 · 리노바이러스 감염증 · 백일해 · 보카바이러스 감염증 · 아스퍼질로스증 · 인플루엔자 · 파라인플루엔자 · COVID-19 · HMPV 감염증 · MERS · SARS · RSV 감염증 | ||
치료 | 약물 | 금연 · 항생제 (독시사이클린 · 반코마이신 · 젠타마이신 · 카바페넴 · 페니실린 · 플루오로퀴놀론) · 항진균제 · 항히스타민제 · 항암제 · 베타 작용제 · 항콜린제 · 당질 코르티코이드 | |
중재 | 양압기 · 인공호흡기 · 에크모 | ||
1 상기도 질환 · 2 18세 미만의 호흡기 질환 · 3 호산구성, 직업성 제외 | }}}}}}}}} |
진료과 | 내과 |
관련증상 | 기침, 발열, 가래 |
1. 개요 및 원인
肺膿瘍 / Lung Abscess감염된 폐의 조직세포가 괴사(necrosis)하면서 화농성 공동(suppurative cavitary lesion)을 생성하면서 농양(abscess)이 발생하게 된다.
흔히 음식이나 구강인두 배출물(oropharyngeal secretion)로 인해 사레(aspiration)가 걸리면서 폐렴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치료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세포의 괴사로 인해 농양이 발생하는 경우다.
농양은 하나 이상의 공동(cavity)으로 인해 이루어진 군합체로, 대부분 그 지름이 2 cm 이상 된다.
특히 사레에 의해 폐렴이 자주 발생하는 폐의 구간은 위엽(upper lobe)의 후안부(posterior segment)와 아래엽(lower lobe)의 상안부(superior segment)라고 한다. 또한 오른쪽 기관지(right bronchus)의 각도로 인해 오른쪽 폐에 더욱 자주 발생한다고.
그 외, 폐농양은 다음과 같은 질병들의 합병증으로 발생하게 된다.
- 급성괴사폐렴(acute necrotizing pneumonia)은 특히 그람음성균(gram negative) 감염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 혈행성 확장(hematogenous spread)으로 인해
- 근접성 확장(contiguous spread)으로 직접적인 감염균의 주입(direct inoculation)
폐농양을 일으키는 미생균들은 대부분 우리 구강에 자리잡고 있는 균들이다.
- 경구 혐기성균(oral anaerobes): Prevotella, Peptostreptococcus, Fusobacterium, Bacteroides 등.
- 그 외 폐렴구균(Strep. pneumoniae), 황색포도상구균(Staph aureus) 등에 의해 폐농양이 발생하기도 한다.
위에 서술된 것처럼, 특히 사레가 걸리기 쉬운 환자군에게서 폐농양이 자주 보여지게 된다. 특히 알코올 중독자, 뇌졸중(CVA) 발병 후 몸이 불편한 경우, 뇌전증(seizure) 환자, 기관내 삽관(E-tube) 후 등이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구강이 청결하지 못할 경우 경구 혐기성균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2. 증상 및 진단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게 된다. 주로 기침(cough)과 냄새가 매우 지독한 가래(foul sputum)가 동반되고 호흡곤란, 발열 및 오한(chill) 등이 보여진다. 또한 무기력함, 체중 저하 등의 전신적인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진단은 흉부 X-ray를 통해 두꺼운 공동(cavity)과 공기액체층(air fluid level)이 보여지게 된다. 만일 농흉(empyema)과 구분이 가지 않을 경우 CT 스캔을 통해 진단을 내리기도 한다.
환자의 가래를 이용한 그람염색 및 배양은 폐렴의 민감도와 특이성이 낮긴 하나, 아직까직 꾸준이 이용되는 검사 방법이다.
혹은 기관지 내시경 검사(bronchoscopy)등을 통한 직접적인 채취를 통해 균을 배양하여 진단하기도 한다.
3. 치료
폐농양이 발견될 경우 환자를 입원시키고 체위배액(postural drainage)을 통해 농양을 치료하게 된다.그 후 세균의 종류에 따라 알맞는 항생제를 처방하게 된다.
- 그람양성구균(gram positive cocci)의 경우 페니실린 계열인 ampicil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 ampicillin/sulbactam 등을 투여하게 된다. 만일 황색포도상구균(Staph aureus)이 발견될 경우 vancomycin 을 투여한다.
- 혐기성균(anaerobes)의 경우 clindamycin 및 metronidazole 을 투여하게 된다.
- 그람음성균(gram negative)의 경우 fluoroquinolone 혹은 ceftazidime 을 투여하게 된다.
항생제는 몇달동안, 농양이 사라질때 까지 투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