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12:55:56

파미르인

파미르족에서 넘어옴
파미르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인도이란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민족 | 인도이란인
<colbgcolor=#eef6ef,#323433> 이란계 민족 페르시아인(파르시 | 라르인 | 타지크 | 아이마크인) | 파미르인(와키인 | 사리콜리인 | 슈그니인) | 쿠르드족(자자족 | 야지디족) | 페르시아계 유대인 | 발루치인 | 파슈툰인 | 오세트인 | 부하라 유대인 | 산악 유대인 | 타트인 | 탈리시인 | 하자라인 | 소그드인 † (야그노비인) | 루르인 | 길란인 | 마잔다란인 | 셈난인 | 스키타이인 † | 메디아인 † | 파르티아인
누리스탄인
인도아리아인 다르드인(카슈미르인 | 파샤이인) | 신드인 | 펀자브인(사라이키인) | 벵골인(로힝야) | 싱할라인 | 칼라쉬인 | 자트인 | 네팔인 | 구자라트인 | 구자르인 | 몰디브인 | 마라티인 | 라자스탄인(라지푸트) | 힌두스탄인(무하지르) | 비하르인 | 아삼인 | 오디아인 | 콘칸인(고안 가톨릭) | 집시 | 미탄니인 † | 오손
언어 | 인도이란어파 지역
독립국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쿠르디스탄(파일:로자바 상징기.svg 로자바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이라크 쿠르디스탄 | 튀르키예령 쿠르디스탄 | 이란령 쿠르디스탄) | 파일:북오세티야 국기.svg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 파일:1599px-Flag_of_Balochistan.svg.png 발루치스탄(파키스탄령 발루치스탄 | 시스탄오발루체스탄 | 아프가니스탄령 발루치스탄)
사회문화
언어 인도이란어파
사상 범이란주의 | 범아리아주의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디스탄 독립운동 | 파일:발루치족 깃발.svg 발루치스탄 독립운동
신화 페르시아 신화 | 인도 신화 | 오세트 신화 }}}}}}}}}

중앙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카자흐인 키르기스인 우즈베크인 카라칼파크인 투르크멘인
타지크인 아이마크인 파슈툰인 파미르인 칼라쉬인
하자라인 모골인 슈그니족 사리콜인 와키인
발루치인 브라후이족 위구르인 부하라 유대인 누리스탄인
야그노비인 구자르인 러시아인 타타르 우크라이나인
고려인 파샤이인 독일인 아프가니스탄인 쿠르드족
중앙아시아 아랍인 아제르바이잔계 중앙아시아인 바시키르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남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인도인 파키스탄인 방글라데시인 스리랑카인 네팔인
티베트인 파슈툰인 펀자브인 타밀인 벵골인
로힝야 카슈미르인 브라후이족 발루치인 신드인
펀자브인 누리스탄인 자트인 싱할라인 파샤이인
구자르인 구자라트인 라지푸트 마라티인 몰디브인
사라이키인 아삼인 오디아인 인도 흑인 고안 가톨릭
콘칸인 파르시 셰르파 문파족 문다인
베다족 납파족 칼라쉬인 하자라인 아프가니스탄인
부탄인 아프가니스탄계 인도인 인도 유대인 파미르인 와키인
텔루구인 툴루족 부루쇼인 러시아계 아프가니스탄인 아프간 키질바시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1. 개요2. 기원3. 분류4. 문화5. 현황

1. 개요

파일:Pamiri_man_(Pamiri_people).jpg 파일:Pamiris1.jpg 파일:5DFFD86D-D03F-4A71-9CB5-2F9E0A9802E1.jpg
파미르인은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타지키스탄신장 위구르 자치구 국경 지대에 주로 거주하는 여러 이란계 민족들을 총칭하는 말로 과거에는 '갈차(Galcha)/라피디(Rafeedi)'라는 어휘로도 불렸으나 현대에는 비하 명칭으로 여겨 공식적으로는 쓰지 않는다. 파슈토어처럼 동부 이란어군 언어를 사용하되 수니파 이슬람 대신 시아파 이스마일파(그 중에서도 니자리파)를 믿거나 여타 파슈툰인과 별개의 정체성을 가진 민족들을 의미한다.

중앙아시아 민족이지만 파미르 고원이라는 산악지대에서 고립된 영향으로 금발벽안이 많아 인류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비슷한 민족으로 아프가니스탄의 누리스탄인, 파키스탄의 칼라쉬인 등이 있다.

타지키스탄 등에서 소수민족으로 분류하기보다는 타지크인과 동화 정책을 추구하는 등의 영향으로 오늘날에는 정확한 인구 추산이 힘든 편이다. 파미르인 인구는 30만여 명 정도로 추정되며 주 거주 지역은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아프가니스탄의 바다흐샨 주, 파키스탄의 길기트 발티스탄, 중국의 타슈쿠르간 자치현 등이다.

2. 기원

인도유럽어족 계통의 유목민들인 고대 아리아인[1]들은 반농반목 사회로 인구가 증가하거나 지력이 고갈되면 마차를 타고 부족 일부가 이주하는 방식으로 거주 영역을 넓혔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중앙아시아 산악지대에도 아리아인들이 정착했다. 고대 이후 튀르크계 유목민들이 확장하면서 인도유럽어족 민족들과 통혼하는 과정에서도 척박한 파미르 고원 산악지대에 고립된 부족 상당수가 튀르크계와 혼혈되지 않고 고대 아리아인의 혈통을 보전했으며 상당수 부족들이 조로아스터교를 받아들였다. 이슬람의 도래 이후에는 이슬람 개종에 저항하다가 근세 들어서 이슬람으로 개종하되 이슬람 주류 종파와는 다른 이스마일파로 개종하면서 오늘날의 파미르인 사회가 형성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타지키스탄/역사 문서의 파미르인의 이스마일파 개종 문단 참조.

700년 전 발견된 파미르인 유골과 오늘날의 파미르인들의 하플로그룹 모계 유전자(mtDNA)를 비교대조해 본 결과 해당 지역 주민들은 큰 이동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근세에도 인구 이동이 상당히 흔하던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 기준으로 상당히 특이한 경우다. 물론 파미르인들이 거주하는 파미르 고원이 높은 산들로 둘러싸인 엄청난 험지인 걸 생각하면 딱히 이상한 것도 아니지만.[2] 하플로그룹 분류에 따른 추정에 의하면 파미르인들의 조상은 볼가-우랄 지역 일대에서 기원한 것으로 나왔다.

3. 분류

4. 문화

오늘날 파미르인들이 거주하는 국가 중 타지키스탄은 세속주의 국가로 이슬람 근본주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우며 파키스탄 및 아프가니스탄의 파미르인 중에서도 탈레반으로 인한 피해를 보는 경우는 드물다. 아프가니스탄 국경 지대의 파미르인 부족들은 심지어 아프가니스탄에 내전이 일어났는지조차 모르는 경우도 있었다.

척박한 산악 지역에 고립되어 거주하던 만큼 전통적으로 문명 생활과는 소외되어 있던 사람들로 중세 초 순례를 나온 불교 승려들은 파미르인들이 사는 지역이 척박하여 약탈을 좋아하고 예의범절을 모르고 상당히 공격적이고 야만적이라는 서술을 남겼다. 티베트인들과 마찬가지로 주식으로 밀 대신 보리를 먹고 목축을 하면서 영양을 보충하는 편이었다. 땅을 파고 동굴에 거주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종종 튀르크계 유목민들이 해당 지역을 약탈하던 때도 있었으나 약탈할 만한 자원도 부족했기 때문에 약탈의 규모도 크지 않았던 듯 하다. 청나라동튀르키스탄 관련 역사 기록을 보면 타슈쿠르간 지역에 살던 원주민들을 종종 키르기스인들이 약탈을 시도했으나 역으로 약탈을 나선 키르기스인들이 노예로 잡히는 경우도 적지 않았던 듯 하다.

파미르인들은 척박한 지역에서 생활하던 관계로 이들이 사육하던 가축들도 크기가 작은 편이었다고 하며 고기를 먹는 경우는 드물었고 주로 양젖을 가공해 먹었다. 타지크인이나 위구르인, 우즈베크인과의 교류가 아예 없던 것은 아니어서 차를 마시거나 라그만을 먹는 문화도 있었다고 한다.

이슬람으로 개종 이후에도 조로아스터교 관습을 상당부분 보존하였는데, 이웃한 파슈툰족들과 다르게 가정 내 여성의 권한이 상당히 강한 편이었다.

5. 현황

19세기 중엽 해당 지역의 바다흐샨 칸국이 아프가니스탄의 바라크자이 왕조에 병합되기도 했으나 해당 지역이 교통이 불편하고 자원이나 인구 규모가 대단치 않았기 때문에 파슈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후 그레이트 게임에서 영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경계하던 러시아 제국 측에서 오늘날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일대를 병합하고 해당 지역은 러시아 제국을 계승한 소련해체되면서 오늘날의 타지키스탄의 영토가 되었다.

파키스탄 치트랄 지역에 있는 파미르인들은 종종 탈레반의 공격을 받기도 하지만 길기트 발티스탄 지역은 해외 이스마일파들의 투자로 학교 등이 새로 건설되면서 다른 파키스탄 지역에 비해 생활 수준이나 교육 수준이 높은 편이다.[3]

중국의 파미르인 인구 대다수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파키스탄과 접경한 지역인 타슈쿠르간 자치현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인구는 4만여 명 정도에 달한다. 중국에서는 이들을 타지크인과 별 상관도 없음에도 불구 정치적 차원에서 타지크인[4]으로 분류하고 있다. 중국에서 타지크인으로 분류되는 민족은 와키인사리콜인으로 사리콜인은 타슈쿠르간에서만 거주하던 민족이고 와키인 일부가 근대 타슈쿠르간으로 새로 이민 와 정착했다고 한다.


[1] 인도유럽어족의 하위 어파인 인도이란어파의 원시 조어를 사용하던 민족으로, 이란계 민족들과 인도 북부와 파키스탄의 인도유럽계 민족들의 공통 조상이다.[2] 그래서 종종 파미르인에 속하는 몇몇 하위 민족 집단과 관련하여 희한한 기록이 많이 나왔다. 가령 파키스탄령 지역에 거주하던 파미르인 계통 민족인 칼라쉬인들은 19세기에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에 이 지역으로 진주한 영국군과 조우한 후 21세기까지 다른 민족과 일체의 교류도 하지 않았는데 그 때문에 일부 칼라쉬인 마을에서는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인해 이곳에 진주한 미군헬리콥터를 보자 패닉에 빠져서 주민들이 부랴부랴 마을 공용창고에 보관되어있던 으로 대응사격을 하기도 했다. 이때 사용된 총이 19세기에 영국군으로부터 받은 머스킷 소총이라서 이들을 발견한 미군들이 어이없어한 건 덤이다.[3] 파키스탄 수니파들은 이슬람주의 정당들이 군부 독재자들의 우민화 정책을 지지하면서 90년대 후반에도 문맹률 80%를 찍었던 반면 이스마일파 와키인들이 많이 사는 훈자 지역은 문맹이 드물고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도 흔하다고 한다.[4] 원래 한자어로 무슬림들을 지칭하던 어휘 "대식"은 타지크가 어원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