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22:29:27

토리노 척도

태양계 천문학·행성과학
Solar System Astronomy · Planetary Scienc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arkOrange><colcolor=#fff> 태양계
태양 햇빛 · 태양상수 · 흑점(밥콕 모형) · 백반 · 프로미넌스 · 플레어 · 코로나 · 태양풍 · 태양권
지구 지구 구형론(지구타원체) · 우주 방사선 · 지구자기장(자극점 · 지자기극점 · 다이나모 이론 · 오로라 · 밴앨런대 · 델린저 현상 · 지자기 역전 · 지자기 폭풍)
달빛 · 만지구 · 지구조 · 슈퍼문 · 블루 문 · 조석(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달의 바다 · 달의 남극 · 달의 뒷면 · 월석 · 후기 대폭격
월식(블러드문 · 슈퍼 블루 블러드문) · 일식(금환일식) · 사로스 주기 · 엄폐
소행성체 소행성(근지구천체 · 토리노 척도 · 트로이군) · 왜행성(플루토이드) · 혜성(크로이츠 혜성군)
유성 정점 시율 · 유성우 · 화구 · 운석(크레이터 · 천체 충돌 · 광조)
우주 탐사 심우주 · 우주선(유인우주선 · 탐사선 · 인공위성) · 지구 저궤도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라그랑주점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 솔라 세일 · 테라포밍
천문학 가설 태양계 기원설 · 티티우스-보데 법칙 · 네메시스 가설 · 제9행성(벌칸 · 티케 · 니비루) · 후기 대폭격
음모론 지구 평면설 · 지구공동설
행성과학
기본 개념 행성(행성계) · 이중행성 · 외계 행성 · 지구형 행성(슈퍼지구 · 바다 행성 · 유사 지구 · 무핵 행성) · 목성형 행성 · 위성(규칙 위성 · 준위성 · 외계 위성) · 반사율 · 계절 · 행성정렬 · 극점
우주생물학 골디락스 존(온실효과 폭주) · 외계인 · 드레이크 방정식 · 우주 문명의 척도(카르다쇼프 척도) · 인류 원리 · 페르미 역설 · SETI 프로젝트 · 골든 레코드 · 아레시보 메시지(작성법) · 어둠의 숲 가설 · 대여과기 가설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
1. 개요2. 상세3. 현황4. 작품에서의 토리노 척도5. 관련 정보

1. 개요

지구접근천체(Near-Earth Object)가 지구에 충돌할 확률 및 천체 충돌시 예상되는 피해를 나타내는 척도.

이름은 이탈리아의 산업 도시이자 통일 이탈리아의 첫 수도였던 토리노에서 열린 국제천문연맹 회의에서 채택되어 유래했다.

2. 상세

숫자와 색깔로 구분하며, '평상시'흰색, '보통' 녹색 , '위험' 노란색 , '위협' 주황색 , '충돌 확실' 붉은색 이다. 아래 표에도 이에 맞춰서 색을 넣었다.
토리노 척도
평상시 <colcolor=#333> 0 위험하지 않은, 지구에 하루에도 수백 수천번씩 떨어지는 소행성들, 또는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이 아주 낮은 소행성들.
보통 1 지구 근처를 통과하는 일이 예상되는 천체를 발견했으나, 위험성은 결코 보통 이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런 것은 흔히 발견 가능하다. 충돌 가능성은 지극히 낮으므로 공공의 경계나 걱정은 없어도 괜찮다. 망원경 등에 의한 관측을 반복하면 위험도가 0으로 바뀌곤 한다.
위험 2 지구와의 접근 거리는 다소 가까우나, 아주 드문 것은 아닌 정도의 천체. 1등급과 마찬가지로 관측의 폭이 넓다면 이러한 발견은 꽤 흔하기 때문이다. 천문학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실제로 충돌한다고는 생각하기 어렵고, 공공의 경계나 걱정이 필요하진 않다. 아직까진 1등급과 마찬가지로 망원경 등에 의한 관측을 반복하면 위험도가 0으로 바뀔 수 있다.
3 지구와 접근거리는 가깝기에 천문학자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천체다. 지금으로서는 충돌해서 국지적인 파괴가 초래될 가능성은 1% 이상이라고 산정되어 있다. 1등급과 마찬가지로 관측을 반복하면 위험도가 0으로 바뀔 것으로 여겨진다. 10년 이내에 조우하게 되는 천체라면 공공기관이 주의할 만하다.
4 지구와 접근거리가 가깝고, 3등급과 마찬가지로 천문학자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천체이다. 지금으로서는 충돌해서 광역적인 파괴가 초래될 가능성은 1% 이상이라고 산정되어 있다. 1등급처럼 관측을 반복하면 위험도가 0으로 바뀔 것으로 여겨진다. 10년 이내에 조우하게 되는 천체라면 공공기관이 주의할 만하다.
위협 5 지역이 황폐화될 우려가 있는 심각한, 하지만 아직 확실하지 않은 근접조우천체이다. 충돌이 일어날지 아닐지 확실히 결정하기 위해 매우 주의할 필요가 있다. 만약 10년 이내에 조우하게 되는 경우, 정부의 비상사태 계획은 정당화될지 모른다.
6 세계적 대재해 발생의 우려가 있는 심각한, 하지만 아직 확실하지 않은 거대 물체의 근접 조우다. 충돌이 일어날지 아닐지 확실히 결정하기 위해 천문학자는 매우 주의할 필요가 있다. 만약 30년 이내에 조우하게 되는 경우, 정부의 비상사태 계획은 정당화될지 모른다.
7 세계적 대재해 발생의 우려가 있지만 아직 확실하지 않은 거대 물체의 심각한 근접 조우다. 국제적인 비상사태계획은 정당화되고, 충돌이 일어날지 아닐지 긴급히 그리고 확실히 결정된다.
충돌
확실
8 충돌은 100% 확실하며, 육지와의 충돌로 국지적인 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며, 근해에 쓰나미를 일으킬수 있다. 이러한 사건은 50년에서 수천년에 한 번 꼴로 발생한다.
9 충돌은 100% 확실하며, 육지와의 충돌이나, 해양과의 충돌로 인한 대형 쓰나미로 지역적 황폐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사건은 1만년에서 10만년에 한번 꼴로 발생한다.
10 충돌은 100% 확실하며, 육지나 바다 어느 곳에서 일어난다고 해도 문명의 존속이 위험해지는 정도의 전 지구적인 파멸적 기후 이변이 일어나는 것이 정설이다. 이러한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은 10만년에 한번, 혹은 그 이하이다.

현재 지구는 다행히도 0 혹은 1 사이를 맴돌고 있다. 제정 이래 역대 최대 등급도 4에서 그친다.

표를 보고 아직도 감이 안 잡힌다면 다음의 그래프를 보면 어느 정도 이해가 갈 것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orino_scale_big.png
X축(가로축)의 경우 충돌 확률, Y축(세로축)의 경우 왼쪽 숫자는 메가톤(Mt) 환산 충격량(에너지량), 오른쪽 숫자는 그에 해당하는 천체의 반지름이다. 예를 들어 Y축에 105와 1km라고 쓰여져 있는 눈금은 해당 천체의 충돌 시 충격량이 105메가톤에, 해당 천체의 반지름이 1km 정도 된다는 뜻이다. 참고로 100 메가톤은 차르 봄바 2개가 터지는 정도의 충격량이다.

5 혹은 8등급~9등급의 천체의 파괴력은 대략 도시 1개~국가 1개 정도의 비교적 가벼운 피해. 부딪치는 충격으로 반경 수백m~km가 초토화되며 이후 발생할 화재나 후폭풍 등은 그보다 넓은 지역을 덮칠 가능성이 있다. 화산지대나 지열 등에 추락할 경우 인근 지층이나 마그마층을 자극해 분화를 촉진할 위험도 있으며 이 경우 재해의 레벨은 고작 저 정도로 끝나지 않는다.그러나 이 정도는 아래에 비하면 굉장히 얌전한 편. 공식적으로 입증된 바는 없지만, 한 8등급 정도의 사례로는 퉁구스카 대폭발(지름 ~65m)과 첼랴빈스크 운석우 사건(지름 20m)이라고 볼 수 있다. 첼랴빈스크 운석우 사건은 도시 하나에 대해 국지적 피해가 일어났고, 퉁구스카 대폭발은 주변의 꽤 넓은 숲에 피해가 있었기 때문. 구석기 시대까지 거슬러올라가면 한반도 남부의 초계분지가 생성된 충돌이(지름 200m) 대략 토리노 척도 8등급으로 여겨진다.

6~7 혹은 9~10등급의 경우는 현재 기준에서는 대비할 수는 있으나 최소 국가 한 개 정도는 지구에 닿는 순간에라도 충분히 가볍게 말아먹으며 반경 수천km까지 직접적인 파괴력을 행사하거나, 심할 경우 지구 일부 내지는 전체의 생태계가 리셋되거나 충돌 에너지만으로 지각해일을 일으키고 바다에 떨어질 경우 전지구적 영향을 끼치는 초대형 쓰나미를 일으키며[1] 해일이 덮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충격에 뜯겨나가는 지각 융해와 광범위한 열폭풍이 지표면을 쓸어버린다. 지구상 생물의 대부분이 육지와 해양 가리지 않고 전멸 수준의 피해를 입으며, 심지어 기술이 충분히 발달해 천체를 요격할 수 있다 치더라도 그 큰 덩치를 온전히 밀어내지 못한다면 요격시 생기는 파편의 수는 상상을 초월하며, 파편의 추락 및 충돌 만으로 지면을 초토화시킨다. K-T 멸종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유카탄 반도 지하의 거대 크레이터 지형[2]을 생성한 운석 충돌(지름 10 km 추정)이 사례에 해당된다. 유카탄 크레이터 지형은 지름만 수백 km에 달한다.

3. 현황

현재까지 관측된 NEO 중에서 토리노 척도가 부여된 적이 있는 천체는 아래와 같다. 아포피스가 레벨 4를 기록해서 가장 높은 기록을 달성했다.
다만, 이들은 모두 이후의 정밀 관측을 통해 위험성이 없다고 판단되어 모두 Level 0 로 바뀌었다.
2023년 3월 8일 기준으로는 Level 1 이상을 가진 천체가 1개 존재한다.
사실 토리노 척도도 Level 2 ~ 4까지는 충돌할 것 같으니 집중적인 관측이 필요하다는 의미하고 천체의 크기나 지구에 접근하는 정도에 따라 2, 3, 4로 나뉘어지는 수준이다. 그리고 Level 5부터가 충돌위협이 매우 높음이기 때문에 Level 4까지는 안심해도 되는 수준이다. 더불어 기록이 시작된 이후로 아직까지는 Level 4를 넘어간 사례가 없다.

4. 작품에서의 토리노 척도

5. 관련 정보



[1] 충분히 큰 천체의 충돌 시 발생하는 쓰나미는 지하에서 발생한 힘에 의해 솟아오르는 기존의 쓰나미와 격이 다르다. 무려 히말라야산맥을 씹어먹고 성층권까지 올라간다. 영화 2012(영화)에서 묘사한 정신나간 거대 해일보다도 더 높다![2] 거대 크레이터가 생성되었으나 이후 풍화작용과 석회암질 퇴적 등으로 인해 지하에 묻혀버렸다.[3] 소행성에 구멍을 뚫어서 핵폭탄을 집어넣고 폭파시키는데에는 성공하지만 소행성이 완전히 파괴되지 않고 큰 조각과 작은 조각이 나뉘게 된다.[4] 뉴욕은 작은 놈들 몇 개가 날아와 도로와 건물을 덮쳐 폭탄테러쯤 되는 피해와 빌딩 붕괴 정도가 전부지만 상하이는 물에 떨어져 약하지만 순간적으론 강한 쓰나미와 충격파가 덮쳤고 파리는 파편 치곤 꽤 큰 놈이 하나 날아와 시가지 중심에 직격, 마치 핵을 맞은 것처럼 초토화되었다. 묘사는 지면을 갈아엎는 것 같았는데 막상 다 가라앉은 후엔 왠지 남을 건 다 남아있는 게 이상하지만(...). 에펠탑은 쓸려나갔는데 개선문은 한 귀퉁이 좀 나가고 멀쩡하다[5] 1,200km로 이정도면 운석도 아니고 왜소행성 수준의 크기. 영화에서는 텍사스 크기라고 나오며 이는 달 직경의 3분의 1, 한반도 전체가 들어가고도 남는 수준이다. 무지막지한 사이즈도 영화의 거지같은(...) 고증에 이바지했다. 딥 임팩트에서만큼의 상식적인 크기도 사태 준비할 시간이 나름 넉넉하게 주어질 정도일 때 발견됐는데 아마겟돈에서는 그보다 수천 수만 배 큰 놈이 불과 충돌 며칠 전에 발견된다! 해당 영화 문서에 있는 비유로는 딥 임팩트는 야구공이 천천히 오는 걸 골목길 건너편에서 발견한 거고 아마겟돈은 트럭이 시속 100km로 달려오는 걸 코앞에서 발견한 꼴.[6] 폭파 전에도 주위에 어마어마한 수의 파편을 몰고다니며 폭파 후에도 상황실 화면으로 지나가는 두 큰 파편 주위로 뿌옇게 둘러싼 파편들이 보인다(...).[7] 근데 이것도 문제인게, 도시 하나 전체를 감쌀 정도의 그 거대한 사이즈의 운석이 열권에 진입해서 지상에 내려앉기까지 3초도 안될것을 3분 동안 대류권은 커녕 성층권 중간 즈음까지 오다가 파괴된다. 물론 히어로물 애니기에 어쩔 수는 없지만...[8] 물론 제노스와 메탈나이트가 미사일과 나선소각포로 운석을 밀어내 떨어지는 시간을 늦추었다라고 하면 말이 된다.[9] 운석 자체는 그렇게 크진 않았는데 소설판 기준 초속30km의 무지막지한 속도로 날아와서 꽂혔다고한다.[10] 소설에서는 크레이터만 1km라고 써있다.주변에서는 4.8규모의 지진도 일어났다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