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16:42:21

행성과학

태양계 천문학·행성과학
Solar System Astronomy · Planetary Scienc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arkOrange><colcolor=#fff> 태양계
태양 햇빛 · 태양상수 · 흑점(밥콕 모형) · 백반 · 프로미넌스 · 플레어 · 코로나 · 태양풍 · 태양권
지구 지구 구형론(지구타원체) · 우주 방사선 · 지구자기장(자극점 · 지자기극점 · 다이나모 이론 · 오로라 · 밴앨런대 · 델린저 현상 · 지자기 역전 · 지자기 폭풍)
달빛 · 만지구 · 지구조 · 슈퍼문 · 블루 문 · 조석(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달의 바다 · 달의 남극 · 달의 뒷면 · 월석 · 후기 대폭격
월식(블러드문 · 슈퍼 블루 블러드문) · 일식(금환일식) · 사로스 주기 · 엄폐
소행성체 소행성(근지구천체 · 토리노 척도 · 트로이군) · 왜행성(플루토이드) · 혜성(크로이츠 혜성군)
별똥별 정점 시율 · 유성우 · 화구 · 운석(크레이터 · 천체 충돌 · 광조)
우주 탐사 심우주 · 우주선(유인우주선 · 탐사선 · 인공위성) · 지구 저궤도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라그랑주점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 솔라 세일 · 테라포밍
천문학 가설 태양계 기원설 · 티티우스-보데 법칙 · 네메시스 가설 · 제9행성(벌칸 · 티케 · 니비루) · 후기 대폭격
음모론 지구 평면설 · 지구공동설
행성과학
기본 개념 행성(행성계) · 이중행성 · 외계 행성 · 지구형 행성(슈퍼지구 · 바다 행성 · 유사 지구 · 무핵 행성) · 목성형 행성 · 위성(규칙 위성 · 준위성 · 외계 위성) · 반사율 · 계절 · 행성정렬 · 극점
우주생물학 골디락스 존(온실효과 폭주) · 외계인 · 드레이크 방정식 · 우주 문명의 척도(카르다쇼프 척도) · 인류 원리 · 페르미 역설 · SETI 프로젝트 · 골든 레코드 · 아레시보 메시지(작성법) · 어둠의 숲 가설 · 대여과기 가설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

1. 개요2. 관련 항목

1. 개요

/ Planetary science

행성과학은 행성, 행성계, 위성 또는 여타 소천체에 대해 다루는 학문이다. 초기 천문학의 역사에서 행성(정확히는 태양계의 행성)이 차지한 비중을 생각하면, 천문학의 하위 분야라고 생각하기 쉽고 또한 그것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행성과학의 특성상 지질학 혹은 여타 지구과학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으며, 실제로 행성과학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많은 대학에서는 천문학과가 아니라 지질학과 내에서 행성과학 강의를 열고, 애초에 학과의 이름 자체가 지질학과 행성과학을 모두 포함하기도 한다. 즉 한 대상을 연구하기 위해 여러 학문이 요구되는 학제간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궤도나 다른 천체와의 상호작용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지식이 필요하고, 구성 물질이나 대기, 내부 구조 등의 연구에는 지구과학적 지식이 주로 요구된다. 행성의 형성 과정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지구과학적 이해가 모두 필요하다.

과거의 행성과학은 주로 태양계 천체들에 관한 것에 국한되었으나, 외계 행성들이 속속 발견되기 시작하면서 외계 행성 연구가 점점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외계 생물이 존재한다면 아무래도 행성류의 천체에서 발견될 확률이 높다는 점에서, 행성과학은 우주생물학과도 연관이 깊다. 또한 지구과학 연구의 성지라 할 수 있는 남북극 극지연구와도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미국에서는 극지연구를 이끄는 NOAA의 연구원들이 NASA로 이직하는 경우도 있고 NASA JPL의 연구원들도 극지연구소에서 구른 경력을 바탕으로 외행성 탐사 프로젝트에 입문하기도 한다. JPL이 행성간 탐사선 착륙/로버를 테스트할 때면 과학자고 엔지니어고 전부 남극으로 끌려가서 테스트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으로, 대표적으로 유로파 미션 같은 경우 잠수정을 만드느라 관계자들이 심심하면 남북극 얼음호수와 바다를 휘젓고 다니는 등 지구과학 전문가들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학부 수준에서 행성과학을 가르치는 경우는 아직 잘 없다. 물리학, 천문학, 생물학을 배운 후에 대학원 분야로 선택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행성과학을 적극적으로 연구하는 교수와 연구원들이 외국과 달리 천문학과에 많은데, 문제는 그 천문학과가 별로 없다. 지질학, 지구과학 관련 학과에서 재직하는 교수들도 있긴 있지만 이 역시 보기 드문 편. 보통 천문학과에서는 행성과학에 투신한 교수가 최소 한 명 정도는 있는 편.

2. 관련 항목



[1] 역대 유인 우주 프로그램 중 직접적으로 외부 천체를 탐사한 유일무이한 프로그램이다.[2] 이름만 비행기 만드는 곳 같을 뿐 하는 일은 행성과학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