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1:47:16

2024 YR4

2024 YR4
파일:640px-2024_YR4_ESO-VLT.gif
2025년 1월에 VLT에서 관측한 2024YR4. 중앙에 희미하게 빛나는 천체이다.[영상출처1]
구분 아폴로 소행성군
지구접근천체
크기 40 - 100 m (ESA 추정)[출처1]
55 m (NASA 추정 평군)[출처2]
절대 등급 +23.945±0.27[출처2]
궤도 장반경 2.5392 천문단위(AU)
원일점 0.8528 천문단위(AU)
근일점 2.5392 천문단위(AU)
궤도경사각 3.453°
이심률 0.6642
공전 주기 1477.91일(4.046년)
지구 최대 접근 거리 55,000km ±1,121,000km
(2032년 12월 22일)[5]
발견 날짜 2024년 12월 27일

1. 개요2. 지구 근접천체
2.1. 지구 충돌 가능성

[clearfix]

1. 개요

2024년 12월 27일에, 칠레의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ATLAS) 관측소에서 발견된 아폴로 군의 지구접근천체이다. 발견 이후, 꾸준한 관측 결과 근지구 천체를 넘어, 지구에 위협적인 소행성으로 분류되고 있다.

현재까지 관측 결과 2024 YR4는 밝기와 반사도를 종합하면, 직경은 40-100m (유럽우주국), 55m (미항공우주국)으로 추정된다. 이 크기는 퉁구스카 대폭발을 일으킨것으로 추정되는 천체(40-60m)와 비슷한 크기이다.

2. 지구 근접천체

파일:2024_YR4_orbit.jpg
2024 YR4의 현재까지 관측으로 밝혀낸 궤도
발견 2일전인 12월 25일에 지구에 82만 8천 km 정도 접근하였고, 이 근접시에 근지구천체로써 발견되었다. 같은 근접시에 달에 조금 더 가까이 근접하여 48만km까지 접근하였다. 공전주기가 4.05년이고, 근일점은 지구와 금성 궤도 사이, 원일점은 화성 궤도 밖 소행성대 근방에 위치해 있다. 공전주기가 거의 4년이라, 2024년 이전에도 2016년 9월과 2020년 10월에도 지구에 근접하였고, 이를 통해 지구와 4년마다 근접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음 근접은 2028년 12월로 예측하고 있다.

2.1. 지구 충돌 가능성

파일:2024_YR4_risk_corridor.png
2032년 12월 22일 충돌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표시한 지도, 사진 출처
발견 이후, 1달 정도 관측하여 궤도를 측정한 결과, 2028년 12월 근접 이후, 2032년 지구에 다시 최근접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관측된 궤도를 따라가면 이 시기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월 31일 기준으로 37일간 관측한 궤도를 바탕으로 추정시, 2032년 12월 22일 UTC+00 14시경 지구와 근접시, 약 1/59의 확률(1.7%)[6]로 지구와 충돌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서 2024 YR4는 천체충돌을 나타내는 척도 충 하나인 토리노 척도 3을 달성하였다. 이 척도는 20년 전 2004년 발견된 99942 아포피스 이후 가장 높은 등급이다.[출처3]

만일 2024 YR4가 충돌하면, 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 (JPL)의 추정으로는 약 17km/s의 속도로 7.9MT(메가톤)의 TNT 위력으로 충돌할 것이다. 이 정도의 규모는 퉁구스카 사건의 폭발력(추정 폭발력 10-30MT)에 버금가는 폭발이나, 에리조나 운석 충돌구 정도의 충돌구를 만들어낼 수 있는 정도이다. 평균적인 천체 충돌 빈도로 보면, 전 지구적으로 760년 - 2000년에 한번 정도의 규모이다.영어 위키백과 문서 참조

이로 인하여서 전 지구적 천체충돌 방지 시스템의 첫 단계가 작동, 가능한 모든 천체망원경의 집중 감시가 시작되었다. 가디언지 뉴스 2월 1일 현재까지는 관측에 따라 충돌 확률이 오르는 추세이지만, 자세한 충돌 위험을 알기에는 관측 정보가 부족하다. 현재 인류의 관측기술의 한계로 2024 YR4는 2025년 4월 이후에는 관측이 힘들 정도로 멀어진다. 이 시기 이후 다음 가능한 관측은 2028년 6월경 지구에 다시 접근할 때로 추정한다.


[영상출처1] ESA 유튜브[출처1] ESA #[출처2] NASA JPL #[출처2] [5] 2025년 2월 1일 현재까지 관측된 자료 추정.[6] 6%라고 주장하는 글도 있다.[출처3] JPL Sentry 지구 충돌 방지 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