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0.8px" | 항성 | ||||
행성 | ||||
<nopad> 지구형 행성 | ||||
<nopad> 목성형 행성 [A] | ||||
소행성체 및 왜행성 [B] | |||||
<colbgcolor=#535353> 근지구천체 | 아텐 소행성군 · 아모르 소행성군 · 아폴로 소행성군 · 아티라 소행성군 외 다수 | ||||
소행성대 | ⚳ 1 세레스 · ⚴ 2 팔라스 · ⚶ 4 베스타 외 다수 | ||||
켄타우로스족 | ⚷ 2060 키론 · 10199 카리클로 외 다수 | ||||
카이퍼대 | <colbgcolor=#535353> 명왕성족 | ♇ 134340 명왕성 (카론 등 5개▶) | |||
하우메아족 | 136108 하우메아 (히이아카 · 나마카) | ||||
큐비원족 | 136472 마케마케 (S/2015 (136472) 1) | ||||
산란 분포대 | 136199 에리스 (디스노미아) ·티폰 ·2007 TG422 ·2010 JO179·2013 FY27·2018 VG18 | ||||
세드나족 | 90377 세드나 · 2012 VP113 · 541132 렐레아쿠호누아 | ||||
성간 천체 | 1I/오우무아무아 · 2I/보리소프 | ||||
오르트 구름 | |||||
구조 | 안쪽 오르트 구름(힐스 구름) · 바깥 오르트 구름 | ||||
기타 | |||||
천체 | 제9행성[?] | ||||
각주 | |||||
[A] 천왕성과 해왕성은 해왕성형 행성으로 따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다. | }}}}}}}}} |
MPC 번호 순 소행성체(Minor Planet) 찾기 | ||||
1861 코멘스키 | ← | 1862 아폴로 | → | 1863 안티누스 |
1862 Apollo | |
구분 | 아폴로 소행성군(지구접근천체) 금성 횡단 소행성 화성 횡단 소행성 |
지름 | 평균[1] 1.5km |
궤도 장반경 | 1.47034544 천문단위(AU) |
원일점 | 2.29361646 천문단위(AU) |
근일점 | 0.64707441 천문단위(AU) |
궤도 경사각 | 6.3547316° |
이심률 | 0.5599167 |
공전 주기 | 651.21965일 (1.78년) |
자전 주기 | 3.065436시간 |
온도 | 171 ~ 322 K |
절대 등급 | 16.25 |
지구 최대 접근 거리 | 3,845,050 km |
1932년 4월 24일 발견된 소행성으로, 1973년 재발견된 이후 MPC 번호 1862가 붙었다. 어원은 당연히 아폴로이다.
비교적 드문 Q형 소행성들 중 하나이며, 지구접근천체로 해당 천체의 이름을 딴 아폴로 소행성군에 속해 있다. 현재 궤도 장반경이 1.0AU 이상이고, 지구의 원일점인 1.017AU 이하인 경우 아폴로 소행성군으로 분류된다.[2] 3200 파에톤, 4660 네레우스, 25143 이토카와, 29075 1950 DA, 69230 헤르메스, 101955 베누, 136795 1997 BQ, 436724 2011 UW158, 1991 VG, 6344 P-L, 2014 AA, 2015 TB145, 2016 WF9, 2019 OK, 2020 BX12 등의 천체가 있으며, 지구접근천체의 절반 가량이 아폴로 소행성군이다.
참고로 아폴로 소행성군에서 가장 먼저 발견되었지만 MPC 번호가 가장 낮은 소행성은 1949년 6월 27일에 발견된 1566 이카루스다. 이는 재발견 이전까지의 행방이 묘연했기 때문이다.
2005년에 20~140m 정도 크기의 위성이 발견되었다. 가부호는 S/2005 (1862) 1로 아폴로에서 약 3.75km 떨어진 곳에서 1.14일을 주기로 공전한다.
[1] 비구형으로 추정된다.[2] 출처 : https://ssd.jpl.nasa.gov/sbdb_help.cgi?class=A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