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37:11

헤르메스(동음이의어)

1.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2. React NativeJavaScript, TypeScript 런타임 엔진3. K리그2 부천 FC 1995서포터즈4. 프로게이머5. 개별 문서가 없는 동음이의어
5.1. 해리 포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부엉이5.2. 소행성5.3. 러시아군 대지미사일

1.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르메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에르메스, 프랑스식 발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르메스(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React NativeJavaScript, TypeScript 런타임 엔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르메스(엔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K리그2 부천 FC 1995서포터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르메스(서포터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프로게이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강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Hankan'이라는 아이디로도 활동했었으며, 주 포지션은 원거리 딜러.

5. 개별 문서가 없는 동음이의어

5.1. 해리 포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부엉이

Hermes
해리 포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퍼시 위즐리의 애완용 부엉이.[1]

잘생긴 헛간 부엉이라고 한다.

위즐리 부부가 퍼시가 반장이 된 기념으로 사주었다. 하지만 주인이 페넬로페 클리어워터와 연애편지 주고받는 용도로 쓰느라 다른 형제들에겐 잘 빌려주지 않는 것 같고, 별 수 없이 늙은 에롤이 고생하고 있다. 불쌍한 에롤... 4부에선 크라우치에 대해 퍼시에게 편지로 묻자 답장과 몰리가 만든 부활절 과자들을 가져다주었고, 5부에서는 가족들과 연을 끊은 후 론이 반장이 된 소식을 엄브릿지로 부터 듣고 해리포터와 친하게 지내지말것을 충고하는 편지를 보냈다. 이후야 뭐...이러니 당연히 비중이 없다.
론의 부엉이 피그위존이 헤르메스를 귀찮게 구는듯.

5.2. 소행성

69230 Hermes
(1937 UB)
구분아폴로소행성군
(지구접근천체)
지름300~450m
태양기준거리1.65501408 천문단위(AU)
원일점2.677877 천문단위(AU)
근일점0.62224 천문단위(AU)
궤도경사각6.06756676°
이심률0.62427113
공전주기2.13년(777.680067일)
자전주기13.894시간
절대등급17.5
MPC 지정 번호 순 소행성(Minor Planet) 찾기
69229 5188 T-3[2]69230 헤르메스69231 알레타자콥스[3]
파일:69230 Hermes.jpg
2003년 10월 19일 아레시보 전파 천문대에서 찍은 이중 소행성 헤르메스

69230 헤르메스규산염이 주성분인 S형 소행성이자 아폴로 소행성군에 속하는 지구접근천체다.

임시 명칭은 1937 UB로 1937년 처음 발견되었다가 추적에 실패해서 이후의 행방을 알 수 없었다가 66년 만에 재발견한 소행성으로 크기는 약 300~450미터로 추정되며 약간 작은 크기의 천체가 1.2km 가량 떨어진 곳에서 질량 중심점을 공전하는 이중 천체다.[4]

이름이 붙은 소행성들 중 예외적으로 소행성 번호가 붙기 전인 1937년에 이미 이름이 지어진 소행성이다.[5] 만약 발견 당시에 소행성 번호가 붙었으면 수백~1천번대였을 것이다.[6]

5.3. 러시아군 대지미사일

파일:external/26ad365eb91d064d87ec34004be96112ce4ee17aae7243dc5897c6ce34cf59eb.jpg
3가지 형식으로 각각 지대지, 공대지, 함대지 버전이 존재한다. 지대지와 함대지 형식의 사정거리는 100km이며, 공대지 형식은 부스터가 없기 때문에 무게가 훨씬 가벼우나 사정거리는 25km 수준이다. Ka-52같은 최신예 공격헬기에 장착된다.


[1] 여담으로 편지를 전달하는 부엉이여서 그리스신화의 전령신 이름을 붙인 듯.[2] 평균 거리 3.1 AU, 이심률이 0.2152인 소행성[3] 평균 거리 2.6 AU, 이심률이 0.2645인 소행성[4] 비슷한 예시로 소행성대에도 안티오페라는 이중 천체가 있다.[5] 1991년 7월 30일자 동아일보 14면 기사. 여담으로 23만 km까지 가까이 왔다고 기사에 쓰여져 있지만 실제로는 지구-달 사이 거리보다 23만 km정도 더 멀었다.[6] 1977년에 발견한 키론이 2060번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