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1 06:58:16

털어서 먼지 안 나는 사람 없다




[clearfix]

1. 개요

사람은 누구나 숨기고 싶은 어두운 사실, 잘못한 점이 있으며, 그걸 작정하고 털면 반드시 나오니 조심하자는 뜻.

영어로는 'Everyone has a skeleton in the closet.' 누구나 벽장속에 해골이 있다.

혹은 반대로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다와 비슷한 의미로 "사소한 잘못을 너무 깊숙이 파고드는 건 하지말자"고 할 때에도 쓰인다.

종교적 입장에서 보면 신 앞에서 깨끗한 사람은 드물거나 없기에 이 문장이 통용될 수 있다. 이집트 신화에서는 저승에서 죽은 자의 심장을 저울에 올려놓고 정의의 여신 마아트(Maat)의 깃털과 함께 비교해서 깃털보다 심장이 가벼워야 지옥으로 보내지 않았다고 한다. 기독교에서는 한술 더 떠서 원죄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이 없기에 털어서 죄 없는 사람이 없다. 그래서 예수를 보내어 믿음으로 구원받게 한 것.
이럴 때의 의미는 주로 깨끗한 척 할 때 하는 말로 네가 아무리 깨끗한 척해도 뒷조사를 하면 반드시 나온다. 잘난척 하지마라는 의미이다.

이 말을 악용하면 먼지가 날 때까지 두들겨 패서 먼지가 나오던가, 아니면 없는 먼지도 만들어서 '거봐라 너도 그렇지 않냐' 라는 폭력고문의 정당화, 억지 흠잡기의 정당화 같은 무서운 권위주의식 인권 탄압의 논리로 발전할 수 있다. 애초에 사람을 턴다는 발상 자체가 권위주의의 발상이다보니. 따라서 저 사람에게 죄가 있다고 생각하는 권력자 앞에서 유죄 추정의 원칙을 적용할 근거로 삼기 딱 좋은 발상이다. 덤으로 자신이 잘못했을 때 반성은 커녕 너는 잘못 안 하고 산 줄 아냐적반하장으로 악용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2. 지워도 추악한 사람도 있다

털어야 먼지라도 나오는 사람과 애초에 털고 말고 할 필요도 없이 딱 봐도 지저분한 사람은 전혀 다르다. 파블로 에스코바르 같은 경우, 아무리 기부를 하고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각종 복지시설을 세웠어도 결국은 수틀리면 사람을 몰살시키는 마약상에 불과했다. 김일성도 마찬가지로 크게 한 것도 없지만 제 아무리 독립운동가라는 것을 내세워도 나라 하나를 파탄의 경지까지 몰고 간 독재자에 불과했다.

범죄(폭행, 비리, 그외의 제반 경제사범)를 저지르고 이미지를 당장 바꾸기 위해 기부쇼를 펼치는 높으신 분들도 여기에 해당된다.

3. 하지만 진짜로 털어도 먼지 한 톨 안나온 사람들도 있다

여기서 먼지는 가벼운 실수나 거짓말 같은 사소한 게 아니라, 비리 같은 큰 잘못이나 성격의 결점을 뜻한다.


[1] 다만 시대의 기준에 따라 현대의 법리로는 불법인 것이 그 시대에는 불법이 아닐 수는 있기 때문에 이 기준을 시대를 막론하고 적용하기는 어렵다.[2] 徐益, 1542년(중종 37) ~ 1587년(선조 20). 효종, 현종 때의 명신인 서필원의 증조부로 부여 서씨. 이순신을 억울하게 죄를 뒤집어 씌우고 파직한 인물이다보니 위인전이나 드라마나 소설같은 매체에선 이순신을 무고하는 썩은 쓰레기로 나오는게 일쑤이다. 실제론 서익은 당대 병조·이조좌랑, 안동부사, 의주목사 등을 지냈으며, 문장과 도덕, 그리고 기절(氣節)이 뛰어나 이이(李珥)·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은 사람이다. 죽은 뒤에도 서원에 배향되었을 정도로 존경을 받았던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던 흔적이 많다. 하지만, 다시 상관(정확히는 감찰관)으로 와서 억지 트집을 잡아, 억울하게 강등당하게 만들었을 정도로 이순신과의 악연을 지닌 자이다. 그 이유는 이순신에게 자신의 친구를 추천하라는 요구를 하다가 거절당한 것에 대한 개인적 보복이었다. 아무튼, 억울하게 무고하여 하급자를 처벌했음에도 당대에는 처벌을 받지 않아 높으신 분들 눈치를 보며 굽신거리던 인물이 아닌가하는 의심도 있는데 위에 쓴 대로 상부에선 높이 평가되었던 점도 있고 기록을 보면 탐관오리같은 짓은 하지 않았다. 그러나, 무고한 이순신을 개인적으로 보복하려고 한 점으로 인하여 서익 본인은 현대에 와서 이순신을 무고한 탐관오리같이 막되먹은 자로 대중적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니 자업자득으로 남긴 이미지가 된 셈이다. 참고로 우암 송시열도 서익을 존경했을 정도였지만 이젠 매체나 위인전을 통하여 간신배같은 이미지만 남아있다. 오죽하면, 서익의 후손들도 살아 생전에 존경받던 서익이 이순신 무고로 인하여 간신배로 대중적으로 알려진 것을 안타까워하면서도 이순신 무고는 분명한 사실이라 뭐라고 하소연도 못할 정도이다.[3] 이순신의 지휘관이 도주했는데 그 지휘관이 도주한 죄로 처벌 당하지 않으려고 이순신을 무고했기 때문이었다.[4] 사직의 위엄과 영험에 힘입어 겨우 조그마한 공로를 세웠는데, 임금의 총애와 영광이 너무 커서 분에 넘쳤다. 장수의 자리에 있으면서 티끌만한 공로도 바치지 못했으니, 입으로는 교서를 외고 있으나, 얼굴에는 군사들에 대한 부끄러움만이 있을 뿐이다.
난중일기》, 을미년(1595년) 5월 29일 이순신 본인이 스스로 내린 평가.
[5] 국민의 정부 시절, 최순영 신동아그룹 회장의 부인 이형자가 당시 김태정 검찰총장 부인의 옷값을 대신 내 주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 때문에 '옷값대납사건'이라고 불리기도 한다.[6] 1966 ~ 1968년까진 NET, 이후 PBS에서 각각 방영됨.[7] 호구라고 비웃던 방송국 직원들이 가정사나 인생사가 생기면 그를 찾아와서 펑펑 울면서 상담을 받고, 팬들이 질문을 하거나 조언을 구하면 그 팬은 물론이고 가족에게까지(!) 친필 편지를 보내는 등, 다 적으면 이 문서보다 길어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