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1:12:21

켄터키

켄터키주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귀총사 켄터키에 대한 내용은 켄터키(천총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2664><tablewidth=310><tablebgcolor=#002664>
파일:미국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colcolor=#fff>북동부<colcolor=#fff>뉴잉글랜드<colbgcolor=#fff,#191919>
중부 대서양
남부남부 대서양
동남 중앙켄터키(KY) · 테네시(TN) · 앨라배마(AL) · 미시시피(MS)
서남 중앙아칸소(AR) · 루이지애나(LA) · 오클라호마(OK) · 텍사스(TX)
중서부동북 중앙미시간(MI) · 오하이오(OH) · 인디애나(IN) · 위스콘신(WI) · 일리노이(IL)
서북 중앙미네소타(MN) · 아이오와(IA) · 미주리(MO) · 노스다코타(ND) · 사우스다코타(SD) · 네브래스카(NE) · 캔자스(KS)
서부산악몬태나(MT) · 와이오밍(WY) · 아이다호(ID) · 콜로라도(CO) · 뉴멕시코(NM) · 유타(UT) · 애리조나(AZ) · 네바다(NV)
태평양워싱턴(WA) · 오리건(OR) · 캘리포니아(CA)
본토 외부주알래스카(AK) · 하와이(HI)
컬럼비아구워싱턴 D.C.(DC)
해외 영토 및 준주(GU) · 미국령 사모아(AS) · 북마리아나 제도(MP)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VI) · 푸에르토리코(PR)
군소 제도(UM)웨이크섬 · 베이커섬 · 하울랜드섬 · 존스턴 환초 · 킹맨 암초 · 미드웨이섬 · 나배사섬 · 팔마이라 환초 · 자르비스섬 · 바호누에보 환초 · 세라니야 환초}}}}}}}}}
'''{{{+1'''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켄터키 주기.svg 파일:켄터키 휘장.svg
<rowcolor=#000066> 주기 문장 }}}
United we stand, divided we fall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1]
Deo gratiam habeamus
하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colbgcolor=#000066><colcolor=#fff> 상징
별명 Bluegrass State[2]
주가(州歌) My Old Kentucky Home
주조(州鳥) 홍관조
주목(州木) 튤립나무
주화(州花) Goldenrod
주어(州魚) 켄터키무늬배스
주충(州蟲) 양봉꿀벌
주수(州獸) 회색큰다람쥐
주마(州馬) 서러브레드
나비 바이스로이나비
음료 우유
음식 블랙베리
광물 석탄
보석 민물진주
화석 완족류
차량 쉐보레 콜벳
토양 Crider Soil
무용 클로깅(Clogging)
행정
국가
[[미국|]][[틀:국기|]][[틀:국기|]]
지역 남부(Southern United States)
시간대 동부 UTC-05/-04, 중부 UTC-06/-05
주도 프랭크퍼트
최대도시 루이빌
하위 행정구역
카운티 120
419 (city, town)
인문 환경
면적 104,749㎢
인구 4,509,394명(2021/ 26위)
인구밀도 42.56명/㎢
종교 기독교 75% (개신교 65%, 가톨릭 10%), 무종교 22%, 기타 2%
역사
미합중국 가입 1792년 6월 1일 (15번째)
경제
명목
GDP
전체
GDP
$2,804억 4,900만(2023년)
1인당
GDP
$61,961(2023년)
정치
주지사 앤디 배쉬어

부주지사 재클린 콜먼

연방 상원의원 랜드 폴

미치 매코널[3]

연방 하원의원 5석

1석

주 상원의원 31석

7석

주 하원의원 80석

20석

ISO 3166
약자 US-KY
지역번호 270, 364(이상 서부), 502(프랭크퍼트), 606(동부), 859(렉싱턴 인근)
위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Map_of_USA_KY.svg.png

1. 개요2. 상세3. 주기4. 문화5. 경제6. 정치7. 대중 매체 및 기타8.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켄터키는 미국 중서부와 남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 이다.

2. 상세

켄터키 주의 최대 도시는 루이빌(Louisville)이며, 주도는 프랭크퍼트(Frankfort)이다. 면적은 104,659km2으로 미국의 여러 주들 중 대한민국 전체의 영토와 가장 비슷하다[4]. 정확히는 켄터키 주가 대한민국 면적보다 4% 정도 더 크다. 그래서 미국 언론들이 대한민국에 대해 묘사할 때 '켄터키 주 정도 면적의 크기인' 이라고 표현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켄터키 주의 영토 모양은 오스트리아와 비슷한 형태이다. 역사적으로 최초에는 버지니아 주의 일부였으며, 1792년 6월 1일 버지니아 주에서 분리된 후 연방에 가입하여 15번째 주가 되었다.

켄터키의 경제를 이끌어가는 양대 도시로 루이빌렉싱턴[5] 자리 잡고 있다. 루이빌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최초의 대도시(1778년)로, 미국 독립전쟁에서 독립군을 지원해 준 프랑스 국왕 루이 16세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공업물류 산업이 발전했으며, 전 세계 최대의 담배 산업을 보유하고 있다. 또 야구인들에게는 야구용품 브랜드인 루이빌 슬러거가 유명하다. "중서부의 아테네" 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을 만큼 번영한 도시로서 역사적으로 융성했던 말 산업이 지금까지 이어져 "전국 말의 수도" 라는 영예로운 별명이 있으며, 세계 최고의 경마 대회로 명성이 높은 켄터키 더비가 바로 루이빌에서 열린다.

주도프랭크퍼트라는 작은 소도시이며, 심슨 가족 시즌 16 3화에서 소재로 사용했을 만큼 켄터키 주 내에서 오래 거주한 사람들조차 프랭크퍼트에 가본 적 없는 사람들도 있다. 켄터키 주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도시는 루이빌과 바로 옆 오하이오 주신시내티다.

파일:kentucky-map.gif

동쪽으로 웨스트버지니아버지니아, 남쪽으로 테네시, 서쪽으로 미주리, 북쪽으로 일리노이, 인디애나, 오하이오와 접하고 있다. 북쪽으로 오하이오 강, 서쪽으로 미시시피 강이 흐르고 있다. 면적 104,659km2로 남한(100,450km2)과 비슷한 넓이이다.[6]

제16대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이 켄터키 주의 하딘 출신이다. 동시에 링컨 이전의 휘그당의 가장 대표적 정치가인 헨리 클레이 역시 켄터키 주의 렉싱턴 출신이다.

켄터키 주는 버지니아 주 소속으로 출발했으나 남북 전쟁 때는 중립을 표방했다. 이후 켄터키 주는 북부에 합류했고 반대로 노예주 합류를 주장을 선언한 남부연합(CSA)의 침공을 받게 되었다.

유명한 프랜차이즈 브랜드 KFC의 발상지가 바로 이곳으로, 1930년대에 켄터키 주에 사는 할랜드 샌더스 대령(Colonel Harland Sanders)이 창업한 것을 시초로 한다. KFC란 이름부터가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Kentucky Fried Chicken)'이며 본사 역시 켄터키 주에 있다.

메니피 카운티에 코리아라는 이름을 가진 곳이 있다. 위치는 여기. 참고로 코리아 라는 단어를 가진 곳은 버지니아에 주도 있었지만 1970년대에 우체국 통폐합으로 지금은 이름이 변경되었다고 한다.

3. 주기

파일:켄터키 주기(1918-1963).svg.png
1918년 ~ 1963년.

파일:켄터키 주기.svg
1963년 ~ 현재.

4. 문화

미국 중서부와 남부의 경계 지역으로 두 지역의 문화를 향유하고 있다.

프로 스포츠팀으로는 루이빌 배츠가 있으며, USL 챔피언십에 소속된 루이빌 시티 FC도 있다. 대학 스포츠팀 중에서는 NCAA켄터키 대학교루이빌 대학교 체육부가 있다.

2022년과 2023년에 TELEMUNDO를 송출하는 WBGS와 WQWQ가 설립되어 켄터키 주에 텔레문도가 개국했다. 그 전까지는 히스패닉을 대상으로 한 채널이 없었는데 스페인어 메이저 방송이 진출했다는 것은 곧 스페인어 화자도 이전에 비해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5. 경제

1인당 주민 소득62,000 달러이며, 공업물류 산업이 발달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자동차로 유명한 토요타 캠리와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자동차로 유명한 포드 F-시리즈가 모두 이곳에서 생산된다. 이와 함께 UPS 등을 통해 미국에 국제 택배를 보내면 켄터키를 거쳐서 배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7]

켄터키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주류는 바로 버번 위스키이다. 전 세계에서 팔리는 버번 위스키의 95%가 켄터키에서 생산되며, 그 유명한 짐 빔, 메이커스 마크 등 수많은 버번 위스키들이 켄터키 주에서 만들어지고 있다.[8]

비옥하고 넓은 토양 덕분에 농업도 발전했다. 세계 최대의 담배 생산지이며, 옥수수, 등도 풍족하게 재배한다. 켄터키 주의 말은 경주마로 명성이 높고 이곳에서 열리는 켄터키 더비는 세계 최고의 경마 대회로 유명하다. 또 KFC의 본사 역시 켄터키 주 루이빌에 있다.[9]

항공 물류 산업 역시 켄터키 주의 핵심 산업 중 하나다. 미국의 물류 대기업인 UPS의 항공 화물 허브터미널이 루이빌에 있다. 루이빌에서 출발하여 화물기로 인천이나 나리타 등 아시아 쪽으로 오는 모습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아마존도 항공 허브터미널을 켄터키 주에 보유하고 있다.[10]

6. 정치

켄터키주 역대 대선 결과
연도



2024 해리스 33.88% 트럼프 64.59%
2020 바이든 36.15% 트럼프 62.09%
2016 클린턴 32.68% 트럼프 62.52%
2012 오바마 37.80% 롬니 60.49%
2008 오바마 41.17% 매케인 57.40%
2004 케리 39.69% 부시 59.55%
2000 고어 41.37% 부시 56.50%
1996 클린턴 45.84% 돌 44.88%
1992 클린턴 44.55% 부시 41.34%
1988 두카키스 43.88% 부시 55.52%
1984 먼데일 39.37% 레이건 60.04%
1980 카터 47.61% 레이건 49.07%
1976 카터 52.75% 포드 45.57%
1972 맥거번 34.77% 닉슨 63.37%
1968 험프리 37.65.% 닉슨 43.79%
1964 존슨 64.01% 골드워터 35.65%
1960 케네디 46.41% 닉슨 53.59%
켄터키주 역대 주지사 선거 결과
연도



2023 앤디 배쉬어 52.54% 대니얼 캐머런 47.46%
2019 앤디 배쉬어[11] 49.20% 맷 베빈 48.83%
2015 잭 콘웨이 43.82% 맷 베빈 52.52%
2011 스티브 배쉬어 55.72% 데이비드 윌리엄스 35.29%
2007 스티브 배쉬어 58.71% 어니 플레쳐 41.29%
2003 벤 챈들러 44.96%[12] 어니 플레쳐 55.04%
1999 폴 패턴 60.70% 페피 마틴 22.20%
1995 폴 패턴 50.88% 래리 포기 48.71%
1991 브레리턴 존스 64.73% 래리 홉킨스 35.27%
켄터키주 역대 연방상원 선거(Class 2) 결과
연도



2020 에이미 맥그레이스 38.23% 미치 매코널 57.76%
2014 앨리슨 그라임스 40.72% 미치 매코널 56.19%
2008 브루스 런스포드 47.03% 미치 매코널 52.97%
2002 로이스 콤스 와인버그 35.32% 미치 매코널 64.68%
1996 스티브 배쉬어 42.85% 미치 매코널 55.45%
1990 하비 슬론 47.81% 미치 매코널[13]前 원내총무(2003 ~ 2007), 現 원내대표(2007 ~ ) ] 52.19%
켄터키주 역대 연방상원 선거(Class 3) 결과
연도



2022 찰스 부커 38.19% 랜드 폴 61.80%
2016 짐 그레이 42.73% 랜드 폴 57.27%
2010 잭 콘웨이 44.25% 랜드 폴 55.73%
2004 다니엘 몽야르도 49.34% 짐 버닝 50.66%
1998 스코티 배슬러 49.16% 짐 버닝 49.75%
1992 웬들 포드[14]前 원내총무(1991~ 1999) ] 62.88% 데이비드 윌리엄스 35.81%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켄터키 휘장.svg켄터키 주의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원 • 하원 의석
<rowcolor=#fff> 여당 야당
[[민주당(미국)|파일:켄터키 민주당 로고(흰색).png
켄터키 민주당
6석 • 20석
]]
[[공화당(미국)|파일:켄터키 공화당 로고.png
켄터키 공화당
30석 • 80석
]]
공석
2석 • 0석
<rowcolor=#fff> 재적
38석 • 100석
}}}}}}}}}


1970년대 이후 전체적으로 공화당 강세인 지역이다.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62.5%를 득표,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후보를 압도했다.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공화당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62.6% 득표를 얻어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35.7%)에게 앞섰다. 지난 선거와 거의 비슷한 득표율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압승을 거두면서 공화당 강세 지역임을 나타냈다.

공화당 원내대표인 미치 매코널 상원의원의 지역구이며, 미국 내 자유지상주의를 상징하는 대표주자인 랜드 폴 상원의원의 정치적 고향이기도 하다.

켄터키 주는 국무장관[15]을 직선제로 선출하는데 2012년부터 민주당 출신 여성 정치인 앨리슨 그라임스(Alison Lundergan Grimes)가 재직 중이다. 전체적으로 공화당 강세인 주에서 선출된 민주당 출신 정치인이기 때문에 중립적이거나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2019년 앨리슨 그라임스는 임기제한으로 물러나게 되었고 켄터키 주의 국무장관은 공화당 소속의 마이클 아담스가 역임하고 있다.

한편 2019년에는 주지사로 민주당 소속인 앤디 베쉬어가 0.4% 차이로 현직 주지사인 공화당 맷 베빈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어 이변을 만들어냈다.# 역대 주지사 일람은 역대 켄터키 주지사 문서 참조.

7. 대중 매체 및 기타

넷플릭스의 인기 드라마 퀸스 갬빗 주인공 베스 하먼은 학창 시절과 이후 생활을 켄터키 주의 렉싱턴에서 보냈다. 베스 하먼의 첫 우승 상대도 켄터키 주 챔피언이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서 타이키 셔틀이 켄터키 주 출신이라는 공식 설정을 가지고 있다.

캐머런 크로 감독의 영화 제목인 엘리자베스 타운은 실제로 켄터키 주 중부에 있는 도시 이름이다. 마이클 만 감독의 인사이더에서도 루이빌이 주요 배경 중 하나이다.

킹스맨: 골든 서클에 등장하는 스테이츠 맨 조직의 본부가 켄터키 주에 있다.

사우스파크Medicinal Fried Chicken 에피소드에서는 KFC를 특유의 감성으로 패러디해서 켄터키의 코빈[16]도 재미있게 묘사된다.

Kentucky Route Zero의 배경이기도 하다.

저스티파이드의 배경인 할란은 켄터키 주에 실제로 존재하는 도시이다.

좀비 게임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게임 Project Zomboid의 배경이 켄터키 주의 녹스 카운티(Knox county)[17] 와 켄터키 주의 루이빌이다.

미국 지도에서 켄터키 주를 쉽게 찾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미네소타, 아이오와, 미주리, 아칸소, 루이지애나, 테네시를 포함한 도합 7개 주가 위 링크에서 소개하는 주인공이다. 미네소타 주(머리, 頭)에서 루이지애나 주(발, 足)이 형성하는 수직선이 요리사의 모습을 형성하며, 테네시 주는 켄터키 주를 받치는 팬(pan) 역할을 맡는다. 최종적으로 요리사가 닭을 든 재밌는 모습이다.

8. 출신 인물


[1] 직역: 연합한 우리는 서고, 갈라진 우리는 무너진다.[2] 각종 스타디움 및 골프장에 설치하는 잔디로 명성이 높은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이름이 여기서 유래한다. 재미있는 사실로 미국 내에서 이 잔디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주는 켄터키 주가 아닌 아이다호 주워싱턴 주, 오리건 주라고 한다.[3]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4] 오하이오 주 문서에도 나와 있지만, 켄터키 주의 북쪽에 있는 오하이오 주의 면적은 북한 전체의 면적과 비슷하다. 그렇기 때문에 오하이오 주와 켄터키 주를 합치면 한반도의 전체 면적과 비슷해진다. 참고로 한반도 및 그 부속도서와 면적이 가장 비슷한 주는 미네소타 주이다.[5] 보통 미국 대륙에 이름이 같은 도시들이 많아서 켄터키의 렉싱턴이라고 한다. 매사추세츠 주에도 렉싱턴이라는 도시가 있지만 켄터키 주의 렉싱턴이 더 유명하다.[6] 켄터키 주의 미국 내 면적 크기 순위는 37위를 기록하고 있다.[7] #1, #2[8] #[9] #[10] #[11] 켄터키 前 주지사(2008~2016) 스티브 배쉬어의 아들[12] 전 켄터키 주지사 해피 챈들러의 손자[13] 공화당 現 연방상원의원(1985 ~ ),[14] 민주당 前 연방상원의원(1974 ~ 1999),[15] 주 경제와 관련된 일을 주로 처리하며 주 특허청도 여기서 관리한다. 이외에도 주 의회와 주지사가 내리는 명령들을 관리하는 등 주 정계에서 요직이라고 여겨진다.[16] KFC의 첫번째 체인점이 생긴 곳이다.[17] 작중에서는 이후 녹스 컨트리(country)로 변경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