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
오세훈 | 박형준 | 홍준표 | 유정복 |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
강기정 | 이장우 | 김두겸 | 최민호 |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
김동연 | 김진태 | 김영환 | 김태흠 |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김관영 | 김영록 | 이철우 | 박완수 | ||||||
제주 | |||||||||
오영훈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임기: 2022년 7월 1일 ~ 2026년 6월 30일(예정) | |||||||||
1960-1961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 |
충청남도지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이영진 | 제2대 진헌식 | 제3대 성낙서 | 제4대 이기세 | 제5대 민병기 |
제6대 김학응 | 제7대 김홍식 | 제8대 김양현 | 제9대 이기세 | 제10대 윤태호 | |
제11대 노명우 | 제12대 김의창 | 제13대 김윤환 | 제14대 민유동 | 제15대 정석모 | |
제16대 김수학 | 제17대 서정화 | 제18대 정석모 | 제19대 손수익 | 제20대 이계완 | |
제21대 유흥수 | 제22대 안응모 | 제23대 한양수 | 제24대 심대평 | 제25대 한청수 | |
제26대 이종국 | 제27대 홍선기 | 제28대 이동우 | 제29대 박태권 | 제30대 박중배 | |
제31대 김한곤 | 제32-34대 심대평 | 제35대 이완구 | 제36-37대 안희정 | 제38대 양승조 | |
제39대 김태흠 | |||||
}}}}}}}}} |
<colcolor=#fff> 충청남도지사 忠淸南道知事 Governor of Chungcheongnam Province | |
현직 | <colbgcolor=#fff,#191919>김태흠 / 제39대 (민선 8기) |
취임일 | 2022년 7월 1일 |
정당 | |
홈페이지 |
1. 개요
1.1. 충청남도지사 선거 100% 적중 지역
2. 목록3. 역대 선거 결과3.1. 1960년 지방선거3.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3.3.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4.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3.10.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 역대 정당별 전적5. 역대 후보별 순위6. 생존 중인 전직 민선 충청남도지사7. 도정 지표8. 관련 문서[clearfix]
1. 개요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장이다.심대평 전 지사가 국민중심당을 창당해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이후부터 민선 충청남도지사한테는 충청도의 맹주라는 별칭이 붙었고, 어울러 충청 대망론의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경우가 많다. 심대평 이후로 안희정 전 지사가 이러한 사례의 대표적인 인물이었고 이완구 전 지사도 언급이 꽤 되었는데, 안희정 전 지사는 성폭행 사건 이후 정치적으로 몰락했고, 이완구 전 지사도 말년에 이런저런 구설수들에 연루되면서 역시나 몰락했고, 결국 정계에서 불명예스럽게 은퇴한 되 2021년 가을, 지병으로 사망하면서 현재는 이전보다는 사장되었다. 그나마 양승조 전 지사가 충청 대망론 주자로 어느 정도 언급되고 있는 등 지자체장 중에서는 대권 주자로서 언급이 좀 되고 있는 편이다.[1][2]
1910년까지는 관찰사(觀察使)라고 했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충청남도 관찰사는 1910년 8월에 부임한 박중양(朴重陽)이다. 그러나 국권강탈 직전에 부임한 까닭에 그의 전임자인 최정덕 (崔廷德)을 마지막 관찰사로 보는 경우도 있다.
민선 7기까지는 이완구 전 지사를 제외하고 동부 출신이 대부분이였으나, 김태흠 지사가 2번째로 민선 이후의 서부 출신 도지사가 되었다.[3]
자녀 관계를 보면 김태흠 이전의 도지사들은 전부 아들만 있었으나,[4] 김태흠은 아들과 딸을 하나씩 둔 사람으로써 최초로 딸을 하나 이상 둔 충남도지사가 탄생하였다.
1.1. 충청남도지사 선거 100% 적중 지역
<rowcolor=white> 충청남도지사 선거 적중 지역 결과 | |||||||
연도 | 당선인 | 공주시 1위 | 아산시 1위 | 논산시 1위 | 당진시 1위 | 서천군 1위 | 금산군 1위 |
1995년 | 심대평 (67.88%) | 심대평 (76.69%) | 심대평 (71.89%) | 심대평 (69.86%) | 심대평 (70.31%) | 심대평 (55.97%) | 심대평 (64.00%) |
1998년 | 심대평 (84.63%) | 심대평 (89.41%) | 심대평 (85.96%) | 심대평 (88.15%) | 심대평 (86.17%) | 심대평 (85.66%) | 심대평 (83.73%) |
2002년 | 심대평 (66.96%) | 심대평 (78.39%) | 심대평 (66.21%) | 심대평 (74.44%) | 심대평 (64.77%) | 심대평 (70.60%) | 심대평 (73.89%) |
2006년 | 이완구 (46.31%) | 이완구 (36.82%) | 이완구 (38.88%) | 이완구 (36.49%) | 이완구 (45.74%) | 이완구 (37.00%) | 이완구 (38.54%)[5] |
2010년 | 안희정 (42.25%) | 안희정 (47.31%) | 안희정 (45.47%) | 안희정 (61.24%) | 안희정 (40.91%)[6] | 안희정 (43.62%) | 안희정 (43.57%) |
2014년 | 안희정 (52.21%) | 안희정 (49.42%) | 안희정 (54.68%) | 안희정 (60.21%) | 안희정 (52.43%) | 안희정 (50.64%) | 안희정 (51.02%) |
2018년 | 양승조 (62.55%) | 양승조 (59.02%) | 양승조 (66.57%) | 양승조 (58.83%) | 양승조 (61.44%) | 양승조 (53.78%) | 양승조 (56.47%) |
2022년 | 김태흠 (53.87%) | 김태흠 (56.65%) | 김태흠 (51.00%) | 김태흠 (53.15%) | 김태흠 (53.67%) | 김태흠 (56.49%) | 김태흠 (53.03%) |
한편 천안시의 경우 시 전체로는 역대 충청남도지사 선거에서 당선 결과를 모두 적중하였으나, 구를 갈라서 볼 경우 동남구, 서북구 모두 한 차례씩 빗나간 적이 있다.[9]
2. 목록
2.1. 일제강점기
<rowcolor=white> 관선 (임명직) 충청남도지사 | ||||
<rowcolor=white>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초대 | 박중양 (朴重陽) | 1910년 10월 1일 ~ 1915년 3월 31일 | [10] | |
2대 | 오하라 신조 (小原新三) | 1915년 3월 31일 ~ 1916년 10월 28일 | ||
3대 | 간바야시 게이지로 (上林敬次郎) | 1916년 10월 28일 ~ 1918년 9월 23일 | ||
초대 | 구와바라 하치시 (桑原八司) | 1918년 9월 23일 ~ 1919년 9월 26일 | [11] | |
2대 | 도키자네 아키호 (時実秋穂) | 1919년 9월 26일 ~ 1921년 2월 12일 | ||
3대 | 김관현 (金寛鉉) | 1921년 2월 12일 ~ 1924년 12월 1일 | ||
4대 | 석진현 (石鎮衡) | 1924년 12월 1일 ~ 1926년 8월 14일 | ||
5대 | 유성준 (兪星濬) | 1926년 8월 14일 ~ 1927년 5월 18일 | ||
6대 | 신석린 (申錫麟) | 1927년 5월 18일 ~ 1929년 11월 28일 | ||
7대 | 유진순 (劉鎮淳) | 1929년 11월 28일 ~ 1931년 9월 23일 | ||
8대 | 오카자키 데츠로 (岡崎哲郎) | 1931년 9월 23일 ~ 1935년 4월 1일 | ||
9대 | 이범익 (李範益) | 1935년 4월 1일 ~ 1937년 2월 20일 | ||
10대 | 정교원 (鄭僑源) | 1937년 2월 20일 ~ 1939년 5월 17일 | ||
11대 | 가나가와 고키 (金川聖) | 1939년 5월 17일 ~ 1941년 5월 31일 | ||
12대 | 마츠무라 모토히로(松村基弘) [12] | 1941년 5월 31일 ~ 1942년 10월 23일 | ||
13대 | 야마키 후미히로(山木文憲) [13] | 1942년 10월 23일 ~ 1945년 6월 26일 | ||
14대 | 마스나가 히로시(増永 弘) [14] | 1945년 6월 26일 ~ 1945년 8월 15일 |
2.2. 대한민국
2.2.1. 관선 1기
<rowcolor=white> 관선 (임명직) 충청남도지사 | ||||
<rowcolor=white>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정부 | 비고 |
초대 | 이영진 (李英鎭) | 1948년 10월 18일 ~ 1951년 12월 17일 | 이승만 정부 | |
2대 | 진헌식 (陳憲植) | 1951년 12월 17일 ~ 1952년 8월 29일 | ||
3대 | 성낙서 (成樂緖) | 1952년 9월 9일 ~ 1954년 9월 27일 | ||
4대 | 이기세 (李起世) | 1954년 9월 27일 ~ 1956년 9월 24일 | ||
5대 | 민병기 (閔丙基) | 1956년 9월 24일 ~ 1958년 6월 14일 | ||
6대 | 김학응 (金鶴應) | 1958년 7월 29일 ~ 1960년 4월 30일 | ||
7대 | 김홍식 (金弘植) | 1960년 5월 2일 ~ 1960년 10월 7일 | 허정 내각 | |
8대 | 김양현 (金陽鉉) |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30일 | 장면 내각 |
2.2.2. 민선 1기
<rowcolor=white> 민선 (선출직) 충청남도지사 | ||||
<rowcolor=white>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당적[15] | 비고 |
9대 | 이기세 (李起世) | 1961년 1월 5일 ~ 1961년 5월 24일 | [[신민당(1960년)|]] |
2.2.3. 관선 2기
<rowcolor=white> 관선 (임명직) 충청남도지사 | ||||
<rowcolor=white>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정부 | 비고 |
10대 | 윤태호 (尹泰浩) | 1961년 5월 24일 ~ 1963년 12월 17일 | 국가재건최고회의 | |
11대 | 노명우 (盧明遇) | 1963년 12월 19일 ~ 1966년 3월 19일 | 박정희 정부 | |
12대 | 김의창 (金義昌) | 1966년 3월 19일 ~ 1967년 10월 10일 | ||
13대 | 김윤환 (金允煥) | 1967년 10월 10일 ~ 1971년 6월 12일 | ||
14대 | 민유동 (閔有東) | 1971년 6월 12일 ~ 1973년 10월 20일 | ||
15대 | 정석모 (鄭石謨) | 1973년 10월 20일 ~ 1973년 12월 10일 | ||
16대 | 김수학 (金秀學) | 1973년 12월 10일 ~ 1974년 9월 2일 | ||
17대 | 서정화 (徐廷和) | 1974년 9월 2일 ~ 1976년 1월 12일 | ||
18대 | 정석모 (鄭石謨) | 1976년 1월 12일 ~ 1978년 9월 11일 | ||
19대 | 손수익 (孫秀益) | 1978년 9월 11일 ~ 1980년 4월 27일 | ||
20대 | 이계완 (李契完) | 1980년 4월 28일 ~ 1982년 1월 4일 | 최규하 정부 | |
21대 | 유흥수 (柳興洙) | 1982년 1월 5일 ~ 1984년 3월 27일 | 전두환 정부 | |
22대 | 안응모 (安應模) | 1984년 3월 28일 ~ 1987년 1월 4일 | ||
23대 | 한양수 (韓良洙) | 1987년 1월 5일 ~ 1988년 5월 19일 | ||
24대 | 심대평 (沈大平) | 1988년 5월 20일 ~ 1990년 12월 27일 | 노태우 정부 | |
25대 | 한청수 (韓淸洙) | 1990년 12월 28일 ~ 1992년 1월 8일 | ||
26대 | 이종국 (李鍾國) | 1992년 1월 9일 ~ 1992년 9월 17일 | ||
27대 | 홍선기 (洪善基) | 1992년 9월 18일 ~ 1993년 3월 3일 | ||
28대 | 이동우 (李東宇) | 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 | 김영삼 정부 | |
29대 | 박태권 (朴泰權) | 1993년 12월 28일 ~ 1994년 4월 11일 | ||
30대 | 박중배 (朴鍾培) | 1994년 4월 16일 ~ 1995년 3월 29일 | ||
31대 | 김한곤 (金漢昆) | 1995년 3월 30일 ~ 1995년 6월 30일 |
2.2.4. 민선 2기
<rowcolor=white> 민선 (선출직) 충청남도지사 | |||||
<rowcolor=white>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당적[16] | 출신지 | 비고 |
32대 | 심대평 (沈大平)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자유민주연합|]] | 충남 공주 | |
33대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34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3월 24일 | [17][18] | |||
[[권한대행| 권한대행 ]] | 유덕준 (兪德濬) | 2006년 3월 25일 ~ 2006년 6월 30일 | 행정부지사 | 충남 부여 | |
35대 | 이완구 (李完九) | 2006년 7월 1일 ~ 2009년 12월 3일 | | 충남 청양 | [19] |
[[권한대행| 권한대행 ]] | 이인화 (李仁禾) | 2009년 12월 4일 ~ 2010년 6월 30일 | 행정부지사 | 충남 예산 | |
36대 | 안희정 (安熙正)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주당(2008년)|]] | 충남 논산 | [20] |
37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3월 6일 | [[새정치민주연합|]] | [21][22] | ||
[[권한대행| 권한대행 ]] | 남궁영 (南宮英) | 2018년 3월 7일 ~ 2018년 6월 30일 | 행정부지사 | 충남 부여 | |
38대 | 양승조 (梁承晁)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충남 천안 | |
39대 | 김태흠 (金泰欽)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충남 보령 |
3. 역대 선거 결과
역대 민선 충청남도지사 | ||||||
1960 | 1995 | 1998 | 2002 | 2006 | ||
신민당 | 자유민주연합 | 한나라당 | ||||
이기세 | 심대평 | 이완구 | ||||
2010 | 2014 | 2018 | 2022 | |||
민주당 | 국민의힘 | |||||
안희정 | 양승조 | 김태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60년 | 1위: [[신민당(1960년)|]] 이기세 55.40% 2위: 김양현 33.40% | |||||
1995년 | 1위: [[자유민주연합|]] 심대평 67.88% 2위: [[민주자유당|]] 박중배 19.18% 3위: 조중연 12.92% | |||||
1998년 | 1위: [[자유민주연합|]] 심대평 84.63% 2위: 한청수 15.36% | |||||
2002년 | 1위: [[자유민주연합|]] 심대평 66.96% 2위: 박태권 33.03% | |||||
2006년 | 1위: 이완구 46.31% 2위: [[국민중심당|]] 이명수 25.54% 3위: [[열린우리당|]] 오영교 21.74% | |||||
2010년 | 1위: [[민주당(2008년)|]] 안희정 42.25% 2위: [[자유선진당|]] 박상돈 39.94% 3위: 박해춘 17.79% | |||||
2014년 | 1위: [[새정치민주연합|]] 안희정 52.21% 2위: [[새누리당|]] 정진석 43.95% | |||||
2018년 | 1위: 양승조 62.55% 2위: [[자유한국당|]] 이인제 35.10% | |||||
2022년 | 1위: 김태흠 53.87% 2위: 양승조 46.12% | }}}}}}}}} |
3.1. 1960년 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기세(李埼世) | 243,504 | 1위 |
[[신민당(1960년)|]] | 55.40% | 당선 | |
2 | 윤세억(尹錫祚) | 21,801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00% | 낙선 | |
3 | 이성남(李星男) | 15,402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50% | 낙선 | |
4 | 김대수(梁成淵) | 11,689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60% | 낙선 | |
5 | 김양현(李龍熙) | 146,648 | 2위 |
| 33.4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49,666 | 투표율 39.46% |
투표 수 | 453,743 | ||
무효표 수 | - |
3.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중배(朴重培) | 174,117 | 2위 |
[[민주자유당|]] | 19.18% | 낙선 | |
2 | 조중연(趙重衍) | 117,300 | 3위 |
| 12.92% | 낙선 | |
3 | 심대평(沈大平) | 616,006 | 1위 |
[[자유민주연합|]] | 67.88%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270,138 | 투표율 73.77% |
투표 수 | 937,009 | ||
무효표 수 | 29,586 |
3.3.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한청수(韓淸洙) | 119,216 | 2위 |
| 15.36% | 낙선 | |
3 | 심대평(沈大平) | 656,795 | 1위 |
[[자유민주연합|]] | 84.63%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343,633 | 투표율 59.49% |
투표 수 | 799,314 | ||
무효표 수 | 23,303 |
3.4.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태권(朴泰權) | 251,005 | 2위 |
| 33.03% | 낙선 | |
3 | 심대평(沈大平) | 508,796 | 1위 |
[[자유민주연합|]] | 66.96%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397,105 | 투표율 56.24% |
투표 수 | 785,742 | ||
무효표 수 | 25,941 |
3.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오영교(吳盈敎) | 178,169 | 3위 |
[[열린우리당|]] | 21.75% | 낙선 | |
2 | 이완구(李完九) | 379,420 | 1위 |
| 46.31% | 당선 | |
4 | 이용길(李鏞吉) | 52,417 | 4위 |
[[민주노동당|]] | 6.40% | 낙선 | |
5 | 이명수(李明洙) | 209,254 | 2위 |
[[국민중심당|]] | 25.5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03,240 | 투표율 55.78% |
투표 수 | 838,462 | ||
무효표 수 | 19,202 |
3.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해춘(朴海春) | 154,723 | 3위 |
| 17.79% | 낙선 | |
2 | 안희정(安熙正) | 367,288 | 1위 |
[[민주당(2008년)|]] | 42.25% | 당선 | |
3 | 박상돈(朴商敦) | 347,265 | 2위 |
[[자유선진당|]] | 39.9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95,587 | 투표율 56.52% |
투표 수 | 901,863 | ||
무효표 수 | 32,587 |
충청남도지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안희정 | 박상돈 | 격차 |
전체 | 41.4% | 38.8% | 2.6%p경합 |
3.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진석(鄭鎭碩) | 392,315 | 2위 |
[[새누리당|]] | 43.95% | 낙선 | |
2 | 안희정(安熙正) | 465,994 | 1위 |
[[새정치민주연합|]] | 52.21% | 당선 | |
4 | 김기문(金基文) | 34,204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8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44,554 | 투표율 55.71% |
투표 수 | 916,206 | ||
무효표 수 | 23,693 |
충청남도지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정진석 | 안희정 | 격차 |
전체 | 48.1% | 49.8% | 1.7%p경합 |
3.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양승조(梁承晁) | 615,870 | 1위 |
| 62.55% | 당선 | |
2 | 이인제(李仁濟) | 345,577 | 2위 |
[[자유한국당|]] | 35.10% | 낙선 | |
6 | 차국환(車國煥) | 23,012 | 3위 |
[[반공정당코리아|]] | 2.3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740,413 | 투표율 58.11% |
투표 수 | 1,011,447 | ||
무효표 수 | 26,988 |
충청남도지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양승조 | 이인제 | 격차 |
전체 | 63.7% | 34.6% | 29.1%p |
양승조는 자신의 지역구이기도 했던 천안시에서는 71.49%의 득표율을 보이기도 했다.[23] 참고로 이 분도 이시종 못지 않게 선거 불패인데, 5전 5승이다.
충청남도는 선거 이전 시점에서 문재인 정부에 대한 직무 수행 평가에서 긍정의 비율이 부정 평가의 두 배를 상회할 정도로 높았던데다가 이인제는 후보로 나선 시점에서부터 보수는 물론 중도층까지 아우르기엔 부족하다는 평가가 존재했었고 본인도 유세에서 인물을 보고 뽑아달라는 주장을 했던 모습과는 달리 선심성에 가까운 공약과 양승조 후보를 향한 집요한 공격, 정권 및 여당 심판의 3박자 만으로 일관했고 충청남도의 현안 과제 응답에 대한 호응도도 가장 낮은 모습을 보였다. 그 결과 보수 텃밭인 부여군[24], 청양군, 심지어 충청남도에서 가장 보수적인 예산군에서 조차 맥없이 밀리는 굴욕을 맛봐야만 했다. 이것도 모자라 자신의 지역구 주민에게 39.11%의 득표율을 받았다. 피닉제라 불리던 이의 완벽한 몰락이다.
이인제는 정치 입문 이래 처음으로 내리 2연패를 당했다. 다른 곳도 아니고, 자신의 고향인 충청남도에서만 2연패다. 당장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신의 출생지이자, 4선 지역구이기도 했던 논산시·계룡시·금산군 국회의원 후보로 나와서 직전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신에게 꺾였던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후보에게 패배를 당하는 굴욕을 겪었지만 불과 1% 차이였다. 하지만 이번엔 출신지는 물론 위에서 언급한대로 예산군에서도 털리면서 참패를 당했다.
3.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양승조(梁承晁) | 401,308 | 2위 |
| 46.12% | 낙선 | |
2 | 김태흠(金泰欽) | 468,658 | 1위 |
| 53.87% | 당선 | |
| | 사퇴[25] | |
[[충청의미래당|]] | |||
계 | 선거인 수 | 1,803,096 | 투표율 49.82% |
투표 수 | 898,369 | ||
무효표 수 | 28,403 |
충청남도지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양승조 | 김태흠 | 격차 |
전체 | 45.9% | 54.1% | 8.2%p |
그밖에 전통적으로 더불어민주당에 엄청난 몰표가 쏟아지던 아산시 배방읍과 탕정면에서도 양승조 후보가 압도적으로 이기지 못했다. 양승조 후보는 배방읍에서 3천표, 탕정면에서 1300표밖에 이기지 못하면서 아산시 구시가지와 농촌표를 만회하지 못했고 결국 아산시 전체에서 김태흠 후보에 2300표 차이로 패하고 말았다. 4년 전에는 아산시에서 무려 35%나 이겼고 심지어 3달 전 대통령 선거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승리하며 텃밭임을 과시하던 아산시에서조차 패했으니 도저히 이길 수 없는 선거였다.
충청의미래당 후보로 나선 최기복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사퇴했으나, 최기복 후보의 존재감이 심각하게 없었기에 판도에 미친 영향은 거의 없었다고 봐도 좋을 정도로 미미했다.
3.10.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0 | ||
| 00.00% | ||
2 | 0 | ||
| 00.00% | ||
계 | 선거인 수 | 투표율 00.00%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충청남도지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eee,#353535> 후보 | ○○○ | ○○○ | 격차 |
전체 | 00.00% | 00.00% | 00.00%p |
4. 역대 정당별 전적
민주당계 정당 | 보수 정당 | 제3후보[26] | |
1회 | 조중연 | 박중배 | 심대평[27] |
| [[민주자유당|]] | [[자유민주연합|]] | |
낙선 12.92% | 낙선 19.18% | 당선 67.88% | |
2회 | 심대평[28] | 한청수 | - |
[[자유민주연합|]] | | ||
당선 84.63% | 낙선 15.36% | ||
3회 | - | 박태권 | 심대평[29] |
| [[자유민주연합|]] | ||
낙선 33.03% | 당선 66.96% | ||
4회 | 오영교 | 이완구 | 이명수[30] |
[[열린우리당|]] | | [[국민중심당|]] | |
낙선 21.70% | 당선 46.30% | 낙선 25.50% | |
5회 | 안희정 | 박해춘 | 박상돈[31] |
[[민주당(2008년)|]] | | [[자유선진당|]] | |
당선 42.25% | 낙선 17.79% | 낙선 39.94% | |
6회 | 안희정 | 정진석 | 김기문[32] |
[[새정치민주연합|]] | [[새누리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당선 52.21% | 낙선 43.95% | 낙선 3.83% | |
7회 | 양승조 | 이인제 | - |
| [[자유한국당|]] | ||
당선 62.55% | 낙선 35.10% | ||
8회 | 양승조 | 김태흠 | - |
| | ||
낙선 46.12% | 당선 53.87% | ||
9회 | ○○○ | ○○○ | - |
| | ||
- | - |
5. 역대 후보별 순위
- 사퇴, 사망, 등록 무효 후보 제외.
<rowcolor=#000,#fff> | 1위 | 2위 | 3위 | 4위 |
1회 | 심대평 | 박중배 | 조중연 | |
2회 | 심대평 | 한청수 | ||
3회 | 심대평 | 박태권 | ||
4회 | 이완구 | 이명수 | 오영교 | 이용길 |
5회 | 안희정 | 박상돈 | 박해춘 | |
6회 | 안희정 | 정진석 | 김기문 | |
7회 | 양승조 | 이인제 | 차국환 | |
8회 | 김태흠 | 양승조 |
6. 생존 중인 전직 민선 충청남도지사
- 심대평 (1995년 7월 1일 ~ 2006년 3월 24일 재임, 민선 1-3기, 1941년 4월 7일 출생, [age(1941-04-07)]세)
- 안희정 (2010년 7월 1일 ~ 2018년 3월 6일 재임, 민선 5·6기, 1964년 12월 1일 출생, [age(1964-12-01)]세)
- 양승조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재임, 민선 7기, 1959년 3월 21일 출생, [age(1959-03-21)]세)
이완구 전 지사는 2021년 10월 14일 사망하였다.
7. 도정 지표
김윤환 | <colcolor=#000,#fff> 새로운 충남을 건설하자 |
민유동 | 새롭게 바꾸자 |
정석모 | 3백만 한뜻으로 영광의 충남건설 |
서정화 | 진취하는 사회, 충청남도 |
정석모 | 푸르고 윤택한 영광의 충남 |
손수익 | 전통을 빛내는 충남 |
이계완 | 보람찬 충남건설 |
유흥수 | 활기찬 새충남 |
안응모 | 으뜸충남 우리가 만들자 |
한양수 | 힘찬 전진, 알찬 충남 |
심대평 | 희망찬 내일, 영광의 새 충남 |
한청수 | 함께하는 도정, 도약하는 충남 |
박중배 | 충남의 밝은 미래를 열자 |
심대평 | 4천만이 살고싶은 충남건설 |
이완구 | 한국의 중심, 강한 충남도 |
안희정 | 행복한 변화, 새로운 충남 |
양승조 | 대한민국의 중심, 더 행복한 충남 |
김태흠 | 힘쎈 충남, 대한민국의 힘 |
8. 관련 문서
[1] 대전광역시장은 상대적으로 정치적 중량감이 부족하고, 충청북도지사는 상대적으로 조용한 스타일의 관료 출신이 많은 것도 한몫 했다.[2] 대한민국에서 대권 주자로 가는 교두보로 인기가 높은 지자체장은 서울특별시장, 경기도지사, 경상남도지사 순이다.[3] 심대평 - 공주시, 이완구 - 청양군, 안희정 - 논산시, 양승조 - 천안시, 김태흠 - 보령시이며, 아직 서북부의 당진시, 서산시, 태안군, 아산시, 홍성군, 예산군 출신은 나오지 않았다.[4] 심대평은 아들만 셋이며, 이완구부터 양승조까지는 전부 아들만 둘이다.[5]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국민중심당 이명수 후보가 출마하면서 금산에서 초접전이었는데, 결국 이완구(38.5%)가 이명수(37.3%)를 간발의 차로 누르고 금산에서 1위를 가져갔다.[6] 당진시(당시 당진군)에서는 안희정과 박상돈 후보 간 피말리는 접전이 벌어졌다. 개표 마지막에 와서야 안희정 23,524표 vs 23,496표 박상돈으로 28표 차로 안희정이 당진에서 이겼다. 득표율로는 안희정 40.91% vs 40.86% 박상돈.[7] 다만 심대평, 이완구, 안희정 전 지사들은 잔여 임기를 1년 미만으로 남기고 사퇴했다.[8] 다만, 의외로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예측 실패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인구 감소로 인해 시군 선거구가 합쳐진 1996년 15대 총선부터 빗나갔다.[9] 동남구는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서북구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빗나갔다.[10] 마지막 관찰사이자 초대 도장관.[11] 4대 도장관. 1919년 8월부터 도지사.[12] 창씨개명. 조선 명 이기방 (李基枋).[13] 창씨개명. 조선 명 송문헌 (宋文憲).[14] 창씨개명. 조선 명 박재홍 (朴在弘).[15] 선거 당시 당적.[16] 선거 당시 당적.[17] 2005.3.8.
[[자유민주연합|]] 탈당.
2006.1.17.
[[국민중심당|]] 입당.
2006.3.24. 지사직 사퇴.[18] 결과적으로 관선, 민선 합해 14년 반을 재임한 셈이다.[19] 이명박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반발하여 2009년 12월 3일 사퇴했다.[20] 2011.12.23. 으로 신설 합당.
2013.5.4. 으로 당명 변경.
2014.3.26.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당명 변경.[21] 2015.12.28.
으로 당명 변경.[22] 사퇴서 제출 시점에는 제명 절차 중이였다. 2018년 3월 5일 20시 안희정 전 충남지사 성폭력 사건으로 인해 6일 새벽 0시 49분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부로 도지사직을 내려놓겠다. 일체의 정치 활동도 중단하겠다. 모든 분들께 정말 죄송하다라고 밝혔다. 이후 6일 오전 10시경에 충청남도의회로 사퇴서를 제출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안희정 성폭력 사건 문서 참고.[23] 그 중에서도 서북구에서는 73.51%라는 몰표 수준의 표를 받았다.[24] 3김의 일원이자 충청 보수 정치인의 상징이었던 김종필의 고향이다.[25]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 지지.[26] 3% 이상 득표자만 기재.[27] 보수 정당 후보.[28] 보수 정당 후보, 새정치국민회의와 단일화.[29] 보수 정당 후보.[30] 보수 정당 후보.[31] 보수 정당 후보.[32] 중도 성향 후보.
[[자유민주연합|]] 탈당.
2006.1.17.
[[국민중심당|]] 입당.
2006.3.24. 지사직 사퇴.[18] 결과적으로 관선, 민선 합해 14년 반을 재임한 셈이다.[19] 이명박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반발하여 2009년 12월 3일 사퇴했다.[20] 2011.12.23. 으로 신설 합당.
2013.5.4. 으로 당명 변경.
2014.3.26.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당명 변경.[21] 2015.12.28.
으로 당명 변경.[22] 사퇴서 제출 시점에는 제명 절차 중이였다. 2018년 3월 5일 20시 안희정 전 충남지사 성폭력 사건으로 인해 6일 새벽 0시 49분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부로 도지사직을 내려놓겠다. 일체의 정치 활동도 중단하겠다. 모든 분들께 정말 죄송하다라고 밝혔다. 이후 6일 오전 10시경에 충청남도의회로 사퇴서를 제출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안희정 성폭력 사건 문서 참고.[23] 그 중에서도 서북구에서는 73.51%라는 몰표 수준의 표를 받았다.[24] 3김의 일원이자 충청 보수 정치인의 상징이었던 김종필의 고향이다.[25]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 지지.[26] 3% 이상 득표자만 기재.[27] 보수 정당 후보.[28] 보수 정당 후보, 새정치국민회의와 단일화.[29] 보수 정당 후보.[30] 보수 정당 후보.[31] 보수 정당 후보.[32] 중도 성향 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