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통 육아용품
끈이 달린 누비 이불.이불(포대기)에 옷고름이 달린 형태다. 아기를 등이나 앞에 놓고 이불로 감싼 뒤 고름을 이용해 둘러맨다. 고름으로 아기의 엉덩이를 받치고, 헐거워서 뒤로 떨어지거나 풀리는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서 묶어야 한다.
1.1. 현대의 모습
포대기 문서 참고. 현대에는 포대기로 널리 알려져있다.
현대[1]에는 유모차나 아기띠가 우세한데다 처네를 포대기와 구분하지 못하는가 하면, 이름만 같고 전혀 다른 새로운 물건들이 범람하고 있기 때문에 따로 찾아보지 않는 이상은 자신이 알던 그 포대기와 처네가 사실은 포대기나 처네가 아닌 경우가 많다.
1.2. 원래의 “포대기”
원래 포대기는 아기를 감싸는 작은 이불을 뜻한다. 처네와 달리 길다란 고름이 없다. 흔히 아기 하면 얼굴만 내놓은 상태로 작은 이불에 둘둘 말린 모습을 연상하는데, 아기를 꽁꽁 감싼 작은 이불이 바로 포대기다. 한자어로 강보(襁褓). 업을 때 쓰기도 하는데, 앞에 언급한 것보다 길이와 폭이 더 넉넉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고름이 없기 때문에 이불의 귀퉁이를 이용해 둘러매야 한다. 현대에는 속싸개라는 말로 통칭된다.
2. 이불
이불 밑에 덧덮는 얇고 작은 이불. 겹으로 만들거나 얇게 솜을 두기도 했다.3. 머리처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의 종류{{{#!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 남녀공용 | |||||||
상의 |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삼 · 적삼 · 마고자 | |||||||
하의 | 바지 | |||||||
겉옷 | 반비 · 배자 | |||||||
신발 | 목화 · 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 |||||||
기타 | 무복 · 버선 · 상복 | |||||||
남성용 | ||||||||
평복 | 상의 | 사규삼 | ||||||
하의 | 잠방이 | |||||||
겉옷 | 포(도포 · 두루마기) 창옷(소창의 · 중치막 · 대창의 · 학창의) · 심의 · 쾌자 · 답호 | |||||||
예복 및 관복 |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 |||||||
융복 | 포졸복 · 구군복 · 철릭 | |||||||
모자 | 갓(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삿갓(방갓 · 지삿갓 · 갈모) · 감투 · 망건 · 탕건 · 패랭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원유관 · 이엄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휘항 · 금관 | |||||||
전통장식 | 동곳 · 흉배 | |||||||
여성용 | ||||||||
평복 | 하의 | 치마 | ||||||
겉옷 | 장옷 · 쓰개치마 · 머리처네 | |||||||
속옷 | 가슴가리개 | |||||||
예복 | 상의 | 당의 · 견마기 | ||||||
하의 | 스란치마 · 대란치마 · 갈래치마 | |||||||
겉옷 | 노의 · 원삼 · 활옷 | |||||||
모자 | 틀:전통여성모자 | |||||||
전통장식 |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 |
| | |
▲묶거나 풀어진 다양한 처네의 착용형태들. |
허리 부분에 네 개 정도의 주름을 잡고 저고리처럼 깃을 달고 흰색의 동정을 달았고 깃 좌우에 긴 끈을 달거나 단추를 달아 여미도록 하였다. 착용할 때는 깃 동정 부분이 이마에 닿도록 쓰고 끈을 앞에서 묶거나 머리 뒤로 돌려 묶어 착용하였다. 머리를 감싼 뒤 안쪽에서 움켜쥐었다. 바깥은 빨간색, 안쪽은 초록색이나 연두색 계열이 많았다고 한다. 조선 말기에 여인들이 쓰개용 처네를 착장한 모습의 사진에서 처네에 달린 백색 동정과 정수리 부분에 잡힌 주름, 상부에 달린 좌우의 끈을 뒤로 넘겨 동여맨 모습이 확인된다.
| |
여담으로 남아있는 유물들 중에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의 근세 포대기 유물은 여인의 누비 바지를 재활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이는 아기가 태어나면 나이 많은 노인의 옷으로 포대기를 만들었다는 속설을 방증하는 증거이기도 하다.
[1] 적어도 70년대 경상도 지방에서는 처네도 포대기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