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c30452> | LG 트윈스 2025 시즌 투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군 | ||
0 김유영 · 1 임찬규 · 13 송승기 · 21 이우찬 · 25 배재준 · 29 손주영 · 38 코엔 윈 · 39 박명근 · 42 김진성 · 46 치리노스 · 56 최채흥 · 61 백승현 · 67 김영우 | |||
2군 | |||
11 함덕주 · 12 김대현 · 18 정우영 · 20 우강훈 · 28 심창민 · 30 에르난데스 · 32 이지강 · 34 성동현 · 35 김영준 · 37 김강률 · 40 이종준 · 43 허용주 · 45 김진수 · 48 진우영 · 50 장현식 · 54 유영찬 · 57 김주온 · 58 허준혁 · 59 임준형 · 63 추세현 · 100 강민 · 101 조건희 · 102 김형욱 · 105 이믿음 · 109 안시후 · 111 전준호 · 112 최용하 · 114 백선기 · 115 김의준 · 116 고영웅 · 118 성준서 · 119 하영진 · 120 김지용 · 121 박시원 · 122 김종운 · 125 임정균 · 126 원상훈 · 129 김웅 · 130 조원태 · | |||
최종 편집: 2025년 5월 15일 | |||
(1) 음주 운전으로 인한 1년 실격 처분 | |||
프런트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LG 트윈스 등번호 130번 | ||||
팀 창단 | → | 조원태 (2025~) | → | 현역 |
| |
<colbgcolor=#c30452><colcolor=#fff> LG 트윈스 No.130 | |
조원태 Cho Won-Tae | |
출생 | 2003년 5월 10일 ([age(2003-05-10)]세) |
서울특별시 송파구 | |
국적 |
|
학력 | 토성초(강동구리틀) - 건대부중 - 선린인터넷고[1] |
신체 | 186cm | 91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2022년 1차 지명 (LG) |
소속팀 | LG 트윈스 (2022~)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2023년 11월 2일 ~ 2025년 5월 1일) |
연봉 | 3,300만 원 (10%↑, 2023년) |
SNS | |
가족 | 부모님, 누나 |
1. 개요
LG 트윈스 소속 좌완 투수. LG 트윈스의 마지막 지역연고 1차 지명자.2. 선수 경력
조원태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조원태(2003)/선수 경력 | ||
| ||
2022년 | 2023년 | 2025년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전형적인 정통파 좌완으로 큰 키에서 던지는 빠른 공이 장점이다. 그만큼 탈삼진이 많지만, 볼넷도 많다는 게 문제.최고 148km까지 던지나, 보통은 144km 언저리로 던지며, 투구폼은 부드러운 편이다.
프로 데뷔전에서는 직구 구속이 146~8에 많이 형성된 모습을 보였지만 풀카운트 승부가 많았다는 점에서 아직 제구 불안 이슈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지진 못한 듯. 다만 볼넷은 2이닝 동안 한 개밖에 내주지 않긴 했다.
고3 기록에선 동기들 중 투수 최대어로 평가받았던 문동주보다도 탈삼진율이 높았지만 프로 데뷔전에선 탈삼진을 잡지는 못했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 ||||||||||||||||
<rowcolor=#ffffff> 년도 | 소속팀 | 경기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2022 | LG | 2 | 0 | 0 | 0 | 0 | 4 | 0.00 | 1 | 0 | 2 | 1 | 0 | 0.75 | - | 0.18 |
2023 | 1군 기록 없음 | |||||||||||||||
2024 | 군 복무 | |||||||||||||||
KBO 통산 (1시즌) | 2 | 0 | 0 | 0 | 0 | 4 | 0.00 | 1 | 0 | 2 | 1 | 0 | 0.75 | - | 0.18 |
5. 여담
- 선배인 장재영이 조언을 많이 해준다고 한다.
- 이승엽처럼 다른손잡이이다. 야구를 제외한 모든 활동은 다 오른손으로 한다고 한다. 유치원 시절 처음 공을 던졌을 때 왼손으로 던져서 아버지가 왼손잡이용 글러브를 사주었는데, 크고 보니 공 던지는 거 빼고 다 오른손으로 하고 있었다고 한다.
- 인스타 방송을 통해 본인이 두산 베어스의 팬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두산이 1차지명에서 이병헌을 지명하고, 본인은 LG 트윈스에 뽑히게 된다. 그 뒤에 인터뷰에서 말하길, 부모님이 두산 팬이라 어린 나이에 부모님 따라서 두산팬이 된 것이지만, LG에 입단한 이상 LG에 뼈를 묻겠다고 말했다.[2] 롤모델로는 이상훈과 봉중근을 꼽았다.[3][4]
- 가족관계로는 부모님과 누나 한 명이 있는데, 누나와 사이가 좋다고 한다.
- 똘기가 보통이 아니라는 평이 있다. 엘튜브에 올라온 인터뷰 영상을 본 LG 팬들은 임찬규 같은 애가 또 들어왔다며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다.
- LG 트윈스의 유니폼을 입고 던진 첫 번째 공이 논란이 되었다. 2021년 10월 21일 경기에서 1차지명자 신분으로 경기 전 시구를 담당했는데, 상대팀인 키움 히어로즈의 1번 타자였던 이용규가 홈플레이트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는데도 거의 몸에 맞을 뻔했다. 영상 같은 1차지명자 환영 시구 상황에서 어이없이 하늘로 날아간 시구를 선보였다가 프로 입단 후 타자로 전향한 두산 김대한이 소환됐으며, 벌써부터 제구력 걱정을 하는 팬도 나왔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c30452> | LG 트윈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3년 | 1984년 | 1985년 | 1986년 | 1987년 |
{{{#!folding (12명) | {{{#!folding (8명) | {{{#!folding (9명) | {{{#!folding (7명) | 노찬엽 정태관 김영직 |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
이국성 이용철 김상호 | 김기범 최훈재 나웅 | 김동수 이병훈 | 송구홍 | 임선동 |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
이상훈 | 유지현 | 심재학 | 이정길 {{{#!folding (고졸) | 이병규 {{{#!folding (고졸) |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조인성 {{{#!folding (고졸) | 김상태 {{{#!folding (고졸) | 최경환 | 이동현 | 김광희 |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박경수 | 장진용 | 박병호 | 김기표 | 봉중근 김유선 | |
2008년 | 2009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이형종 | 오지환 | 임지섭 | 김재성 | 김대현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고우석 | 김영준 | 이정용 | 이민호 | 강효종 | |
2022년 | 1차 지명 폐지 | ||||
조원태 | |||||
(1) 지명 후 미입단 | }}}}}}}}} |
조원태의 이전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LG 트윈스 등번호 49번 | ||||
김영준 (2021) | → | 조원태 (2022~2023) | → | 정지헌 (2024~2025.5.12.) |
[1] 덕수고에서 선린인터넷고로 전학.[2] 팀 선배인 이민호 역시 LG에 지명되기 전에는 두산팬이었으니 이상할 건 없다.[3] 그리고 봉중근처럼 얼굴이 좌우대칭형이다.[4] 다만 두 사람의 등번호는 조원태가 사용할 수 없다. 이상훈의 등번호 47번은 차명석 단장이 이상훈이 복귀하기 전까지 그 누구에게도 주지 않겠다고 했으나 김윤식이 이상훈에게 허락을 받아 사용중이고 봉중근의 등번호 51번은 현재 팀의 리드오프 홍창기가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