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8:54:36

제6군단

제6군단장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북한에서 쿠데타 모의 후 발각되었다고 알려진 북한의 제6군단에 대한 내용은 제6군단 쿠데타 모의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8군단.svg 파일:제9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1군단 부대마크.svg
제6군단 제8군단 제9군단 제11군단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군단 | 해체된 군단
}}}}}}}}} ||
제6군단
第六軍團
VI Corps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중서부전선을 지키는 강한 힘! 진군부대
창설일 1954년 5월 1일(제6군단)
해체일 2022년 11월 30일[1]
상징명칭 진군부대(進軍部隊)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지상작전사령부
규모 군단
역할 경기도 북부 지역 방어
초대 군단장 예) 중장 이한림(군영 1기)
해체 전 군단장 예) 중장 강건작(육사 45기)
위치 경기도 포천시 자작동

1. 개요2. 연혁3. 편제
3.1. 직할부대3.2. 예하부대
4. 과거부대5. 출신 인물
5.1. 군단장5.2. 장교/부사관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6.2. 진군회관
6.2.1. 본점(포천)6.2.2. 연천점
6.3. 군단가
7. 사건사고8. 여담

[clearfix]

1. 개요

군단사령부령
제1조(설치)
① 육군에 군단을 두며, 그 관할구역의 작전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군단사령부를 둔다.
② 군단의 명칭은 대통령이 정하고, 군단의 예속(隸屬)은 육군참모총장이, 군단의 배속(配屬)은 합동참모의장이 정하며, 군단 관할구역은 직속상관이 정한다.
경기도 포천시 자작동을 근거지로 하였던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소속 군단. 별칭은 진군부대. 1954년 5월 1일 창설되었으며, 2022년 10월 1일에 예하 부대들이 제5군단으로 이관되어 잔존군단이 되었다가 2022년 11월 30일을 끝으로 해체되었다.

2. 연혁

1954년 6월 1일 경기도 포천군에서 창설되었다.

1993년에 기동군단 개편계획이 잡혀 706특공연대[2], 306경비연대 등이 해체되었고 30사단을 1군단에서 받고 5, 73사단은 5군단, 28사단과 65사단을 1군단으로 넘겨 26, 30사단을 예하에 두었으나 외환위기의 여파로 이 계획이 무산되어 2000년 말에 전부 예하 연대들이 재창설되었으며 사단들도 전부 원위치되었다.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제5군단과 합병될 예정이다. 합병에 어려움을 겪었던 8군단과 달리, 5, 6군단은 지리적으로 인접해있을 뿐 아니라 기능도 유사해 큰 어려움 없이 합병되었다.

2022년 10월 1일 0시부로 6군단 직할대 제외 예하 전투부대들이 5군단으로 제6군수지원단은 5군단 지원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예하 사단인 제28보병사단은 차후 해체 예정이며 현 6군단 소속의 제5보병사단과 1군단 소속의 제25보병사단으로 병력이 반반씩 전출될 예정이라고 한다. 제5보병사단과 제5기갑여단이 제5군단으로 전환될 예정이며 제6포병여단은 해체되어 제5포병여단과 화력여단으로 전환될 예정이다.[3]

3. 편제

3.1. 직할부대

3.2. 예하부대

4. 과거부대

5. 출신 인물

5.1. 군단장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ea2>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4ea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이한림
2대
백인엽
3대
강영훈
4대
김웅수
5대
최홍희
6대
김계원
7대
정래혁
8대
한신
9대
김희덕
10대
이세호
11대
박원근
12대
이소동
13대
김용휴
14대
이재전
15대
신현수
16대
강영식
17대
김홍한
18대
안필준
19대
박명철
20대
나병선
21대
임인조
22대
김재창
23대
최경근
24대
이재관
25대
서경석
26대
김판규
27대
서종표
28대
김충배
29대
류우식
30대
송기석
31대
정두근
32대
이홍기
33대
서길원
34대
김학주
35대
이범수
36대
박종진
37대
김성진
38대
김성일
39대
박양동
40대
강건작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군단장.
역대 제6군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이한림 예) 중장
2대 백인엽 예) 중장 백선엽의 친동생,
휘하 부군단장이 박정희 준장
3대 강영훈 예) 중장
4대 김웅수 예) 중장 5.16 쿠데타 항거
5대 최홍희 예) 소장
6대 김계원 예) 대장 군영 01기
7대 정래혁 예) 중장 군영 01기
8대 한신 예) 대장 육사 02기
9대 김희덕 예) 중장
10대 이세호 예) 대장 육사 02기
11대 박원근 예) 중장 육사 02기 체신부장관
12대 이소동 예) 중장
13대 김용휴 예) 중장
14대 이재전 예) 중장
15대 신현수 예) 중장
16대 강영식 예) 중장
17대 김홍한 예) 대장 육종 09기
18대 안필준 예) 대장 육사 12기 하나회
19대 박명철 예) 중장
20대 나병선 예) 중장
21대 임인조 예) 중장
22대 김재창 예) 대장 육사 18기 하나회
23대 최경근 예) 중장
24대 이재관 예) 대장 육사 21기
25대 서경석 예)중장 학군 03기
26대 김판규 예) 대장 육사 24기
27대 서종표 예) 대장 육사 25기
28대 김충배 예) 중장 육사 26기
29대 류우식 예) 중장 육사 28기 前 육군본부 군수참모부장(소장)
30대 송기석 예) 중장 육사 29기 前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장(소장)
31대 정두근 예) 중장 3사 07기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32대 이홍기 예) 대장 육사 33기 제3야전군사령관
33대 서길원 예) 중장 육사 34기 前 제1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
34대 김학주 예) 중장 육사 35기 육군항공작전사령관
35대 이범수 예) 중장 학군 18기 군단장
36대 박종진 예) 대장 3사 17기 제1야전군사령관
37대 김성진 예) 중장 학군 22기 국방대학교 총장
38대 김성일 예) 중장 육사 42기 국방대학교 총장
39대 박양동 예) 중장 학군 26기[8] 육군군수사령관
40대 강건작 예) 중장 육사 45기 육군교육사령관 [마지막]

5.2. 장교/부사관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5.3.

6. 기타

6.1. 근무환경

순찰로 구간의 길이가 길다.

6.2. 진군회관

6.2.1. 본점(포천)

진군회관 본점
進軍會館 本店
Jin-gun Hall head office
위치 경기도 포천시 중앙로 35번길 2-19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6.2.2. 연천점

진군회관 전곡점
進軍會館 漣川店
Jin-gun Hall Yeoncheon office
위치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은대성로 50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객실,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6.3. 군단가

1절
조국의 부름받은 진군 용사들
충정의 기백으로 내일을 연다
피 끓는 전우애로 하나가 되어
승리의 깃발을 높이 날린다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2절
한 방울 피땀 속에 승리가 있고
두 방울 피땀 속에 나라가 산다
교육은 피가 되어 혈관을 돌고
훈련은 힘이 되어 지축을 흔든다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3절
대한의 굳센 정기 한 몸에 안고
조국을 수호하는 진군 용사들
진군의 힘찬 함성 크게 외치며
통일의 최선봉에 우뚝 서리라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7. 사건사고

8. 여담


[1] # 제27보병사단과 해체일이 같다. 예하부대의 지휘관계는 10월 1일부로 전환되었다.[2] 1대대만 존속하여 제6강습대대 개편.[3] 그리고 편제상 직할부대인 부대 상당수가 제5군단 직할부대와 중복되기 때문에 한쪽이 해체되는 식으로 통폐합될 가능성이 크다.[4] 제5보병사단 정보대대로 재창설됨.[5] 영외부대로,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6] 영외부대로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7] 6군단 시절에 사령부 內 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8] 금오공과대학교[마지막] 군단장[10] 前 6포병여단장, 11사단장, 3사교장.[11]제61보병사단장.[12]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장.[13]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262대대장.[14] 수도군단은 애당초 명칭에 숫자가 안 들어가며, 부대 마크에 Λ가 들어간다.[15] 사실 진짜 엄브렐러 마크와 비슷한 것은 미8군 마크이다.파일:제8군 마크.svg[16] 문재준은 이후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헌병감으로 임명되었으나 인사권 문제로 박정희와 갈등을 겪어 해임당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