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39:27

입체교차

입체 교차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도로에서의 입체 교차에 대한 내용은 입체교차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도로에서의 입체 교차:
입체교차로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1. 개요2. 예시
2.1. 전철2.2. 일반철도
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입체교차(, grade-separation)는 열차의 충돌이나 진로 방해를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철도 노선이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방식을 말한다.

통행량이 많지 않은 곳에서는 굳이 돈을 더 들여가면서까지 입체 교차를 만들 필요 없이 평면교차로도 충분하지만, 구로역 같이 각 방면 열차들로 북적대는 곳에 평면교차를 했다간 온종일 병목현상으로 몸살을 앓을 것이다.

이외에도 두 노선의 통행 방식이 서로 달라 중간에 꽈배기굴을 만드는 경우[1]나 복복선에서 선로별 복복선과 방향별 복복선 사이의 전환을 위하여[2] 입체 교차를 짓는다.

2. 예시

2.1. 전철

2.2. 일반철도

3. 여담

4. 관련 문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면교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수도권 전철 4호선남태령역 ~ 선바위역이 그 예시.[2]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 문서 참고.[3] 통행방식의 문제로 꽈배기굴이 형성되어 있다. 신설동역 문서 참고.[4] 꽈배기굴이라고 부른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5] 오미야방면을 말한다. 왜 상.하행이 아니라 북.남행인지는 당사자의 입장을 들어보자.[6] 실질적으로는 동해선이 경주역에 입체교차로 들어와 다시 입체교차로 빠져나가는 것이지만 경주역 구내에 경부고속선 상행 - 동해선 포항방면 간 연결선로가 있다[7] 현재의 광운대역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