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3:46:38

인상선

1. 개요2. 장점3. 설치된 곳4. 기타5. 관련 문서

引上線, 引き上げ線 / Drawn out track

1. 개요

경강선 판교역서판교역(현재 미개통) 방면 인상선에서 이매역 방면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입환작업 또는 구내운전시 차량의 인상(引上)에 전용하는 선로를 말한다. '인상선'이라는 이름에서는 이러한 의미가 잘 떠오르지 않는데 이것은 일본어에서 그대로 차용했기 때문으로, '열차를 끌어냄'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비슷한 표현으로는 '회차선' 등이 있지만 인상선=회차선은 아니다. 도시철도를 예로 설명하자면 종착역 인상선에서 회차를 하는 것은 맞지만, 주박차를 유치하는 용도(=유치선)로도 사용한다. 인상선은 입환을 위해 단순히 열차를 한 쪽으로 옮기는 기본적인 기능만을 가지며, 회차선 및 유치선 등은 차량을 유치하는 등 더 고차원의 기능을 한다. 출처

원칙적으로 여객은 인상하는 열차에 탈 수 없다.[1] 종착역에서의 착석을 위해 일부러 종착 플랫폼에서 미리 탑승하거나 하는 얌체짓을 한다면 가능은 하지만, 다른 승객들에게는 민폐가 되며, 깊게 파고 들면 철도안전법 등 각종 법률에 저촉되는 행위이니 하지 말자.[2] 결국 이런 얌체족들 덕분에 코레일은 동인천역과 용산역 급행종착 승강장에는 안내문을 세워놓기도 했고, ITX-청춘 개통 전[3]의 상봉역에서는 제자리반복 취급을 한 적도 있었다.#

2. 장점

인상선이 있는 경우 구내에 더 많은 열차를 취급할 수 있다. 복선으로 설치하면 최소한 4개 열차를 취급할 수 있다.[4] 사당역처럼 단선임에도 2개 열차를 유치하는 특이한 사례도 있다. 2편성 길이 정도되는 인상선에 폐색을 1대 길이 정도로 끊어 설치해서 2대가 들어가도록 만들었다. 인상선 자체에는 1대만 들어갈 수 있지만, 정차위치와 인상선 분기기까지의 거리가 1대가 더 들어가기에 충분한 거리라 가능한 것이다. 즉, 앞차가 인상선에서 출발준비를 하는 동안 뒷차는 분기기 앞쪽 정차위치에서 대기하고 있고, 그 뒷차는 승강장에서 여객취급을 하고 있는 식이다.

다만 인상선으로 입환하는 작업이 시간이 다소 걸리기 때문에, 열차지연이 심하거나 배차간격이 길어 후속열차에 특별히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굳이 인상선으로 들어가지 않고 반대편 승강장으로 바로 진입하여 제자리반복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

3. 설치된 곳

용산역(급행 전용), 상봉역, 능곡역, 광운대역, 서울역, 청량리역, 동묘앞역, 왕십리역, 동인천역(급행 전용), 부천역, 구파발역, 수색역, 사당역, 불암산역, 남태령역, 수원역, 수락산역, 태릉입구역, 건대입구역, 내방역, 온수역, 원시역, 석남역, 백석역, 대화역, 한성대입구역, 춘천역, 별내역, 천안역, 신창역, 모란역, 마천역, 고색역, 판교역 ,성수역, 신도림역(2호선)등.

지하철 노선에는 대부분 2개 이상 정도는 있지만 지하인데다 스크린도어에 가려서 잘 안 보인다. 열차 행선판에 행선지로 표시된 역들에는 높은 확률로 인상선이 있다.[5] 그 예로 서울 지하철 2호선 열차 행선판에 인상선이 있는 삼성역, 서울대입구역, 을지로입구역, 홍대입구역도 행선지로 적혀 있다.[6] 예외라면 2호선 개통 초기 종착역이었고 지금도 행선판에 적혀 있는 종합운동장역 정도다.

새절역독바위역 측선은 응암순환선 때문에 서울 지하철 6호선 서부 구간의 열차 수용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주로 유치선의 기능이 강조된다.

특이하게도 상일동역은 중앙 선로와 더불어 차량기지 진입 선로도 인상선처럼 쓴다.

4. 기타

기행 수준의 완급결합을 하는 케이큐에게 모든 인상선은 그저 대피선일 뿐이다. 심지어 옛날에는 승객을 태운 채로 인상선에 들어갔다 나온 적도 있다. 지금도 다이어가 꼬였을 때, UST(Uraga side turn)이라고 불리는 "본선을 인상선으로 쓰는" 스킬은 자주 사용된다.

도에이 신주쿠선도 원래 인상선이던 선로들을 극한으로 활용해 급행을 굴리고 서울 지하철 6호선도 이와 유사한 계획을 짜고 있는 걸로 봐선 인상선을 대피선으로 활용하는 건 적절한 위치의 인상선과 운영사의 의지만 있으면 불가능하진 않은 것 같다.

5. 관련 문서



[1] 특히 차량사업소로 입고하는 열차나 주박하는 경우에는 관계직원이 열차에 올라 남은 승객을 모두 하차시킨다.[2] 아주 가끔 회차선에 들어가서 반대쪽에서 운행을 시작할 것 같은데 정작 차가 차량기지로 바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3] ITX-청춘이 개통한 현재는 청춘이 상봉역을 통과하는 시간대에 상봉역에 종착한 열차는 대부분 인상선으로 들어간다. 주말 오후나 막차시간대 및 등 배차가 널널한 때나 지연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승강장에서 바로 회차하기도 한다.[4] 인상선 두 선로에 1개씩, 승강장에 2개 열차를 유치해서 총 4개 열차[5] 전부가 아닌 이유는 본선에 건넘선만 있는 역들도 비상 시에는 종착역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행선판에 적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런 행선지는 평상시엔 볼 일이 거의 없다.[6] 그리고 막차 시간대에 이들 역에 종착하는 열차가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