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3d5bab> | }}} |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공항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광역 ]] [[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좌석 ]] [[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급행 ]] [[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간선 ]] [[틀:인천광역시 심야버스|심야 ]]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지선 ]] [[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마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3d5bab><colcolor=#fff> 일반좌석 | 60-5 | 790A/B | 800 | 801 |
9731 | |||||
공항좌석 | 111B | 117 | 302B | 303 | |
303-1 | 304 | 306A | 307 | ||
308 | 310 | 320 | 330 |
111번 | 111B번 |
1. 개요
미래교통에서 운행하는 공항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23km다. 111번, 111B번2. 노선 정보
인천광역시 공항좌석버스 111번 | |||||
| |||||
기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십정동차고지) | 종점 | 인천광역시 중구 을왕동(왕산) | ||
종점행 | 첫차 | 04:50 | 기점행 | 첫차 | 06:15 |
막차 | 20:40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12~15분 | 주말배차 | 토요일 18~20분 / 공휴일 21~23분 | ||
운수사명 | 미래교통 | 인가대수 | 20대(예비 2대)[1] | ||
노선 | 십정동차고지 - 상정고 - 부평도서관 - 2001아울렛 - 부평역 - 부평시장역 - 부평구청역 - 삼산사거리 - 롯데마트계양점(고용복지센터) - 계산역 - 교통연수원 - 공촌사거리 - 서부공단입구 - (← 청라국제도시역 ←) - 북인천IC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신불IC - (← 국제업무단지(공항청사) ←) - 인천공항T1[2] - 하얏트호텔 - 무의도입구 - 한국도심공항터미널 - 용유동행정복지센터 - 을왕리해수욕장.더위크앤리조트 - 왕산해수욕장 - 왕산 |
중간 출발 정류장 | |
왕산 방향 | 부평역04:50[3],공촌사거리04:50 |
십정동차고지 방향 | 도림주철관공업(주)05:40, 서부공단입구05:20 |
인천광역시 공항좌석버스 111B번(출근지원) | |||||
기점 |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계산역) | 종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십정동차고지) | ||
종점행 | 첫차 | 04:55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05:25 | 막차 | - | ||
배차간격 | 10분 (1일 4회) | ||||
운수사명 | 미래교통 | 인가대수 | 0대[4] | ||
노선 | 계산역 → 교통연수원 → 공촌사거리 → 서부공단입구 → 인천국제공항T1(승차:3층) → (공항 회차 후 111번과 동일) → 십정동차고지 |
3. 역사
- 2001년 3월 22일에 인천공항 개항과 동시에 신설되었다. 당시의 노선은 '인천터미널 - 길병원 - 간석오거리 - 백운역 - 부평역 - 갈산역 - 계산역 - 서부공단 - 인천공항'이었다.
- 2001년 5월에 111-1번이 분리 신설되었다.
- 2003년 경에 '문학경기장 - 문학동 - 학익동 - 인하대학교 - 옥련동(송도유원지)'으로 연장되었다. 회차는 송도유원지 앞 송도로터리에서 했다.
- 2004년에 동춘동종점까지 연장되었다. 이 과정에서 8번과 중복되는 구간이 많아 반발이 일어났다. 당시 8번은 송도국제도시에 입성하기 전이었으며, 동춘동종점부터 옥련동 원흥아파트까지 노선이 똑같았고, 111번의 경우 옥련동 내부를 거치지 않고 옥련터널을 거쳐 인하대로 가는 형태였다. 행선지는 '송도'가 기종점이라고 나와있었으나, 실제로는 동춘동이 기종점이었다. 이후 동춘동까지 연장하면서 송도 다음에 동춘동이 붙었다.
- 결국 일시적으로 '송도유원지 - 동춘동' 구간의 연장이 취소되었고 동춘동 행선지는 차량에서 제거하였다.
- 얼마 지나지 않아 111번은 동춘동 재입성에 성공하였다.
- 한때는 여름 성수기로 휴가철 피서객을 수송하기 위해 인천공항에서 을왕/왕산리 해수욕장까지 연장하여 운행했던 적이 있다. 111-2번이 분리되기 전의 일이었는데 이랬을 경우 인천시내만 돌아다님에도 왕복거리가 150km가 넘는다(...) 이후 상시노선이 되어 일정시간 동안에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단축되기 전에 연장운행을 중단했다.
- 2008년 하반기에 111-2번이 분리 신설되었다.
- 2009년 10월 23일 인천대교가 개통 되면서 303번이 신설되자 미추홀구와 연수구 지역을 303번에게 넘기고 111번은 간석오거리 이후 구간이 단축되어 동암역(북부) - 강인여객으로 변경되었다.
- 2010년 11월 8일부터 동암역을 미경유하고 부평도서관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에서 현상유지되었다. 한때 노선이 겹치는 302번에 계산역 수요를 맡기고 까치말사거리에서 봉오대로를 거쳐 청라국제도시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을 고려했으나 새벽 시간대 계산역 - 인천국제공항 통근 수요에 대한 반발로 인해 현상유지로 가닥을 잡았다.
- 2019년 5월 25일에 302번이 인천공항T1로 단축됨에 따라 '인천공항T1 - 왕산' 구간이 연장되었다. 또한 왕산차고지 방향으로 갈 때도 청라국제도시역을 경유함과 동시에 5대가 증차되었다. 그리고 청라국제도시역 중간 종료 노선인 111A번이 신설되었다.
- 2019년 6월 8일에 계산역 중간출발 노선이 111B번으로, 부평역 중간출발 노선이 111C번으로 BIS에 추가되었다.
-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공항방향 한정으로 다니던 청라국제도시역은 12월 31일부로 더 이상 경유하지 않는다. 대체 노선은 24-1번이다. 동시에 일 운행횟수가 2회 증회되어 최소 배차간격이 1분 줄어든 12~15분으로 조정된다. 개편 홍보문 이와 동시에 111A번은 폐선되었다.
- 2021년 1월 16일부터 민원이 쇄도하여 십정동 방향 한정으로 청라국제도시역에 다시 정차를 하게되었다.
- 2021년 7월 10일에 111C번이 폐선되고 부평역 중간출발 계통이 111번 본선에 추가되었다.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인천국제공항 개항 초기부터 운행된 최초의 공항좌석버스 노선으로, 인천공항과 함께한 꽤 유서깊은 노선이다. 이 노선의 개통 당시엔 110번대를 공항좌석버스로 부여하기 시작하였으며[5], 현재 남아있는 이 노선과 117번을 제외한 110번대 노선들은 모두 간선으로 전환되거나 폐선되었다.
- 고속도로 입석금지로 인해 공항 방향 운행 시 잔여 좌석과 하차 승객이 없으면 무정차 통과하며, 입석 이용은 시내 방면만 가능하다. 여담으로 이마트에서 자리가 없어서 타지 못했거나 차량을 놓쳤다면 5분 거리의 하얏트호텔 정류장으로 걸어가면 탈 수 있다. 인천공항 진입 전까지는 자리가 많이 남기 때문이다. 다만 여름철 을왕리해수욕장 방문승객으로 인해 남는자리가 없을경우 하얏트호텔에서도 승차하지 못할 수도 있다.
- 현재의 강인여객이 인천공항 좌석버스 운행 회사로 성장하게 된 계기를 마련한 노선이다. 그러나 당시에는 41대로 운행 하였는데, 41대 모두 영종대교를 건너니 통행료가 많이 나와 수지가 나오지 않았고, 이 문제로 결국 인천공항을 가는 111번과 공항고속도로 북인천 나들목 진입 전인 서부공단 까지만 가는 111-2번을 분리신설하였다.[6]
- 인천공항 출퇴근 수요가 많다. 인천공항 직원들이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라 출근 시간대인 새벽 5시~8시나 아침 10시~낮 12시에는 인천공항 방면이, 퇴근 시간대인 오후 3시~5시, 밤 9시~11시 때는 십정동 방면이 혼잡하기 때문에 다음 차량에 탑승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계산역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노선은 302번도 있지만 302번도 단독으로 혼잡해지는 노선인지라 111번의 혼잡도를 커버 할 수 없는 상황. 출퇴근 시간에는 조금 번거롭더라도 공항철도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른 시간에 계산역에서 인천공항으로 가는 사람들이 꽤 많아 첫차 시간대 4대는 계산역에서 출발한다. 111B번으로 운행하는 계통으로 10분 간격으로 일 4회 운행한다.
- 운임이 111-2번에 비해 성인기준 400원 높음에도 불구하고 구간 수요가 많은 편이다. 특히 십정동 방면 통학 수요가 꽤 많다. 부평구청역 이후에는 승하차량이 적어 빠르게 이동 할 수 있다는 점이 요점으로 보인다. 실제로 111-2번이 단축되자 기존 111-2번을 이용하던 삼산동, 계산동 승객들이 이 노선으로 어느정도 넘어왔다. 2020년 개편으로 서부공단~삼산사거리, 부평역~현대아파트 구간이 24-1번과 중복되어 수요가 일부 분산되었지만 배차간격으로 인해 111번을 이용하는 수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 기내용 수하물보다 큰 경우 탑승할 수 없다. 그래서 큰 여행가방이 있다면 인천 1호선을 이용하여 계산역으로 가거나 십정동~부평역구간과 안산초등학교-인천공항T1구간 사이에서 적재 공간이 있는 302번을 이용하면 된다.
-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서 왕산 방면은 3층 2, 7, 13번에서 타야 하고, 시내 방면은 1층 2B, 13B에서 탑승해야 한다.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은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2터미널로 가야 한다면 인천공항 셔틀버스, 303-1번, 308번, 330번이나 공항철도로 갈아타야 한다.
- 204번, 306번과 더불어 을왕리해수욕장을 경유하는 시내버스로, 여름철에는 을왕리해수욕장으로 가려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 특히 111번은 접근성이 좋은 부평역, 계산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두 노선보다 수요가 좋은 편이다.
- 2023년 10월 7일부터 영종도 구간만 이용할 때는 별도 단말기에 태그하면 된다. 하지만 인천 본토로 나가는 사람들이 영종시내 구간 운임만 내고 가는 경우가 많아 현재는 국제업무단지 정류소를 출발할 때 남은 승객의 숫자를 확인하고 영종시내 요금 단말기의 전원을 아예 꺼버린다고 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인천광역시 공항좌석버스 111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8년 | 3,594명 | - |
2019년 | 3,276명 | ▽ 318 |
2020년 | 3,676명 | △ 400 |
2021년 | 3,446명 | ▽ 230 |
2022년 | 2,629명 | ▽ 817 |
2023년 | ||
인천광역시 공항좌석버스 111B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9년 | 198명 | - |
2020년 | 119명 | ▽ 79 |
2021년 | 100명 | ▽ 19 |
2022년 | 124명 | △ 24 |
2023년 | ||
※ 하차인원 미포함 |
- 111B번의 2019년 자료는 개통일인 6월 8일부터 12월 31일까지 20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부평역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역, 부평시장역, 부평구청역, 계산역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아시아드경기장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1터미널역, 청라국제도시역[7]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인천공항1터미널역, 합동청사역, 용유역
6. 둘러보기
인천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 공항 | |
공항좌석 | ||
간선 | ||
공영 | ||
마을 | ||
직행좌석 | ||
직행좌석버스는 모두 별도의 요금 징수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
자동차전용도로 경유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 공항 | 6770 | 6777 | 6777-1 | |
광역 | 1000 | 1100 | 1101 | 1200 | |
1300 | | 1301 | 1302 | ||
1400 | 1500 | 1601 | 9100 | ||
9200 | 9201 | 9300 | 9500 | ||
9501 | 9802 | ||||
좌석 | 60-5 | 790,A/B, | 800 | 801 | |
111,B, | 117 | 302,B, | 303 | ||
303-1 | 304 | 306,A, | 307 | ||
308 | 310 | 320 | 330 | ||
급행간선 | 급행91 | ||||
간선 | 202,A, | 203 | 204 | 205 | |
| 222,A, | 223,A, | |||
공영 | 중구6 | 중구7 | 중구8 | 동인천행 | |
영흥직행 | |||||
무네미로 경유 노선은 제외 | }}}}}}}}} |
[1] 토요일 15대 / 공휴일 13대 운행.[2] 시내방향:1층 2B,13B/왕산방향:3층 2번,7번,13번[3] 구 111C번[4] 111번 본선 차량 4대로 운행한다.[5] 현재 신설되는 공항좌석 등급은 모두 300번대다.[6] 당시 교통카드 단말기의 기본 세팅값을 시내구간 요금으로 해두었다. 공항가는 손님이 오면 그제서야 단말기를 조작하는 방식. 원칙적으로는 상술한대로 요금을 공항구간으로 설정하고 카드를 찍어야 하지만, 당시 강인여객에서는 시내구간 요금을 3회 태그하는 것으로 갈음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 경우 실질적인 요금은 공항요금보다 약간 저렴했다. 물론 당시는 버스-버스 환승의 개념이 적었던 시기였기에 이러한 요금징수가 가능했다.[7] 십정동차고지 방향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