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00:49:12

인천 버스 1601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f72f08>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노선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공항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 [[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좌석
]] [[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
]] [[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틀:인천광역시 심야버스|
심야
]]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
마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f72f08><colcolor=#fff><nopad> 광역급행
간선급행
광역
}}}}}}}}} ||
파일:1693728249479 (2).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개요

신강교통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7.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16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1601_인천_0116기준.png
기점 [출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인하대후문)
[도착]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인하대정문)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1가(서울역)
종점행 첫차 04:40 기점행 첫차 06:10
막차 23:00 막차 00:30
배차간격 50~60분
운수사명 신강교통 인가대수 12대[1]
노선 (인하대후문 → 정석항공과학고 →/ 인하대정문 ← 학익시장 ←) - 용일사거리 - 주안사거리 - 석바위 - 인천시청후문 - 구월2동행정복지센터 - 태화.두진아파트 - 만월산터널 - 힘찬병원 -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 - 상동역 -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약대오거리 - 부천IC - 경인고속도로 - 신월IC - 영등포세무서.선유고등학교 - 양화대교 - 합정역 - 서교동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 이대역 - 아현역 - 종근당.충정로역 - 서울역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1601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9년 1,208명 -
2020년 929명 ▽ 279
2021년 569명 ▽ 360
2022년 729명 △ 160
※ 하차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 부천시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 직행좌석
광역
간선급행
좌석
일반
간선
}}}}}}}}}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자동차전용도로 경유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 공항 6770 6777 6777-1
광역 1000 1100 1101 1200
1300 1300-1 1301 1302
1400 1500 1601 9100
9200 9201 9300 9500
9501 9802
좌석 60-5 790,A/B, 800 801
111,B, 117 302,B, 303
303-1 304 306,A, 307
308 310 320 330
급행간선 급행91
간선 202,A, 203,A, 204 205
221 223,A,
공영 중구6 중구7 중구8 동인천행
영흥직행
무네미로 경유 노선은 제외
}}}}}}}}}



[1] 4대로 운행[2] 이후 10대로 증차.[3] 이는 다른 신강교통 노선들(1100, 1101, 9501, 9802) 에도 해당된다.[4] 23시 20분 서울역 방향 막차 수요가 있다. 511번 막차와 연계되는 1호선 구로행 막차를 빼면 서울/부천 통학생들의 막차 역할을 한다.[5] 부천시 구간을 지나서 부천 IC에서 경인고속도로를 진입하는 더월드교통 소속 1300. 1301.1300-1. 1302는 입석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