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7 20:57:06

은염

송서(宋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d1d5e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1·2·3권 「무제기(武帝紀)」 4권 「소제기(少帝紀)」 5권 「문제기(文帝紀)」
유유(劉裕) 유의부 유의륭
6권 「효무제기(孝武帝紀)」 7권 전폐제기(前廢帝紀)」 8권 「명제기(明帝紀)」
유준(劉駿) 유자업 유욱(劉彧)
9권 「후폐제기(後廢帝紀)」 10권 「순제기(順帝紀)」
유욱(劉昱) 유준(劉準)
※ 11권 ~ 40권은 志에 해당. 송서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6><tablewidth=100%><tablebgcolor=#3f51ba> 41권 「후비전(后妃傳)」 ||
조안종 · 소문수 · 장애친 · 장궐 · 사마무영 · 호도안 · 원제규 · 노혜남 · 왕헌원 · 하영완 · 심용희 · 왕정풍 · 진묘등 · 강간규 · 진법용 · 사범경
42권 「유목지등전(劉穆之等傳)」 43권 「서선지등전(徐羨之等傳)」 44권 「사회전(謝晦傳)」
유목지 · 왕홍 서선지 · 부량 · 단도제 사회
45권 「왕진악등전(王鎮惡等傳)」 46권 「조륜지등전(趙倫之等傳)」 47권 「유회숙등전(劉懷肅等傳)」
왕진악 · 단소 · 상정 · 유회신 · 유수 조륜지 · 왕의 · 장소 유회숙 · 맹회옥 ,맹용부, · 유경선 · 단지
48권 「주령석등전(朱齡石等傳)」 49권 「손처등전(孫處等傳)」 50권 「호번등전(胡藩等傳)」
주령석 · 모수지 · 부홍지 손처 · 괴은 · 유종 · 우구진 호번 · 유강조 · 원호지 · 장흥세
51권 「종실전(宗室傳)」
유도린 · 유도규 · 유준고
52권 「유열등전(庾悅等傳)」 53권 「장무도등전(張茂度等傳)」 54권 「공계공등전(孔季恭等傳)」
유열 · 왕탄 · 사경인(1) · 원담 · 저숙도(2) 장무도(3) ,장영, · 유등지 ,유병지, · 사방명 · 강이 공계공 · 양현보 · 심담경
55권 「장도등전(臧燾等傳)」 56권 「사첨등전(謝瞻等傳)」 57권 「채곽전(蔡廓傳)」
장도 · 서광 · 부륭 사첨 · 공림지 채곽
58권 「왕혜등전(王惠等傳)」 59권 「은순등전(殷淳 等傳)」 60권 「범태등전(范泰等傳)」
왕혜 · 사홍미 · 왕구 은순 · 장창 · 하언 · 강지연 범태 · 왕준지 · 왕소지 · 순백자
61권 「무삼왕전(武三王傳)」
유의진 · 유의공 · 유의계
62권 「양흔등전(羊欣等傳)」 63권 「왕화등전(王華等傳)」 64권 「정선지등전(鄭鮮之等傳)」
양흔 · 장부 · 왕미 왕화 · 왕담수 · 은경인 · 심연지 정선지 · 배송지 · 하승천
65권 「길한등전(吉翰等傳)」 66권 「왕경홍등전(王敬弘等傳)」 67권 「사령운전(謝靈運傳)」
길한 · 유도산 · 두기 · 신념 왕경홍(4) · 하상지 사령운
68권 「무이왕전(武二王傳)」
유의강 · 유의선
69권 「유담등전(劉湛等傳)」 70권 「원숙전(袁淑傳)」 71권 「서담지등전(徐湛之等傳)」
유담 · 범엽 원숙 서담지 · 강담 · 왕승작
72권 「문구왕전(文九王傳)」
유삭 · 유굉 · 유창 · 유휴인 · 유휴우 · 유휴업 · 유휴천 · 유이부 · 유휴약
73권 「안연지전(顏延之傳)」 74권 「장질등전(臧質等傳)」 75권 「왕승달등전(王僧達等傳)」
안연지 장질 · 노상 · 심유지 왕승달 · 안준
76권 「주수지등전(朱脩之等傳)」 77권 「유원경등전(柳元景等傳)」 78권 「소사화등전(蕭思話等傳)」
주수지 · 종각 · 왕현모 유원경 · 안사백 · 심경지 소사화 · 유연손
79권 「문오왕전(文五王傳)」
유탄 · 유위 · 유혼 · 유휴무 · 유휴범
80권 「효무십사왕전(孝武十四王傳)」
유자상 · 유자훈 · 유자방 · 유자욱 · 유자란 · 유자인 · 유자진 · 유자원 · 유자우 · 유자맹 · 유자운 · 유자사(劉子師) · 유자소 · 유자사(劉子嗣) · 유찬
81권 「유수지등전(劉秀之等傳)」 82권 「주랑등전(周朗等傳)」 83권 「종월등전(宗越等傳)」
유수지 · 고침 · 고기지 주랑 · 심회문 종월 · 오희 · 황회
84권 「등완등전(鄧琬等傳)」 85권 「사장등전(謝莊等傳)」 86권 「은효조등전(殷孝祖等傳)」
등완 · 원의 · 공기(孔覬) 사장 · 왕경문(5) 은효조 · 유면
87권 「소혜개등전(蕭惠開等傳)」 88권 「설안도등전(薛安都等傳)」 89권 「원찬전(袁粲傳)」
소혜개 · 은염 설안도 · 심문수 · 최도고 원찬
90권 「명사왕전(明四王傳)」
유우 · 유홰 · 유숭 · 유희
91권 「효의전(孝義傳)」
공영 · 유유(劉瑜) · 가은 · 곽세도 · 자원평 · 엄세기 · 오규 · 반종 · 장진지 · 왕팽 · 장공 · 서경 · 손법종 · 범숙손 · 복천여 · 허소선 · 여제민 · 손극 · 하자평
92권 「양리전(良吏傳)」
왕진지 · 두혜도 · 서활 · 육휘 · 완장지 · 강병지 · 왕흠지
93권 「은일전(隱逸傳)」
대옹 · 종병 · 주속지 · 왕홍지 · 완만영 · 공순지 · 유응지 · 공기(龚祈) · 적법사 · 도잠 · 종욱지 · 심도건 · 곽희림 · 뇌차종 · 주백년 · 왕소 · 관강지
94권 「은행전(恩倖傳)」
대법흥 · 완전부 · 왕도륭 · 양운장
95권 「삭로전(索虜傳)」 96권 「선비토욕혼(鮮卑吐谷渾)」
삭로 토욕혼
97권 「이만전(夷蠻傳)」
임읍국 · 부남국 · 가라타국 · 가라단국 · 반황국 · 반달국 · 사파파달국 · 사자국 · 가비려국 · 고구려 · 백제국 · 왜국 · 형옹주만 · 예주만
98권 「저호전(氐胡傳)」 99권 「이흉전(二凶傳)」
구지 · 저거몽손 유소(劉劭) · 유준(劉濬)
100권 「자서전(自序傳)」
심약
(1) 본명이 사유(謝裕)로 유유의 휘를 범하여 자인 경인(景仁)으로 표기되었다.
(2)본명이 저유지(褚裕之)로 유유의 휘를 범하여 자인 숙도(叔度)로 표기되었다.
(3) 본명이 장유(張裕)로 유유의 휘를 범하여 자인 무도(茂度)로 표기되었다.
(4) 본명이 왕유지(王裕之)로 유유의 휘를 범하여 자인 경홍(敬弘)으로 표기되었다.
(5) 본명이 왕욱(王彧)으로 유욱의 휘를 범하여 자인 경문(景文)으로 표기되었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f51ba><tablebgcolor=#3f51ba> ||
}}}}}} ||
<colbgcolor=#3f51ba><colcolor=#fff> 殷琰
은염
은(殷)
이름 염(琰)
경민(敬珉)
출신 진군(陳郡) 장평현(長平縣)
생몰 415년 ~ 473년
부친 은도란(殷道鸞)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유송의 관료로 자는 경민(敬珉)이다. 진군 장평현 출신.

2. 생애

415년에 은도란의 아들로 태어났다. 은도란은 우위장군 형양왕 유의계의 장사를 지냈다.

어린 시절에 유의륭에게 알려졌고 왕욱과 비슷한 대우를 받았다. 처음에 정북장군 강하왕 유의공의 행참군, 후장군 시흥왕 유준의 주부가 되었고 파양군과 진희군의 태수를 역임했으며, 예주 치중종사사(治中從事史), 여릉군 내사를 지냈다. 장질(臧質)이 배반하자, 은염은 군을 버리고 북환(北皖)으로 달아났으며, 진퇴하여 보전하고자 수도인 건강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장질의 난이 평정된 뒤, 죄를 받아 상방사에 갇혔으나 사면되었다.

이후 해릉왕국(海陵王國)의 낭중령(郎中令)으로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임해왕 유자욱이 관군장군, 오흥군 태수로 전출되면서 은염을 녹사참군으로 삼고 군의 사무를 은염에게 맡겼다. 은염은 뒤에 예주 별가, 태재 호조속, 단양군승, 상서좌승, 소부(少府), 관군장군 심양왕 유자방의 사마를 역임했으며, 남예주의 사무를 주관했다가 유자방이 우장군으로 전임되자 다시 사마를 맡았고, 다시 좌장군 파릉왕 유휴약의 사마가 되었다.

465년, 황문시랑으로 제수되고 우장군 산양왕 유휴우의 장사, 남량군 태수로 전출되었다. 유휴우가 입조할 때 은염은 주의 사무를 대행했다. 같은 해에 상동왕 유욱이 유자욱을 폐위하고 제위에 오르니 이가 제6대 황제인 명제였다.

명제가 유휴우를 형주 자사로 임명하고 이부랑 장대(張岱)를 예주 자사로 삼으려고 했는데, 때마침 진안왕 유자훈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명제는 은염을 독예사2주남예주양군제군사(督豫司二州南豫州之梁郡諸軍事), 건무장군, 예주 자사로 삼고 서여음군 태수 방도륭(龐道隆)을 은염의 장사로 삼고 전중장군(殿中將軍) 유순(劉順)을 사마로 삼았다. 이때 유순은 은염에게 거병하여 유자훈에게 동조할 것을 권유했다. 은염은 집안이 대대로 건강에 살았기에 조정을 지키려고 했지만, 두숙보(杜叔寶), 황보도열(皇甫道烈), 황보도열의 사촌동생인 황보경도(皇甫景度), 방천생(龐天生), 하후계자(夏侯季子)는 오히려 유자훈에게 동조해야 한다고 권유했다. 은염은 자신이 거느리는 병사들이 없었고 문하생도 얼마 되지 않아서 자립할 방도가 없었기에 두숙보 등의 제약을 받았다. 조정에서 용종복야 유윤(柳倫)을 파견하여 군대를 거느려 은염을 돕게 했고 표기대장군 산양왕 유휴우 또한 중병참군 정원(鄭瑗)을 파견하여 은염에게 조정으로 돌아오도록 설득하였다. 결국 은염은 별 수 없이 두숙보에게 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