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52:06

웹소설/특징/연재 및 유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웹소설/특징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웹소설/특징/서술
, 웹소설/특징/향유층
, 사이다(클리셰)
,
,
,

웹소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일반 역사 (인터넷 소설) · 특징(서술 · 클리셰 · 향유층 · 연재 및 유통) · 장르(목록 · 젠더 · 장르 태그) · 시장 환경 · 웹소설 출판사 · 웹소설 작가 · 문제점
목록 작품 목록 (문장형 제목 목록) · 웹소설 작가 목록 · 웹소설 매체 목록 (웹소설 연재처 목록)
해외 외국 웹소설 (일본 웹소설) · 일본 라이트 노벨과의 비교 (국내 오덕계와의 관계) }}}}}}}}}}}}

1. 일일 연재2. 출판의 간결화3. 스마트폰 환경4. 연재 환경의 영향5. 문장형 제목

1. 일일 연재

웹소설은 일일 연재를 채택하며, 매일 창작, 소비된다. 2000년대 도서대여점 당시엔 한달 안에 1권을 쓰면 매우 빠르다는 소리를 들었지만 중간 유통, 출판 과정이 사라진 웹소설은 대부분 1권을 쓰는데 25화 즉 25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정액제 플랫폼이나 다작, 연참 성향의 작가는 동시에 2, 3개의 작품을 연재하거나 같은 시간에 2, 3배의 분량을 쓰는 것으로 유명하다.

2. 출판의 간결화

대다수 웹소설은 인터넷 웹소설 플랫폼의 아마추어 연재로 시작한다. 즉 실물 책으로 출판되는 소설이 아니며, 그마저도 개인이 자유롭게 연재하며 시작된다. 이렇게 연재하며 독자들에게 선호를 받고 출판 성적이 기대된 작품들은 매니지먼트 즉 웹소설 출판사의 연락을 받고 계약을 하여 중간 텀 없이 바로 유료 연재를 시작한다.

즉 웹소설은 기존 시스템과 상이한 출판 시스템을 가졌으며, 대다수의 중간 과정이 간결화되어있다. 자세한 사항은 웹소설 출판사 문서 참고.

3. 스마트폰 환경

웹소설 주 소비 매체는 스마트폰이며, 스마트폰 환경은 웹소설 매체의 간결화, 단순화에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본래 스마트폰은 가독성이 좋지 않은 기기다. 화면이 좁아 표시할 수 있는 내용이 많지 않고, TV, 모니터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자의 눈에 빛을 가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시각적 피로감이 상당한 기기이므로 스마트폰을 주 매체로 삼는 웹소설에선 독자들의 집중력있는 독서를 기대하기 어렵다.[1]

때문에 웹소설은 간결한 묘사와 빠른 전개, 쉬운 이야기로 독자들의 피로감을 줄인다. 헌데 이 모습은 간결하고 빠르며 자극적인 사이다 서사와 일맥상통한다. 웹소설의 특징이자 문제점으로 지적받는 사이다 서사는, 역설적으로 스마트폰 환경에 적합한 웹소설 서사인 것이다.

이처럼 사이다, 간결화 서사는 스마트폰 환경에 적합하며, 그 외에도 연재 환경, 상업성 등 웹소설 환경 전반과 변화하는 사회 문화에도 부합되다보니 독자와 작가들에게 애용되었고, 현재 시점에선 사실상 웹소설의 근간을 이루는 코드로 자리잡고 있다.

4. 연재 환경의 영향

상술처럼 웹소설은 매일 연재되고 빠르게 읽고 소비되어야 하는 스낵컬처로 여겨지며, 이를 위해 1화에 짧고 빠르게 기승전결을 담고 대리만족을 추구하는 성향이 있다고 설명된다. 이로 인해 웹소설은 클리셰가 빠르게 복제되고 유행하거나, 사이다를 중시하며 문체가 간결하고 전개가 즉각즉각 이뤄져야 하는 매체, 동종의 소설, 드라마, 영화, 만화들과 공통점이 거의 없는 독자적인 서술 형식을 지닌 매체로 여겨진다.

이러한 서술 형식은 웹소설 매체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매일 매일 연재되고, 스마트폰 화면을 전제하며, 1화 마다 구매와 소비를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장 쉽고 빠르게 눈에 띄고 읽힐 수 있는 현재의 형태를 추구하였다는 것이다.

5. 문장형 제목

5.1. 사용 원인

웹소설은 문장형 제목을 주로 사용하는 매체이며, 이에는 상품성과 밀접한 웹소설 서사와, 정형화된 이야기를 조합하는 웹소설 창작이 영향을 끼쳤다.[3]

웹소설은 시장성에 민감한 매체이며, 웹소설 생태계는 시장경제의 고도화에 따라 메가히트작과 아류작으로 양극화된다. 이에 따라 검증된 성공작의 2차 창작 경향이 가속화되면서[4] (성공하여 독자 이탈이 적은것으로 검증된)인기 모티프와 화소를 재가공하는 작품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상술된 정형적 이야기를 재창작하는 웹소설들은 독자들에게 보이는 정보 즉 제목을 통해 창작물의 화소, 내러티브를 최대한 노출시켜 선택될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을 사용한다. 창작자는 성공하여 검증된 웹소설의 정형적인 장르, 클리셰라는 기호를 문장형 제목으로 조합, 집합시켜 독자들에게 제시하며, 독자들은 이 기호들을 해석하여 서사의 내용을 짐작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웹소설의 제목은 단순한 제목이 아닌, 작가와 독자의 관계가 만들어지는 매개 즉 장르 내 취향 공동체 형성의 시작점으로 기능한다. [5]

이같은 배경 하에 웹소설의 문장형 제목은 꾸준히 길어지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시장 안정성이 떨어지는 신생 장르에서 (정보 제공량을 늘려)독자들의 관심 분야에 어필하기 위하여 문장형 제목을 주로 차용하며, 로맨스 소설과 같이 비교적 역사가 긴 작품군에선 문장형 제목으로의 변화가 더디게 일어나는 모습이 보인다. [8]

5.2. 사용 현황

웹소설의 문장형 제목은 2010년 중반까진 많지 않은 편이었으나, 2018년 이후로 폭발적으로 늘어났다.[9]
따라서 2024년 현 시점에선 문장형 제목이 아닌 웹소설을 찾기가 굉장히 어려워진 상태다.

상술된 것 처럼, 이같은 문장형 제목의 양적 증가는 웹소설의 상업화와 상품성 발달에 따른, 메가히트작과 아류작의 시장 양극화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간주된다.[10]

5.3. 문장형 제목을 쓴 웹소설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장형 제목/목록/웹소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물론 대다수 웹소설 플랫폼들은 PC와 모바일로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플랫폼 운영은 스마트폰 위주이며, PC와 모바일은 구색 맞추기인 경우가 많다. 국내 최대 웹소설 플랫폼인 카카오페이지만 해도 PC는 버렸다는 소리가 나올 정도.[2] 물론 이 사례는 웹소설 외에서도 일어나는 흔한 사례이다. 다만 이런 언급들은 웹소설 진입장벽이 많은 소비자, 창작자들에게 비교적 생경한 매체로 분류된다는 것을 시사한다.[3] 웹소설 제목의 어휘 기호적 특징: 문장형 제목의 증가와 장르 교섭의 실상- 2011~2022년 웹소설 제목 코퍼스를 기반으로 2023. 전성규 곽지은. p364.[4] 물론 이같은 2차 창작 경향은 이전 세대의 장르 판타지 씬에서도 존재해왔다. 멀리는 1세대 한국 판타지 씬부터가 서양, 일본의 완성도 높은 판타지 세계관의 2차 창작 성향이 짙었으며, 웹소설의 전 세대인 도서대여점하 장르 판타지 씬은 양산형 판타지 소설이라는 비판을 받을 정도로 정형적인 아류작 양산이 흔하였다.[5] 전성규. 곽지은. 앞의 연구. 364~365p[6] 전성규. 곽지은. 앞의 연구. 345~355p[7] 전성규. 곽지은. 앞의 연구. 356~363p[8] 전성규. 곽지은. 앞의 연구. 365p[9] 전성규 곽지은. 앞의 연구. p337[10] 전성규 곽지은. 앞의 연구. p364[11] 전성규 곽지은. 앞의 연구. p334[12] 전성규 곽지은. 앞의 연구. p339-340[13] 전성규. 곽지은. 앞의 연구. p340-341[14] 다만 이같은 장르적 정립은 시장성, 상업화에 주목한 측면이 크므로, 실질적으로는 각 장르의 다음 세대 진입과 상업화에 따른 클리셰 안정화 양상 정도로 보아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7 (이전 역사)
문서의 r4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