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5:53:10

우주의 기사 테카맨 블레이드


파일:23tekka.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등장인물D-BOY · 키사라기 아키 · 노알 베루스 · 레빈 · 밀리 · 발자크 아시모프 · 버나드 오툴 · 아이바 미유키 · 콜배트 · 하인리히 폰 프리만 · 혼다 · 아이바 코조
설정 / 용어간섭 스펙트럼 · 라담 · 라담수 · 볼테카 · 블래스터화 · 오비탈 링 · 연합방위군 · 테카맨 · 마스쿼레이드
등장 메카닉 및 테카맨
테카맨테카맨 블레이드 · 테카맨 대거 · 테카맨 이블 · 테카맨 랜스 · 테카맨 레이피어 · 테카맨 소드 · 테카맨 액스 · 테카맨 오메가
기타 메카닉블루어스호 · 페가스 · 솔테카맨
후속 시리즈와 관련 영상
우주의 기사 테카맨 블레이드 2 · MISSING LING · 타버린 시계 · Twin Blood}}}}}}}}}
우주의 기사 테카맨 블레이드 (1992~1993)
宇宙の騎士テッカマンブレード
Teknoman Blade
파일:attachment/eee.png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슈퍼히어로, 거대로봇
원안 타츠노코 프로덕션 기획실
감독 네기시 히로시
연출 치프 토노카츠 히데키(殿勝秀樹)
연출 조수 우라노 히로아키(うらのひろあき)
시리즈 구성 세키지마 마요리
아카호리 사토루
캐릭터 디자인 TOlllO[1]
사노 히로토시
메카닉 디자인 사야마 요시노리(佐山善則)
나카하라 레이(中原れい)
메카 설정 오가와 히로시(小川 浩)
작화 코디네이터 코가와 토모노리
미술 감독 운노 요시미(海野よしみ)
색채 설계 후지오카 마코(藤岡真子)
촬영 감독 요코야마 코타로(横山幸太郎)
편집 미키 유키코(三木幸子)
코미야 야마시게(小宮山茂)
시라이 미나(白井三奈)
음향 감독 타나카 히데유키(田中英行)
음악 와다 카오루
프로듀서 시미즈 리쿠오(清水睦夫)테레비 도쿄
이타하시 히데노리(板橋秀徳)도큐 에이전시
우에다 모토키(植田もとき)타츠노코 프로덕션
제작 프로듀서 사쿠마 토시로(佐久間敏郎)
애니메이션 제작 타츠노코 프로덕션
제작 테레비 도쿄
소츠 에이전시
타츠노코 프로덕션
방영 기간 1992. 02. 25.[2] ~ 1993. 02. 02.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화) 18: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BS / (수~목) 17:50
한국 정식발매 금문영상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49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연소자 관람가 (VHS)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4. 설정
4.1. 테카맨4.2. 메카닉4.3. 관련 용어
5. 음악
5.1. 주제가
5.1.1. OP15.1.2. ED15.1.3. OP25.1.4. ED2
5.2. 삽입곡
6. 회차 목록7. 평가
7.1. 그림체 문제
8. 후속작9. 미디어 믹스10. 한국어 더빙판
10.1. 비디오 출시 버전10.2. SBS 방영 버전
11. 기타
11.1. 시리즈 정보11.2. 특별판 정보
12.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clearfix]

1. 개요

국내 정식 방영 명칭
금문영상 우주의 기사 데카맨
SBS 우주의 기사 테카맨

1992년부터 1993년까지 방영된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제작은 타츠노코 프로덕션. 감독은 네기시 히로시, 시리즈 구성은 세키지마 마요리, 아카호리 사토루. 둘 중에선 세키지마 마요리의 작품색이 강하다. 총 49화로 완결되었다.

네기시 히로시와 아카호리 사토루는 테카맨 블레이드 직전에 소년기사 라무 시리즈를 함께한 인물들. 네기시 히로시의 말을 보면 앞서 라무네를 감독하면서 신나는 분위기의 작품을 만들고 보니 어두운 분위기의 작품을 만들고 싶어 감독직을 수락했다 하며, 아카호리 사토루가 작품에 참여하게 된 것도 비슷한 연유가 아닌가 싶다.

음악은 와다 카오루. 3X3 아이즈 OVA에서 분위기 좋은 음악을 선보였고 2000년대 와선 이누야샤의 음악으로도 유명한 인물인데, 테카맨 블레이드에서도 본편에 걸맞은 애잔하고 비장한 음악들을 들려주고 있다.

타츠노코의 히어로물 작품인 우주의 기사 테카맨을 리메이크한 작품. 스페이스 나이츠, 페가스, 볼테카 등 상당수의 고유명사나 개념을 가져왔지만 전반적으로는 리부트인 탓에 사실상 전혀 별개의 작품이다.[3][4]

2. 줄거리

연합 우주년 192년. 위성 궤도를 따라 만들어지고 지구와는 궤도 엘리베이터로 이어진 거대 구조물 오비탈 링을 건설한 인류는 우주를 향한 꿈에 부풀어 있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 쳐들어온 수수께끼의 생명체 라담에 의해 오비탈링은 점거당하고, 라담은 오비탈 링에 장착되어 있던 레이저포로 지구를 쑥대밭으로 만든다. 그리고 라담은 정체 불명의 식물 라담 꽃을 지구에 퍼트린다.

그런 지구에서 외우주개발기구의 조사원 아키와 노알은 라담 꽃과 관련된 조사를 하던 와중, 하늘에서 떨어진 무언가가 대폭발을 일으키고 폭발 속에서 한 남자가 나오는 것을 목격한다.

그대로 쓰러진 청년을 아키와 노알은 기지에 데려갔지만, 깨어난 청년은 갑자기 기지의 멤버인 밀리를 인질로 잡고 위성 궤도로 나갈 수 있는 있는 우주선을 요구하고, 일단 그 요구를 받아들인 외우주개발기구 측은 아키와 노알이 조종하는 우주선에 남자를 태워 위성 궤도로 데려간다.

그리고 우주에서 막무가내로 나가는 남자의 모습을 보고 기겁하는 아키와 노알 앞에서, 남자는 그들이 생전 처음으로 보는 존재, 테카맨으로 변신하여 지구가 지금까지 속수무책으로 당해왔던 라담들을 격파하기 시작한다.

그것이 D보이라 불리게 된 남자와 외우주개발기구에서 스페이스 나이츠로 변모하는 이들이 겪게 되는 처절한 싸움의 시작이었다.

3. 등장인물

4. 설정

4.1. 테카맨

4.2. 메카닉

4.3. 관련 용어

5. 음악

5.1. 주제가

오프닝 영상은 모두 이시다 아츠코가 그린 여성 캐릭터 몇 컷 외에는 전부 오오바리 마사미가 혼자 담당했다. 이들은 본편이 아닌 오프닝 영상에만 참여했기 때문에 본의아니게 오프닝 낚시로 취급받는 계기가 되었다. 오오바리의 말로는 테카맨 블레이드 오프닝 작업에서 처음으로 캐릭터 디자인이라는 걸 해봤는데, 이후 아랑전설 애니메이션판의 캐릭터 디자이너로 발탁됐었다고 한다.

5.1.1. OP1

OP1 (1~27화)
REASON
TV ver.[5]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코사카 유미코(小坂由美子)
작곡
작사 안도 요시히코(安藤芳彦)
편곡 후루카와 타츠야(古川竜也)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오프닝 애니메이션 오오바리 마사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1.2. ED1

ED1 (1~27화)
ENERGY OF LOVE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코사카 유미코(小坂由美子)
작사
작곡
편곡 후루카와 타츠야(古川竜也)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1.3. OP2

OP2 (28~49화)
永遠の孤独
영원의 고독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코사카 유미코(小坂由美子)
작곡
작사 사토 미카코
편곡 안도 요시히코(安藤芳彦)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오프닝 애니메이션 오오바리 마사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1.4. ED2

ED2 (28~49화)
LONELY HEART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코사카 유미코(小坂由美子)
작곡
작사 사토 미카코
편곡 안도 요시히코(安藤芳彦)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2. 삽입곡

40화 삽입곡
午前0時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코사카 유미코(小坂由美子)
작사
작곡 야마모토 치에코(山本智恵子)
편곡 후루카와 타츠야(古川竜也)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0화 삽입곡
Meditation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코사카 유미코(小坂由美子)
작사
작곡
편곡 후루카와 타츠야(古川竜也)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6화 삽입곡
Once More Again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미마츠 아미(三松亜美)
야마우라 카츠미(山浦克己)
작사 시마 에리나(島エリナ)
작곡 야마우라 카츠미(山浦克己)
편곡 니시오카 하루히코(西岡治彦)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8화 삽입곡
マスカレード
마스커레이드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코사카 유미코(小坂由美子)
작사
작곡
편곡 네기시 타카유키(根岸貴幸)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메카닉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天駆ける超人
하늘을 달리는 초인
세키지마 마요리 히가시 후시미
(東 伏美)
토노카츠 히데키
(殿勝秀樹)
세라 타케시
(世良 武)
日: 1992.02.25.
韓:
제2화 孤独の戦士
고독의 기사
아카호리 사토루 네기시 히로시 타카세 세츠오
(高瀬節夫)
무로이 세이진[8]
(室井聖人)
오구로 아키라 日: 1992.03.03.
韓:
제3화 防衛軍の野望
방위군의 야망
키시마 노부아키
(岸間信明)
토노카츠 히데키 佐乃鷹二巳
니시야마 아키히코
(西山明樹彦)
藍葉古卯 日: 1992.03.10.
韓:
제4화 理由なき敵前逃亡
이유 없는 적전도망
카와사키 히로유키 사와이 코지 치바 다이스케
(千葉大輔)
시키시마 히로히데
(敷島博英)
日: 1992.03.17.
韓:
제5화 オレを殺せ
날 죽여라
사카타 준이치 스즈키 요시오
(鈴木吉男)
카토 시게루
(加藤 茂)
日: 1992.03.24.
韓:
제6화 テックセット不能
테크 셋 불능
치바 카츠히코
(千葉克彦)
토노카츠 히데키 츠츠미 준코
(堤 純子)
네코노 노노미
(猫野乃々美)
네코노 린타
(猫野輪太)
日: 1992.03.31.
韓:
제7화 機動兵ペガス発進
기동병 페가스 발진
와타나베 치카코
(渡辺誓子)
사와이 코지 니시야마 아키히코 무로이 세이진 야마네 마사히로 日: 1992.04.07.
韓:
제8화 謎の従軍記者
의문의 종군기자
아카호리 사토루 토노카츠 히데키 타카세 세츠오 藍葉古卯 日: 1992.04.14.
韓:
제9화 救出! 木星クルー
구출! 목성 쿨
키시마 노부아키 마츠조노 히로시
(まつぞのひろし)
이구치 츄이치 日: 1992.04.21.
韓:
제10화 戦火に響く子守歌
전화에 울리는 자장가
카와사키 히로유키 사와이 코지 미야자키 카즈야
(宮崎一哉)
아트 아유무
(アート・歩夢)
아트 타쿠무
(アート・拓夢)
日: 1992.04.28.
韓:
제11화
[총집편]
Dボウイファイル
D 보이 파일
아미야 마사하루
(あみやまさはる)
토노카츠 히데키 藍葉古卯 日: 1992.05.05.
韓:
제12화 赤い戦慄エビル
붉은 전율 이블
치바 카츠히코 나카무라 류타로 스즈키 요시오 카토 시게루 日: 1992.05.12.
韓:
제13화 宿命の兄弟
숙명의 형제
키시마 노부아키 사카타 준이치 니시야마 아키히코 시키시마 히로히데 나카무라 유타카 日: 1992.05.19.
韓:
제14화 血をわけた悪魔
피를 나눈 악마
와타나베 치카코 사와이 코지 타카세 세츠오 藍葉古卯 日: 1992.05.26.
韓:
제15화 魔神蘇る
마신 소생하다
아카호리 사토루 토노카츠 히데키 스즈키 요시오 무로이 세이진 오구로 아키라 日: 1992.06.02.
韓:
제16화 裏切りの肖像
배신의 초상
사와이 코지 미야자키 카즈야 아트 아유무 아트 타쿠무 日: 1992.06.09.
韓:
제17화 鋼鉄の救世主
강철의 구세주
키시마 노부아키 스즈키 요시오 카노 아키라
(加野 晃)
日: 1992.06.16.
韓:
제18화 栄光への代償
영광으로의 대가
니시야마 아키히코 카토 시게루 日: 1992.06.23.
韓:
제19화 心閉ざした戦士
마음을 닫은 기사
와타나베 치카코 나카무라 류타로 타카세 세츠오 스다 마사미 日: 1992.06.30.
韓:
제20화 復活! 怒りの変身
부활! 분노의 변신
야마시타 쿠니아키
(山下久仁明)
토노카츠 히데키 藍葉古卯 日: 1992.07.07.
韓:
제21화 愛と死の予感
사랑과 죽음의 예감
카와사키 히로유키 사카타 준이치 니시야마 아키히코 이구치 츄이치 日: 1992.07.14.
韓:
제22화 ミユキの決意
미유키의 결심
야마시타 쿠니아키 사와이 코지 스즈키 요시오 무로이 세이진 야마네 마사히로 日: 1992.07.21.
韓:
제23화 傷だらけの再会
상처 뿐인 재회
치바 카츠히코 스즈키 요시오 니시야마 아키히코 시키시마 히로히데 나카무라 유타카 日: 1992.07.28.
韓:
제24화 引き裂かれた過去
찢겨나간 과거
키시마 노부아키 토노카츠 히데키 하뉴 요리히토
(羽生頼仙)
스다 마사미 日: 1992.08.04.
韓:
제25화 新たなる悪魔
새로운 악마
카와사키 히로유키 나카무라 류타로 스즈키 요시오 스다 마사미 카노 아키라 日: 1992.08.11.
韓:
제26화 死をかけた戦い
죽음을 건 싸움
야마시타 쿠니아키 사와이 코지 니시야마 아키히코 무로이 세이진 오구로 아키라 日: 1992.08.18.
韓:
제27화
[총집편]
残りし者への遺産
남은 자에게의 유산
아미야 마사하루 토노카츠 히데키 藍葉古卯 日: 1992.08.25.
韓:
제28화 白い魔人
새하얀 마인
아카호리 사토루 네기시 히로시 토모다 마사하루
(友田政晴)
이구치 츄이치 日: 1992.09.01.
韓:
제29화 戦いの野に花束を
싸움의 들판에 꽃다발을
와타나베 치카코 사와이 코지 스즈키 요시오 쿠하라 시게키 日: 1992.09.08.
韓:
제30화 父の面影
아버지의 모습
키시마 노부아키 나카무라 류타로 니시야마 아키히코 카노 아키라 日: 1992.09.15.
韓:
제31화[11] 復讐の街
복수의 거리
야마시타 쿠니아키 이타노 이치로 日: 1992.09.22.
韓:
제32화 待ちわびた少女
기다려 온 소녀
치바 카츠히코 사와이 코지 스즈키 요시오 스다 마사미 日: 1992.09.29.
韓:
제33화 荒野の再会
황야의 재회
아미야 마사하루 토노카츠 히데키 니시야마 아키히코 무로이 세이진 야마네 마사히로 日: 1992.10.06.
韓:
제34화 光と影の兄弟
빛과 어둠의 형제
키시마 노부아키 하시모토 이오타
(橋本伊央汰)
치바 다이스케 쿠하라 시게키 日: 1992.10.13.
韓:
제35화 霧の中の敵
안개 속의 적
야마시타 쿠니아키 하뉴 요리히토
토노카츠 히데키
스즈키 요시오 이토 나오유키 日: 1992.10.20.
韓:
제36화 決戦!! アックス
결전!! 아크스
와타나베 치카코 이타노 이치로 日: 1992.10.27.
韓:
제37화 蝕まれた肉体
삼켜진 육체
야마시타 쿠니아키 토모다 마사하루 이구치 츄이치 日: 1992.11.03.
韓:
제38화 死への迷宮
죽음으로의 미궁
치바 카츠히코 사와이 코지 츠다 요시조
(津田義三)
스다 마사미 日: 1992.11.10.
韓:
제39화[12] 超戦士ブラスター
초전사 블래스터
키시마 노부아키 토노카츠 히데키 니시야마 아키히코 시키시마 히로히데 나카무라 유타카 日: 1992.11.17.
韓:
제40화
[총집편]
愛と戦いの二人
사랑과 싸움의 두 사람
아미야 마사하루 토노카츠 히데키 이구치 츄이치 日: 1992.11.24.
韓:
제41화[14] エビル・蘇る悪魔
이블 되살아나는 악마
야마시타 쿠니아키 요시다 히데토시
(吉田英俊)
사노 히로토시 日: 1992.12.01.
韓:
제42화 激突! 赤い宿敵
격돌! 붉은 숙적
아미야 마사하루 이타노 이치로 日: 1992.12.08.
韓:
제43화 訣別の銃弾
결별의 총탄
카와사키 히로유키 하시모토 이오타 스즈키 요시오 쿠하라 시게키 日: 1992.12.15.
韓:
제44화 迫り来る闇
다가오는 어둠
키시마 노부아키 니시야마 아키히코 무로이 세이진 오구로 아키라 日: 1992.12.22.
韓:
제45화
[총집편]
真実の侵略者
진실의 침략자
아미야 마사하루 토노카츠 히데키 토코로 토모카즈
(ところともかず)
日: 1993.01.05.
韓:
제46화 時の止まった家
시간이 멈춘 집
세키지마 마요리 토노카츠 히데키 스즈키 요시오 스다 마사미 日: 1993.01.12.
韓:
제47화 闇と死の運命
어둠과 죽음의 운명
야마시타 쿠니아키 이타노 이치로 日: 1993.01.19.
韓:
제48화[16] 壮烈! エビル死す
장렬! 이블 죽다
아카호리 사토루 야마모토 야스히코
(山本康彦)
니시야마 아키히코 무로이 세이진 日: 1993.01.26.
韓:
제49화[17] 燃えつきる命
불타오르는 목숨
세키지마 마요리 토노카츠 히데키 쿠하라 시게키 카노 아키라 日: 1993.02.02.
韓:

7. 평가

높은 완성도의 스토리와 세기말적 분위기, 멋들어짐과 처절한 비극이 크로스오버로 넘쳐흐르는 주인공과 깔끔한 메카니컬 디자인 등으로 인기를 끈 작품이며, 작화 붕괴의 악명이 높긴 하나. 오오바리 마사미가 참여한 오프닝이나 나카무라 유타카, 쿠하라 시게키, 사노 히로토시 같은 애니메이터가 참여한 몇몇 화의 작화는 최고를 달린다.

타츠노코의 특기인 주인공을 비극적인 운명에 빠뜨려 시청자의 감정선을 자극하는 신파, 특유의 나름대로 과학적 고증을 거치는 SF분위기 그리고 히어로물이 적절히 혼합되어 흥미를 유발한다. 로봇, 미소녀, 액션 이런 시각적 재미를 즐기려던 시청자들은 고질적인 작화 붕괴[18]로 흥미를 잃어버렸지만, 빠져나갈 데 없는 상황 설정으로 캐릭터들을 몰아넣어 분위기를 점점 고조시키는 전개의 드라마를 즐기는 시청자층들에게 어필한 작품. 그래서 작화 붕괴를 제외하고는 흠잡을때가 없어 뛰어난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주인공 D보이의 '한'이 서릴 듯한 비극적 운명과 상황 설정 덕분인지 다른 타츠노코제 애니메이션들처럼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작품.

7.1. 그림체 문제

파일:테카맨 작붕1.jpg
동일인물이다. 다 같은 캐릭터인지 의심갈 정도로 작화가 들쑥날쑥하게 보이는 게 문제지만...

테카맨 블레이드는 들쑥날쑥한 작화로 악명이 높은 작품이기도 하다.

테카맨 블레이드에 참여한 애니메이터들의 면모 하나 하나는 전혀 나쁘지 않다. 당시 베테랑 애니메이터였던 스다 마사미,코가와 토모노리 [19], 시키시마 히로히데 [20], 이타노 이치로, 나카무라 유타카, 쿠하라 시게키, 사노 히로토시, 야마네 마사히로, 사토 케이이치, 야마시타 마사히토, 카와모토 토시히로, 타카야 히로토시,오오바리 마사미, 이시다 아츠코, 오구로 아키라, 이구치 츄이치까지 애니메이터들의 이름값만 보면 영상미는 1급 소리 들어도 충분할 지경.

하지만 문제는 이런 애니메이터들의 작화가 작품 전체에서 통일이 되지 않았다. 그렇다 보니 시키시마 히로히데가 작화감독인 에피소드에선 D보이가 무슨 70년대 타츠노코 애니메이션스런 다부진 생김새로 등장하고, 쿠하라 시게키가 작화감독인 에피소드에선 D보이조차도 가녀린 면모를 가진 얼굴로 등장하는 식이다. 원래 이런 애니메이터들을 섭외할 때는 어느 정도 그림체가 비슷한 사람들끼리 맞추는데 이 작품의 경우는 유명 애니메이터를 기용하는 대신에 그런 문제를 하나도 고려하지 않아 그림체 변경이 유독 심하게 보인다. 이런 작화감독의 차이로 인한 그림체 변경은 장편 애니메이션에선 흔한 경우고 이 작품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뭐가 작붕이고 뭐가 의도한 작화인지 그 화를 담당한 사람들의 그림체 말고는 기준을 잡을 수 없을 정도로 그림체 자체가 아예 통일되지 않았다는 게 가장 큰 문제. 사노 히로토시를 비롯한 건담 0083의 제작진이 통째로 그려 버린 41화는 거의 OVA급의 영상미를 보여주지만 이런 영상미 있는 에피소드도 작화의 완성도와는 별개로 전체 이야기 흐름에서 보면 좀 쓸데없는 부분에 힘을 쓰는 느낌이 들 정도고, 마지막 48화와 49화는 테카맨 블레이드에 작화감독 급으로 참여했던 애니메이터들이 원화를 그리고 한 덕에 절정과 마무리에 걸맞은 영상미를 보여주나 그 와중에도 48화와 49화의 인물생김새는 최종화 이전 확연히 다르다.

더욱 문제는 원화단계에서부터 몽땅 한국 쪽으로 하청을 넘겨 땜빵을 한 탓에 말 그대로 진짜 작화붕괴가 벌어진 에피소드도 한둘이 아니란 점이다. 보통 원화 단계에서부터 몽땅 한국 하청으로 넘기는 경우는 제작 스케줄에 펑크가 나서 일단 이야기 완성만이라도 해야 할 상황에서 벌어지는 일이란 걸 생각해 보면, 테카맨 블레이드에서 이런 일들이 벌어진 건 제작 스케줄이 빠듯했던 때문이 아닌가라고 짐작할 수 있다. 제작 스케줄 땜빵을 위해 흔히 쓰이는 총집편만 해도 4번이나 등장할 정도.

다만 그렇다고 해서 이 작품이 작화붕괴로 점철된 애니라는 것은 잘못된 인식이고, 실제보다 과장되어서 알려진 경우도 많다. 베테랑 애니메이터가 많기 때문에 그림체로 까이는 에피소드라도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작화(연출, 구도, 움직임 애니메이팅 등)에서는 상당히 뛰어난 면도 보여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예로 그림체가 구리다고 까이는 시키시마 히로히데 담당 에피소드 중에서도 13화는 액션이 엄청나서 팬들이 명작으로 꼽는 에피소드이며 이런 연출은 풋내기가 그릴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20화의 경우에도 D보이가 폭주에 대한 공포를 아키의 눈물어린 호소로 극복하는 중요한 에피소드인데 작화가 붕괴된 땜빵 에피소드라고 정보가 잘못 퍼져있다. 20화는 코가와 토모노리가 그린 편이다. 땜빵 에피소드에 이런 거물 애니메이터를 투입할까? 오히려 더 중요하기 때문에 거장을 투입해서 공을 들인 것이다. 물론 한국 하청 측에서 준 원화가 수정하기 힘들 정도로 질이 안 좋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20화도 코가와가 그린 몇몇 컷을 제외하면 작화가 붕괴된 컷이 종종 있다. 문제는 사람들이 코가와가 그린 아키의 우는 표정이 작화가 이질적으로 느껴진다고 작붕으로 몬다는 것.[21]

전체적으로 에피소드 별로 그림체와 작화수준이 널뛰듯 바뀌는지라 캐릭터 디자인의 일관적 유지나 작화 수준 유지 등 애니의 영상적인 면에 목숨 거는 사람들에겐 추천할 만한 작품은 못 되지만, 스토리가 워낙 뛰어나다보니 작품이 지닌 숨막히는 드라마에 몰입될 경우 작화 정도는 사소한 문제가 되어버릴 정도의 매력을 지녔기에 팬 또한 상당하다. 실제로 유튜브에서 나온 영상들을 보면 서양권에서도 애니를 보고 호평을 했을 정도로 평가가 매우 좋다. 위에도 언급되었지만 종종 작화가 붕괴되는 것과 그림체의 급격한 변경을 제외하면 액션에서는 거장을 몰아넣었고 매우 뛰어난 스토리와 연출을 선보이기 때문에 작화가 후지다는 말만 듣고 노심초사하며 봤다가 "이거 작화가 전혀 안 구린데?" 라는 반응을 보이며 볼수록 재밌다는 사람도 꽤 된다.

특히 인물 작화가 자주 무너지는 것과 다르게 테카맨과 메카닉 액션 작화는 크게 무너지는 경우가 없다. 메카닉 작화에 몰빵하고 인물 작화를 희생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인물 작화는 사노 히로토시, 쿠하라 시게키의 작화분량을 많이 사용했다.

8. 후속작

처음 후속작으로 기획된 건 본편의 2년 후를 다룬 내용이었다. 하지만 중간에 들린 아카호리 사토루가 그래서야 전작의 재탕이 된다고 제동을 걸어서 기획이 한 번 뒤집어진다.

대신 2년 후의 내용을 그대로 두고 그 시대에서 몇년 더 후를 다루면서 좀 밝은 분위기의 작품으로 테카맨 블레이드2가 만들어진다. 하지만 네기시 히로시와 아카호리 사토루가 빠진 탓인지 빼어난 작화에도 불구하고 본편의 맛을 잃어버린 메인 스토리와 결말 때문에 평가가 나쁘다.[22]

9. 미디어 믹스

코믹스판이 있는데, 그야말로 내용이 안드로메다이다. 국내에는 예전에 단편 코믹스가 해적판으로 출시되었다고 한다. 2까지도 있다고 한다.

간단히 요약해보자면...
  1. 페가스가 라담에서 만든 테카맨 전용 메카이며 감정을 가지고 있다. 다른 페가스는 비중이 거의 없으나 대거 페가스는 충성심을 지니고 있으며 대거는 페가스를 싫어하기 때문에 이거나 먹고 떨어져라 하는 식으로 눈을 떼어서 준다.
  2. 이 대거 페가스는 후에 블레이드에게 회유되나 랜스에게 파괴당한다.
  3. 이블이 블레이드의 클론, 밀리가 레이피어의 클론.
  4. 오메가의 정체가 다르다. 원작에서는 오메가가 형인 켄고였으나 만화판에서는 코조이며, 사실 인류를 위하여 암약하고 있었다. 다만 라담의 계획도 실패했기 때문에 세뇌여부는 불명. 오메가는 이블의 분노를 사서 죽는다.
  5. 내용 초반에 페가스의 장갑을 냄비로 쓰는 인간들과 크게 비중도 없는 프리맨.
  6. 블레이드를 블래스터화시킨 것도 오메가로 소드, 액스, 랜스는 볼테카 이외에 답이 없다는 걸 알고 3면에서 볼테카를 쏘지만 거꾸로 반격을 당해서 죽는다.
  7. 라담의 우주는 반물질 우주였기 때문에 이쪽 우주와 연결되면 대소멸로 다 죽는다. 블레이드는 그 때까지 모은 크리스탈로 볼테카를 쏴서 특수한 필드를 형성하여 양쪽 우주가 연결되는 것을 막는다. 고중력 환경에서는 시간의 흐름이 느려지기 때문에 언젠가는 지구문명을 복구하여 구출하러 가겠다는 사람들의 다짐으로 끝.

여러모로 굉장한 작품.다만. 90년대 코믹컬라이즈의 한계로 만화가 연재될 당시에는 거의 자료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독자적인 설정이 들어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점이다. 대신 당대 유행하던 극화체 SF 특유의 작화나 디자인의 수준도 높은 편으로 고양이 당인전 테얀데에의 디자이너인 스즈키 노리타카.

슈퍼패미콤 용의 횡스크롤 액션 게임도 있다. 그외 다른 제작사에서 만든 게임보이용 게임과 PC용 게임도 존재한다.

10. 한국어 더빙판

10.1. 비디오 출시 버전



1993년 금문영상이 배급, 시네마뱅크가 제작했으며 일본판 원곡을 괜찮게 번안한 오프닝 엔딩을 보여주었으며 성우 캐스팅도 좋았다. 거기다 나체가 약간 드러나는 테카맨 레이피어의 변신 장면을 그대로 담고 있다.

하지만 26화까지 출시된 이후 나머지 후반부 내용은 출시되지 않았다.

10.2. SBS 방영 버전


1998년 8월 12일부터[23] 10월 29일까지 '우주의 기사 테카맨'이라는 제목으로 SBS 및 7개 지역민방[24]을 통해 매주 수~목 오후 5시 50분마다 정식 방영됐다. 심의상 그냥 방영하긴 곤란하고 수정하기도 뭐한 11화를 빼버리고 총 48화로 완결되었다.

작품의 일부 명사의 명칭이 변경되었다. 테카맨 블레이드의 이름이 테카맨 번개검으로 바뀌었으며 다른 테카맨들의 경우 천둥검(이블), 우뢰검(대거), 파도검(소드), 어둠검(오메가) 등으로 변경되었다. 기술명의 경우 볼테카는 철벽 레이저포, 하이코트 볼테카는 파동 레이저포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KBS용자왕 가오가이가의 골디언 햄머가 황금망치로 번역되었던 것을 생각하면 극강의 센스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비장미가 넘치는 가사와 멜로디의 오프닝, 변신할 때 외치는 "우주의 힘을 하나로!" 등 국내 팬들은 센스가 멋진 SBS판의 테카맨을 더 높게 치기도 한다. 한국어 더빙도 인지도는 낮지만 어색하긴 해도 중견인 성우들이 그야말로 혼을 건 열연을 펼친 더빙 수작. 특히 블레이드역의 김준의 절규에 가까운 각종 기합성이나 '철벽 레이저포오오~!!' 등의 연기를 선보였다.

D-Boy의 국내판 이름인 야생마의 센스는 지금도 회자되고 있다. 또한 마지막 전화인 블레이드와 이블의 결전에서 흐르는 보컬곡 '마스커레이드'가 클래식인 G선상의 아리아로 교체되면서 아름다운 선율 가운데 펼쳐지는 형제간의 처절한 사투라는 원판과는 사뭇 다른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25]

하지만 마지막화의 절정부에서 잔인한 장면 편집한다고 드문 드문 잘라낸 탓에 이야기를 좀 갉아먹은 부분은 아쉬운 부분이다.

친형제가 서로 죽일듯 싸우는 것이 심의상 문제가 될 것이라 여긴건지 SBS 판에선 블레이드와 이블은 친형제 사이가 아닌 것으로 변경되었으며, 블레이드와 이블의 첫 재회에서 '고아원에서 함께 자란'이란 대사를 일부러 집어넣어 이들이 쌍둥이가 아니라 함께 입양된 것이란 뉘앙스를 주었다.

SBS 더빙판은 비디오로도 출시됐는데, 세호인터내셔널이 '통키홈비디오' 레이블로 내놓긴 했으나 16개의 에피소드만 나오고 말았다.

11. 기타

초기 기획 시에는 테카맨 블레이드는 블레이드가 아니라 다레스 혹은 세이버라는 이름이었으며, 생김새 면에서도 지금보다 원조 테카맨에 가까우면서 기사의 갑옷 스타일에 가까운 모양새였다.
파일:x4mBPo2.jpg
테카맨 블레이드의 초기안

주연인 모리카와 토시유키, 형제 역인 코야스 타케히토 둘 다 BL 쪽에서 꽤나 날리는 인물이다 보니, 테카맨 블레이드에서 두 성우가 쌍둥이로 나와 대결하는 걸 보면서 하악대는 BL팬들이 좀 있다고 한다. 코야스 타케히토는 1999년에 바오밥을 떠나면서 티즈 팩토리라는 자신의 기획사를 설립하여 사장 자리에 올랐고 모리카와 토시유키도 역시 2011년에 데뷔 때부터 몸담은 아트비전을 떠나면서 액셀원을 설립하여 대표가 되면서 테카맨 형제들을 맡은 성우가 모두 기획사의 대표 자리에 올랐다. 또한 발자크의 성우인 호리우치 켄유도 바오밥을 떠난 이후 켄유 오피스라는 자신의 사무소를 차리면서 대표 자리에 오르기도 하였다.

캐릭터 중 아이바 미유키의 이름은 아카호리 사토루의 부인인 만화가 키타가와 미유키에서 따왔다고 한다. 불행한 운명을 사는 여자 캐릭터의 이름을 아카호리가 구상하던 도중 '지금 가장 불행한 여자가 누구일까'라고 질문을 던졌는데, 그 말을 들은 사람이 '그거야 아카호리 사토루와 결혼한 여자지!'라고 답했고, 그 말을 들은 아카호리 사토루가 '옳거니!' 했다나. 이봐요

2012년은 92년에 방영한 테카맨 블레이드의 20주년이 되는 해이다. 그러나 반다이는 테카맨 프라 한두개만 내고 말 움직임이라 테카맨 블레이드의 팬들을 격앙시키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일각에서는 이게 다 기동전사 건담 AGE 때문이라면서 에이지를 열심히 씹고 있다는데... 대신에 이러한 팬들의 심리를 철저하게 활용하는걸로 정평(?)이 난 굿스마일 컴퍼니에서 피그마테카맨 블레이드테카맨 이블을 발매예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피그마의 고질적인 단점 중 하나인 밥먹듯이하는 발매연기가 테카맨 블레이드에도 예외가 아니라서, 2012년 9월 발매예정인게 한달 뒤로 연기되고 다시 한 번 발매연기(...)해서 2012년 11월 30일에 발매했다. 덤으로 테카맨 이블은 2012년 12월로 추가 발매 연기 크리.

그런데 그렇게 발매 연기를 해댔음에도 피그마 테카맨 블레이드는 썩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데, 이런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2012년 7월 둘째주부터 니코니코 동화에서 테카맨 블레이드를 방영하기 시작했다. 가격은 회당 니코니코 포인트 210점, 12회 묶음 어카이브 니코니코 포인트 1764점(14일분)[26], 모든 방영분 어카이브는 니코니코 포인트 7203점이다.(60일분)

북미권에서는 사반 엔터테인먼트에서 수입하여 '테크노맨(Teknoman)'이라는 제목으로 더빙 방영되었다. 본래 49화였던 방영 화수가 43화로 축소되었을 정도로 삭제된 분량이 많지만, 시리즈 자체는 제법 인기를 끌었다. 이후 '미디어 블래스터즈(Media Blasters)'를 통해 전편 무삭제 버전으로 따로 더빙 출시되었다.

중국에서도 방영 중엔 국민 애니로 꼽힐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마신영웅전 와타루천공전기 슈라토와 함께 일본보다 중국에서 더 인기있는 작품으로 꼽힌다.

11.1. 시리즈 정보

11.2. 특별판 정보

12.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중에서는 휴대용 작품인 JW에 참전하였다. 메카닉이라기보다 변신 초인물에 가까운 작품이기에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내에서도 상당히 이례적인 참전작. 같이 참전한 풀 메탈 패닉? 후못후본타군과 함께 인간과 동일한 사이즈의 인간형 기체라는 신기원을 보이면서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 나올 수 있는 작품의 폭을 대폭 넓히는데 크나큰 기여를 한 작품으로 꼽힌다.

참전한 두 작품 모두 원작을 초월하는 수준의 크로스 오버를 보여주면서 원작 이상의 찬사를 받았으며, 특히 슈퍼로봇대전 W에서는 테카맨 블레이드의 전신이라고 볼 수 있는 OVA 작품인 데토네이터 오건, 후속작인 우주의 기사 테카맨 블레이드 2와 크로스 오버 되면서 W의 스토리의 주축을 담당하는 높은 비중을 자랑하였다. 특히 스토리나 전작과의 연계성 면에서 무리한 스타일의 변화로 인해 흥행에 실패했던 테카맨 블레이드 2를 전작의 스토리 중간에 끼워넣고 비슷한 스타일의 작품인 오건의 주축 적 세력인 이바류더와 라담의 관계를 적절히 조화시켜 본작을 모르고 처음 접한 유저들에게 단일 작품이라는 착각까지 심어주었을 정도.

또한 주역 캐릭터의 영구 이탈이 큰 손실로 작용하는 슈퍼로봇대전의 게임 특성상 본작의 주인공인 테카맨 블레이드는 마지막 화의 비참한 결말[스포일러]에서 동료들의 격려로 자신을 되찾고 온전히 살아남아 마지막까지 전투에 참여하고, 숨겨진 요소를 만족할 경우 여동생 미유키도 살아남아[28] 저주받은 라담의 숙명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W에서 직접 언급되듯, 고통 속에서도 계속 발버둥 쳐온 그에게만 허락된 기적이 일어난 셈.

W에서 시리즈의 모든 것을 다 쏟아부은 집대성을 이룬 후유증인지 이후 슈퍼로봇대전에는 참가하지 않고 있다. 새로 참가한다고 하더라도 오건과 절묘하게 크로스오버되고 1, 2기 더불어 흑역사 취급이던 2편까지 전부 이 정도 퀄리티로 녹여낼 수 있는 슈퍼로봇대전은 앞으로 나오지 않을지도 모른다.
[1] 코가와 토모노리의 필명. 사노 히로토시가 전부 하려고 했지만 스케줄 문제로 D보이, 아키, 밀리 3명만 디자인하고 다른 캐릭터는 전부 코가와가 했다고 한다.[2] 선행 0화가 2월 18일에 방송되었다.[3] 그래도 원작에 대한 오마주내지 패러디 요소는 종종 등장한다. 라담꽃에 사로잡힌 인간이 변한 소체 테카맨의 디자인이 우주의 기사 테카맨에 등장하는 오리지널 테카맨과 거의 똑같다거나, 우주의 기사 테카맨의 주인공 미나미 쇼지와 여주인공 아마치 하로미가 48화에서 까메오로 등장하기도 한다. 참고로 갓차맨의 난부 박사도 같은 화에서 덤으로 까메오 출연. 물론 원작 캐릭터들이 설정 그대로 등장한 게 아니고 일종의 패러디이다.[4] 블레이드의 1기 오프닝에도 원작 오프닝에서 모티브를 따온 듯한 장면이 몇 있다.[5] 12화부터 영상 일부가 변경되었다.[6] 사토 케이이치가 작화감독인 편에는 코가와 토모노리의 제자들이 원화로 대거 참가한다. 그런데 정작 코가와 본인 작화감독 편은 애니메이터 포진도 좋지 않고 퀄이 그닥이다.[7] 다만 나카무라 유타카가 메카 작화감독인 편은 캐릭터 작화감독을 시키시마 히로히데(敷島博英)가 하는데 화풍에 특징이 강하니 그건 감안하고 봐야한다. 액션 작화는 정말 대단하다.[8] 사토 케이이치의 필명.[총집편] [총집편] [11] 원화 카와하라 토모히로(川原智弘), 토쿠라 노리모토, 이토 나오유키, 카모가와 유타카 등.[12] 시키시마 히로히데(敷島博英), 나카무라 유타카, 오부나이 미츠루, 야마다 타츠오 등.[총집편] [14] 원화 사노 히로토시, 카와모토 토시히로, 야마시타 마사히토, 칸노 히로키, 이리에 야스히로, 스기우라 코지 등.[총집편] [16] 원화 오구로 아키라, 야마네 리히로, 고토 케이지, 타카야 히로토시 등.[17] 원화 스다 마사미, 이구치 츄이치, 나카무라 유타카, 카와하라 토모히로, 하세베 아츠시(長谷部敦志), 토미오카 타카시, 쿠하라 시게키 등.[18] 이게 치명타다. 스토리가 충분히 커버하고도 남지만 그림체 때문에 안본다는 사람들도 다수.[19] 스다와 코가와 두 사람은 과학닌자대 갓차맨과 원조 테카맨 시절부터 있던 타츠노코 원년 작화 멤버이다.[20] 토에이 동화 출신 애니메이터로 상당한 베테랑이다. 단 이 작품의 경우 시키시마 히로히데 편이 작붕으로 까이는 경우가 많다.[21] 저 위의 사진 왼쪽 위가 그 장면[22] 재밌는 건 이후 아카호리 사토루와 네기시 히로시, 거기다 테카맨 블레이드의 메카 디자이너인 사야마 요시노리도 함께한 VS기사 라무네&40염의 후반부는 테카맨 블레이드의 결말이 연상되는 강렬한 전개라는 사실.[23] 그 이전에는 <파이팅 대운동회>가 편성됐다.[24] PSB(현 KNN), TBC, KBC, TJB, UBC, CJB, JTV.[25] 이 곡은 이전 34화에서 두 형제가 좋아하며 들었던 곡이라는 설정으로 삽입되었다.[26] 37~49회는 니코니코 포인트 1911점.[스포일러] 마지막 전투 직전 무리한 블래스터화의 영향으로 인간으로서의 기억을 상실하며, 마지막 싸움이 끝난 이후 간신히 구조되어 살아남았지만 대부분의 기억이 사라지고 육체와 정신이 모조리 무너져 휠체어에서 일어설 수 없는 몸이 된다. 그의 처절한 인생사를 지켜본 프리맨은 이것이 D 보이에게는 차라리 구원이라고 말했을 정도.[28] J와 W 양쪽 다 조건을 만족할 시 미유키가 생존하여 아군으로 합류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