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4:54:39

A319

에어버스 A319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A320 패밀리
,
,
,
,
,

파일:에어버스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에어버스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에어버스 민항기
협동체 광동체
쌍발기 A220B · A320 패밀리 (A318, A319, A320, A321) · A320neo 패밀리 (A319neo, A320neo, A321neo) A300 · A310 · A330 (neo) · A350 XWB (neo)
4발기 - A340 · A380 (plus)
특수 화물기 A300-600ST Beluga · Beluga XL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 군용기
전투기 유로파이터 타이푼 · FCAS
수송기 CN-235 · C-295 · A400M
공중급유기 A310 MRTT · A330 MRTT · KC-45
무인기 유로드론 · 제피르 UAV · VSR700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헬리콥터
민간용 H125 · H130 · H135 · H145 · AS365 · H155 · H160 · H175 · H215 · H225
군용 H125M · H145M · UH-72 · AS565 · H160M · H215M · H225M · EC-665 · NH90
ATR 민항기
ATR 42 · ATR 42-600S · ATR 72
아에로스파시알 및 그 이전 민항기
Sud Aviation Caravelle · Concorde
B: 봄바디어에서 개발 및 제작한 항공기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에어버스제트 민항기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72 1982 1987 1991 1992 1994 1996 2003 2005 2008 2012 2013 2014 2018 2021 2023
C 시리즈 A220
A320 A320 A318 A320neo 패밀리
(A319neo, A320neo, A321neo)
A320 A319
A320
A321
A300 A310 A300 A330 A330 A330 A330neo
A300 A300
A330
A340 A350 XWB
A380
}}}}}}}}} ||

A320 패밀리의 형식
{{{#!wiki style="margin: -16px -11px" A318 A319 A320 A321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A320neo 패밀리의 형식
A319neo A320neo A321neo }}}
파일:E81EEA46-805E-4649-B913-A72F0BB26576.jpg
에어버스, A319-131, F-WWDB
A319의 프로토타입
파일:A319 Cockpit.jpg
A319-100의 칵핏

1. 개요2. 제원3. 세부기종
3.1. A319-1003.2. A319LR3.3. ACJ3193.4. A319 MPA3.5. A319neo
4. 관련 문서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A320을 줄여서 나온 A320 시리즈의 2번째 형식. A320과 함께 이 시리즈를 대표하는 기종으로 2번째로 인기가 많은 모델이다. 유럽 내 저비용 항공사는 물론 미국 국적사들도 엄지손가락을 들어올린 기종이다. 최근에는 NEO 업그레이드 계획에 들어가면서 자연스럽게 보잉 737 MAX 시리즈와 경쟁 구도에 들어가게 되는데, 현재로선 매우 처참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두 모델 다 아직 상업 운항은 시작하지 않은 터라 지켜봐야 알 듯하다. 하지만 보잉에서 보잉 737 MAX의 생산 중단을 발표한 만큼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의외로 국내에는 일반 항공사에서 전혀 쓰지 않는다. 다만 1대가 등록돼 있긴 한데, 일반 여객기가 아니라 SK그룹전용기로 사용 중인 ACJ319이다. 등록번호는 HL8080. 국내 유일한 A319이다. 중국동방항공이 상하이-무안 노선에 이 기체를 투입하고 있다.

2021년, 마지막 기체인 B-323J티베트항공에 인도되면서 생산이 중단되었다. 이제 A319를 신규 구입할 때 A319neo만 선택할 수 있다.

2. 제원

에어버스 A319-100
^A319LR / ACJ319^
운항 승무원 2
최대 좌석 수 160
화물 용적 27.70 m³
(LD45 컨테이너 x4)
길이 33.84 m
34.10 m
날개면적 122.6 m²
높이 11.76 m
동체폭 3.70 m
최대 연료 탑재량 24,210 L (Standard)
30,190 L (Optional)
자체 중량 40,800 kg
최대 이륙 중량 75,500 kg
항속거리 6,700 km
6,900 km
(With Sharklets)
10,400 km (LR)
11,000 km (ACJ)
최대 순항 속도 마하 0.82(1,005km/h)
엔진 x2 CFMI CFM56-5A1
(25,000 lb)
IAE IAE Model V2527M-A5
(24,800 lb)

3. 세부기종

3.1. A319-100

파일:g-ezgi.jpg
이지젯, G-EZGI
파일:N9015D.jpg
아메리칸 항공, N9015D
최초로 샤크렛이 장착된 A319
파일:B-323J.jpg
티베트항공, B-323J
마지막으로 생산된 A319[1]

A320 계열에서 둘째로 짧은 형식으로서 최대 156석까지 채울 수 있는 기체이다. 1996년에 스위스에어로 초도 기체가 인도되었고 아메리칸 항공, 델타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루프트한자, 에어 프랑스, 영국항공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현재 총 1,455대가 생산되었고, 1,439대가 운용 중이다. 메이저 항공사 말고도 저비용 항공사들이 Α320이나 737과 함께 많이 애용하는 기종.

이 모델부터 동체 밑에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전용 ULD 컨테이너가 존재한다. 이 전용 컨테이너의 존재 때문에 보잉 737이랑 경쟁해도 꿀리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2]

많은 주문량이 있는 만큼 에어버스에서도 이 모델이 NEO 업그레이드로 들어가면 수익이 있을 것 같다고 느꼈는지 NEO 시리즈 진출이 확정되었다.
파일:n877ua.jpg
유나이티드 항공, N877UA
가운데 비상구가 1열이다.
파일:A319 비상구 2열.jpg
얼리전트 항공, N315NV
가운데 비상구가 2열이다.

옵션으로 기체 중앙의 비상 탈출구를 1열이 아닌 2열로 넣는옵션도 있다.

3.2. A319LR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a7-cja-qatar-airways-airbus-a319-133lr_PlanespottersNet_507579.jpg
카타르항공, A7-CJA

ACJ319에 적용된 더 큰 연료 탱크 및 일부 기술을 A319에 적용시켜 최대 이륙 중량과 항속거리를 10,400km로 대폭 개선한 기체로서 카타르항공2대를 주문했다.[3][4]

3.3. ACJ319

파일:HL8080.jpg
SK텔레콤, HL8080

A319의 전용기 사양으로서 기본 8명을 태울 수 있고 최대 11,000km까지 날 수 있다. ACJ 시리즈 중에서는 그럭저럭 꽤 쓰이는 기체이며, A320 패밀리의 ACJ 모델 중에서 가장 잘 팔렸다. 국내에서는 SK그룹에서 운용하고 있다.

3.4. A319 MPA

파일:4-image-04.jpg
파일:A319 MPA image.jpg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에서 공개한 A319MPA의 사진들.
A319 MPA (Maritime Patrol Aircraft)

A319를 기반으로 해서 만든 대잠초계기[5]로, 사용하고 있는 국가는 아직 없고 에어버스 밀리터리인도 해군호주 해군에 제안한 바 있는 기체다. 경쟁 기종으로는 같은 크기의 초계기인 보잉P-8 포세이돈가와사키 중공업P-1이다.

3.5. A319neo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319neo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현대 헝가리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헝가리군|
헝가리 방위군 (1989~현재)
Magyar Honvédség
]]'''
회전익기 '''[[무장헬기|
경헬기
]]'''
H145M | AS350 B2 에큐워이 | Ka-26 | Mi-2 | Mi-1
'''
다목적 헬기
'''
H225M 카라칼 | Mi-17(N/PP) | Mi-8(P/S/T/TS) | Mi-4A
공격헬기 Mi-24(D/V/P)
<colbgcolor=#FFF> '''[[전투기|
전투기
]]'''
<colbgcolor=#FFF> '''[[1세대 전투기|
1세대
]]'''
MiG-15bis | MiG-17(A/AS/P/F/PF/PFU)
'''[[2세대 전투기|
2세대
]]'''
MiG-19(P/PM) | MiG-21(F-13/PF)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MF/bis) | MiG-23(MF/MS)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JAS 39(C/D) 그리펜L | MiG-29(B/UB)
공격기 Su-22M3 | Il-10 · 아비아 B.33
폭격기 Il-28 | Tu-2S
'''[[정찰기|
정찰기
]]'''
전술 An-30 | MiG-17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An-26B | An-24V | An-2 | Il-14 | Li-2T
전술 C-390 밀레니엄 | A319-112
전략 C-17A 글로브마스터 IIISAC
다목적기 Yak-12
'''[[지원기|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스카이라크 (1/I-LEX)
클래스 1 - 소형
스카이라크 3
'''[[훈련기|
훈련기
]]'''
프롭 Z 242L | Z 143LSi | Yak-52 | Yak-18 | Yak-11 | 레트 C-11
제트 {L-39NG} | L-39ZO 알바트로스 | L-29 델핀 | Su-22UM3 | MiG-23UB | MiG-21(U/UM) | MiG-15UTI
VIP 탑승기 다쏘 팔콘 7X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SAC: NATO SAC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현대 불가리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불가리아군|
불가리아군 (1991~현재)
Българска Армия
]]'''
회전익기 '''[[무장헬기|
경헬기
]]'''
벨 206B-3 제트레인저 III | Ka-26 | Mi-2 | SM-1
'''
다목적 헬기
'''
AS532 AL 쿠거 | Mi-17 | AS565 MB 팬서 | AS365 N3+ 도팽 II | Mi-8(T/PS) | Mi-4ME
공격헬기 Mi-24(D/V)
대잠헬기 Mi-14BT | Ka-25C
<colbgcolor=#009B75> '''[[전투기|
전투기
]]'''
<colbgcolor=#009B75> '''[[1세대 전투기|
1세대
]]'''
MiG-17(F/PF) · Lim-5P · Lim-6 | MiG-15 | Yak-23
'''[[2세대 전투기|
2세대
]]'''
MiG-19(S/P/PM) | MiG-21(F-13/PF/PFM)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3(MLA/MLD) | MiG-21(M/bis)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F-16(C/D) 블록 70 파이팅 팰콘 | MiG-29(A/UB)
공격기 Su-25K | Su-22M4 | MiG-23BN | Il-10 · 아비아 B.33 | Il-2M3
폭격기 Il-28 | Pe-2 | Tu-2T
'''[[정찰기|
정찰기
]]'''
전술 MiG-25RB | An-30B | Il-28R | Lim-5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7J 스파르탄 | L-410UVP-E3 | An-2TD | An-26B | An24RV | Il-14 | An-14A | Li-2T
다목적기 PC-12 | PZL-101 가브론 | Yak-12
'''
지원기
'''
'''
연락기
'''
KB-11 파잔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RQ-11B 레이븐 | 에어로존데 Mk.4.7
'''[[훈련기|
훈련기
]]'''
프롭 PC-9M | Z 242L | Z 142 | L-200D 모라바 | Yak-18 | Yak-11 | Yak-9U | Po-2 | Laz-7
제트 Su-25UBK | L-39ZA 알바트로스 | L-29 델핀 | Su-22UM3K | MiG-23UB | MiG-21(US/UM) | MiG-15UTI
VIP 탑승기 A319-112 | 다쏘 팰컨 2000EX | 다쏘 팰컨 50 | Tu-154M | Tu-134AK | Yak-40K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Roundel_of_the_Pakistani_Air_Force.svg.png 현대 파키스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키스탄군|
파키스탄군 (1947~현재)
پاکستان مسلح افواج | Pakistan Armed Forces
]]'''
<colbgcolor=#FFF> 회전익기 <colbgcolor=#FFF> '''[[무장헬기|
경헬기
]]'''
AS550 C2 페넥 | AS350 (B2/B3) 에큐워이 | SA.315B 라마 | SA.316 알루에트 III | OH-13S 수우
'''
다목적 헬기
'''
벨 412EP | UH-1H 휴이 | SA.330J 퓨마 | AW139M | Mi-17-1V | 시킹 (HAR.3/HC.4) · 코만도 Mk.3(A) | Mi-8 | HH-43B 허스키 | H-19D 치카소
공격헬기 Z-10ME | Mi-35M3 | AH-1F 코브라
대잠헬기 Z-9EC | 시킹 Mk.45 | 링스 HAS.3
'''[[전투기|
전투기
]]'''
프롭 시퓨리 FB.60 | 스핏파이어 Mk.VIII | 템페스트 II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F 세이버 | CL-13B Mk.6 세이버 | 어태커 F.1
'''[[2세대 전투기|
2세대
]]'''
청두 F-7P "스카이볼트" | F-104(A/B) 스타파이터 | 선양 F-6 | MiG-19S
'''[[3세대 전투기|
3세대
]]'''
청두 F-7PG | 미라주 III(O/EP/DP/EL/BL/D)
4(.5)세대 J-10CE | F-16(C/D) 블록 52+ · F-16(A/B) 블록 15 ADF/MLU 파이팅 팰콘 | JF-17(A/B/C) 썬더 블록 (I/II/III)
'''[[5세대 전투기|
5세대
]]'''
{J-35}
공격기 미라주 5(F/PA/PA2/PA3/DPA2) | 난창 A-5C
폭격기 H-5 | 핼리팩스
'''[[정찰기|
정찰기
]]'''
전술 미라주 5DR | 미라주 IIIRP | RT-33A
전자 비치 B300i 슈퍼 킹에어 SIGINT | RB-57(B/F) 캔버라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시 술탄} | P-3(B/C) 오라이언 | RAS-72 "시 이글" | Br.1150 아틀란틱 | 포커 F27 MPA
'''[[수송기|
수송기
]]'''
경량 사브 2000 | Y-12 | 브리스톨 프레이터 | 다코타
전술 C-130(B/E/H) 허큘리스 | L-100 | A319-112
수상기 HU-16A 알바트로스
다목적기 세스나 208 · T206H | 터보 커맨더 690C | U-8F 세미놀 | 오스터 AOP.6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사브 2000 에리아이 | ZDK-03 "카라코람 이글"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Il-78MP
전자전기 다쏘 팔콘 DA-20
'''
연락기
'''
O-1E 버드 도그 | 오스터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우콰브 II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EMT 루나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샤파르-1 | 자수스-2 | 셀렉스 ES 팔코
'''
UCAV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
클래스 3 - MALE급
CH-4(A/B) | 윙룽 II | 아큰즈 | 앙카 | 샤파르-2 | 부라크
'''[[훈련기|
훈련기
]]'''
프롭 MFI-395 슈퍼 무샤크 | MFI-17 무샤크 | 시퓨리 T.61 | T-6G 텍산 | DH.82 타이거 모스
제트 K-8P 카라코룸 | T-37(B/C) 트윗 | 선양 FT-6 | 선양 FT-5 | 선양 FT-2 | T-33A 슈팅스타
헬기 벨 206B 제트레인저 | 엔스톰 280FX | 슈바이처 S300C
VIP 탑승기 페놈 100 | 걸프스트림 IV-SP | 세스나 550 사이테이션 II · 560 사이테이션 V | B707-340C | 트라이던트 1E | 빅커스 VC.1 바이킹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과테말라 항공병기|파일:과테말라 공군 라운델.svg
과테말라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정확하게는 기존 엔진을 사용한 기종 한정. 이후 A319를 주문하려면 A319neo만 가능하다.[2] 반면 보잉 737 계열은 전용 ULD 컨테이너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승객들의 짐을 화물칸에 그냥 쌓아놓는다고 보면 된다.[3] 3대 주문이라고 나와있으나 한 대는 카타르 아미리 플라이트의 ACJ319.[4] 현재는 모두 퇴역했다.[5] 해상초계기의 약어인 MPA를 썼지만 어뢰뿐만 아니라 공대지 미사일도 무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잠초계기로 분류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8
, 4.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