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동덕여자고등학교 | 반포고등학교 | 상문고등학교 | 서문여자고등학교 | ||
서울고등학교 | ◈ 서울웹툰애니메이션고등학교 | 서초고등학교 | ※ 세화고등학교 | ||
※ 세화여자고등학교 | 양재고등학교 | 언남고등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bgcolor=#fff,#1F2023> 강남구 | 개포고등학교|경기고등학교|경기여자고등학교|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서울세종고등학교|숙명여자고등학교|압구정고등학교|영동고등학교|은광여자고등학교|중동고등학교|중산고등학교|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진선여자고등학교|청담고등학교|풍문고등학교|현대고등학교|휘문고등학교 |
서초구 | 동덕여자고등학교|반포고등학교|상문고등학교|서문여자고등학교|서울고등학교|서초고등학교|세화고등학교|세화여자고등학교|양재고등학교|언남고등학교 |
언남고등학교 Eonnam High School 彦南高等學校 | |
| |
<nopad> | |
<colbgcolor=#07004B> 개교 | 1986년 |
유형 | 일반고등학교 |
성별 | 남녀 공학 |
형태 | 공립학교 |
교장 | 최성희 |
교훈 | 성실, 협동, 창조 |
교화 | 국화 |
교목 | 느티나무 |
학생 수 | 661명[기준A] |
교직원 수 | 76명[기준B] |
관할청 | 서울특별시강남서초교육지원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13길 35 (양재동) |
홈페이지 | |
1. 개요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에 위치한 강남8학군 남녀 공학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2. 학교 연혁
- 1986년 1월 25일 : 언남고등학교 설립인가 (36학급, 서초구 양재2동 309번지)
- 1986년 3월 1일 : 초대 교장 주만영 취임
- 1986년 3월 5일 : 제1회 입학식 (남 8학급, 여 4학급 계 12학급)
- 1986년 5월 4일 : 개교 기념식(개교 기념일)
- 1988년 12월 30일 :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경영 우수학교 표창
- 2001년 6월 12일 : 축구부 창단
- 2007년 12월 14일 : 학교체육 우수활동 교육인적자원부관장상 수상
- 2011년 1월 27일 :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표창
- 2011년 12월 30일 : 교육과학기술부 주최 좋은학교 박람회 표창
- 2014년 12월 26일 : 일반고 진로역량강화 우수학교 서울특별시 교육감 표창
- 2016년 3월 15일 : 대학수학능력시험 운영 우수학교 교육부장관 표창
- 2017년 12월 28일 : 일반고 교육역량강화 우수학교 서울특별시교육감 표창
- 2018년 12월 31일 : 학교체육 활성화 우수학교 서울특별시교육감 표창
- 2023년 1월 3일 : 제35회 졸업식 (남 103명, 여 98명, 계 201명)
- 2023년 3월 1일 : 제 13대 교장 이원오 취임
- 2023년 3월 2일 : 제38회 입학식 (남 106명, 여 124명, 계 230명)
3. 학교 상징 및 교복
3.1. 상징
3.2. 교복
[여자]동복 - 셔츠, 회색 니트 조끼, 회색 천 조끼, 진회색 치마, 자주색 넥타이, 회색 리본, 회색 가디건
하복 - 생활복, 셔츠, 회색 치마
[남자]
동복 - 셔츠, 회색 니트 조끼, 진회색 바지, 가디건
하복 - 생활복, 셔츠, 회색 바지
4. 학교 특징
강남 8학군 내의 고등학교지만 과거 공부가 아닌 다른 쪽으로 서울에서 나름 알아주는 고등학교로 축구선수를 꿈꾸는 운동부 특기생들에게 선망의 고등학교였으나 뒤에 후술할 큰 사건으로 인해 체육특기자 3에서 반 가까이 될 정지정 고등학교가 취소되어 현재는 그냥 그런 일반고로 남아있는 상태. 시간이 지날수록 도곡동 및 서초구 상위권의 강배 비율이 높아지며 점차 입결이 나아지고 있다.과거 축구부 운영으로 성적은 낮았던 탓에 현재도 그런 이미지가 남아있는지 다른 강남 8학군 대비 낮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학교 입학 시에 언남고로 배정당한[3] 학생의 비율이 1/3정도. 하지만 이 점을 오히려 이용해 내신 등급을 따려고 오는 상위권 학생도 종종 있는 편. 그러나 2021년 입학생부터 강남구 도곡동(숙명,단대,중대 등에 가야 할 인원들), 서초구 상위권(원래 서울고, 상문고 등으로 가야 할 인원들)이 많이 강제 배정되면서 내신 따기가 전보다 상당히 힘들어졌다. 내신 쉽게 보고 양학(?)하러 오는 학생은 주의할 것.
- 과거 존재했던 언남고 축구부의 원활한 훈련 진행을 위해 운동장에 인조잔디가 시공되어 있다. 축구부가 해체되었어도 운동장 시설이 잘 되어있어 근처 학교 학생이나 주민들이 축구를 하러 많이 찾아온다.
- 2021학년도까지는 전학년 남녀분반을 시행했다.
- 2022학년도부터는 1,2학년은 남녀분반이 유지되나, 3학년 선택 과목 수 증가로 인해 3학년에 한해 남녀합반이 시행된다.
1학년 때는 체육시간 2시간을 이어서 바로 옆에 위치한 언남체육문화센터에서 수영을 배운다.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되었다.- 2학년 때는 2학기 체육 시간에 운동장에서 골프로 한다.
- 2023학년도부터는 남녀합반이 1,2학년에서도 시행된다.
5. 학교 시설
5.1. 언남체육문화센터
2006년 문을 열었다. 기사수영장, 헬스장, 어린이집, 공영 주차장 등이 있으며, 어린이집 옆 경사로를 통해 언남중과 연결된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언락제[구)꿈끼한마당, 언남골 한마당] : 언남고등학교의 축제이다. 1년에 한번 개최하며 1부에선 각 동아리(참여하지 않는 동아리도 있다.)가 각자의 동아리 활동 장소에 체험, 도전 등을 할 수 있는 부스를 자유롭게 만든다. 다만 무언가 파는 행위를 하는 부스는 금지이다.
2부 '공연마당'에서는 언남고 공연팀과 외부찬조팀이 공연을 펼친다.
2024년 학생 투표를 통해 축제 이름을 ‘꿈끼한마당’에서 ‘언락제’로 바꾸었다.
6.2. 축구부
2019년까지 운동부로 축구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미래의 축구선수를 꿈꾸는 체육특기생들이 주로 진학하였던, 서울에서 축구잘하기로 유명한 고등학교였다.축구부의 감독은 2001년 축구선수를 은퇴하고 코치로 부임하여, 2002년부터 2019년도 상반기까지 감독을 맡고 있었던 정종선이었다. 최근 졸업생 중 유명한 선수는 U-20 월드컵에 출전했던 1999년생 대전 시티즌의 이지솔과 1999년생이지만 빠른년생인 FC 서울의 조영욱이 있다. 축구 명문으로 크게 이름을 날리고 있었으나, 정종선 감독의 운영비 횡령 및 갈취 의혹과 학부모 성폭행 혐의 등으로 경찰의 수사가 진행되었으며, 2020년도 상반기에 결국 구속되었다. # 자세한 내용은 사건·사고 문단 참고.
그 후 정종선 감독의 횡령 및 학부모 성폭행 혐의로 구속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출석하면서 언남고등학교 체육특기학교 지정이 취소되면서 축구부는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게 되었다. #
2019년 11월 12일 대한체육회에서 열린 정종선에 대한 재심 심의에서 재심 청구를 기각했다. 지난 8월 대한축구협회에서 열린 스포츠공정위원회에서 제명 처분을 한 데 대해 9월 축구협회의 상위 단체인 대한체육회 스포츠공정위원회에 재심을 요청한 것이다. 그러나 대한체육회 스포츠공정위원회에서는 대한축구협회가 내린 제명 징계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것.
이로서 언남고등학교 축구부는 사실상 공중 분해되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며,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축구부가 사실상 해체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4]
다만 현재 재학 중인 학생 선수의 피해가 없도록 현재 1학년이 졸업하는 2021년까지 학교 운동부를 운영할 수 있도록 공석인 수석코치의 조기선발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예정이며, 아울러 언남고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가 다른 학교로의 체육특기자 전출을 희망할 경우 운동중단 없이 학생선수활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전·입학 제한 제재 중 전입만 제한하고 전출은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며 몇몇 특기생들의 다른 학교로의 특별편입이 시행되었다.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노선
7.1.1. 언남고포이성당앞
7.1.2. 언남중고교
7.1.3. 언남고
- 서울 버스 서초18
7.1.4. 구룡사거리
7.1.5. AT센터/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5]
- 서울 버스 140
- 서울 버스 421
- 서울 버스 440
- 서울 버스 441
- 서울 버스 452
- 서울 버스 470
- 서울 버스 741
- 서울 버스 0411
- 서울 버스 4432
- 서울 버스 8442
- 서울 버스 9404
- 서울 버스 9408
- 서울 버스 9409
- 서울 버스 9711
- 서울 버스 서울07
- 과천 버스 6
- 안양 버스 11-3
- 화성 버스 G1003
- 용인 버스 1005
- 화성 버스 1006
- 용인 버스 1101
- 용인 버스 1151
- 오산 버스 1311
- 용인 버스 1550
- 오산 버스 1550-1
- 화성 버스 1551
- 오산 버스 1552
- 용인 버스 1560
- 용인 버스 1570
- 수원 버스 3000
- 수원 버스 3002
- 수원 버스 3003
- 수원 버스 3007
- 수원 버스 3008
- 군포 버스 3030
- 안산 버스 3100
- 안산 버스 3101
- 화성 버스 3102
- 이천 버스 3401
- 경기광주 버스 3800
- 안성 버스 4401
- 안성 버스 4402
- 화성 버스 4403
- 용인 버스 5001
- 용인 버스 5001-1
- 용인 버스 5002
- 용인 버스 5003
- 용인 버스 5006
- 수원 버스 5100
- 수원 버스 G5100
- 오산 버스 5200
- 오산 버스 5300
- 평택 버스 5401
- 화성 버스 6001
- 화성 버스 6002
- 화성 버스 6004
- 군포 버스 6501
- 평택 버스 6600
- 화성 버스 G8157
- 화성 버스 8501, 8502
- 성남 버스 9004
- 인천 버스 9100
- 인천 버스 9200
- 인천 버스 9201
- 하남 버스 9202
- 인천 버스 9300
- 성남 버스 9400, 9800
- 인천 버스 9500
- 인천 버스 9501
- 광명 버스 G9633
- 인천 버스 9802
- 광역급행버스 M4403
- 광역급행버스 M4434
- 광역급행버스 M4448
- 광역급행버스 M4449
- 광역급행버스 M5422
- 광역급행버스 M5438
- 광역급행버스 M5443
- 광역급행버스 M6405
- 광역급행버스 M6410
- 광역급행버스 M6450
- 광역급행버스 M6458
7.2. 철도
8.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 김경식
- 김민우
- 김민혁
- 김성준
- 김승빈
- 김승섭
- 김원균
- 레오
- 박선주
- 박선준
- 성준
- 여인혁
- 유병수
- 유상훈
- 이서연
- 임예닮
- 조영욱
- 주아름
- 제이든(ALL(H)OURS)
- 한승규
- 이우진(GHOST9)
- 이창용: FC 안양 소속 축구선수
- SAAY
- 정세나
9. 기타
[기준A] 2024년 3월 4일[기준B] 2024년 3월 4일[3] 지망에 언남고를 쓰지 않았지만 강제 배정 당한 경우.[4] 어찌보면 순천에 위치한 순천매산중학교 축구부와 같은 수순을 밟게 되었는데 원인은 서로 다르다. 이쪽이 감독의 갑질과 횡령, 성추행으로 인한 파면 및 구속으로 해체된거라면 순천매산중학교 축구부는 지방에 위치하여 인재 유입의 어려움과 학교 측에서 지속적으로 해체를 종용하여 학부모들과 학생 선수들의 의견 수렴없이 돌연 해체된 것이다. 따라서 대한축구협회에 지원을 받아 순천 FC로 다시 재창단하여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언남고등학교 축구부의 경우 정종선 감독이 저지른 병폐가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될 정도로 여파가 엄청나서 재창단은 절대 불가능하다.[5] 위 두 정거장에서 내리면 동산로를 따라 언남중학교에서 꺾어야 한다. (학교가 언남중학교 옆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