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5bb025>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01 | 02 | 03 | 05 | 06 |
07 | 08 | 09 | 10 | 11 | |
13 | 14 | 15 | 16 | 17 | |
18 | 18-1 | 20 | 21 | 22 |
1. 개요
선흥상운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이다. 왕복운행거리는 19.7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초21번 | |||||
| |||||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염곡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방배신삼호아파트) | ||
종점 행 | 첫차 | 06:00 | 기점 행 | 첫차 | 06:30 |
막차 | 23:00 | 막차 | 23:30 | ||
평일배차 | 출퇴근 7분 / 평시 9분 | 공휴일배차 | 9~15분 | ||
운수사명 | 선흥상운 | 인가대수 | 14대 | ||
노선 | 염곡공영차고지 - 구룡사입구 - 삼호물산 - 양재역 - 서초구청 - 서초2동주민센터 - 서울교대 - 서초역 - 서울지방조달청.서울성모병원 → 삼성래미안 → 반포종합운동장 → KT반포지사 → 서초구민체육센터 → 동부센트레빌 → 방배신삼호아파트 → 서래마을입구 → 서울지방조달청.서울성모병원 → 이후 역순 |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서초21번으로 변경되었다.
- 한때 서울고속버스터미널도 갔고, 반포전화국을 지나 카페골목까지 들어가던 시절이 있었으나, 언젠가부터 현재 노선대로 다니고 있다. 단축 구간 주민의 증언에 따르면 2010년 까지는 운행되었으나, 주민들이 소음 문제 등의 민원을 제기하여 결국 구민체육센터까지 단축되었다고.
- 2016년 중후반에 버스 안내방송 업체가 버스티브이에서 양진텔레콤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노선 중 공차회송을 하지 않는 몇 안 되는 노선이다.
- 노선 길이가 무려 왕복 19.6km로 웬만한 지선버스 뺨치는 노선이다. 게다가 구룡사입구~삼호물산 정류장은 개포동에 걸쳐 있고 동부센트레빌 정류장에서 내려서 좀 걸어가면 사당동에 갈 수 있다. 서초구 거의 동쪽 끝과 북서쪽 끝을 이어주는 노선. 노선 선형도 깔끔한 편이고, 배차간격도 준수하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많이 나오는 구간을 얼마 경유하지 않아, 승객 수는 그리 많지는 않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지나가는 학교의 수가 5개(국립국악고, 양재고, 서초문화예술정보학교, 서이초, 서울교대)밖에 안 되는 데다, 실질적으로 통학 수요가 나는 곳도 양재고 뿐이다. 출퇴근시간 외에는 한산한 편이며, 딱히 승객이 많이 타는 구간이 따로 없다고 보면 된다.
- 서초구청~무지개아파트~서울교대까지 이르는 경로가 3~4차선 길이며, 상당히 신호를 많이 받는다. 그래서 비슷한 운행을 하는 405번보다 서초역까지 가는 시간이 길다고는 하지만 405번의 배차간격이 긴 데다가 반포대로의 정체가 잦은 편이라 문제되진 않는다.
- 서울조달청과 서울성모병원, 센트럴시티, 래미안 퍼스티지로 둘러싸인 서울성모병원 사거리에서는, 신호체계 때문에 서초역 방향에서 구민체육회관 방향으로의 좌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좌회전을 곧바로 하지 않고, U턴 후 삼성래미안에 정차한 뒤, 우회전을 하는 방식으로 운행을 하고 있다. 서초13번와 달리, 염곡공영차고지 방향으로는 삼성래미안에 정차하지 않는다.
- 구민체육센터 방향 차량은 간혹 양재역에서 1~3분 가량 정차 후 출발한다. 일부 기사들은 배차간격을 맞추기 위해 다른 구간에도 잠시 정차 후 출발하기도 한다.
- 분리연장이 신청되었으나,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사유로 반려되었다. 관련 공문 결국 현재도 그대로 운행 중이다.
- 서초경찰서-대법원 부근 도로가 차선은 많음에도 상습정체구간으로 많이 막힌다.
- 서초구 마을버스 업체 최초로 전기버스가 투입되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초21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6,734명 | - |
2014년 | 6,851명 | △ 117 |
2015년 | 6,924명 | △ 73 |
2016년 | 6,796명 | ▽ 128 |
2017년 | 6,463명 | ▽ 333 |
2018년 | 6,235명 | ▽ 228 |
2019년 | 6,164명 | ▽ 71 |
2020년 | 4,515명 | ▽ 1,649 |
2021년 | 4,480명 | ▽ 35 |
2022년 | 4,868명 | △ 388 |
2023년 | 4,910명 | △ 42 |
2024년 | 4,948명 | △ 38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연계 철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초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양재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 서울 지하철 9호선:고속터미널역
- 신분당선: 양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