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NXC 산하 게임 제작사 / 계열사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3em" | ||||
넥슨 (구 넥슨 재팬) 2002 | 넥슨코리아 (실질적 본사) 1994 | 넥슨게임즈 2022 | ||
니트로 스튜디오 2020 | 데브캣 2020 | 네오플 2001 | ||
엠바크 스튜디오 2018 | 세기천성 2004 | 렉시안 소프트웨어 2004 | ||
엔진스튜디오 2011 | 엔미디어플랫폼 2001 | 불리언게임즈 2012 | ||
빅휴즈게임즈 2000 | 민트로켓 2022 | 픽셀베리 스튜디오 2012 | ||
넥슨네트웍스 1995 | TDF 2019 | 버튼스 2024 | ||
없어진 계열사 / 과거 계열사 | ||||
넷게임즈 2013 | 넥슨GT (구 게임하이) 1993 | 넥슨레드 (구 웰게임즈) 2014 | ||
로두마니 스튜디오 2003 | 위젯 2001 | 띵소프트 (전 네오위즈계) 2005 | ||
엔도어즈 (구 인티젠) 1999 | 글룹스 2005 | 넥슨모바일 (구 엔텔리전트) 2003 | ||
넥스토릭 2009 | 엔클립스 (전 게임하이계) 2006 | 궁 엔터테인먼트 1994 | ||
시메트릭스페이스 2006 | 리본게임즈 (넷마블에 매각) 2010 |
<colbgcolor=#00355f><colcolor=#fff> 세기천성 世纪天成 | |
명칭 | 上海邮通科技有限公司[1] Century Tiancheng Tiancity 世纪天成 세기천성 스지톈청 |
설립일 | 1998년 11월 27일 |
소재지 | 중국 상하이 |
모기업 | 렉시안 소프트웨어 (넥슨)[2] |
업종명 | 온라인·모바일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기업 사이트 게임 커뮤니티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중국 상하이의 게임 회사. 중국어 발음으로는 쓸찌톈쳥[3], 한어병음으로는 Shìjì Tiānchéng.넥슨에 의한, 넥슨을 위한 회사다. 2005년 마비노기를 시작으로 중국 내 넥슨 게임의 서비스를 담당하였으며 사실상 넥슨차이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넥슨과의 관계
세기천성은 설립 목적부터 넥슨의 중국 진출을 위한 회사이며 넥슨 자회사인 렉시안 소프트웨어의 산하회사이다. 중국 위키피디아나 바이두백과에도 넥슨의 자회사라고 서술되어 있다. 다만 실제 관계는 중국 내 사정 때문에 국내의 띵소프트와 유사하다. 직계적으로 지배하는 것은 아니고, 넥슨 자회사의 자회사 형태로 중간에 경유지 하나가 끼어 있다. 쉽게 말해 넥슨이 렉시안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렉시안이 세기천성을 만들고, 세기천성이 다시 넥슨과 퍼블리싱 계약하여 서비스하는 순환구조로 중국 법을 우회한 것.세기천성의 모회사는 넥슨과 Shanghai Posts &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上海邮通科技有限公司)라는 곳으로, 이쪽은 원래 차오녠바오(曹年宝)라는 사람이 1998년에 만든 회사이다. 차오녠바오는 중국 국영회사 Putian Technology의 수석 엔지니어 출신으로, Putian Technology과 제휴하여 자기 이름으로 회사를 설립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이 회사는 게임 산업은 커녕 아무 일도 하지 않는 페이퍼 컴퍼니에 불과했다.
한편 2004년, 넥슨은 자사 게임의 중국 진출을 희망하고 있었다. 넥슨은 중국 진출을 위해 이미 상하이 자회사인 렉시안 소프트웨어를 만든 상태[4].당시 Lexian의 대표는 박경환[5]. 하지만 중국은 법적으로 외국인 투자자는 중국에서 온라인 게임을 직접 운영 및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Lexian으로는 게임 서비스를 진행할 수 없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넥슨은 김형기라는 사람을 통해 개인적인 인맥이 있는 차오녠바오와 접촉, Lexian과 Shanghai P&T는 세기천성이라는 플랫폼 회사를 공동 설립하기로 한다. 이때 만남을 주선한 김형기는 세기천성의 대표이사가 되었다[6]. 아무튼 넥슨은 세기천성이라는 중국 게임회사를 만드는데 성공하면서 자신의 게임을 중국에 진출시키기 시작한다. 마비노기를 시작으로 카트라이더 등이 이때부터 중국에 서비스 되었다.
공동 설립의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세기천성에 대한 제어권은 사실상 넥슨이 쥐고 있었다. 세기천성 직원 대다수가 계약을 할 때 Shanghai P&T가 아닌 넥슨 Lexian과 했을 정도라고 하니 사실상 넥슨이 세기천성에 대한 모든 걸 통제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다 2012년, 세기천성 대표였던 김형기가 나가고 넥슨 Lexian의 박경환이 세기천성의 실질적인 관리자로 올라간다. 이 과정에서 상당한 사내정치 싸움이 있었다고 하는데, 김형기는 넥슨의 지나친 간섭에 반발하다 토사구팽 당했다고 전해진다. 아무튼 김형기 및 이하 경영진이 모두 퇴사하며 세기천성은 완전히 넥슨의 손에 들어온다. 관련기사(중국어) 한편 중국 대리인이자 모회사의 회장 역을 맡고 있는 차오녠바오는 아무것도 안 했다. 그에게는 의사 결정 권한이 없었으며 내부 직원의 말에 따르면 '한국인의 인형'에 가까웠다고 한다. 사실상 넥슨에게 자기 명의로 회사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수수료를 받는 것에 만족했다고. 그래도 아무 일도 안 한 건 아니고 얼굴마담이자 중국 대리인으로서 중국 정부와 소통을 담당했다고 한다.
관련기사
3. 게임 목록
3.1. 서비스 중인 게임
대부분의 넥슨 게임은 세기천성을 통해 중국에서 서비스 중이다. 예외로 던전앤파이터는 세기천성이 아닌 텐센트가 서비스하고 있는데, 던파의 중국 진출이 2007년, 넥슨의 네오플 인수가 2008년이므로 네오플이 넥슨 계열사가 되기 전에 이미 텐센트와 퍼블리싱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3.2. 제작 게임
넥슨 게임을 운영하는 게 주 역할이지만 간혹 사내에서 개발을 하기도 한다. 주로 넥슨IP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 마비노기 영웅전 이터널 : 마비노기 영웅전의 모바일 버전. 이은석이 개발한다는 마영전 모바일과는 다른 게임으로 보인다. CBT를 진행했는데 평가는 좋지 않은 편.
[1] Shanghai Posts &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Co.,Ltd.[2] 넥슨(NXC) 계열사로, 넥슨의 자회사인 렉시안 소프트웨어가 직접적인 모기업이다.[3] shi는 권설음 발음이므로 혀를 윗니랑 천장사이에 두고 한국어의 "쓰-"발음을 해주면 된다. Ch-도 권설음이므로 혀를 앞니에 두는 ci발음과 달리 혀를 윗니랑 천장 사이에 둔상태에서 "츠-엉"을 해준다.[4] Lexian(樂線)은 넥슨을 중국어식으로 발음한 것이다. 코카콜라의 가구가락과 같은 것.[5] 이 기사에서 나오는 박경환이라는 인물과 동일인이다. 여기서는 넥슨차이나 대표라 나오는데 실제로는 Lexian을 의미한다. 넥슨 김정주 대표의 오랜 인맥인듯.[6] 참고로 이 기사에 언급되는 김형기라는 인물과 동일인이다. 기사에는 넥슨 중국지사장이라 표기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세기천성의 대표이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