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현황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서울 지하철 전동차/현황 보기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열차번호 · 기타 서울 지하철 열차번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적 전 차량번호) | ||||
1000호대 VVVF 저항 -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VVVF - | 4000호대 VVVF(상세) - |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상세) | 8000호대 | ||||
9000호대 | UL000호대 | SL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저항 · 초퍼 전동차 상세설명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저항 | 저항 · 초퍼 | GEC 초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 ||||
차번 미정 | DL000호대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서울 지하철 2호선 전동차 | |
서울교통공사 | 2000호대 VVVF (현황)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Seoul Metro 2000 Series Chopper Control EMU | }}} | |||
214편성 (7차분) | |||||
차량 정보 | |||||
<colcolor=#00a84d>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10량 1편성 | ||||
생산량 | 740량 (390량 + 180량 + 170량(88량 + 82량)) | ||||
과거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MELCO) | | |||
| |||||
| |||||
| |||||
| |||||
| |||||
(GEC) | | ||||
| |||||
| |||||
| |||||
| |||||
(GEC) | | ||||
| |||||
| |||||
| |||||
| |||||
제작사 | | ||||
| |||||
| |||||
소유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MELCO) | | |||
(GEC) | | ||||
(GEC) | | ||||
최종 퇴역 시기 | 2020년 11월 24일[2]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a84d> 전장 | 19,500㎜ | |||
전폭 | 3,120㎜[3] | ||||
전고 | 3,750㎜ | ||||
궤간 | 1,435㎜ | ||||
차중 (MELCO) | Mc | 41.5t | |||
M | 41.5t | ||||
M' | 41.5t | ||||
T | 32.0t | ||||
차중 (GEC)[4] | Tc | 33.0t | |||
M | 41.8t | ||||
M' | 42.21t | ||||
T | 32.0t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 ||||
신호방식 | Nippon Signal ATS-S2 | ||||
제어방식 | GEC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 ||||
동력장치 | GEC G319AZ형 직류직권전동기 | ||||
기어비 | 15:98 | ||||
제동방식 |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및 회생제동 | ||||
최고속도 | 영업 | 9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MELCO) | 6M 4T(본선용 차량) (Mc-M'-T-T-M'-M-T-T-M'-Mc) | ||||
MT 비 (GEC) | 6M 4T(본선용 차량) (Tc-M-M'-M-M'-T-T-M-M'-Tc) | }}}}}}}}}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 운행했던 전동차.2호선이 수요가 많은 노선이고 단계적으로 증차를 거듭해 온 탓에 편성 수도 많았고 종류도 다양했다. VVVF 차량이 도입되기 전에는 (MELCO 초퍼 차량 39편성 + GEC 초퍼 차량 35편성) 총 74편성이 재적되어 있었다. 본래 본선 편성 수는 79편성이지만, 이 중 5개 편성(201~205편성)은 저항제어 차량이었으며, 2005년에 신형차량 1차분으로 교체되었다. 2021년 3월 말까지 마지막으로 남았었던 293편성과 295편성의 폐차반출을 끝으로 모든 차량이 폐차되었다.
2. 편성
2.1. MELCO 초퍼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MELCO 초퍼제어 전동차 조성(10량) | |||
<colcolor=#00a84d> ↑ 내선순환 | |||
20## (1) | Mc(운전실,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 ||
21## (2) |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2## (舊 26##) (3) | T(무동력객차) | ||
23## (舊 27##) (4) | T(무동력객차) | ||
24## (舊 22##) (5) |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5## (舊 24##) (6) | M(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 ||
26## (舊 28##) (7) | T(무동력객차) | ||
27## (舊 29##) (8) | T(무동력객차) | ||
28## (舊 23##) (9) |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9## (舊 25##) (10) | Mc(운전실,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 ||
↓ 외선순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과거 6량 편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00a84d> ↑ 내선순환(본선), 까치산(신정지선) | ||
20## (1) | <colcolor=#373a3c,#ddd>Mc(운전실,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 ||
21## (2) |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2## (舊 26##) (3) | T(무동력객차) | ||
23## (舊 27##) (4) | T(무동력객차) | ||
28## (舊 23##) (5) |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9## (舊 25##) (6) | Mc(운전실,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 ||
↓ 외선순환(본선), 신도림(신정지선)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과거 4량 편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00a84d> ↑ 내선순환(본선), 성수역(성수지선) | ||
20## (1) | <colcolor=#373a3c,#ddd>Mc(운전실,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 ||
21## (2) |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8## (舊 23##) (3) | 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9## (舊 25##) (4) | Mc(운전실,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 ||
↓ 외선순환(본선), 신설동(성수지선) |
- ##의 범위
- 직각형(일반형): 06~44 (舊 15~53)
- 직각형(개조형): 32~39
2.2. GEC 초퍼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GEC 초퍼제어 전동차 조성(10량) | |||
<colcolor=#00a84d> ↑ 내선순환 | |||
20## (1) | Tc(운전실) | ||
21## (2) | M(보조전원장치, 축전지,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2## (3) | M'(팬터그래프, 공기압축기,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3## (4) | M(보조전원장치, 축전지,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4## (5) | M'(팬터그래프, 공기압축기,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5## (6) | T(무동력객차) | ||
26## (7) | T(무동력객차) | ||
27## (8) | M(보조전원장치, 축전지,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8## (9) | M'(팬터그래프, 공기압축기,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29## (10) | Tc(운전실) | ||
↓ 외선순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과거 10량 편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00a84d> ↑ 내선순환 | ||
30XX[K] (1) | <colcolor=#373a3c,#ddd>Tc(운전실) | ||
32UU[K] (2) | M(보조전원장치, 축전지,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35UU[K] (3) | M'(팬터그래프, 공기압축기,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32VV[K] (4) | M(보조전원장치, 축전지,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1991년 제작 | ||
35VV[K] (5) | M'(팬터그래프, 공기압축기,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1991년 제작 | ||
37XX[K] (6) | T(무동력객차), 1991년 제작 | ||
37YY[K] (7) | T(무동력객차), 1991년 제작 | ||
32ZZ[K] (8) | M(보조전원장치, 축전지,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35ZZ[K] (9) | M'(팬터그래프, 공기압축기,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30YY[K] (10) | Tc(운전실) | ||
↓ 외선순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과거 6량 편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lding [과거 6량 편성] | <colcolor=#00a84d> ↑ 내선순환(본선), 까치산(신정지선) | ||
30XX[K] (1) | <colcolor=#373a3c,#ddd>Tc(운전실) | ||
32UU[K] (2) | M(보조전원장치, 축전지,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35UU[K] (3) | M'(팬터그래프, 공기압축기,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32ZZ[K] (4) | M(보조전원장치, 축전지,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35ZZ[K] (5) | M'(팬터그래프, 공기압축기,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
30YY[K] (6) | Tc(운전실) | ||
↓ 외선순환(본선), 신도림(신정지선) |
- ##의 범위
- 직각형(일반형): 61~75, 93~95
- 직각형(개조형): 73~77
- 광폭형(일반형): 76~92
3. 상세
1980년 2호선이 개통될 당시 대한민국 철도차량 제작 사업은 많은 발전을 이룬 상태였다. 비록 기술력 부족으로 일본 업체로부터 많은 것을 배워왔지만, 1976년에 대우중공업에서 수입부품 조립으로나마 첫번째 국산 전동차(철도청 1X15편성 전동차)를 납품하는 성과를 거두었다.하지만 당시 대한민국의 전동차들은 해외 선진국의 전동차와 비교해 그 성능이 높다고 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일본국유철도와 제도고속도교통영단 등의 자문을 받아 기존 1호선 전동차에 적용된 저항제어 방식 대신 철도 선진국인 일본에서 개발된 초퍼제어 방식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개선을 이룩하고자 했다.
- 고속 무접점 제어로 응답성과 제어성을 개선해 차량 성능을 향상
- 노치 제한이 없고 광범위한 정속도 운전이 가능
- 점착성능 향상
- 승차감 개선
- 소비전력을 25%~30% 절감
- 차량 내 유지비 감소
- 터널 내 온도 상승 억제
1985년에 제작된 광폭형 GEC 초퍼제어 차량은 출입문 내부에 손잡이가 있었지만 1989년부터 1993년에 제작된 차량은 출입문 내부에 손잡이가 없었다. 단, 1990년에 제작된 3차분에 한해서만 창문, 출입문 창틀이 금속 쇠창틀로 적용되었다.
2005년에 저항제어 1차분 폐차 및 VVVF 1차분 201~205, 257편성과 개조저항 245~248, 256편성이 도입되면서 MELCO 초퍼차량 편성번호가 일부 개번되었다. 초기에는 저항제어 2차분 212~214편성을 258~260편성으로, MELCO초퍼 전동차 240~253편성을 201~214편성으로 개번하고 VVVF 1차분을 240~244, 257편성으로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추후 편성번호 개번 계획이 변경되어 VVVF 1차분이 201~205, 257편성으로 배정되었고, 나머지 MELCO 초퍼 전동차 240~253편성 중 245~253편성만 206~214편성으로 개번되었으며 240~244편성은 그대로 편성번호를 유지했다. 저항제어 2차분 212~214편성도 또한 계획대로 258~260편성으로 개번되었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반입 이후 많은 개선이 이루어진 전동차이기도 하다. 우선 2009년, 키가 작은 승객을 배려하여 손잡이 일부가 긴 손잡이로 바뀌어 잡기가 편하게 된 것이 있다. 그 이전에는 모든 손잡이의 높이가 동일했다. 내부 안내 시설도 오직 스피커에만 의존할 뿐 LED 전광판이나 LCD 모니터 같은 시각적 안내 장비가 전무했으나, 2011년 경에 본선용 모든 편성에는 LCD 모니터가 설치되었으며, 지선용 모든 편성의 경우 그 이전부터 LED 전광판이 설치되었다가 비슷한 시기에 본선에 다니는 차들에 설치된 LCD 모니터로 변경되었다. 반면 본선 개조 초퍼는 반입 당시 시각적 안내 시설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지 않았다.
잠실새내역 화재 사건과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회로 차단기 문제로 인하여 초퍼 차량들을 대상으로 회로 차단기가 교체되었으며, 일부 차량(214, 279편성)의 축전지는 리튬 폴리머로 교체되었다.
예전에는 멜코 초퍼, GEC 초퍼 출입문 색깔이 연두색이었다. 연두색 출입문은 내장재 개조 이후에도 일부 객차에 한해서만 유지되다가 2007년에 내장재 개조된 객차만 하얀색으로 도색했다. 단, 2575, 2675호는 내장재 개조된 객차임에도 불구하고 2008년도까지 연두색 출입문으로 유지했다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인 272편성 중 무동력차 2372, 2672호로 개조하면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과 동일한 출입문으로 교체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직각형 저항제어·초퍼제어 전동차 문서 참고하십시오.
4. 분류
자세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 참고하십시오.도입 연식 및 창문 사양에 따라 8차(직각형), 5차(광폭형)로 분류된다. 단, 직각형 초퍼제어 전동차일 경우 직각형 1~2차분이 저항제어 전동차이므로 3차분부터 시작된다.
<rowcolor=#fff>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colcolor=#fff> 직각형 MELCO 초퍼 | ||
<colbgcolor=#666c71> 3차분 | <colbgcolor=#f7d358>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 1983년 (4량 24편성 + 6량 1편성) 3~4차 구간 개통 시 도입된 차량 전량 퇴역 |
4차분 | 1986년 (2량 24편성) 6량화에 따른 무동력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
5차분 | 1989년 (6량 6편성) 순수 6량 증차분 1990년 (2량 7편성) 6량화에 따른 무동력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
6차분 | 1990년 (4량 7편성) 순수 6량화에 따른 동력 객차 1991년 (4량 24편성) 10량화에 따른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
7차분 | 1992년 (4량 14편성) 10량화에 따른 부수 객차 1993년 (10량 1편성) 순수 10량 증차분 전량 퇴역 | |
직각형 GEC 초퍼 | ||
3차분 |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 1983~1984년 (6량 15편성) 3~4차 구간 개통 시 도입된 차량 전량 퇴역 |
6차분 | 1991년 (6편성 24량) 10량화에 따른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
7차분 | 1993년 (9편성 36량) 10량화에 따른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
8차분 | 1994년 (10량 3편성) 순수 10량 증차분 전량 퇴역 | |
광폭형 GEC 초퍼 | ||
1차분 |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 1985년 (6량 1편성 + 8량 1편성) 전량 퇴역 |
2차분 | 1989년 (6량 7편성) 전량 퇴역 | |
3차분 | 1990년 (6량 1편성) 전량 퇴역 | |
4차분 | 1991년 (6량 7편성) 순수 6량 증차분 1990~1992년 (4량 14편성) 10량화에 따른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
5차분 | 1993년 (2량 1편성 + 4량 2편성) 10량화에 따른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5. 보존
1983년부터 도입된 MELCO, GEC 초퍼제어 전동차들은 저항제어 전동차인 201편성과 달리 내구 연한 도래와 함께 순차적으로 폐차되었다. 대다수가 폐차되더라도 최후 편성의 보존을 바라는 의견이 있었는데 해당 편성은 내장재 교체가 끝났고, 개수도 거친 편성들이기에 보존 가치는 떨어지지만 기본적으로 해당 차량들이 가지는 의의 자체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2008년 대침체 등으로 3호선에서 퇴역한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 301편성 등이 보존되지 못하고 폐차매각되는 등, 서울교통공사 측에서는 보존에 소극적인 입장이었다.[21]
최후의 2호선 초퍼제어 전동차인 293편성과 295편성이 각각 2020년 11월 4일과 2020년 11월 24일을 끝으로 운행 중단 및 퇴역했고, 2021년 3월 말에 매각 및 폐차반출 되면서 개통한 1983년 5월 29일부터 2020년 11월 24일까지 37년 6개월이라는 긴 운행을 마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단, 290편성의 경우 미디어 촬영용으로, 206편성은 소방교육용으로 보존되어 있는 상태이다. 2210, 2310, 2610, 2710, 2744호가 현무리조트 관광열차로 개조하였으나 보존되었다. 현무리조트 호화 관광열차로 개조되었고 그러나 리조트 계획이 무산되면서 현재 위치로 매각되어 옮겨진 상태이다.
잔존중이던 2039, 2239, 2130, 2876, 2065, 2965, 2068, 2069, 2969, 2939, 2968, 2071, 2971, 2076, 2976, 2077, 2977호는 금수원 유병언 일당이 구입해서 가져다놓은 차량들이였으나 철거되었다.
1990년대와 2000년~2010대 초까지만 해도 이 열차는 2호선의 상징이고 얼굴이었다. 이제는 후속 차량 VVVF 차량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예전 자료나 기록지를 보면 아직 온전히 사진으로는 잘 남아있다.
6. 기타
- 정차하는 동안 마지막 제동을 걸 때 소음이 매우 심한 차량이 있었다. 지하역은 스크린도어가 있으니 괜찮지만 지상역의 경우 스크린도어 위가 뚫려 있어서 큰 소음이 승강장 위로 울려 퍼졌었다. 길어야 5초 정도 지속되는 소음이지만 가급적 귀를 막는 게 좋을 정도로 소리가 컸었다.
- 2017년 후반 사명 교체 작업 시 초기에 교체한 차량은 사명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작아 논란이 있었다. 이는 1호선과 3호선도 공유하는 문제였다. 결국 얼마 안 가 서울메트로 시절 레이아웃으로 다시 교체하며 당시에도 사명 교체를 하지 않은 차량은 서울교통공사 사명 역시 바로 서울메트로 형식으로 부착되었다. 당해 12월 사명 교체가 완료되었다.
- 제동할 때 회생 제동이 걸리지 않을 때가 종종 있다(주로 편성 당 한 개 유닛). 이 경우 해당 유닛은 공기 제동으로만 제동을 거는데 고속 주행 후 역 진입을 위해 제동을 많이 잡을 때는 제륜자가 타는 것 같은 매케한 냄새가 났다. 간혹 승객들이 차량 이상인 줄 알고 민원을 넣는 경우가 가끔씩 있었다.
- 도장 크랙이 심한 편이었으며 신정지선 245편성의 초저항 출입문도 이 문제로 인하여 교체했었다. 내부 문 재질 자체가 도장강판으로 페인트 도색의 경우 기존 도색을 벗겨내고 새로 칠해야 하는데 덧칠만 하다 보니 추운 날씨에 도색이 갈라지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일부 축전지의 경우 기존 망간 배터리에서 리튬 폴리머로 교체되어 있었다.
- 출입문 경고음의 경우 과거에는 삐---- 경고음(1호선 저항제어, 3호선 초퍼제어 차량처럼 톤이 높았다)[22]을 사용했으나 2006년 봄부터 순차적으로 구 서울메트로 노선 중 최초로 경고음을 삐리리리리리 경고음으로 교체했으며 2006년 여름에 완료되었다. 3호선과는 다르게 가연재 객실이 포함되어 있는 전동차에도 삐리리리리리 경고음을 적용했었다. 이로써 2호선 초퍼제어 차량은 구형 경고음이 가장 먼저 사라진 차종이 되었다.
- MC개조 차량(232~239편성)과 TC개조 차량(273~277편성)에 자전거 경적음이 있었다. 신형차량 2차분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경적음이다.
- 폐차 직전인 말년에는 멜코 초퍼 미개조 차량 214편성, 개조차량 232~238편성 중 일부 편성에서 안내방송이 씹히는 결함이 발생하기도 했다.
- 현재 유일하게 촬영용으로 보존되어 있는 290편성은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등장하기도 했다.[23]
- 242편성은 위기탈출 넘버원 6회(2005.8.13) 지하철 화재 시 대처법에 등장했으며 237편성, 262편성, 286편성은 46회(2006.6.24) 지하철 끼임사고 편에서 등장했다.
- 2012년에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7호선에 객실 CCTV를 설치할 때 2호선은 CCTV를 VVVF 차량에만 설치하고 초퍼제어와 저항제어 차량에는 설치하지 않았다.
6.1.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내장재가 불연재로 교체되었다. 2004년 흥일기업이 207~214, 289~295편성을 먼저 시행했고, 그 후 나머지 전동차들은 2005년 로윈이 276~277편성을 포함해서 1985년부터 제작된 객차에 한해서만 시행했다. 그 이전에 제작된 1983~1984년 객차들은 1983년 제작분 2239, 2339호를 포함해서 시트만 난연재 모켓시트로 교체를 하고 내장재 교체를 실시하지 않았다. 대부분 내장재 교체된 객차들은 스테인리스 좌석 양 끝의 하단에 차단막이 추가되어 있었지만 207~214, 293~295편성은 다른 차량들과는 달리 내장재 교체 후에도 내장재 교체 전의 좌석 봉이 그대로 남아있었다.<rowcolor=#ffffff> 분류 | 편성 | 객차번호 |
<colbgcolor=#00A84D><colcolor=white> 흥일기업 개조 (2004년) | ||
직각형 (MELCO) | <colcolor=#00A84D> 207 | 2007-2107-2207-2307-2407-2507-2607-2707-2807-2907 |
208 | 2008-2108-2208-2308-2408-2508-2608-2708-2808-2908 | |
209 | 2009-2109-2209-2309-2409-2509-2609-2709-2809-2909 | |
210 | 2010-2110-2210-2310-2410-2510-2610-2710-2810-2910 | |
211 | 2011-2111-2211-2311-2411-2511-2611-2711-2811-2911 | |
212 | 2012-2112-2212-2312-2412-2512-2612-2712-2812-2912 | |
213 | 2013-2113-2213-2313-2413-2513-2613-2713-2813-2913 | |
214 | 2014-2114-2214-2314-2414-2514-2614-2714-2814-2914 | |
광폭형 (GEC) | 289 | 2089-2189-2289-2389-2489-2589-2689-2789-2889-2989 |
290 | 2090-2190-2290-2390-2490-2590-2690-2790-2890-2990 | |
291 | 2091-2191-2291-2391-2491-2591-2691-2791-2891-2991 | |
292 | 2092-2192-2292-2392-2492-2592-2692-2792-2892-2992 | |
직각형 (GEC) | 293 | 2093-2193-2293-2393-2493-2593-2693-2793-2893-2993 |
294 | 2094-2194-2294-2394-2494-2594-2694-2794-2894-2994 | |
295 | 2095-2195-2295-2395-2495-2595-2695-2795-2895-2995 | |
로윈 개조 (2005년) | ||
직각형 (MELCO) | 206 | 2006-2106-2206-2306-2406-2506-2606-2706-2806-2906 |
215 | 2215-2315-2415-2515-2615-2715 | |
216 | 2216-2316-2416-2516-2616-2716 | |
217 | 2217-2317-2417-2517-2617-2717 | |
218 | 2218-2318-2418-2518-2618-2718 | |
219 | 2219-2319-2419-2519-2619-2719 | |
220 | 2220-2320-2420-2520-2620-2720 | |
221 | 2221-2321-2421-2521-2621-2721 | |
222 | 2222-2322-2422-2522-2622-2722 | |
223 | 2223-2323-2423-2523-2623-2723 | |
224 | 2224-2324-2424-2524-2624-2724 | |
225 | 2225-2325-2425-2525-2625-2725 | |
226 | 2226-2326-2426-2526-2626-2726 | |
227 | 2227-2327-2427-2527-2627-2727 | |
228 | 2228-2328-2428-2528-2628-2728 | |
229 | 2229-2329-2429-2529-2629-2729 | |
230 | 2230-2330-2430-2530-2630-2730 | |
231 | 2231-2331-2431-2531-2631-2731 | |
232 | 2232-2332-2432-2532-2632-2732 | |
233 | 2233-2333-2433-2533-2633-2733 | |
234 | 2234-2334-2434-2534-2634-2734 | |
235 | 2235-2335-2435-2535-2635-2735 | |
236 | 2236-2336-2436-2536-2636-2736 | |
237 | 2237-2337-2437-2537-2637-2737 | |
238 | 2238-2338-2438-2538-2638-2738 | |
239 | 2439-2539-2639-2739 | |
240 | 2040-2140-2240-2340-2440-2540-2640-2740-2840-2940 | |
241 | 2041-2141-2241-2341-2441-2541-2641-2741-2841-2941 | |
242 | 2042-2142-2242-2342-2442-2542-2642-2742-2842-2942 | |
243 | 2043-2143-2243-2343-2443-2543-2643-2743-2843-2943 | |
244 | 2044-2144-2244-2344-2444-2544-2644-2744-2844-2944 | |
직각형 (GEC) | 261 | 2161-2261-2361-2461-2561-2661-2761-2861 |
262 | 2162-2262-2362-2462-2562-2662-2762-2862 | |
263 | 2563-2663 | |
264 | 2564-2664 | |
265 | 2565-2665 | |
266 | 2566-2666 | |
267 | 2167-2267-2367-2467-2567-2667-2767-2867 | |
268 | 2168-2268-2368-2468-2568-2668-2768-2868 | |
269 | 2169-2269-2369-2469-2569-2669-2769-2869 | |
270 | 2570-2670 | |
271 | 2571-2671 | |
272 | 2572-2672 | |
273 | 2573-2673 | |
274 | 2574-2674 | |
275 | 2575-2675 | |
광폭형 (GEC) | 276 | 2076-2176-2276-2376-2476-2576-2676-2776-2876-2976 |
277 | 2077-2177-2277-2377-2477-2577-2677-2777-2877-2977 | |
278 | 2078-2178-2278-2378-2478-2578-2678-2778-2878-2978 | |
279 | 2079-2179-2279-2379-2479-2579-2679-2779-2879-2979 | |
280 | 2080-2180-2280-2380-2480-2580-2680-2780-2880-2980 | |
281 | 2081-2181-2281-2381-2481-2581-2681-2781-2881-2981 | |
282 | 2082-2182-2282-2382-2482-2582-2682-2782-2882-2982 | |
283 | 2083-2183-2283-2383-2483-2583-2683-2783-2883-2983 | |
284 | 2084-2184-2284-2384-2484-2584-2684-2784-2884-2984 | |
285 | 2085-2185-2285-2385-2485-2585-2685-2785-2885-2985 | |
286 | 2086-2186-2286-2386-2486-2586-2686-2786-2886-2986 | |
287 | 2087-2187-2287-2387-2487-2587-2687-2787-2887-2987 | |
288 | 2088-2188-2288-2388-2488-2588-2688-2788-2888-2988 |
6.2. 개번 이력
<rowcolor=#ffffff> 편성 번호 개번 | ||
<rowcolor=#ffffff> 개번 시기 | 개번 전 | 개번 후 |
1993년 | <colcolor=#00A84D> 301~315편성 | <colcolor=#00A84D> 261~275편성 |
1994년 | 339~347편성 | 276~284편성 |
1995년 | 428~435편성 | 285~292편성 |
2005년 | 245~253편성 | 206~214편성 |
[1] 245~253편성은 2005년에 206~214편성으로 개번했다.[2] 공식적인 운행 중단은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295편성이 운행 중단된 2020년 11월 24일이다. 그리고 이날을 끝으로 2호선 초퍼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가장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3호선의 GEC 초퍼 열차들도 2022년 9월 30일을 끝으로 전량 퇴역하여 이제 수도권에서 초퍼 열차가 운행되는 모습은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3] 광폭형 GEC 차량은 3,160㎜[4] 3~4호선 이적분도 포함[K] [math(\begin{aligned} \text{XX} &= 2\times(\text{해당 편성}-300)-1 \\ \text{UU} &= 3\times(\text{해당 편성}-300)-2 \\ \text{VV} &= 3\times(\text{해당 편성}-300)-1 \\ \text{ZZ} &= 3\times(\text{해당 편성}-300) \\ \text{YY} &= 2\times(\text{해당 편성}-300)\end{aligned})][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21] 서울교통공사 > 시민 참여 > 고객의 소리 > 자주 묻는 질문[22] 다만 초기에는 4호선처럼 낮은 톤을 사용했으나 1990년대 말 ~ 2000년부터 변경되었다.[23] 출처: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