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38:19

서여죽

파일:밥 아이콘.png 죽의 종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흰죽 · 계란죽 · 빼때기죽 · 과루죽 · 국묘죽 · 굴죽 · 깨죽 · 꽃게죽 · 납팔죽 · 문동죽 · 바지락죽 · 밤죽 · 방풍죽 · 보리죽 · 비지죽 · 상이죽 · 선인죽 · 소행죽 · 송이버섯죽 · 시래기죽 · 야채죽 · 오트밀 · 인삼죽 · 잣죽 · 재강죽 · 저신죽 · 전복죽 · 찹쌀죽 · 청모죽 · 콩나물죽 · 포리지 · 팅짜이죽 · 황정죽 · 도토리죽
퓨전/요리류 갱시기 · 김치죽 · 누룽지탕 · 땅콩죽 · 라면죽 · 닭죽 · 덮죽 · 리소토 · 어죽 · 육죽 · 자라죽 · 장국죽 · 해장죽
비곡물 주류 뢰드그뢰드 메드 플뢰데 · 산약죽 · 서여죽 · 참포라도 · 타락죽 · 팥죽 · 포이 · 호두죽 · 호박죽
기타 꿀꿀이죽 · 라이스 푸딩 · 미음 · 숭늉 · 응이
}}}}}}}}} ||

파일:서여죽.png
薯蕷粥

1. 개요2. 조리법3. 특징

1. 개요

임원경제지에 나온 음식으로, 앙금에 녹두녹말과 칡가루을 섞어 끓인 을 말한다. 서여(薯蕷)는 마를 한자로 표현한 단어이다.

마를 먹기 힘든 사람들을 위해 마를 응이처럼 곱게 갈아서 앙금으로 만들어 말렸다가 쑨 죽이기도 하다. 산약죽 역시 마로 만든 죽이다.

2. 조리법

재료 분량
서여 20g
50g
1.2L
녹두녹말 약간
칡가루 약간

3. 특징

의학서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따르면 서여죽은 서여(마)의 생것을 진흙으로 갈아서 녹두와 갈분을 함께 섞어 먹으면 건강에 좋다고 하였다. 에 좋고 만성설사를 고치는 효능을 가진 죽이라고 알려져 있다. 실학이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따르면 신(腎)의 정(精)기를 보하고 장과 위를 단단히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