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22:04:25

방풍죽

파일:밥 아이콘.png 죽의 종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흰죽 · 계란죽 · 빼때기죽 · 과루죽 · 국묘죽 · 굴죽 · 깨죽 · 꽃게죽 · 납팔죽 · 문동죽 · 바지락죽 · 밤죽 · 방풍죽 · 보리죽 · 비지죽 · 상이죽 · 선인죽 · 소행죽 · 송이버섯죽 · 시래기죽 · 야채죽 · 오트밀 · 인삼죽 · 잣죽 · 재강죽 · 저신죽 · 전복죽 · 찹쌀죽 · 청모죽 · 콩나물죽 · 포리지 · 팅짜이죽 · 황정죽 · 도토리죽
퓨전/요리류 갱시기 · 김치죽 · 누룽지탕 · 땅콩죽 · 라면죽 · 닭죽 · 덮죽 · 리소토 · 어죽 · 육죽 · 자라죽 · 장국죽 · 해장죽
비곡물 주류 뢰드그뢰드 메드 플뢰데 · 산약죽 · 서여죽 · 참포라도 · 타락죽 · 팥죽 · 포이 · 호두죽 · 호박죽
기타 꿀꿀이죽 · 라이스 푸딩 · 미음 · 숭늉 · 응이
}}}}}}}}} ||

防風粥
1. 개요2. 조리법3. 여담

1. 개요

방풍죽은 이름대로 에 방풍(防風)의 잎을 섞어서 끓인 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방풍'은 정확히는 갯방풍, 또는 해방풍이라고 불리는 미나릿과 식물로 학명은 Glehnia littoralis이고, 중국에서는 북사삼(北沙參)이나 산호채(珊瑚菜)라고 부른다. 국가표준식물목록이 정한 추천국명은 '갯방풍'. 한편 학명이 Saposhnikovia divaricata인 미나릿과 식물도 국명이 '방풍'이라 혼동하기 쉽지만, 둘은 분명히 서로 다른 풀이다.[1]

갯방풍이 강릉에서 많이 자생했기 때문에 방풍죽은 강원도 향토음식인데, 강릉 방풍죽이 유명하다. 16세기 조선의 미식가 허균[2]이 쓴 『도문대작(屠門大嚼)』에 따르면, 방풍죽은 좋은 맛이 입안에 가득하여 3일이 지나도 가실 줄 모르는 향미로운 음식으로 속간에서 으뜸간다고 하였다. 귀양살이를 하면서 자주 먹을 정도로 좋아했다고 한다.

2. 조리법

조선시대 음식서 《산림경제(山林經濟)》에 조리법이 나온다.
약재명 분량
1컵
갯방풍 200 g
6컵
1컵
사향 1스푼

1. 방풍을 손질하여 깨끗이 씻어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2. 쌀을 깨끗이 씻어 물에 불린 후 돌절구에 찧는다.
3. 찧은 쌀에 물을 넣고 죽을 쑤다가 준비한 방풍을 넣어 한 소큼 더 끓인다.
4. 차가운 사기그릇에 퍼 따뜻할 때 먹는다

3. 여담



[1] 사실 S. divaricata'가 원조 방풍이다. 이 식물은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한자로 방풍(防風)이라 불린다. '갯방풍'은 '방풍'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바닷가에서 자란다고 붙은 토착명이다.[2] 허균의 외가는 방풍이 많이 나는 강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