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금정구의 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e3192><colcolor=#fff> 시내버스 | 산성교통[d] | 삼신교통 | 삼화PTS | 삼성여객[c] |
세진여객 | 화신여객 | ||||
마을버스 | 금정버스[a] | 대영버스 | 부경버스[b] | 산성버스 | |
성진버스 | 용진교통 | 중구버스[b] | 태성여객[a] | ||
[a]: 주사무소가 금정구 외에 소재 [b]: 주사무소만 금정구에 소재 [c]: 금정구에 영업소를 둔 회사 [d]: 한정면허 업체 |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
삼신교통 계열사 | ||
삼신교통 | 푸른교통 |
삼신교통 주식회사 三信交通 株式會社 Samshin Passenger Co., Ltd. | |
업종명 | 운수업 |
설립일 | 1970년 9월 25일 |
대표 | 류원주 |
주사무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310 (노포동) |
전화번호 | 본사: 051-508-0047 웅상 영업소: 055-389-2346 |
면허대수 | 정규 125대, 예비 7대 |
자본금 | 8억원 (2022.12.) |
매출액 | 379억 6,851만 252원 (2022.) |
영업이익 | 2억 3,311만 8,307원 (2022.) |
순이익 | 3억 6,586만 1,873원 (2022.) |
자산총액 | 163억 6,095만 8,227원 (2022.12.) |
주주 | 유상훈: 40.00% 유장훈: 40.00% 유용주: 10.00% 윤정희: 10.00% |
임직원 | 365명 (2022.12.) |
자회사 | 푸른교통 |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1970년 9월 25일에 설립된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수회사이다. 국제여객의 차량 45대를 분리해서 창업했다. 부산시의 노선별 분리독립정책에 따라 1979년 12월 부로 삼신교통의 차량 27대가 창신여객이라는 업체로 분리되었으나 1994년 12월 부로 인수합병됐다.노포동 금정공영차고지 내에 본사가 있으며,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동에 덕계영업소가, 용당동 웅상공영차고지 내에 웅상영업소가 있다. 운행노선 13개(심야노선 2개 포함), 보유대수 132대로 부산 시내버스 업체 중 가장 많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상호로 ~여객을 사용하지 않는 5개의 업체 중 한 곳이다.[1]
2. 상세
- 양산시 시내버스 면허 업체인 푸른교통, 웅상 마을버스 업체인 웅진교통이 이 회사의 계열사다. 실제로 2015년 부처님오신날 당시 청룡동 구 본사에서 범어사행 셔틀버스의 이용객 통제를 위해 삼신푸른이라 적힌 조끼를 입은 직원들이 교통정리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 외의 계열사로 금정구 부곡3동에 있는 파디글스 골프연습장과 자동차 정비소인 캄스정비, 사하구 구평동에 있는 액체 화물 취급 저장 업체인 모든/부산탱크터미널도 있다.
- 금정구 청룡동, 노포동, 남산동 일대와 양산시 웅상 지역을 운행하는 노선을 주로 맡고 있다. 특히 구.웅상읍 주민들이 부산 시내로 나가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50번, 1002번을 이 업체에서 운행하고 있다. 따라서 푸른교통과 함께 양산시 웅상 지역과 금정구의 전반적인 교통을 책임지고 있다.
- 부산시 시내버스 업체 중 가장 친절한 버스 회사이다.[5] 시내버스 준공영제 이전에도 친절 서비스로 고객이 타고 싶은 버스를 만들게 하는 것이 경영 방침이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서 친절 기사 추천 및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제일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 실제로 남구의 시민여객과 함께 부산의 버스 회사들 중에서 가장 친절한 회사이다. 게다가 2000년대 초반에는 일본 오사카시 교통국이나 일본의 유명 버스 업체로 우수 직원 연수를 보내서 직접 노하우를 배워왔을 정도였다. 또한 시민여객과 마찬가지로 차량 관리를 잘 하는 업체로도 정평이 나 있어서, 삼신교통 중고차는 중고 수출 바이어들 사이에서 매우 선호되는 중고차이기도 하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로는 차량 관리는 지역 내에서 평범한 수준이며, 친절도 또한 웅상영업소에는 여전히 친절한 승무원들이 많이 존재하는 반면, 본사의 경우에는 평범한 수준으로까지 떨어졌다. 그래도 다른 버스 회사들에 비하면 매우 친절하다.
- 1기 도색 시절에는 휠을 녹색으로 도색하고 다니는 차도 있었다.
- 1990년대 후반까지는 구.47번 좌석과 이후 47번 좌석노선을 분리시켜 만든 347번 노선에 AM937 좌석버스 차량을 운행하기도 했다.
- 안전을 위해 웅상대로에서도 65km/h를 넘지 않는 정속운행을 하고 있다. 다만 이것도 케바케로 기사마다 일반버스도 75km/h까지 밟기도 한다.
- 2000년대 초반, 부산에서는 굉장히 희귀했던 냉방개조 차량을 운행하기도 했다. 부산에서 무냉방 차량에 냉방개조를 한 회사는 삼신교통을 포함 화신여객, 한창여객 등 3개 회사 뿐이었다.
- 2016년 6월 24일까지는 49번과 148번이 부산종합버스터미널 광역환승센터를 경유했고, 본사가 금정공영차고지로 이전한 이후 2016년 6월 25일부터는 37번과 90번이 경유하고 있다.
- 90번은 유명 사찰인 범어사를 경유하는 점 때문에 토요일, 공휴일, 부처님오신날에 수요가 급증하는데, 이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토요일, 공휴일에는 49번과 80번 정규차에서 차출하여 운행한다. 부처님오신날만큼은 49번, 80번 정규차 뿐만 아니라 148번 정규차와 본사 예비차도 90번으로 지원운행한다.
토요일, 공휴일에는 2대를 차출하여 총 5대로 운행하며, 부처님오신날에는 13대(49번 4대, 80번 3대, 148번 5대, 예비차 1대)를 차출하여 총 16대로 운행한다.[6] 49번, 80번 정규차 중 예비차가 아님에도 별도의 행선판 틀이 달려있는 차량들이 있는데 90번 지원운행을 위해 미리 준비해둔 것이다. 다만, 부처님오신날에는 그보다 훨씬 많은 차량을 차출하기 때문에 행선판 틀이 없는 차량에도 테이프로 90번의 행선판을 붙여 운행하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 정규차량이면서도 좌측 행선판이 제거된 구도색 차량[7]들이 일부 보인다. 주말과 공휴일에 90번 지원 운행을 하는 차량들이다.
- 현대자동차에서 2017년식부터 차량이 멈춘 후에만 문이 열리도록 설계한 점으로 인해[8], 해당 차량 앞문에 "안전주의, 이 차는 정차 후 문이 천천히 열리므로 기다려 주세요"라는 안내 문구를 친절히 스티커를 뽑아 붙여두었다. 이 회사를 시작으로 하여 다른 일부 회사에서도 스티커 혹은 A4용지 등으로 안내 문구를 출력하여 붙여두고 있다. 심지어 국제여객, 한창여객의 경우 삼신교통과 99% 동일한 양식의 스티커를 뽑아 붙여두고 있다.[9]
- 현재 부산 시내.마을버스 차량 대부분에 차가 완전히 정차한 후 안전하게 내리세요[차가]라는 친절한 안내 스티커가 있는데 이 스티커 역시 이 회사에서 처음으로 부착하였다가 여러 회사로 퍼져나간 것이다.
- 비 해운대권 소재 업체 중 유일하게 특급좌석버스를 운행한 적이 있었다. 2002년에 2002번이 노선 변경으로 노포동터미널로 들어오게 되면서, 부일여객에서 운행했던 특급좌석버스 지분 및 차량(BH113)을 사와 운행하게 된 것. 당시 BH113 차량에 전면부에 회사명을 붙인 곳은 삼신교통이 유일했다.
- 한때 승무원들의 안전운행을 위해 자신의 목표를 적어서 각 차량 운전석 위에 부착해놓고 운행하기도 했다. 또한 휴대전화 보관함을 운전석 위에 부착해놓아서 운행중에는 휴대전화를 보관함에 넣고 운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차 내에도 안전을 위해서 손잡이를 꼭 잡으라는 안내문을 벽에 붙여놓거나 봉에 달아놓는다. 또 봉을 추가로 더 달거나, 봉에 작은 봉을 하나 더 다는 등 안전을 위해 신경을 많이 쓴다.
- 국제여객 류남주 대표이사가 삼신교통 류원주 대표이사와 형제 관계이다.
2.1. 차량 운용
과거엔 주로 자일대우버스를 운행하는 가운데 일부 현대차로 운행했으며[11] 차량도 BS106은 물론 BS110CN도 도입해 운용했다. 한때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운수사 중에서 최후의 2008년식 BS106 F/L을 운행했던 회사다. 자동변속기는 금정공영차고지 입주 회사 중 유일하게 앨리슨 자동변속기를 활용한다.[12]한때 양산 노선에만 신차를 투입하고 본사 노선에는 거의 오래된 차들로만 도배하다시피 한 적도 있었다. 이 때에는 청룡동 본사에 CNG 충전소가 없어서 천연가스버스는 양산노선에 투입해야 했기 때문.[13] 이후 2004년 후반부터 서서히 본사 노선에도 신차 투입이 늘어났으며[14] 이후 2007년 준공영제 시행 이후 노포동에 CNG 충전소[15]가 생긴 이후부터는 별다른 편차 없이 본사 노선, 양산 노선에 고루 신차를 투입하고 있다.
2013년부터는 완전히 현대자동차로 전향해 현대차만 도입하고 있다. 2018년 말에 웅상공영차고지에 전기 충전소를 설치한 이후 현대 일렉시티를 도입했으며, 웅상으로 향하는 50번과 302번 위주로 전기버스 운용을 시작했다. 2024년부터는 본사에도 전기 충전소를 설치하여 본사 노선에도 전기버스를 투입하고 있다.[16] 그리고 2024년 8월 남아있던 NEW BS110을 모두 일렉시티로 대차하면서 삼신교통의 대우차는 전멸했다.[17] 그리고 최근에 계열사인 푸른교통이 중국산인 BYD eBus-11을 출고한 것과는 다르게 부산에는 반조립인 범한자동차 E-STAR 시리즈를 제외한 순수 중국산 버스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어 전기버스는 국내산만 출고할 것으로 보인다.[18]
2.2. 타 업체와의 관계
2005년도 기준으로만 해도 친절/모범 업체로 정평이 나 있었기에 이미지가 좋았으나, 과거에는 자사 노선들의 시종착을 최대한 범어사입구에서 하는 것에 너무 혈안이 되었던 나머지, 타 업체들과 척을 진 전력이 있으며, 특히 동성여객(현.삼성여객) 계열사[19]들과는 사이가 매우 좋지 못하였다. 특히 삼화PTS와 세진여객과는 불구대천의 원수나 다름이 없었다. 구.48-1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하고 잉여 차량들을 그대로 빼가서 148번 노선을 신설한 사례를 보면 삼신교통이 먼저 잘못하긴 했다. 이때 엄청난 파장을 불러 일으켰는데, 특히 세진여객이랑은 과거 48-1번과 80번 때문에 사이가 매우 좋지 못했고, 삼화PTS는 삼신교통이 계열사와 공동배차 중이었던 48-1번에서 철수하여 148번을 신설하여 단독배차로 운행한 것 때문에 서동에서 동래시장까지 노선이 겹치는 주력 노선 구.89번이 그 불똥을 정통으로 맞으면서 몰락에 이르게 되었다. 이후 삼화PTS는 재정난을 겪을 정도로 악영향을 받으면서 한 차례 도산 위기에 처했었다. 이후 다행히도 부산시가 155번 노선을 재정비 및 노선 연장(재송동→서동) 조치를 하였는데 그 조치가 제대로 먹혀든 덕에 삼화PTS는 큰 고비를 넘기게 된다. 거기다 구.89번과 155번을 맡았던 삼화PTS가 하필이면 80번 때문에 한때 사이가 틀어질대로 틀어졌었던 세진여객과도 계열사다.(...) 이 사연은 부산 버스 148 문서의 역사 문단 맨 첫째줄에도 서술되어 있다.3. 차고지
영업소 | 소재지 | 보유 노선 | CNG충전소 | 전기충전소 | 비고 |
본사(금정공영차고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310 (노포동) | 49번, 80번, 148번, 300번, 301번 시종착 90번, 37번 주박[20] | O | O | |
웅상영업소(웅상공영차고지) |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대로 1510 (용당동) | 302번, 1002번 시종착 50번, 1008번 주박 | O | O | [21] |
덕계영업소 | 경상남도 양산시 신명로 100 (평산동) | 50번 시종착 | X | O | |
기장군국민체육센터(공영)차고지[22]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원리 112-1번지 | 1008번 시종착 | X | X |
3.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영천로 96 (여락리) - 창신여객 구. 두구동영업소. 오래 전에는 구.47번, 50번, 구.50-1번의 시종착 지점이었으나, 1985년에 47번이 가장 먼저 웅상 서창동까지 연장되고 이후 1993년에 50번도 덕계/평산동 봉우아파트까지 연장된 이후부터 구.50-1번만 사용하고 남는 부지는 본사 노선 운휴차량 차고지 용도로 사용되었다. 2008년경에 구.50-1번까지 폐선된 이후에는 본사 노선 운휴차량 차고지로만 사용하고 있다가 2009년에 폐쇄되었고 지금은 트럭 회사가 소유하고 있다. 두구동영업소는 사실상 서창영업소로 이전된거나 마찬가지이며 현재는 웅상영업소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일단 행정구역상 양산시 동면에 있지만 조금만 걸어가도 바로 시경계를 넘어가기 때문에 당시 두구동 시종착 노선은 행선판에 두구동이라고 표기했었다.
-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대로 1403 (삼호동) - 구.서창영업소. 회야강 정비사업으로 인하여 2015년 1월 30일부터 웅상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 영업소 명칭도 서창영업소에서 웅상영업소로 바뀌었다. 이 차고지 이전과 관련해 한때 갈등이 좀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웅상공영차고지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강로754번길 21 (청룡동) - 구.본사. 1970년 설립할 때부터 이 곳에 터를 잡고 운영을 해왔었다. 과거에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이전된 후에는 노포동터미널을 찍고 본사로 돌아와 종착했던 까닭에 잘 모르는 사람도 있었다. 부산종합터미널을 가지 않고 여기서 곧바로 시종착했던 노선은 구.47번, 당시 80-1번[23], 90번 뿐이었다. 2016년 6월 25일부터 노포동에 위치한 금정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 현재는 중소형 할인마트인 B.I마트가 들어섰다.[24] 우연의 일치로 삼신교통과 세진여객 구.차고지에 모두 마트가 들어섰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해맞이로 430 (길천리) - 구.월내주차장. 37번의 회차지로 사용되었으며, 승하차가 가능하였다. 그리고 승무원들의 휴게실로 사용되던 컨테이너 박스도 1척이 비치되어 있었다. 단순히 회차지로만 사용되었던 것이 아니라 일부 차량들이 이 곳에서 주박하기도 했었다.[25] 2007년 5월 15일 개편때 37번이 본사에서 시종착과 주박을 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월내영업소가 철수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바로 앞 상가 빌딩과 식당의 주차장으로 활용되면서 차고지의 흔적 자체는 계속 남아있었으나 2019년에 해맞이로 확장공사로 인해 도로로 완전 편입되어 현재는 차고지 흔적 조차 남아있지 않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좌동길 40(좌동리) - 구. 좌천 주차장. 1008번이 2012년에 해당 부지를 임시 주차장으로 사용되었는데 2024년에 서울대병원 기장중입자치료센터 신축과 관련하여 부지가 매입이 되는 바람에 없어진다. 이로 인해 1008번은 기장군국민체육센터로 가게 되었으며, 302번도 그렇게 바뀔 예정이다.
4. 면허 체계
- 부산 70 자 2501 ~ 2600호
- 삼신교통 주 면허.
- 부산 70 자 2801 ~ 2832호
- 삼신교통 추가 면허.[26]
- 부산 70 자 6251호[27]
- 부산 최초의 저상버스를 들여올 때 사용한 면허. 당시 좌석버스에서 일반버스 면허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착오가 생겨 이 번호로 발급받았다.
- 부산 71 자 1901 ~ 1985호
- 삼신교통의 좌석버스 면허.
- 부산 71 자 1152호
- 구.금강여객 면허. 90년대 중반에 삼신교통에 매각했다고 알려져 있다.
- 부산 71 자 2462호
- 구.신평여객 면허. 138번 좌석버스 면허로 사용되다가 138번 좌석버스 철수 과정에서 삼신교통이 인수하여 넘어온 면허다.
부산 71 자 3801, 3805, 3809 ,3813호
- 구 번호판 : 부산 5자 28##호(삼신교통), 12##호(구 창신여객)
5. 차량운용대수
- 시내버스
- 37번: 10대
- 49번: 21대
- 50번: 14대
- 80번: 14대
- 90번: 3대
- 148번: 23대
- 300번: 2대
- 301번: 3대
- 302번: 4대
- 1002번: 14대
- 1008번: 16대
- 예비차: 7대
- 도합: 132대
6. 운행 노선
6.1. 금정공영차고지 본사 소속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37★ | 금정공영차고지 | 노포동광역환승센터 - 두구동입구 - 월평교차로 - 모전초등학교 - 평전마을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달산초등학교 - 원자력의학원 - 동해선좌천역 - 임랑삼거리 - 동해선월내역 | 고원3차아파트 | 21~23 |
49 |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남산동새벽시장 - 구서역.구서시장 - 부산대학교 - 부곡시장 - 부곡4동주민센터.온천장역 - 동래전화국 - 동래시장 - 연안교 - 토곡한양아파트 - 망미주공아파트 - 수영교차로.수영역 | 광안리해수욕장 | 8~10 | |
80[공동배차1] |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부산외국어대학교 - 구서역.구서시장 - 부산대학교 - 식물원입구 - 온천장 - 미남역 - 사직 야구장 - 거제리안동네 - 하마정 - 부전시장 - 서면 - 중앙시장 | 부산진시장 | 6~8 | |
90★ | 노포동광역환승센터 | (금정체육공원 → ) 범어사입구 → 지장암 → 범어사매표소 → 범어사입구 | 노포동광역환승센터 | 15 |
148 | 금정공영차고지 |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역 - 두실역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부곡시장 - 서동고개 - 명장정수사업소 - 충렬사역.서원시장 - 동래시장 - 동래역 - 미남교차로.미남역 - 만덕역 - 만덕그린코아 - 남산정역 - 덕천역 - 구포시장 - 모라역 | 모라주공아파트 | 9~11 |
300[공동배차2] |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부산외국어대학교 - 두실역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산성터널 - 와석교차로.화명역 - 북부경찰서 - 수정역 - 덕천교차로 | 구포시장 | 17~24 | |
301 |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부산외국어대학교 - 구서역.구서시장 - 부산대학교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브니엘고등학교 | 40~50 | |
★: 본사(차고지)에서 승하차가 불가능한 노선 |
6.2. 웅상공영차고지 영업소 소속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302 | 웅상공영차고지 | 서창동행정복지센터 - 웅상문화체육센터 - 덕계마을 - 월평교차로 - 모전초등학교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달산마을 - 동해선좌천역 | 원자력의학원 | 35~40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1002 | 웅상공영차고지 | 서창동행정복지센터 - 천성리버타운 - 웅상문화체육센터 - 덕계마을 - 월평교차로 -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두실역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부곡시장 - 부곡4동주민센터.온천장역 - 동래전화국 - 동래시장 - 해운대경찰서 - 동해선센텀역 - 센텀시티역.BEXCO - 센텀파크 | 해운대구문화복합센터 | 13~17 |
1008 | 기장군국민체육센터 | 동해선좌천역 - 달산마을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모전초등학교 -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 철마면행정복지센터 - 구서역.금정경찰서 - 부산대학교 - 온천장 - 명륜역 | 동래역 | 11~13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1002 심야 | 웅상공영차고지 | 서창동행정복지센터 - 천성리버타운 - 웅상문화체육센터 - 덕계마을 - 월평교차로 -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남산동새벽시장 - 구서역.구서시장 - 부산대학교 - 온천장 - 미남역 - 사직 야구장 - 거제리안동네 - 하마정 - 부전시장 | 서면 | 15 |
1008 심야 | 원자력의학원 | 동해선좌천역 - 달산마을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모전초등학교 -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 철마면행정복지센터 - 구서역.금정경찰서 - 부산대학교 - 온천장 - 명륜역 | 동래역 | 1일 1회 |
6.3. 덕계 영업소 소속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50 | 봉우아파트 | 덕계마을 - 월평교차로 -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두실역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부곡시장 - 부곡4동주민센터.온천장역 - 동래전화국 - 동래역 - 미남역 - 사직 야구장 | 법원.검찰청 | 17~21 |
7. 폐선·철수한 노선
- 부산 버스 47 (청룡동 ↔ 동래전화국 ↔ 재송동) [32]
- 부산 버스 48 (노포동터미널 ↔ 구만덕 ↔ 세산삼거리)[33] [34] ※ 삼화여객과 공동배차
- 부산 버스 48-1 (남산동 ↔ 충렬사 ↔ 강동동) ※ 세진여객과 공동배차[35]
- 부산 버스 49(구) (청룡동 ↔ 부산대학교 ↔ 수영구청)[36][37]
- 부산 버스 50-1 (송정리 ↔ 노포동터미널 ↔ 구서역)[38]
- 부산 버스 50-2 (노포동터미널 ↔ 금정체육공원.경륜장)[39]
- 부산 버스 110(구) (가야 ↔ 온천장 ↔ 감전동) ※ 대도운수와 공동배차[40]
- 부산 버스 137 (범어사입구 ↔ 양정 ↔ 당감4동) [41]
- 부산 버스 147 (서창 ↔ 노포동터미널 ↔ 금정세무서)
- 부산 버스 187(구) (좌천 ↔ 월평 ↔ 동부터미널)[42]
- 부산 버스 247 (서창 ↔ 노포동터미널 ↔ 재송동)[43]
- 부산 버스 301(구) (영산대 ↔ 노포동터미널 ↔ 법원,검찰청)[44]
- 부산 버스 306 (범어사입구 ↔ 송도해수욕장) ※ 태진여객과 공동배차[45]
- 부산 버스 347 (봉우아파트 ↔ 명륜역 ↔ 교대역)
- 부산 버스 1007 (정관 ↔ 번영로(오전)/반여1동(오후) ↔ 센텀시티역) ※ 세진여객과 공동배차[46]
- 부산 버스 2002 (해운대(좌동) ↔ 온천장 ↔ 노포동터미널) ※ 부일여객, 해동여객과 공동배차
8. 보유차량
8.1. 현재 보유차종
8.1.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8.2. 과거 보유차종
8.2.1. 현대자동차
- 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E-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52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47]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48]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49]
8.2.2. 자일대우버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V101 디젤[50]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51]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C211M 로얄하이시티 천연가스버스[52]
- 대우 BS120CN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NEW BS110 천연가스버스
- 대우 BH113 로얄에이스 디젤
- 대우 FX116 크루징애로우 천연가스버스
- 대우 FX II 116 크루징애로우 천연가스버스
8.2.3. 기아[53]
9. 관련 문서
[1] 다른 4곳은 대도운수, 산성교통, 태영버스, 삼화PTS다.[2] 이와 반대인 학성여객도 있다. 148번의 경우에는 환승할인제 시행 이후에도 운송수입금 흑자 노선인 적이 있었다. 그러나 2011년 3월 30일에 개통된 4호선의 여파로 이제는 흑자를 보지 못하고 있다. 그래도 여전히 부산시 버스 수익&이용객 순위 중에선 최상위권이며 삼신교통의 메인 밥줄 노선이다. 49번과 같이 삼신교통의 메인 밥줄 노선이지만 148번의 이용객수와 수익이 좀 더 앞선다.[3] 본사 전화번호 끝자리도 0047이다.[4] 다만 247번(현.1002번)의 경우에는 노선 번호와 기종점만 변경되었을 뿐, 기존 노선의 명맥은 유지되고 있다.[5] 승객이 탑승할 때 인사는 기본이고 2010년대 초까지는 하차시 마이크로 인사하기도 했다. 현재도 친절하기로는 손가락 안에 드는 곳으로 마이크보다는 육성으로 인사를 하시는 승무원이 많이 있다. 다만 삼신교통 홈페이지에 마이크 사용이 오히려 소음이라는 민원이 몇 건 있었는데, 이를 의식해서인지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 육성으로 인사를 하는 경우가 늘어났다.[6] 이 때문에 49번, 148번은 부처님오신날 전용 배차가 따로 있다.[7] 저상차 제외[8] 센서선 끊으면 안 멈춰도 문이 열린다고 한다.[9] 기다려 주세요 글자 색깔이 다르다.[차가] 완전히 정차후 내리려고 하면 운전기사가 지랄해서 절대 불가능한 문구이다. 물론 삼신교통 같은 경우는 정차하기 전에 내릴려고 하면 기사님께서 제지하시는 경우가 많다.[11] 양산 노선 신차 우선 투입 시절에 특히 심했다. 당시 양산 노선 중 147번, 301번, 2005년까지 운행한 301-1번을 제외하고는 전부 자일대우버스밖에 없었으며 본사 노선과 파견 노선에도 80-1번, 49-1번, 50-2번, 90번, 148번과 당시 좌석버스 노선이던 37번에 소수 존재했다.[12] 세진여객, 화신여객은 ZF 자동변속기를 활용한다.[13] 삼신교통의 경우 2002년부터 2004년 초까지는 신차로 천연가스버스만 투입했다. 충전소는 웅상에 있다.[14] 당시 148번, 49-1번에 즐비하던 1995년식 냉방초기형 BS106(D2366 엔진이 달린 차량으로 전문의 창이 각진 형태가 아닌 기존의 둥근 형태였으며 엔진룸 그릴이 한 줄로 이어져 있는 연식의 모델이었다.)의 대차 시기가 다가오면서 신차를 사올 수 밖에 없었다. 차 돌리기도 곤란했던 것이 상술했던 대로 당시 청룡동 본사에는 CNG 충전소가 없어서 양산 노선의 차량을 빼기도 곤란한 상황이었다.[15] 중앙대로 2311 소재. 현재는 부산도시가스 정압 시설과 현장팀 사무실로 사용중, 세진여객, 화신여객 차량도 이곳에서 충전했다. 한때는 77번, 144번 차량도 이곳에서 충전했다. 2016년에 금정공영차고지가 완공되면서 이 충전소는 폐쇄되었다.[16] 출고 당시에는 금정공영차고지의 전기 충전소가 완공이 안되어 웅상공영차고지까지 가서 충전을 해야는 탓에 오전 시간대에만 운행했으나, 2024년 6월 전기 충전소 임시 사용이 승인된 이후에는 오후 시간대에도 운행하고 있다.[17] 또한, 성원여객에 남아있던 마지막 구도색 NEW BS110 1대가 2024년 10월에 대차되면서 현재는 태영버스에 신도색 2대만 남아 있다.[18] 태영운송그룹도 마을버스 및 김해시 시내버스로 순수 중국산 버스를 출고하지만 태영버스는 일렉시티만 출고한다.[19] 대진버스, 삼화여객, 세진여객, 성진버스(현재는 태영운송그룹이 인수하여 계열사가 아니다.), 구.삼동여객, 세성교통[20]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운행을 시작한다. 이 노선들을 타고 차고지로 가려면 금정체육공원 정류장에서 내리거나 사전에 승무사원에게 문의해야 한다.[21] 푸른교통 본사[22] 기장군 국민체육센터에 1008번 시내버스차고지라고 적어 났다.[23] 현.부산 버스 80, 원래 이 노선도 노포동까지 갔으나, 2004년 11월경에 단축되었다.[24] 차고지는 없어졌지만 구.차고지 앞에 위치한 '범어사입구' 정류장은 여전히 남아있으며 90번만 양방향 정차한다. 당초에는 금정3-1번 정류장인 범어사입구 사거리에 정류장을 신설하고 기존 정류장을 폐지할 계획이었다가, 차후에 이 계획을 무산시키고 기존 '범어사입구' 정류장을 계속 사용하기로 했다.[25] 당시 37번은 좌석 전용 노선이었으며, 특이하게도 월내주차장, 구.서창영업소, 구.본사(범어사입구)로 각각 흩어져서 분할 주박을 했었다. 첫차 역시 월내 기점에서 출발하거나 범어사역, 컴퓨터도매상가(37번 종점)까지 공차회송 후 동시에 출발을 하기도 했었다. 구.서창영업소에서도 주박을 했던 이유는 37번 차량으로 구.301번 심야노선(현.1002번 심야)을 운행하였기 때문이다.[26] 1996년 당시 ㄱㄴㄷ 순으로 면허를 배정할 당시 현재 27##호 면허를 쓰는 삼화여객과 29##호의 면허를 쓰던 세신여객 사이에 들어갈 회사(현재의 성원여객은 당시 한진여객으로 순번이 상당히 뒤쪽이었다.)는 없었다. 이 때문에 행정착오로 26##호가 아닌 28##호를 부여받은 듯 하다. 이 때문에 삼진여객(26##호)과 삼화PTS(27##호)의 면허가 앞당겨졌다.[27] 부산시 시내버스 면허 중 6 이상으로 시작하는 유일한 면허이다.[28] 187번은 삼신교통으로 넘어오자마자 37번에 통합된다.[29] 부산 71자 3813호[공동배차1] 세진여객과 공동배차[공동배차2] 세진여객, 화신여객과 공동배차[32] 원래 서창 ↔ 동래전화국 ↔ 재송동 간을 운행한 노선이었으나, 용당 지선으로 분리된 구.147번에 수요가 밀리면서 1999년도에 청룡동 ↔ 동래전화국 ↔ 재송동으로 단축되었다.[33] 삼화여객과는 달리 노선과 운행시간을 거의 준수하였다.[34] 당시 최장거리 시내버스 노선이었다.[35] 1989년에 148번 신설로 철수했다. 1998년 쯤에 세진여객이 삼화여객에 이관시키자마자 북구청으로 단축되었다.[36] 현재의 49번과는 다르다. 현재의 49번은 49-1번이 번호를 변경한 것.[37] 말년에 49-1번 노선과 같게 운행했으므로 49-1번 노선으로 봐도 무방[38] 2007년 5월 15일 준 공영제 시행 전에는 송정리 ↔ 노포동터미널 ↔ 부산대 간을 운행한 노선이었으나, 송정리 ↔ 노포동터미널 ↔ 구서역으로 단축되었다.[39] 금정체육공원.경륜장을 잇는 셔틀노선이었다. 2002년에 개통되었고 2004년에 폐선되었는데,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 개편 때 부활했다가 2009년 7월에 폐선되었다, 보통 노선들과는 달리 금.토.일요일에만 운행하였다, 현재 해당 구간은 용진마을버스업체 노선이 운행중이다.[40] 철수 시기는 미상. 이 영상의 1분 15초 즈음을 통해 삼신교통이 과거 110번 배차에 참여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41] 1989년에 신설되었고, 당시 37번과의 노선차이는 남산새벽시장 경유 외엔 없었다. 하지만 몇개월만에 폐선되었고 그 구간은 49-1번(현.49번)이 대체하게 되었다.[42] 현재의 187번과는 다르다. 원래 동부여객 노선이었고, 동부여객 노선을 양수하면서 37번에 통폐합되었다.[43] 2007년 5월 15일 준 공영제가 시행되면서 번호는 1002번으로 변경되고 노선은 재송동에서 센텀파크로 연장되었다.[44] 과거 301번이 영산대까지 운행하던 시절 영산대까지 가는 301번과 서창까지만 가는 301-1번으로 분리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수요저조로 2005년에 301-1번으로 통합되고 301번으로 번호를 변경했다.[45] 1996년도에 철수하였다.[46] 2012년 7월 9일에 1008번 2대 증차로 철수했다. 1007번은 2015년 11월 28일에 107번으로 형간전환되었다.[47] 일반 1대, 좌석 1대만 다닌 희귀차량이었다.[48] 2003~2004년식으로 서창영업소 한정이었으며 본사나 덕계영업소는 슈퍼 에어로시티를 디젤로 운행했다. 2009년 이후 차돌리기로 49번에 운행하기도 했다. 동글이 모델은 천연가스로만 나왔다.[49] 4대 존재하였으며 본사에만 나온 차량이었고 2005년식이었으며 2011년에 2대 대차되었고, 2012년에 나머지 2대가 모두 대차되었다.[50] 50번에 있었다.[51] 부산 최후의 구형 로얄시티였다.[52] 부산에서도 단 3대만 존재한 희귀 차종이었다.[53] 삼신교통의 AM은 전부 좌석버스 차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