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7 22:51:08

삼신교통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국제여객 금진여객 남부여객 대도운수
대진여객 동남여객 동원여객 동진여객
부산여객 부일여객 삼성여객 삼신교통
삼진여객 삼화PTS 성원여객A 세익여객
세진여객 시민여객 신성여객 신한여객
영신여객 오성여객 용화여객 유한여객
일광여객 일신여객 창성여객 태영버스
태진여객 학성여객 한창여객 해동여객
화신여객 산성교통B
A : 본사가 부산광역시 외에 위치
B : 한정 면허 업체
}}}}}}}}}}}}

파일:금정구 심볼.png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버스 회사
<colbgcolor=#2e3192><colcolor=#fff> 시내버스 산성교통3 삼신교통 삼화PTS 세진여객 화신여객
마을버스 금정버스1 대영버스 부경버스2 산성버스 성진버스
용진교통 중구버스2 태성여객1
1: 주사무소가 금정구 외에 소재
2: 주사무소만 금정구에 소재
3: 한정면허 업체

삼신교통 계열사
삼신교통 푸른교통
삼신교통 주식회사
三信交通
Samshin Passenger Co., Ltd.
업종명 운수업
설립일 1970년 9월 25일
대표 류원주
주사무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310 (노포동)
전화번호 본사: 051-508-0047
웅상 영업소: 055-389-2346
면허대수 정규 125대, 예비 7대
자본금 8억원 (2022.12.)
매출액 379억 6,851만 252원 (2022.)
영업이익 2억 3,311만 8,307원 (2022.)
순이익 3억 6,586만 1,873원 (2022.)
자산총액 163억 6,095만 8,227원 (2022.12.)
주주 유상훈: 40.00%
유장훈: 40.00%
유용주: 10.00%
윤정희: 10.00%
임직원 365명 (2022.12.)
사이트 http://www.samshinbus.com

1. 개요
1.1. 상세1.2. 타 업체와의 관계
2. 차고지
2.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3. 면허 체계4. 차량운용대수5. 운행 노선
5.1. 금정공영차고지 본사 소속5.2. 웅상공영차고지 영업소 소속5.3. 덕계 영업소 소속
6. 폐선·철수한 노선7. 보유차량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70년 9월 25일에 설립된 부산광역시시내버스 운수회사이다. 국제여객의 차량 45대를 분리해서 창업했다. 부산시의 노선별 분리독립정책에 따라 1979년 12월 부로 삼신교통의 차량 27대가 창신여객이라는 업체로 분리되었으나 1994년 12월 부로 인수합병됐다.

노포동 금정공영차고지 내에 본사가 있으며,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동에 덕계영업소가, 용당동 웅상공영차고지 내에 웅상영업소가 있다. 운행노선 13개(심야노선 2개 포함), 보유대수 132대로 부산 시내버스 업체 중 가장 많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상호로 ~여객을 사용하지 않는 5개의 업체 중 한 곳이다.[1]

1.1. 상세

토요일, 공휴일에는 2대를 차출하여 총 5대로 운행하며, 부처님오신날에는 13대(49번 4대, 80번 3대, 148번 5대, 예비차 1대)를 차출하여 총 16대로 운행한다.[12] 49번, 80번 정규차 중 예비차가 아님에도 별도의 행선판 틀이 달려있는 차량들이 있는데 90번 지원운행을 위해 미리 준비해둔 것이다. 다만, 부처님오신날에는 그보다 훨씬 많은 차량을 차출하기 때문에 행선판 틀이 없는 차량에도 테이프로 90번의 행선판을 붙여 운행하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1.2. 타 업체와의 관계

2005년도 기준으로만해도 친절/모범업체로 정평이 나있었기에 이미지가 좋았으나, 과거에는 자사 노선들을 최대한 범어사입구 시종착화 시키는 것에 너무 혈안이 되었던 나머지, 타 업체들에게 큰 민폐를 끼친 전력이 있으며, 특히 동성여객(현.삼성여객) 계열사들과는 사이가 매우 좋지 못하였다. 특히 삼화PTS세진여객과는 불구대천의 원수나 다름이 없었다. 구 48-1번 배차에서 철수하고 잉여차량들을 그대로 빼가서 148번 노선을 신설한 사례를 보면 삼신교통이 먼저 잘못하긴 했다. 이때 엄청난 파장을 불러 일으켰는데, 특히 세진여객이랑은 과거 48-1번과 80번 때문에 사이가 매우 좋지 못했고, 삼화PTS는 삼신교통이 계열사와 공동배차중이던 48-1번에서 철수하여 148번을 신설하여 단독배차로 운행한 것 때문에 서동에서 동래시장까지 노선이 겹치는 주력노선인 구.89번이 몰락에 이르게 되었다. 이후 삼화PTS는 재정난을 겪을 정도로 악영향을 미치면서 한 차례 도산 위기에 처했었다. 이후 다행히도 부산시가 155번 노선을 재정비 및 노선연장(재송동→서동) 조치를 하였는데 그 조치가 제대로 먹혀든 덕에 삼화PTS는 큰 고비를 넘기게 된다. 거기다 구.89번과 155번을 맡았던 삼화PTS가 하필이면 80번 때문에 한때 사이가 틀어질대로 틀어졌었던 세진여객과도 계열사다.(...) 이 사연은 부산 버스 148 문서의 역사 문단 맨 첫째줄에도 서술되어 있다.

2. 차고지

영업소 소재지 보유 노선 CNG충전소 전기충전소 비고
본사(금정공영차고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310 (노포동) 37번, 49번, 80번, 148번, 300번, 301번 시종착
90번 주박[15]
O X
웅상영업소(웅상공영차고지)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대로 1510 (용당동) 302번, 1002번 시종착
50번, 1008번 주박
O O [16]
덕계영업소 경상남도 양산시 신명로 100 (평산동) 50번 시종착 X O
좌천주차장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길 40 (좌동리) 1008번 시종착 X X [17]

2.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3. 면허 체계

4. 차량운용대수

5. 운행 노선

5.1. 금정공영차고지 본사 소속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37 금정공영차고지 노포동광역환승센터 - 두구동입구 - 월평교차로 - 모전초등학교 - 평전마을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달산초등학교 - 원자력의학원 - 동해선좌천역 - 임랑삼거리 - 동해선월내역 고원3차아파트 21~23
49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남산동새벽시장 - 구서역.구서시장 - 부산대학교 - 부곡시장 - 부곡4동주민센터.온천장역 - 동래전화국 - 동래시장 - 연안교 - 토곡한양아파트 - 망미주공아파트 - 수영교차로.수영역 광안리해수욕장 8~10
80[공동배차1]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부산외국어대학교 - 구서역.구서시장 - 부산대학교 - 식물원입구 - 온천장 - 미남역 - 사직야구장 - 거제리안동네 - 하마정 - 부전시장 - 서면 - 중앙시장 부산진시장 6~8
90 노포동광역환승센터 (금정체육공원 → ) 범어사입구 → 지장암 → 범어사매표소 → 범어사입구 노포동광역환승센터 15
148 금정공영차고지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역 - 두실역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부곡시장 - 서동고개 - 명장정수사업소 - 충렬사역.서원시장 - 동래시장 - 동래역 - 미남교차로.미남역 - 만덕역 - 만덕그린코아 - 남산정역 - 덕천역 - 구포시장 - 모라역 모라주공아파트 9~11
300[공동배차2]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부산외국어대학교 - 두실역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산성터널 - 와석교차로.화명역 - 북부경찰서 - 수정역 - 덕천교차로 구포시장 17~24
301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부산외국어대학교 - 구서역.구서시장 - 부산대학교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브니엘고등학교 40~50
★: 본사(차고지)에서 승하차가 불가능한 노선

5.2. 웅상공영차고지 영업소 소속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302 웅상공영차고지 서창동행정복지센터 - 웅상문화체육센터 - 덕계마을 - 월평교차로 - 모전초등학교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달산마을 - 동해선좌천역 원자력의학원 35~40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002 웅상공영차고지 서창동행정복지센터 - 천성리버타운 - 웅상문화체육센터 - 덕계마을 - 월평교차로 -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두실역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부곡시장 - 부곡4동주민센터.온천장역 - 동래전화국 - 동래시장 - 해운대경찰서 - 동해선센텀역 - 센텀시티역.BEXCO - 센텀파크 해운대구문화복합센터 13~17
1008 원자력의학원 동해선좌천역 - 달산마을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모전초등학교 -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 철마면행정복지센터 - 구서역.금정경찰서 - 부산대학교 - 온천장 - 명륜역 동래역 11~13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002
심야
웅상공영차고지 서창동행정복지센터 - 천성리버타운 - 웅상문화체육센터 - 덕계마을 - 월평교차로 -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남산동새벽시장 - 구서역.구서시장 - 부산대학교 - 온천장 - 미남역 - 사직야구장 - 거제리안동네 - 하마정 - 부전시장 서면 15
1008
심야
원자력의학원 동해선좌천역 - 달산마을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모전초등학교 -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 철마면행정복지센터 - 구서역.금정경찰서 - 부산대학교 - 온천장 - 명륜역 동래역 1일 1회

5.3. 덕계 영업소 소속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50 봉우아파트 덕계마을 - 월평교차로 -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 두실역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부곡시장 - 부곡4동주민센터.온천장역 - 동래전화국 - 동래역 - 미남역 - 사직야구장 법원.검찰청 17~21

6. 폐선·철수한 노선

7. 보유차량

7.1. 현재 보유차종

7.1.1. 현대자동차

7.1.2. 자일대우버스

7.2. 과거 보유차종

7.2.1. 현대자동차

7.2.2. 자일대우버스

7.2.3. 기아

8. 관련 문서


[1] 다른 4곳은 대도운수, 산성교통, 태영버스, 삼화PTS다.[2] 이와 반대인 학성여객도 있다. 148번의 경우에는 환승할인제 시행 이후에도 운송수입금 흑자 노선인 적이 있었다. 그러나 2011년 3월 30일에 개통된 4호선 여파로 이제는 흑자를 보지 못하고 있다. 그래도 여전히 부산시 버스 수익&이용객 순위 중에선 최상위권이며 삼신교통의 메인 밥줄 노선이다. 49번과 같이 삼신교통의 메인 밥줄 노선이지만 이 노선의 이용객수와 수익이 좀 더 앞선다.[3] 본사 전화번호 끝자리도 0047이다.[4] 다만 247번(현.1002번)의 경우에는 노선 번호와 기종점만 변경되었을 뿐, 기존 노선의 명맥은 유지되고 있다.[5] 승객이 탑승할 때 인사는 기본이고 2010년대 초까지는 하차시 마이크로 인사하기도 했다. 현재도 친절하기로는 손가락 안에 드는 곳으로 마이크보다는 육성으로 인사를 하시는 승무원이 많이 있다. 다만 삼신교통 홈페이지에 마이크 사용이 오히려 소음이라는 민원이 몇 건 있었는데, 이를 의식해서인지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 육성으로 인사를 하는 경우가 늘어났다.[6] 그래도 이마저도 다른 버스 회사들보다도 엄청 친절한 수준이다.[7] 삼신교통의 경우 2002년부터 2004년 초까지는 신차로 천연가스버스만 투입했다. 충전소는 웅상에 있다.[8] 당시 148번, 49-1번에 즐비하던 1995년식 냉방초기형 BS106(D2366 엔진이 달린 차량으로 전문의 창이 각진 형태가 아닌 기존의 둥근 형태였으며 엔진룸 그릴이 한 줄로 이어져 있는 연식의 모델이었다.)의 대차 시기가 다가오면서 신차를 사올 수밖에 없었다. 차 돌리기도 곤란했던 것이 상술했던 대로 당시 청룡동 본사에는 CNG 충전소가 없어서 양산 노선의 차량을 빼기도 곤란한 상황이었다.[9] 중앙대로 2311 소재. 현재는 부산도시가스 정압 시설과 현장팀 사무실로 사용중, 세진여객, 화신여객 차량도 이곳에서 충전했다. 한때는 77번, 144번 차량도 이곳에서 충전했다. 2016년에 금정공영차고지가 완공되면서 이 충전소는 폐쇄되었다.[10] 양산 노선 신차 우선 투입 시절에 특히 심했다. 당시 양산 노선 중 147번, 301번, 2005년까지 운행한 301-1번을 제외하고는 전부 자일대우버스밖에 없었으며 본사 노선과 파견 노선에도 80-1번, 49-1번, 50-2번, 90번, 148번과 당시 좌석버스 노선이던 37번에 소수 존재했다.[11] 세진여객, 화신여객은 ZF 변속기를 활용한다.[12] 이 때문에 49번, 148번은 부처님오신날 전용 배차가 따로 있다.[13] 저상차 제외[14] 비슷한 케이스로는 대도운수가 있다.[15]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운행을 시작한다.[16] 푸른교통 본사[17] 302번 회차지[18] 현.부산 버스 80, 원래 이 노선도 노포동까지 갔으나, 2004년 11월경에 단축되었다.[19] 차고지는 없어졌지만 구.차고지 앞에 위치한 '범어사입구' 정류장은 여전히 남아있으며 90번만 양방향 정차한다. 당초에는 금정3-1번 정류장인 범어사입구 사거리에 정류장을 신설하고 기존 정류장을 폐지할 계획이었다가, 차후에 이 계획을 무산시키고 기존 '범어사입구' 정류장을 계속 사용하기로 했다.[20] 당시 37번은 좌석 전용 노선이었으며, 특이하게도 월내주차장, 구.서창영업소, 구.본사로 각각 흩어져서 분할 주박을 했었다. 첫차 역시 월내 기점에서 출발하거나 범어사역, 컴퓨터도매상가(37번 종점)까지 공차회송 후 동시에 출발을 하기도 했었다. 구.서창영업소에서도 주박을 했던 이유는 37번 차량으로 구.301번 심야노선(현.1002번 심야)을 운행하였기 때문이다.[21] 1996년 당시 ㄱㄴㄷ 순으로 면허를 배정할 당시 현재 27##호 면허를 쓰는 삼화여객과 29##호의 면허를 쓰던 세신여객 사이에 들어갈 회사(현재의 성원여객은 당시 한진여객으로 순번이 상당히 뒤쪽이었다.)는 없었다. 이 때문에 행정착오로 26##호가 아닌 28##호를 부여받은 듯 하다. 이 때문에 삼진여객(26##호)과 삼화PTS(27##호)의 면허가 앞당겨졌다.[22] 정규차들 중 하나가 잔고장이 심해서 그런 듯 하다.[23] 187번은 삼신교통으로 넘어오자마자 37번에 통합된다.[24] 부산 71자 3813호[공동배차1] 세진여객과 공동배차[공동배차2] 세진여객, 화신여객과 공동배차[27] 원래 서창 ↔ 동래전화국 ↔ 재송동 간을 운행한 노선이었으나, 용당 지선노선으로 분리된 구.147번에 수요가 밀리면서 1999년도에 청룡동 ↔ 동래전화국 ↔ 재송동으로 단축되었다.[28] 삼화여객과 다르게 청룡동이 아닌 노포동터미널에서 출발 하였다.[29] 당시 최장거리 시내버스 노선 이였다.[30] 1989년에 148번 신설로 철수했다. 1998년 쯤에 세진여객이 삼화여객에 이관시키자마자 북구청으로 단축되었다.[31] 현재의 49번과는 다르다. 현재의 49번은 49-1번이 번호를 변경한 것.[32] 2007년 5월 15일 준 공영제 시행 전에는 송정리 ↔ 노포동터미널 ↔ 부산대 간을 운행한 노선이었으나, 송정리 ↔ 노포동터미널 ↔ 구서역으로 단축되었다.[33] 금정체육공원.경륜장을 잇는 셔틀노선이었다. 2002년에 개통되었고 2004년에 폐선되었는데,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 개편 때 부활했다가 2009년 7월에 폐선되었다, 보통 노선들과는 달리 금.토.일요일에만 운행하였다, 현재 해당 구간은 용진마을버스업체 노선이 운행중이다.[34] 시기 미상 철수하였다.[35] 1989년에 신설되었고, 당시 37번과의 노선차이는 남산새벽시장 경유 외엔 없었다. 하지만 몇개월만에 폐선되었고 그 구간은 49-1번(현.49번)이 대체하게 되었다.[36] 현재의 187번과는 다르다. 원래 동부여객 노선이었고, 동부여객 노선을 이관받으면서 37번에 통폐합되었다.[37] 2007년 5월 15일 준 공영제가 시행되면서 번호는 1002번으로 변경되고 노선은 재송동에서 센텀파크로 연장되었다.[38] 과거 301번이 영산대까지 운행하던 시절 영산대까지 가는 301번과 서창까지만 가는 301-1번으로 분리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수요저조로 2005년에 301-1번으로 통합되고 301번으로 번호를 변경했다.[39] 1996년도에 철수하였다.[40] 2012년 7월 9일에 1008번 2대 증차로 철수했다. 1007번은 2015년 11월 28일에 107번으로 형간전환되었다.[41] 일반 1대, 좌석 1대만 다닌 희귀차량이었다.[42] 서창영업소 한정이었으며 본사나 덕계영업소는 슈퍼 에어로시티를 디젤로 운행했다. 2009년 이후 차돌리기로 49번에 운행하기도 했다. 동글이 모델은 천연가스로만 나왔다.[43] 4대 존재하였으며 본사에만 나온 차량이었고 2005년식이었으며 2011년에 2대 대차되었고, 2012년에 나머지 2대가 모두 대차되었다.[44] 50번에 있었다.[45] 부산 최후의 구형 로얄시티였다.[46] 부산에서도 단 3대만 존재한 희귀차종 이었다.[47] 삼신교통의 기아차는 전부 좌석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