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20:13:00

고양 삼송지구

삼송신도시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2574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2574F>
파일:고양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2574F> 일산동구 59층 | 일산 요진 와이시티 30층 | 위시티 일산자이 1단지, 2단지, 4단지 30층 | 위시티 블루밍 3단지, 5단지
33층 | 일산자이 센트리지 33층 | 일산자이 더 헤리티지 32층 | 일산 센트럴 아이파크
49층 | 킨텍스 원시티 36층 | 더샵 일산퍼스트월드 42층 | 더샵 일산엘로이
36층 | 이편한세상 일산 메이포레 34층 | 휴먼빌 일산 클래스원
일산서구 59층 | 일산 두산위브 더제니스 49층 | 포레나 킨텍스 49층 | 일산 더샵 그라비스타
49층 | 힐스테이트 일산 49층 | 일산 디엠시티 스카이뷰 49층 | e편한세상 일산 어반스카이
덕양구 38층 | 원흥역 센트럴푸르지오 35층 | 원흥역 동원로얄듀크비스타 34층 | 고양 대곡역 두산위브
41층 | 삼송역 현대헤리엇 30층 | 동산마을22단지 호반베르디움 49층 | 힐스테이트 삼송역
49층 | 원흥역 푸르지오 }}}}}}}}}
삼송지구 조감도 삼송지구 토지이용계획도
파일:고양 삼송지구 조감도.jpg 파일:고양 삼송지구 토지이용계획도.webp
고양 삼송지구
高陽 三松地區 / Goyang Samsong District
[include(틀:지도, 장소=]삼송동, 너비=100%, 높이=200px)]
소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동, 원흥동
동산동, 신원동, 오금동 일원
면적 약 507만 m²
수용 인구 58,846명(22,128세대)
시행사 한국토지주택공사

1. 개요
1.1. 배경
2. 주거환경
2.1. 주거시설2.2. 상업지구2.3. 문화시설2.4. 공업지구
3. 공공시설4. 교통
4.1. 철도교통4.2. 버스교통
4.2.1. 광역버스4.2.2. 시내버스4.2.3. 마을버스4.2.4. 공항버스
4.3. 도로교통
5. 교육6. 여담7.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IMG_0659.jpg 파일:스타필드 고양.png
<colcolor=#ffffff> 삼송마을 인근의 야경 <colcolor=#ffffff> 삼송지구의 랜드마크
스타필드 고양
경기도 고양시에서 추진중인 택지개발사업. 덕양구 삼송동, 원흥동, 동산동, 신원동, 오금동 일대에 조성되고 있다. 사업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이며, 같은 시기 삼송지구 바로 남서쪽에 같은 한국토지주택공사 주관의 원흥지구도내동 일대에 조성되었다. 또한 바로 동쪽에 역시 LH 주관의 지축지구도 조성중이고, 은평구 은평뉴타운도 인접해있다. 그리고 지구 남쪽으로 3기 신도시창릉신도시가 들어설 계획이다.

1.1. 배경

고양군 시절 신도읍은 1970년대에 인구 5만 명을 초과하여[1] 신도(神道市) 승격까지 검토되었으나 무산되고, 1990년대 일산신도시, 화정지구 등 대규모 신도시 및 택지지구가 조성되고 신도읍 시가지가 점차 낙후되면서 인구 유출이 심각해졌다. 이에 따른 구 신도읍 지역의 슬럼화를 막고, 일산신도시 권역에 쏠리고 있는 고양시의 도시 기능을 분담하기 위해 삼송지구가 조성되었다. 또한 은평뉴타운의 개발로 인해 서울특별시고양시의 접경지역에 설정된 개발제한구역이 위화감을 조성한다는 문제가 있어서, 이를 택지지구 개발로 연담시키는 목적도 있다.

2. 주거환경

지구내에 녹지가 많이 조성돼있으며, 북한산 부분부터 한강까지 흐르는 창릉천이 지구내를 관통하고 이 일대에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있다.

지도를 보면 개발지구가 큼직큼직하게 권역화 된 것을 알 수 있다. 나뉘는 대부분의 이유는 지형지물을 빙자한 코렁탕 시설물들 때문이다. 저 작은 지도에 사단 사령부가 2개, 여단 사령부가 1개 주둔하고 있다.[2] 이로인해 숫돌고개 북쪽지역을 북삼송이라 부르고 숫돌고개 남쪽지역을 남삼송이라 부르는데 북삼송 지역인 신원마을, 오금동 지역과 남삼송 지역인 삼송마을, 원흥마을, 동산마을 지역들이 서로 생활권이 조금씩 분리되어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 원흥역이 모두 지구 남쪽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신원마을 주민들은 연계 교통이 잘돼있는 삼송역을 이용하는데 덕분에 퇴근시간 삼송역 버스정류장에 헬게이트가 터진다.

2.1. 주거시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양 삼송지구/주거시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양 삼송지구/주거시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양 삼송지구/주거시설#|]][[고양 삼송지구/주거시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상업지구

파일:16406755331.jpg
MBN미디어센터 삼송사옥. 희림에서 건축했다.

MBN미디어센터가 이곳에 위치해있다. 2021년 준공되었으며, 2022년 상반기까지 하여 대부분의 부처들이 이전해왔기 때문에 등기상으로만 충무로 사옥이 본사로 되어있고, 이곳이 사실상 본사 역할을 하고있다.

지구 내 남쪽 동산동신세계그룹의 엄청난 크기의 복합쇼핑몰 스타필드 고양이 들어서 있어서 시내버스나 도보를 타고 쉽게 접근이 가능하며, 지구 인근에는 롯데몰 은평점, 이케아 고양점, 롯데아울렛 고양점이 위치해있다.

대형마트로는 농협중앙회 주관으로 지어진 농협 하나로마트 삼송점과 스타필드 고양 내부에 있는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고양점이 있다.

2.3. 문화시설

영화관스타필드 고양메가박스 고양스타필드가 있고, 그리고 가까운 위치에도 롯데시네마 은평, CGV 화정이 있다. 도서관고양시립삼송도서관고양시립신원도서관, 고양시립별꿈도서관, 고양시공립삼송작은도서관이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5km내에 고양어울림누리와 고양어린이박물관이 있다.

2.4. 공업지구

대우건설 주관으로 지구 남쪽에 삼송테크노밸리 사업이 추진되어 완공되었다. 판교테크노밸리광교테크노밸리처럼 대단지 공업지구를 조성하는 것은 아니고, 일산동구 백석동의 유니테크빌이나 일산테크노타운, 중산동의 대방 트리플라온같은 지식산업센터로 추진하였다. 삼송지구의 자족기능을 갖추기 위함이다.

2018년 전 호실이 입주 완료하여 안정적으로 굴러가고 있다.

3. 공공시설

삼송지구의 공공 시설 목록
시설명 주소
삼송1동 행정복지센터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도길 8-8
삼송2동 행정복지센터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1로 46-13
창릉동 행정복지센터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동세로 30
고양시삼송동종합복지회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로 180
신도지구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로 131
삼송119안전센터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오금로 14
고양삼송동우편취급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원로 15
고양시립삼송도서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수천1로 73
고양시립신원도서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원2로 24
고양시립별꿈도서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937
고양시립삼송작은도서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로 180
고양시농업기술센터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695
국민연금공단 덕양지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4로 7
한국지역난방공사 삼송지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동축로 16

4. 교통

4.1. 철도교통

3호선삼송역원흥역

이미 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선)의 삼송역이 있으며, 원흥역도 추가되어 2014년 12월 27일 개통되었다. 또한 삼송역에서 조금만 더 걸으면 버스 정류장을 이용해 구파발역을 거쳐 연신내역, 불광역, 서울역 등으로 가는 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일산신도시와는 달리 3호선을 이용한 철도 교통이 비교적 편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로인해 지구주민들도 삼송역원흥역을 통해 이동하는 걸 선호한다.

신분당선용산역으로 보내지 말고 광화문역은평뉴타운을 거쳐 이 역까지 오게 하자고 서울특별시에서 2012년 서울 경전철 계획을 발표할 때 같이 했으나, 국토교통부용산역 연장을 계속적으로 고집하고 있어 아직까지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고양시에서는 이에 따라 아예 킨텍스까지 신분당선을 연장하자 하고 있으나, GTX A선의 확정으로 킨텍스 연장까지는 어렵게 되었다.

4.2. 버스교통

통일로(신원중학교-삼송역사거리)와 삼송로(삼송동-원흥역) 상에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중앙버스정류소가 설치되어 있지만 사실상 통일로만 서울행 버스나 광역버스들이 간간히 사용하고 있고 삼송로는 거의 버려진 상태이다. 지축지구 완공 이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돌았으나 지축지구가 거의 완공된 현재까지도 사용되어지지 않고있다.

지구 내에서 멀지않은 진관동 서울시계 인근에 진관공영차고지가 위치해있다. 많은 버스 노선이 몰려들기 때문에 이 주변에서 은평구, 서대문구는 물론이고, 강남구영등포구 방면 버스로 환승이 가능하다.

고양시 자체 시내버스가 다 죽고 마을버스가 시내버스의 역할까지 전부 커버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마을버스가 특히 발달되어 있다.

4.2.1. 광역버스

파일:고양3800_1738.png 파일:고양7602수소유니.jpg
3800번 7602번
파일:파주 9709번[2009].png 파일:신일여객 2006.jpg
9709번 9710번

수도권 전철 3호선을 활용한 서울 지역이나 다른 고양시 지역과의 교류가 편리하기 때문에 광역버스가 크게 활성화 되어있지는 않으며, 총 4개의 노선이 있다.

우선 고양시와 의정부시를 잇는 노선인 3800번삼송역, 신원동, 원흥역을 경유하며 특히 이 노선은 일산 방면 막차 시간이 늦기 때문에 삼송역에서 2시 직전에 일산행 막차를 탈수있어서 심야 수요가 꽤 있는 편이다.

고양동과 영등포를 잇는 7602번이 2025년 4월 1일에 개통되었는데, 북삼송 지역인 신원마을과 남삼송 지역인 삼송마을을 모두 경유한다. 원흥지구(도래울마을)와 향동, 덕은을 거쳐 가양역까지는 30~40분이 소요 되고 영등포역까지는 1시간이 조금 넘게 소요 된다.

파주와 서울(숭례문)을 잇는 노선인 9709번9710번이 지구 동쪽 통일로를 경유하고 있어서 신원마을이나 삼송역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신원마을은 서울로 가려면 삼송역까지 마을버스를 타고 환승해야 하는데, 이러한 번거로움으로 통일로에서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수요가 존재한다.

4.2.2. 시내버스

4.2.3. 마을버스

4.2.4. 공항버스

파일:7500_6057(1).jpg
경기고속 7500번

7500번 버스가 상행선은 삼송역4번출구 정류장과 원흥역1번출구.방송통신대 정류장에, 하행선은 삼송역5번출구 정류장과 원흥역8번출구.방송통신대 정류장에 정차한다.

4.3. 도로교통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퇴계원 방면 관내 개소 일산 방면 ▶
양주TG 통일로IC 고양JC
평택파주고속도로
◀ 서울 방면 관내 개소 파주 방면 ▶
봉대산JC 흥도IC 고양TG

고속도로 나들목으로는 지구북쪽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일로IC가 있고 권율대로를 타고 지구 남부에 있는 평택파주고속도로 흥도IC로 갈 수 있다.

1번 국도(통일로)가 삼송지구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서울로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 삼송역 사거리에서 삼송로가 동서로 관통하며, 동산삼거리에서 356번 지방도(고양대로)가 분기한다. 오금동 끄트머리에는 371번 지방도(일영로)가 남북으로 지난다.

삼송지구 북쪽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일로IC가 있어, 수도권 각지로의 이동이 편리하나.. 문제는 서울 강북 도심으로 들어가는 구간인 통일로의 만성 정체 현상. 통일로 주변으로 삼송지구는 물론 지축지구가 개발 중에 있고 은평뉴타운의 입주가 완료된데다, 버스중앙차로제가 실시되면서 통일로는 서부간선도로에 버금갈 정도의 상시 교통체증에 시달리는 헬게이트화에 시달리고 있다.

게다가 북쪽으로 조금만 더 올라가면 벽제시립묘지, 용미리시립묘지 등 특정 기간에 사람이 몰리기 딱 좋은 시설들이 널려 있기 때문에 말 그대로 도로가 미어 터진다. 몇몇 주민들의 경우 통일로가 막힐 것을 예측하고 삼송역사거리에서 우회전을 하지 않고 지축 방향으로 우회하여 일영로(371번 지방도)를 통해 은평뉴타운 내부로 바로 진입한 다음 북한산로연서로를 통해 시내로 들어가는 경우도 많다.

스타필드 고양이 오픈하면서 통일로고양대로가 만나는 동산삼거리와 스타필드앞 고양대로가 공휴일 낮 시간엔 미친듯이 헬게이트가 열린다.

5. 교육

도시계획상 문제로 학급 수가 부족한 걸로 악명높은 은평뉴타운과는 달리 세대 수에 비례해 적정선의 공립학교가 지어졌다. 특히 신혼부부가 많은 LH단지 근처에 초등학교가 많은 편이다. 다만 예외적으로 고양동산고등학교는 비정상적으로 작게 지어졌다.

초등학교로는 지구조성전부터 존재했던 삼송초등학교[8], 신원초등학교[9]와 지구조성 당시 신설된 고양동산초등학교, 고양오금초등학교가 있다. 그리고 조성 이후 추가로 신설된 창릉초등학교원흥초등학교 총 6개의 초등학교가 있다.

초등학교 배정 현황은 다음과 같다.
중학교로는 조성전부터 고양고등학교와 붙어있던 고양중학교[10]신원중학교, 2025년에 새로 개교한 원흥중학교 총 3개의 학교가 있으며 이 3개의 학교들과 지축중학교가 한 학군으로 편성되어 있어서 지망을 적고 배정되는 형식이다.

고등학교로는 고양동산고등학교만 존재했지만 2021년 3월 1일 신원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특성화고등학교고양고등학교삼송역 인근에 위치하여있지만 개발구역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논외.

6. 여담

7. 관련 문서


[1] 다만 당시에는 현 화전동, 대덕동(옛 화전읍 지역)도 신도읍 관할이었으며, 이후 1985년 화전읍으로 분리되었다.[2] 일산신도시 및 행신.화정지구 개발시에는 코렁탕 대상물들까지 화끈하게 밀어버리고(즉 이전시키고) 거대한 하나의 신도시로 개발했었다.[3] 2025년 6월 폐선 예정[4] 2025년 6월 폐선 예정[5] 2025년 6월 폐선 예정[6] 다른 노선들 처럼 통일로가 아닌 고양대로를 통해 구일산, 운정을 거쳐 금촌으로 간다.[7] 2025년 6월 폐선 예정[8] 2014년 3월 1일 신축교사로 이전[9] 2013년 3월 1일 신축교사로 이전[10] 2013년 2월 15일 신축교사로 이전[11] 법정동 기준으로 동산동, 신원동, 삼송동은 95% 이상이 02이며, 원흥역 주변은 80% 이상이 031이다. 실제로 동산동, 신원동, 삼송동을 비롯한 옛 신도읍 지역은 과거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속했으며, 그 영향으로 02를 사용하고 있다. 반면 원흥동은 옛 원당읍 지역이었기 때문에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속한 적이 없다.[12] 서울 지역번호는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일부에서 사용하는 300번대 국번을 사용하며, 경기도 지역번호는 고양시 전역에서 사용중인 960번~970번대 국번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