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사랑해(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사랑해(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사랑해(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의미: }}}[[사랑해(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사랑해(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사랑해(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한국어 중 순우리말로 '사랑하다'의 의미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표현이다. '사랑'+'하다'가 결합한 '사랑하다'에 해체가 쓰인 것이다. 밀접한 사람들 사이에서 쓰다 보니 '사랑합니다'(하십시오체), '사랑해요'(해요체)보다 출현 빈도가 높은 편이다.갤럭시 스마트폰에 "사랑해"를 입력할 경우 자동 완성 기능에 초록색 하트(💚)가, "사랑해요" 혹은 "사랑합니다"를 입력할 경우 자동 완성 기능에 보라색 하트(💜)가 출력된다.
2. 세계 각 언어의 사랑 표현
더 자세한 내용은 영문 위키를 참조하면 된다.한국어와 일본어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인칭대명사를 집어넣는 편이다. 반면 한국어와 일본어는 사랑이라는 명사를 동사형으로 바꾸지, 굳이 인칭대명사를 넣지는 않는다. 교착어라고 해도 헝가리어를 제외하면 대다수가 그렇다. 하지만 높은 확률로 아래 문장들을 어떤 언어로 번역하든 아래 나와 있는 문장들로 번역하게 된다.
단, 영어의 3인칭 단수 동사형 'Loves'처럼 '사랑'의 동사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영어는 굴절이 적어서 비 3인칭 단수의 동사형은 명사형과 같은 Love이다. 즉 '나는 사랑해'는 'I love'지만 '아무개는 사랑해'는 '아무개 loves'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한편 아시아의 많은 나라에서는 성별에 따라 성별에게 하는 말이 각기 다르다. 은근히 남자가 하는 말과 여자가 하는 말이 다른 경우들이 간간히 보인다. 중립적인 언어의 문장은 어떻게 번역하는지 의문이다.
언어 | 표기 방법 | 발음 | 어형 |
한국어 | 사랑해 | 사랑해(saranghae) | 동사형 추가 |
영어 | I love you | 아이 러브 유 | 1인칭, 2인칭 추가 |
일본어 | 愛してる, 大好き[1] | 아이시떼루, 다이스키 | 동사형 추가 |
프랑스어 | Je t'aime[2] | 쥬뗌 | 1인칭, 2인칭 추가 |
독일어 | Ich liebe dich | 이히 리베 디히 | 1인칭, 2인칭 추가 |
그리스어 | Σε αγαπώ, Σ’ αγαπώ | 세 아가뽀, 사가뽀 | 2인칭 추가 |
필리핀어 (타갈로그어) | Mahal kita | 마할 끼따 | 2인칭 추가 |
루마니아어 | Te iubesc | 테 유베스크 | 2인칭 추가 |
러시아어 | Я тебя люблю | 야 찌뱌 류블류[3] | 1인칭, 2인칭 추가 |
이탈리아어 | Ti amo | 띠 아모[4] | 2인칭 추가 |
포르투갈어 | Gosto muito de te | 고스뚜 무이뚜 드 뜨(유럽식)/지 체(브라질식)[5] | 1인칭, 2인칭 추가 |
스페인어 | Te quiero, Te amo | 떼 끼에로, 떼 아모[6] | 2인칭 추가 |
헝가리어 | Szeretlek | 세레틀렉[7] | 동사형 추가 |
네덜란드어 | Ik hou van jou | 익 허우 반 여우 | 1인칭, 2인칭 추가 |
덴마크어 | Jeg elsker dig | 야 엘스커 다끄 | 1인칭, 2인칭 추가 |
폴란드어 | Kocham cię | 코캄 치엥 | 2인칭 추가 |
핀란드어 | Rakastan sinua | 라카스탄 지누아 | 2인칭 추가 |
세르보크로아트어 | Bо̏лӣм те Volim te | 볼림 테 | 2인칭 추가 |
아삼어 | মৈ তমাক ভাল পাউ | ||
아랍어 | أُحِبُّك | 우히부카(여자가 남자에게),우히부키(남자가 여자에게) | |
벵골어 | আমি তমায ভালবাষি | 아미 타마야 발라바시 | |
버마어 | Chit pa de | ||
크메르어 | Bong sro lanh oon [8] | ||
표준 중국어 | 我爱你/我愛你 | 워 아이 니 | 1인칭, 2인칭 추가 |
광동어 | 我鐘意你 | 어 쫑이 레이 | 1인칭, 2인칭 추가 |
페르시아어 | ترا دوست میدارم | 토러 두스트 미더람 | |
구자라트어 | હોન તને પ્રેમ કરોન છોન | ||
히브리어 | אני אוהב אותך אני אוהבת אותך [9] | 아니 오헤브 오타흐 아니 오헤벳트 오트하 | |
힌디어 | मैं तुम्से प्यार कर्ता हूँ | 매 뚬세 뺘르 까르따 훙 [10] | |
몽어 | Kuv Hlub Koj | ||
마인어 | Aku cinta kamu Saya cintakan mu[11] | 아쿠 친타 카무 싸야 친타칸 무 | 1인칭, 2인칭 추가 |
자바어 | Kula tresna sampeyan Aku tresna sampeyan. | 1인칭, 2인칭 추가 | |
칸나다어 | ನಾನು ನಿನ್ನನ್ನು ಪ್ರೀತಿಸುತ್ತೇನೆ ನಾನು ನಿನ್ನನ್ನು ಇಷ್ಟಪಟ್ಟಿರುವೆ | ||
카자흐어 | Мен сені жаксы коремін | 몐 셰느 작스 코례믄 | 1인칭, 2인칭 추가 |
쿠르드어 | Ez te hezdikhem | 에즈 테 헤즈디헴 | 1인칭, 2인칭 추가 |
카슈미르어 | Mai choo chai saathi mohabat | ||
라오어 | Koi muk jao | 1인칭, 2인칭 추가 | |
말라얄람어 | ഞന നിണെ പ്രെമികുണു | ||
마라티어 | मे तुझशि प्रेम कर्तो [12] | ||
몽골어 | Би чамд хайртай | 비 참드 해르태 | 1인칭, 2인칭 추가 |
네팔어 | Ma timilai maayaa garchhu | 1인칭, 2인칭 추가 | |
파슈토어 | Za tasara mena kawaoma | 1인칭, 2인칭 추가 | |
펀자브어 | ਮੈ ਟੌਨੁ ਪ੍ਯਰ ਕ੍ਰਦ | ||
쇼나어 | Ndinokuda | ||
신디어 | Man Tokhe Prem Karyan To [13] | ||
싱할라어 | Mama oyata adarai | ||
소말리어 | Waan ku jeclahay | 완 쿠 젤라하이 | 1인칭, 2인칭 추가 |
수어 | Techihhila | ||
순다어 | Abdi bogoh ka anjeun | 1인칭, 2인칭 추가 | |
스와힐리어 | Naku penda "상대 이름" | 나쿠 펜다 | 1인칭, 2인칭 추가 |
스웨덴어 | Jag älskar dig. | 여(ㄱ) 앨스카 데이 | 1인칭, 2인칭 추가 |
스위스 독일어 | Ich lieb dich. | 1인칭, 2인칭 추가 | |
슬로바키아어 | Mám ťa rád Ľúbim ťa Milujem ťa. | 1인칭, 2인칭 추가 | |
타밀어 | நான் உன்னைக் காதலிக்கிறேன் | 난 우나이 까달리키렌 | 1인칭, 2인칭 추가 |
텔루구어 | నేను నిన్ను ప్రేమిస్తున్నాను | 1인칭, 2인칭 추가 | |
태국어 | ผมรักคุณ ฉันรักคุณ | 폼락쿤, 찬락쿤[14] | |
튀르키예어 | Seni seviyorum | 세니 세비요룸 | 1인칭, 2인칭 추가 |
우르두어 | مجھے تمسو محبت ہے | ||
베트남어 | Anh yêu em [15] | 아잉 이에우 엠 | 1인칭, 2인칭 추가 |
에스페란토 | Mi amas vin | 미 아마스 빈 | 1인칭, 2인칭 추가 |
우즈베크어 | Men sizni sevaman | 멘 스즈느 세바만 | 1인칭, 2인칭 추가 |
[1] 愛してる(아이시떼루)는 현대 일본어에서는 다소 시적인 표현으로 취급된다. 쉽게 생각하자면 사랑해 라는 뜻보단 결혼해줘 정도의 무게감이 있다고 보면 된다. 일반적으로는 大好き(다이스키)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쓴다. 연인뿐만 아니라 친구나 가족 사이에서도 포괄적으로 쓸 수 있는 표현이다.[2] 친구 사이에는 주로 Je t'aime beaucoup라는 표현을 쓴다.[3] 러시아어에서는 인칭대명사가 목적어일 경우 대부분 동사 앞에 온다.[4] 친구나 가족간에도 절대로 쓰지 못하는 표현은 아니지만 대체로는 연인간의 사랑을 표현할 때 쓰는 말이고 우정이나 가족애같은 애정을 표현할 때는 주로 Ti voglio bene(티 볼료 베네)를 쓴다.[5] '난 너를 정말 많이 좋아해'란 뜻이다.[6] 전자는 너를 원해, 후자는 너를 사랑해 란 뜻.[7]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인칭대명사 없는 동사형이다.[8] 남자가 여자에게 사랑해라고 표현할때 쓴다.[9] 위에껀 남자가 여자에게 하는 사랑해, 아래의 문구는 여자가 남자에게 사랑한다고 할때 사용하는 사랑해.[10] 남자가 여자에게 사랑한다고 말할 때. 여자가 남자에게 사랑한다고 말할땐 "मैं तुम्से प्यार कर्ती हूँ(매 뚬세 뺘르 까르띠 훙)."라고 쓴다.[11] 위는 인도네시아식 표현, 아래는 말레이시아식 표현[12] 남자가 여자에게. 여자가 남자에게는 मे तुझशि प्रेम कर्ते[13] 남자가 여자에게. 여자가 남자에게는 "Man Tokhe Prem Karyan Ti" 라고 한다.[14] 남자는 폼락쿤, 여자는 찬락쿤이라고 한다.[15] 남자가 여자에게. 여자가 남자에게는 Em yêu 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