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브라우나우암인 Braunau am Inn | |||
오스트리아 오버외스터라이히주에 위치한 작은 마을. 마을 북쪽에 바로 독일 바이에른과 경계를 이루는 인(Inn)강이 지난다고 해서 브라우나우암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인 강 맞은편에는 독일 마을인 짐바흐암인(Simbach am Inn)이 있고 도로교와 철교로 이어져 있다. 인구는 2023년 기준으로 17,572명이다.
2. 아돌프 히틀러의 출생지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dd0200,#ff9484> | 아돌프 히틀러 관련 문서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생애 · 평가(군사적 능력) · 창작물 · 가족관계 · 여담 | ||
나치즘 |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e5e5e5> 사상 | 나치즘(파시즘 · 군국주의 · 인종주의 · 대독일주의 · 반유대주의 · 국가주의 · 국수주의 · 전체주의 · 지도자원리) | ||
상징 | 나치식 경례 · 하켄크로이츠 · 블루트파네 · 슈바르체존네 | ||
사건사고 |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 수권법 · 홀로코스트 · 뉘른베르크 법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 T4 작전 · 아기공장 | ||
조직 및 국가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툴레 협회 · 독일 국방군(GFP · 국방군최고사령부 · 육군최고사령부 · 공군최고사령부 · 해군최고사령부) · 슈츠슈타펠(무장친위대 · 아인자츠그루펜 · 게슈타포) · 돌격대 · 질서경찰 · 아넨에르베 · 아프베어 · 히틀러유겐트 · 나치 독일 | ||
선전물 | 나의 투쟁 · 그대, 히틀러에게 만세를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아돌프 히틀러 거리에 나무가 서 있네 | ||
제2차 세계 대전 | |||
사건사고 | 강철 조약 · 독소 불가침조약 · 라인란트 재무장 · 뮌헨 협정 · 폴란드 침공 · 독소전쟁 | ||
인물 | |||
나치 관련 인물 | 하인리히 힘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루돌프 헤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아돌프 아이히만 · 카를 되니츠 · 루츠 폰 크로지크 | ||
추축국 정상 | 베니토 무솔리니 · 호르티 미클로시 · 살러시 페렌츠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 요제프 티소 · 에밀 하하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 비드쿤 크비슬링 · 필리프 페탱 · 밀란 네디치 · 이반 미하일로프 · 안드레이 블라소프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 쇼와 덴노 · 도조 히데키 | ||
연합국 정상 | 샤를 드골 · 이오시프 스탈린 · 윈스턴 처칠 · 장제스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
기타 | |||
선거 | 1932년 독일 대통령 선거 | ||
사건사고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 히틀러 암살계획 | ||
장소 | 브라우나우암인 · 퓌러붕커 · 켈슈타인하우스 | ||
기타 | 퓌러 · 에바 브라운 · 블론디 · 히틀러 갤러리 ·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ㆍ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 | ||
추축국에 관련된 문서는 틀:추축국 참고 제2차 세계 대전에 관련된 문서는 틀:제2차 세계 대전 참고 | |||
| }}}}}}}}} |
흔한 오스트리아의 한적한 시골마을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곳은 아돌프 히틀러가 태어난 지역으로 유명하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때 별다른 공격을 받지 않아 히틀러의 생가도 무사해서 130년이 넘게 지난 현재까지 멀쩡히 보존되어 있다.
|
FÜR FRIEDEN FREIHEIT UND DEMOKRATIE NIE WIEDER FASCHISMUS MILLIONEN TOTE MAHNEN |
평화와 자유 그리고 민주주의를 위해 다시는 파시즘이 없기를 수백만의 죽음이 경고한다 |
브라우나우암인의 히틀러의 생가 앞에 설치된 비석. 히틀러의 생가라는 표시는 전혀 없고 그저 위의 독일어 글귀만이 새겨져 있다. |
세무공무원이던 히틀러의 아버지 알로이스 히틀러는 브라우나우암인, 린츠 등등을 오가면서 공직생활을 했는데 브라우나우암인에서 근무할 적에 세들어 산 집 3층에서 클라라가 아돌프 히틀러를 낳았다. 다만 히틀러는 이 곳이 아닌 린츠를 자신의 고향으로 칭했으며 나의 투쟁과 안슐루스에 대한 언급을 할때도 항상 린츠가 자신의 고향임을 강조하였다.
히틀러의 생가였던 이 건물은 1910년대 이후 소유주가 따로 있었으나 오스트리아 정부에서 1972년부터 건물을 임대해 장애인 복지 시설과 도서관 등으로 활용해 왔다. 소유주와 정부의 수십 년에 걸친 법정공방 끝에 2019년 8월 소유주에게 81만 유로(당시 약 11억 원)를 보상하기로 판결되었다. # 2016년에는 네오나치 세력의 '성지'가 될 우려가 있어서 철거하려고 했으나 정치권과 사학계의 반발이 커서 2019년 11월 경찰서로 개조하기로 결정되었다. # 2023년에는 경찰들을 위한 인권 교육장으로 용도를 변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