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23:35:46

배산 전투

고구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c5b35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0> 고구려-신 전쟁
,12 ~ 14,
<colbgcolor=#fff,#191919> 신나라
1차 좌원 전투
,172,
후한
고구려-위 전쟁
,244 ~ 259,
제1차 양맥 전투
,244,
조위
비류수 전투
,244,
조위
제2차 양맥 전투
,259,
조위
신라-왜 전쟁
,364 ~ 404,
백제 가야
고구려-백제 전쟁
,369 ~ 607,
치양 전투
,369,
백제
제1차 평양성 전투
,371,
백제
제2차 평양성 전투
,377,
백제
오곡원 전투
,529,
백제
백합야 전투
,553,
백제
독성산성 전투
,548,
신라 백제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551 ~ 553,
신라 백제
배산 전투
,577?,
북주
온달산성 전투
,590,
신라
제1차 고구려-수 전쟁
,598,
수나라
북한산성 전투
,603,
신라
제2차 고구려-수 전쟁
,612,
살수대첩
,612,
수나라
제3차 고구려-수 전쟁
,613,
수나라
제4차 고구려-수 전쟁
,614,
수나라
제1차 칠중성 전투
,638,
신라
제1차 고구려-당 전쟁
,645,
주필산 전투
,645,
당나라
안시성 전투
,645,
당나라
제2차 고구려-당 전쟁
,660 ~ 662,
제2차 칠중성 전투
,660,
신라
북한산성 전투
,661,
신라
평양성 전투
,661 ~ 662,
신라 당나라
제3차 고구려-당 전쟁
,667 ~ 668,
평양성 전투
,668,
신라 당나라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고구려 군기.svg평원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000,#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배산 전투
가족 부왕 양원왕
태자 영양왕 · 왕자 영류왕 · 왕자 대양왕 · 왕녀 평강공주
사위 온달
관련 문서 장안 | 강서대묘
}}}}}}}}} ||
배산 전투
拜山 戰鬪
<colbgcolor=#C00D45,#600823><colcolor=white> 시기 577년(?) (평원왕 18년)
장소 배산[1]의 벌판
원인 사료 부족으로 인한 원인 불명[2]
교전국 고려
(공격)
<rowcolor=black> 북주
(방어)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고구려 군기.svg 평원왕 (고구려 태왕)
파일:고구려 군기.svg 온달 (고구려 대형)
지휘관

[[북주|
]] 지휘관 불명
병력 병력 규모 불명 병력 규모 불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고구려의 대승
영향 온달의 정치적 입지 강화

1. 소개2. 전투3. 밝혀지지 않은 것들4. 여담

[clearfix]

1. 소개

고구려북주 간의 야전이다.

다만 기록이 무척이나 부실한데 《삼국사기》 본기엔 기록이 없으며, 《삼국사기》 <온달 열전>에만 짤막하게 언급된다. 그 외에 신채호가 쓴 《조선상고사》나 이맥이 썼다는 《태백일사》[3]에도 해당 내용이 나오긴 하지만 《조선상고사》는 《삼국사기》의 기록과 별반 다르지 않고, 《태백일사》의 경우엔 애초에 위서인 《환단고기》에 수록된 부분이므로 신뢰도가 없다.

2. 전투

정확한 시기는 불명이나 《동사강목》에는 평원왕 19년(577년)에 벌어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북주에 의해 북제가 멸망한 577년 정월부터 무제가 사망한 578년 6월 사이에 일어난 전투로 추정하는 의견도 있다. 일단 《동사강목》과 《삼국사기》의 기록을 종합했을 때, 북주우문옹이 군대를 내어 요동을 침공했고, 이때 평원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출정했다고 볼 수 있다. 병력의 수는 불명이다.
이때 북주의 무제(武帝)가 군사를 내어 요동(遼東)에 쳐들어오자, 왕은 군대를 거느리고 배산(拜山)의 들에서 맞아 싸웠다. 온달이 선봉이 되어 날래게 싸워 수십여 명의 목을 베니, 모든 군사들이 승세를 타고 떨쳐 공격하여 크게 이겼다.
《삼국사기》 <온달 열전>.

그 뒤에 주(周)의 무제(武帝)가 지나 북쪽을 통일하여 위염을 떨치고 , 고구려의 강함을 시기하여 요동에 침입해와서 배산(拜山)의 들에서 맞아 싸우는데, 어떤 사람이 혼자서 용감하게 나가 싸웠다. 칼 쓰는 솜씨가 능란하고 활 쏘는 재주도 신묘하여 수백 명 적의 군사를 순식 간에 목베었다. 알아보니 그는 곧 온달이었다.
《조선상고사》
양측의 군대가 배산(拜山)의 벌판에서 마주하게 되고 이어 회전이 벌어졌는데 이때 평원왕의 사위였던 온달이 선봉에 서서 적진으로 돌격, 수십여명의 목을 베어 승기를 잡고, 이에 고구려군의 사기가 차올라 적들을 쓸어버렸다고 한다.

3. 밝혀지지 않은 것들

4. 여담



[1] 혹은 이산.[2] 고보녕을 두고 일어난 두 나라의 갈등, 고구려의 팽창을 견제하기 위한 북주의 침입 등 여러가지 가설이 있으나 현재까지 정확한 원인은 불명이다.[3] 위서인 《환단고기》에도 언급되는 그 책이다.[4] 이 경우 배산(拜山)의 '배(拜)' 는 고구려어로 배우다(肄, 익힐 이, 배울 이)를 의미하는 단어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