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대외 전쟁·분쟁 | |||
{{{#!wiki style="color: #c5b35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000> 고구려-신 전쟁 ,12 ~ 14, | <colbgcolor=#fff,#191919> 신나라 | ||
1차 좌원 전투 ,172, | 후한 | ||
고구려-위 전쟁 ,244 ~ 259, | 제1차 양맥 전투 ,244, | 조위 | |
비류수 전투 ,244, | 조위 | ||
제2차 양맥 전투 ,259, | 조위 | ||
신라-왜 전쟁 ,364 ~ 404, | 왜 백제 가야 | ||
고구려-백제 전쟁 ,369 ~ 607, | 치양 전투 ,369, | 백제 | |
제1차 평양성 전투 ,371, | 백제 | ||
제2차 평양성 전투 ,377, | 백제 | ||
오곡원 전투 ,529, | 백제 | ||
백합야 전투 ,553, | 백제 | ||
독성산성 전투 ,548, | 신라 백제 | ||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551 ~ 553, | 신라 백제 | ||
배산 전투 ,577?, | 북주 | ||
온달산성 전투 ,590, | 신라 | ||
제1차 고구려-수 전쟁 ,598, | 수나라 | ||
북한산성 전투 ,603, | 신라 | ||
제2차 고구려-수 전쟁 ,612, | 살수대첩 ,612, | 수나라 | |
제3차 고구려-수 전쟁 ,613, | 수나라 | ||
제4차 고구려-수 전쟁 ,614, | 수나라 | ||
제1차 칠중성 전투 ,638, | 신라 | ||
제1차 고구려-당 전쟁 ,645, | 주필산 전투 ,645, | 당나라 | |
안시성 전투 ,645, | 당나라 | ||
제2차 고구려-당 전쟁 ,660 ~ 662, | 제2차 칠중성 전투 ,660, | 신라 | |
북한산성 전투 ,661, | 신라 | ||
평양성 전투 ,661 ~ 662, | 신라 당나라 | ||
제3차 고구려-당 전쟁 ,667 ~ 668, | 평양성 전투 ,668, | 신라 당나라 | }}}}}}}}} |
백제의 대외 전쟁·분쟁 | |||
{{{#!wiki style="color: #fbe673;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008080> 고구려-백제 전쟁 ,369 ~ 607, | 치양 전투 ,369, | <colbgcolor=#fff,#191919> 고구려 | |
제1차 평양성 전투 ,371, | 고구려 | ||
제2차 평양성 전투 ,377, | 고구려 | ||
오곡원 전투 ,529, | 고구려 | ||
백합벌 전투 ,553, | 고구려 | ||
독성산성 전투 ,548, | 고구려 | ||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551 ~ 553, | 고구려 | ||
관산성 전투 ,554, | 신라 | ||
가야멸망전 ,562, | 신라 | ||
아막성 전투 ,602, | 신라 | ||
1차 가잠성 전투 ,611, | 신라 | ||
2차 가잠성 전투 ,618, | 신라 | ||
3차 가잠성 전투 ,628, | 신라 | ||
대야성 전투 ,642, | 신라 | ||
황산벌 전투 ,660, | 신라 당나라 | }}}}}}}}} |
백합야 전투 百合野 戰鬪 | ||
<colbgcolor=#C00D45,#600823><colcolor=white> 시기 | 553년 (양원왕 9년) 10월 20일~21일 | |
장소 | 백합 근처의 벌판 (現 김포 통진읍 일대로 추정) | |
원인 | 나제동맹 파탄, 신라와 고구려의 동맹 체결 (여라밀약) | |
교전국 | <rowcolor=black> 백제-가야-왜 (공격) 승 | 고구려 (수비) 패 |
주요 인물 | 지휘관 위덕왕 지휘관 불명 [[왜국| 倭 ]] 지휘관 불명 | 지휘관 양원왕 |
병력 | 병력 규모 불명 | 병력 규모 불명 |
피해 | 피해 규모 불명 | 피해 규모 불명 |
결과 | 백제-가야-왜 연합의 승리 | |
영향 | 백제, 신라와 한반도 주도권 쟁패 |
[clearfix]
1. 개요
백제의 태자 부여창의 단기접전(單騎接戰)으로 유명한 전투. 《삼국사기》를 비롯한 국내 사서에선 등장하지 않으며 《일본서기》에서만 기록되어 있다.사실 한국 고대사 관련 사료에서는 그냥 이런저런 상태로 싸웠다 정도로 간략하게 기록한 경우가 많은데[1] 백합야 전투는 고대 한국의 전쟁 기록 치고는 눈 앞에서 이야기하듯 생생하고 자세하게 진행 양상이 기록되었다.
2. 배경
백제와 신라는 나제동맹을 따라 공동으로 고구려를 공격해 고구려 남부 땅을 빼앗았지만, 《일본서기》에 따르면 더 이상의 피해를 막기 위해 고구려가 신라와 손을 잡아버렸다. 553년 10월 20일, 백제의 왕자 부여창이 대군을 이끌고[2] 고구려를 침공하기 위해 위쪽으로 올라가고 있었다.[3] 이에 양원왕이 친히 고구려군을 이끌고 내려오게 되었고, 이 두 전력이 마주한 곳은 백합(百合)이라는 이름의 벌판이었다. 400년ㆍ404년 때처럼 광개토대왕에게 당한 것과는 다르다.3. 전투
(553년) 겨울 10월 경인(庚寅)삭 기유(己酉; 20일), 백제(百濟)의 왕자 여창(餘昌)명왕(明王)의 아들 위덕왕(威德王)이다이 나라 안의 모든 군대를 내어 고려국(高麗國)을 향했는데, 백합(百合)의 들판에 보루를 쌓고 군사들 속에서 함께 먹고 잤다. 이날 저녁 바라보니 커다란 들은 비옥하고 평원은 끝없이 넓은데, 사람의 자취는 드물고 개소리도 들리지 않았다.
얼마 후 갑자기 북치고 피리 부는 소리가 들리니 여창이 크게 놀라 북을 쳐 대응하였다. 밤새 굳게 지키다가 새벽이 되어 일어나 텅 비었던 들판을 보니 군대가 푸른 산처럼 덮여 있었고 깃발이 가득하였다. 때마침 날이 밝자 목에 경개(頸鎧)[4]를 입은 자 1기(騎), 징(鐃)징인지 아닌지 자세하지 않다을 꼽은 자 2기, 표범 꼬리를 끼운 자 2기 모두 합해 5기가 말고삐를 나란히 하고 와서 묻기를 "어린 아이들이 '우리 들판에 손님이 있다'고 하였는데 어찌 맞이하는 예를 행하지 않겠는가. 우리와 더불어 예로써 문답할 만한 사람의 이름과 나이·관위를 미리 알고자 한다." 고 하였다.
여창이 "성(姓)은 (고구려 왕실과) 같은 성이고 관직은 한솔(杆率)이며 나이는 29세이다."라고 대답하였다. 백제 편에서 반문하니 또한 앞의 법식대로 대답하였다.
드디어 표를 세우고 싸우기 시작하였다. 이 때 백제(왕자)는 고려의 용사를 창으로 찔러 말에서 떨어뜨려 머리를 베었다. 그리고 (여창이) 머리를 창끝에 찔러 들고 돌아와 군사들에게 보이니, 고려군 장수들의 분노가 더욱 심하였다. 이 때 백제군이 환호하는 소리에 천지가 찢어질 듯하였다.
다시 그 부장(副將)이 북을 치며 달려 나아가 고려왕을 동성산(東聖山) 위까지 쫓아가 물리쳤다.
《일본서기》 긴메이 덴노
백제·가야·왜 연합군이 백합에서 진을 치고 보루를 쌓아 대비를 하고 있었는데 밤에 고구려군이 백합 벌판으로 당도하여 이들은 고구려군과 마주하게 되었다.얼마 후 갑자기 북치고 피리 부는 소리가 들리니 여창이 크게 놀라 북을 쳐 대응하였다. 밤새 굳게 지키다가 새벽이 되어 일어나 텅 비었던 들판을 보니 군대가 푸른 산처럼 덮여 있었고 깃발이 가득하였다. 때마침 날이 밝자 목에 경개(頸鎧)[4]를 입은 자 1기(騎), 징(鐃)징인지 아닌지 자세하지 않다을 꼽은 자 2기, 표범 꼬리를 끼운 자 2기 모두 합해 5기가 말고삐를 나란히 하고 와서 묻기를 "어린 아이들이 '우리 들판에 손님이 있다'고 하였는데 어찌 맞이하는 예를 행하지 않겠는가. 우리와 더불어 예로써 문답할 만한 사람의 이름과 나이·관위를 미리 알고자 한다." 고 하였다.
여창이 "성(姓)은 (고구려 왕실과) 같은 성이고 관직은 한솔(杆率)이며 나이는 29세이다."라고 대답하였다. 백제 편에서 반문하니 또한 앞의 법식대로 대답하였다.
드디어 표를 세우고 싸우기 시작하였다. 이 때 백제(왕자)는 고려의 용사를 창으로 찔러 말에서 떨어뜨려 머리를 베었다. 그리고 (여창이) 머리를 창끝에 찔러 들고 돌아와 군사들에게 보이니, 고려군 장수들의 분노가 더욱 심하였다. 이 때 백제군이 환호하는 소리에 천지가 찢어질 듯하였다.
다시 그 부장(副將)이 북을 치며 달려 나아가 고려왕을 동성산(東聖山) 위까지 쫓아가 물리쳤다.
《일본서기》 긴메이 덴노
10월 21일 새벽, 고구려군에서 5명의 장수가 나와 "내가 왔다." 며 "그대 이름이 뭔가?" 라고 통성명(通姓名)을 신청한다.
이에 부여창이 직접 나서서 "내 성은 고구려 왕가와 같고[5] 관직은 한솔이며[6] 나이는 29살이다. 너는 뭐냐." 고 대꾸해 주었다.
고구려군 측에서도 마찬가지로 대답하였고 그 뒤 고구려 장수와 부여창이 단기접전을 시전했는데 부여창이 고구려 장수를 창으로 찔러 말에서 떨어트렸고 목을 따서 창에다 걸었다.
이에 연합군이 엄청난 사기를 얻었고 이후 고구려군과의 교전에서 크게 승리해 양원왕과 고구려군을 동성산[7] 위쪽 지역까지 쫒아 보냈다고 한다.
고구려를 일단 격퇴한 백제 연합군은 이후 554년 1월 다음 목표로 신라를 공격한다. 관산성 전투 문서 참고.
4. 여담
참고로 이 기록은 태조 이성계와 호발도간 기록과 더불어 한국사를 통틀어 두 개 밖에 남아있지 않은 구체적인 단기접전 기록이다. 일신의 무력만 따진다면 보우마스터 이성계와 더불어 한국사 역대 국왕 중 최고 레벨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이와 더불어 고대 한반도에서 중세 일본의 나노리, 일기토와 유사한 풍습이 있음을 알 수 있다.
[1] 당장 기벌포 전투만 해도 실제로는 23번이나 싸웠다는데 기록에서 나오는 진행 양상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준이다.[2] 일본서기의 기록에 따르면 백제 전역의 군대를 모아서 출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는 400년ㆍ404년 때처럼 가야와 왜의 원군도 있었다.[3] 참고로 이 해 7월에 백제가 한강 하류 유역을 포기했고 신라의 장군 김무력이 백제 동북쪽 변두리를 쳐서 신주(新州)를 설치했다.[4] 목에 두르는 갑옷[5] 본디 성은 혈통을, 씨(氏)는 그 분파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강태공(姜太公)'과 '여상(呂尙)'이 혼용되는 게 이 때의 흔적이다(강성 여씨이기 때문). 고구려의 국성은 고씨였고 백제는 부여씨를 칭했지만, 온조왕이 고구려에서 내려왔다는 백제 건국 설화에서도 드러나듯 두 나라의 연원이 같으며, 이를 짚은 것이다.[6] 관위 5등으로 전체로 치면 높긴 하지만 태자에게 부여된 관등치고는 그렇게 높은 관등은 아니다. 전근대의 성년은 만 15세 정도였고 이때부터 군역이 시작되었으므로 부여창 또한 나이에 비춰볼 때 이미 10년은 넘게 복무해온 베테랑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에도 성왕이 부여창이 병사들과 같이 숙식하며 지내는 걸 걱정했다는 기사로 미루어 볼 때 특별대우를 받지 않고 차근차근 실력을 증명하며 진급한 것으로 보인다.[7] 현재 김포시 월곶 군하리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