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 {{{#!wiki style="margin: 0" |
||<tablewidth=100%><width=20%>
류병현 ||<width=20%>
백석주 ||<width=20%>
박노영 ||<width=20%>
이상훈 ||<width=20%>
한철수 ||
초대
류병현 ||<width=20%>
제2대
백석주 ||<width=20%>
제3대
박노영 ||<width=20%>
제4대
이상훈 ||<width=20%>
제5대
한철수 ||
제6대 정진태 | 제7대 나중배 | 제8대 김진영 | 제9대 김동진 | 제10대 김재창 |
제11대 장성 | 제12대 김동신 | 제13대 정영무 | 제14대 이종옥 | 제15대 남재준 |
제16대 신일순 | 제17대 김장수 | 제18대 이희원 | 제19대 김병관 | 제20대 이성출 |
제21대 황의돈 | 제22대 정승조 | 제23대 권오성 | 제24대 박선우 | 제25대 김현집 |
제26대 임호영 | 제27대 김병주 | 제28대 최병혁 | 제29대 김승겸 | 제30대 안병석 |
제31대 강신철 |
{{{-2 {{{#!wiki style="margin: -0px -1px; margin-top: -27px; display: block; background: #10007c; padding: 5px"
}}}}}} ||
박선우 관련 틀 | ||||||||||||||||||||||||||||||||||||||||||||||||||||||||||||||||||||||||
|
출생 | 1957년 | ||
광주광역시 | |||
재임기간 | 제24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2013년 9월 27일 ~ 2015년 9월 17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가족 | 처 이강희, 슬하 2녀 | |
학력 |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 / 50회) | ||
군사 경력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1979년 ~ 2015년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35기) | ||
최종 계급 | 대장(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주요 보직 |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제2군단장 합동참모본부 군사기획부장 제37보병사단장 이라크 평화·재건사단장 제26기계화보병사단장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합동참모본부 작전계획과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전직 군인. 육군 대장으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2. 생애
1957년 전라남도 광주[1]에서 태어났다. 광주제일고등학교(50회)[2]를 졸업했고 1975년에 육군사관학교 35기로 입학[3]해 1979년에 소위로 임관했다.3. 군사 경력
3.1. 주요 직위
- 대령
- 준장
- 소장 2007년 10월 1차 진급
- 제26기계화보병사단장 (2007.10. ~ 2008.4.)
- 이라크 평화·재건사단장[4] (2008.4. ~ 2008.12.)
- 제37보병사단장 (2008.12. ~ 2009.11.)[5]
-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 군사기획부장 (2009.11. ~ 2010.12.)
- 중장 2010년 12월 1차 진급
- 대장 2013년 9월 1차 진급[7]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2013.9. ~ 2015.9.)[8]
3.2. 합참의장 진출 좌절
육사 동기 신현돈 대장이 1군사령관 재직 중 차후 무혐의로 밝혀지긴 했으나 휴게소 음주 추태 사건으로 자진 전역하며 육사 35기 중 유일한 현역 대장으로 남았다. 그래서 2차 직위 진출은 확실시되었으나, 육사 34기에서 육군참모총장을 연달아 배출했기 때문에[9], 박선우 대장은 육군총장보다는 최윤희 의장의 후임 합참의장 진출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의 파격 군 인사로, 정석적인 후보인 박 대장을 제치고 3사관학교 출신 이순진 대장이 의장에 내정되었다. 이로써 35기는 육군총장과 합참의장을 모두 배출하지 못한 기수가 되었다.원래라면 박 대장이 합참의장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었다. 매 계급 1차 진급을 거듭한 선두주자로서 여러 요직을 거쳐 합참 작전본부장과 연합사 부사령관을 역임한 연합합동작전의 대가였기에, 중장 5차 진급을 할 정도로 진급이 늦고 그간 육군 후방의 한직을 전전했던 이순진 장군보다 합동참모의장으로서의 직무 수행 역량이 뛰어난 것은 너무나 당연했다. 그렇기에 국방 기자들도 박 대장의 합참의장 영전을 당연시했다. 관련기사
인사가 단행될 2015년 하반기 기준으로 당시 육군 대장 중 1, 2, 3군사령관은 각각 취임 기간이 1년 남짓 된 상태였기에[10] 연합사 부사령관을 2년 지낸 박 대장이 합참의장에 취임하고 나머지는 유임되는 게 인사 운용의 정석이었다.
그러나 2015년 9월 14일, 많은 이들의 예상에서 후보에도 없던 제2작전사령관 이순진 대장이 합참의장에 지명되며 결국 박 대장은 전역하게 되었다. 이순진 대장은 3사 출신이기도 했거니와 당시 합참의장 최윤희 제독과 같은 77군번인지라 대부분 사람들이 뒤늦게 단 2군사령관을 끝으로 전역하리라 예상했다.
광주일고 출신이라 대구 출신인 이순진 대장에게 밀린 것이 정부 성향에 의해 출신지역에 따른 불이익을 본 것이라 보는 시각도 있었다. 그 정도로 박선우 대장은 그간 군 내에서의 평판이나 직무역량, 거기에 인사 시기까지 합참의장에 적합했다. 다만 최윤희 의장이 역대 최초 해군 출신이었고, 이순진 의장은 역대 최초 3사 출신이라는 상징성을 보유하고 있었기에, 그간 육사 출신이 독점하던 직위를 강제로라도 타 출신에 배정해야 국방의 균형이 이루어진다는 시선도 있어서 큰 시각으로 보면 국방개혁을 위한 작은 발걸음에 불과하다. 이후로도 합참의장은 정경두(공군), 박한기(학군), 원인철(공군) 등 육군, 육사 일색의 군 수뇌부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직위로서 기능하고 있다.
전역 후 2016년 7월 4일, 27사단에서 강연하기도 했다.
2019년에는 동양대학교 영주캠퍼스에서 '국방 안보론'이라는 교양강좌를 하였다.
전역 후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당시에는 광주일고 선배인 이낙연 후보를 지지했고#, 경선 이후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 김병주, 김도균처럼 민주당 내 안보 전문가로 활동예정으로 알려졌다.
4. 여담
- 특이한 이력으로, 26기계화보병사단장(불무리부대), 이라크평화재건사단장(자이툰부대), 제37보병사단장(충용부대) 등 사단장을 무려 3번이나 역임했다. 이는 직위 이동이 빈번했던 6.25 전쟁 이후 처음이다.
[1] 아직 직할시가 되기 전이었다.[2] 이영만 공군 중장이 고교 동기다.[3] 광주일고-육사 선배로 김동진 전 합참의장과 김장수 전 국가안보실장, 후배로 김용우 전 육군참모총장이 있다.[4] 2008년. 당시 이라크 평화·재건사단장 박선우 소장. 이상희 당시 국방부장관.[5] 사단장만 3번을 지낸 이례적인 사례로 각기 재임 기간은 짧다.[6] 전임자 신현돈, 후임자 신원식[7] 육사 35기 동기 신현돈 장군과 동시 진급. 둘 다 합동작전통으로, 천안함 피격 사건과 연평도 포격전 이후 군 내에서 합동성이 중시되며 합동작전통이 중용되었다.[8] 당시 카운터파트인 한미연합군사령관은 커티스 스캐퍼로티 대장.[9] 권오성 총장이 윤일병 사건으로 물러나고 김요환 총장이 취임.[10] 1군 장준규(2014년 9월 취임), 2군 이순진(2014년 8월 취임), 3군 김현집(2014년 8월 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