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12:34:55

강신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명이 강신철인 배우에 대한 내용은 강유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

{{{#!wiki style="margin: 0"
파일:general_white.png
||<tablewidth=100%><width=20%>
초대

류병현 ||<width=20%>
제2대

백석주 ||<width=20%>
제3대

박노영 ||<width=20%>
제4대

이상훈 ||<width=20%>
제5대

한철수 ||
제6대

정진태
제7대

나중배
제8대

김진영
제9대

김동진
제10대

김재창
제11대

장성
제12대

김동신
제13대

정영무
제14대

이종옥
제15대

남재준
제16대

신일순
제17대

김장수
제18대

이희원
제19대

김병관
제20대

이성출
제21대

황의돈
제22대

정승조
제23대

권오성
제24대

박선우
제25대

김현집
제26대

임호영
제27대

김병주
제28대

최병혁
제29대

김승겸
제30대

안병석
제31대

강신철
}}}}}}
{{{-2 {{{#!wiki style="margin: -0px -1px; margin-top: -27px; display: block; background: #10007c; padding: 5px"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6633><tablebgcolor=#006633>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6633><tablebgcolor=#00663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조종설
2대
이창효
3대
이진성
4대
최진규
직무대리
권영호
5대
강신철
직무대리
심진선
6대
이두희
직무대리
정덕성
7대
김규하
※ 초대~현재: 중장
(직무대리는 소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00205C><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205C>
파일:대한민국 대통령실 흰색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00205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
파일:Brigadier General_white.png 파일:major general_white.png 파일:Lieutenant General_white.png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aa78> ||<-2><bgcolor=#ffd918> ||<bgcolor=#008cd7> ||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임충빈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하정열
제00대

제00대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홍기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8cd7> ||<-3><bgcolor=#c01920> ||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김병기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윤영범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연제욱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장혁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임종득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4ea2> ||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김도균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김현종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안준석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강건작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강신철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e61e2b> ||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임기훈
제00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최병옥
}}}
{{{-2 {{{#!wiki style="margin: -0px -1px; margin-top: -32px; display: block; background: #00205C; padding: 5px"}}}

}}}}}}}}} ||
<colbgcolor=#10007c><colcolor=#fff>
제31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강신철
姜信哲 | Kang Shinchul
파일:연합사부사령관 강신철.jpg
출생 1968년 5월 4일 ([age(1968-05-04)]세)
서울특별시
현직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재임 기간 제31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2023년 10월 31일 ~ 현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0007c><colcolor=#fff> 학력 경성고등학교 (졸업 / 16회)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군사학 / 석사[1])
가족 배우자 이혜경, 슬하 1남 1녀
종교 개신교
군사 경력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90년 ~ 현재
임관 육군사관학교 (46기)
현재 계급 대장 (대한민국 육군)
현재 보직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주요 보직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국가안보실 안보국방전략비서관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부장
제11기계화보병사단
합동군사대학교 육군대학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국방부 군사보좌관
합동참모본부 작전기획과장
국방부 정책관리담당관
한미연합군사령부 정책과장
제11기계화보병사단 제9기보여단
제7보병사단 작전참모
제7보병사단 제8연대 2대대
}}}}}}}}} ||
1. 개요2. 생애3. 군사 경력
3.1.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3.2.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4. 기타5. 저술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군인. 현재 계급은 대장이며, 제31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 중이다.

2. 생애

서울 경성고등학교(16회)[2]를 졸업하고 1986년 육군사관학교 46기로 입교하여 1990년 3월 1일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보병 병과에 작전 직능이다.

3. 군사 경력

3.1.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colbgcolor=#10007c><colcolor=#fff>
파일:중장 강신철(합참).jpg
합참 작전본부장 시절
<colbgcolor=#10007c><colcolor=#fff>
[현장영상+] 軍, 대북 경고 성명 발표..."절대 용납할 수 없다"
<colbgcolor=#10007c><colcolor=#fff>
합참 “북한 무인기 격추 못해 송구…국민께 심려 끼쳐”

3.2.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colbgcolor=#10007c><colcolor=#fff>
파일:강신철 삼정검.jpg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삼정검에 수치(綬幟)를 수여 받은 후 기념촬영

2023년 10월 29일, 윤석열 정부의 두 번째 대장급 장교 인사에서 육사 46기 동기 박안수 장군(육군참모총장), 한 기수 아래인 47기 손식 장군(지상작전사령관) 등과 함께 대장으로 진급하며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지명되었다. # 박선우 이후 8년만의 합참 작전본부장 출신 연합사 부사령관이다.[29] 이후 11월 2일 캠프 험프리스에서 폴 라카메라 사령관 주관으로 취임식을 가졌다. #

국방부의 진급/보직자 특성에 의하면 군사전략 및 연합·합동작전분야에 독보적인 능력을 보유하여 한미연합 작전능력을 향상시키고 한미동맹을 공고히 하여 안보협력을 더욱 강화할 연합사부사령관으로 최적임자임이 임명 사유라고 한다. #[30]

강 장군은 과거 자이툰 부대 민사참모로 이라크 파병을 경험했고, 합참 작전기획과장·작전본부장 등 연합·합동작전 분야의 주요 직위를 역임했으며, 합참 전략기획부장을 거쳐 청와대 국방비서관으로서 대통령의 안보전략을 뒷받침한 바 있다. 대령 시절 연합사 비서실 정책과장으로 근무하며 부사령관을 보좌하기도 했다. 그렇기에 여러모로 파격/이례적이라는 이야기가 많았던[31] 해당 군 수뇌부 인사 중에선 별다른 이의 없는 적임자라는 평이다.
지휘 목표 : 연합사 르네상스 구현
르네상스는 과거로의 회귀가 아닌 미래를 준비하는 부흥에 방점을 둔 것으로 확장과 초월을 의미하며 확장은 연합사의 위상과 역할 정립, 초월은 연합사의 미래 준비를 의미
<colbgcolor=#10007c><colcolor=#fff>
함께한 45년을 넘어 미래를 향해 'OVER THERE'
2023.11.7. 국방 NEWS

2023년 11월 7일 연합사 창설 45주년 기념식을 주관했다. 폴 라카메라 사령관이 부재중이었는지 사령관 대신 참모장 윌러드 벌러슨 중장이 참석했기 때문에 최선임자였다.

2023년 11월 27일 신원식 국방장관의 연합사 방문을 수행하였다. # 이어 11월 27-29일 3일간 일본으로 출국해 유엔군사령부 후방기지(UNC-Rear)인 주일미군 요코타 공군기지요코스카 해군기지를 앤드류 해리슨 유엔사 부사령관과 함께 방문하여 유사시 증원자산을 확인하였다. # #연합사 부사령관의 유엔사 후방사 방문은 2018년 이후 5년만이다. 요코스카 해군기지에선 제7함대 사령관 칼 토머스 중장과 회동했다. #

2023년 12월 15일 한미연합군사령부에 강연 차 방문한 김지윤 박사를 만났다. 젠틀맨 중 젠틀맨이자 참군인이라고 글을 남겼다. #

2023년 12월 22일 주한미군 제8군 예하 제35방공포병여단(35th Air Defense Artillery Brigade)을 방문했다. #

2024년 1월 11일 주한미군 제8군 예하 제1통신여단을 방문했다.#

2024년 1월 18일 부산항에 입항한 미 해군 사전배치물자선 '포머로이'를 방문 점검했다. # 이어 주한미군 해상수송사령부를 방문했다. #

2024년 2월 15일 미8군 제4-2공격대대를 방문하여 아파치 헬기Grey Eagle을 점검했다고 제8군이 밝혔다.#1#2 같은 날 초급장교 역량 강화교육으로 한미연합사령부에 방문한 공군사관학교 72기 생도들에게 연합·합동작전 체계에 대한 교육을 했다.#3

2024년 3월 9일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가졌다. # JTBC에도 잠시 나왔다. #

4. 기타

5. 저술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65> 파일:대장 계급장.svg대한민국 국군
현직 대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합동참모의장
김명수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박안수 양용모 이영수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연합사 부사령관
]]
[[지상작전사령관|
지상작전사령관
]]
[[제2작전사령관|
제2작전사령관
]]
강신철 손식 고창준
합동참모차장
강호필
※ 둘러보기: 현직 대장 | 중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전단장 | 비행단장 | 주임원사 }}}}}}}}}



[1] 학위논문: 마키아벨리의 『피렌체 군사조직안』과 참여정부의 『국방개혁 2020안』비교분석 (2006)[2]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과 고교 동기이며, 80년대 초중반 경성고가 꽤 잘나가던 시기의 재학생이다. # 이후로는 강남 8학군에 밀렸다.[3] 2002년 4월 인사에서 수도방위사령관이었던 김창호 중장(육사 26기)이 2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전보되면서 비서실장이던 강신철 소령도 같이 인사이동되었다. 2군사에서는 육군대학 입학 전까지 짧게 근무했다.[4] 수석졸업자로 대통령상을 수상했으며 # 국무총리상은 최인수 소장, 국방부장관상은 고태남 소장이 수상하였다. 육대 수석 수료자들 중 고위직 진급자가 많으며 근처 기수에서는 김봉수 중장 (육사 47기), 곽종근 중장 (" 47기) 박후성 중장 (" 48기) 등이 해당한다.[5] 학교장 보직은 일부 특이 케이스를 제외하면 대부분 한직이지만, 교관 보직은 진급에 유리한 요직으로 특히 육대 성적 우수자를 뽑은 육대 교관은 고위 장성의 요람에 해당하는 보직이다.[6] 국방부장관 수행, 업무보좌, 말씀관리, 정책보좌 등 기능을 수행하는 상당한 요직이며 수행 업무, 대개 이 자리에서 더 주요한 참모 직책으로 이동하여 준장 진급한다. 유무봉(육사 42 / 소장) - 강신철(육사 46 / 대장) - 양태봉(육사 47 / 소장) - 여인형(육사 48 / 중장) - 강관범(육사 49 / 소장) - 김화종(육사 50 / 소장) - 곽태신(육사 51 / 준장) - 양진혁(육사 52 / 준장) - 진학근(육사 53 / 준장) 등 최근 역임자는 전부 육사 출신이며 정책통 혹은 작전통이었고 대부분 준장 1차 진급에 성공했다. 사실상 장군 진급을 보장하는 자리 중 하나로 보면 된다. 대신 이 자리는 준장 진급 대상이 되기 이전에 거치는 자리였고 준장 진급 자체는 다른 직위에서 했다.[7] 후임 김봉수[8] 당시 한 장관 수행 영상 #1 #2[9] 전임 조창래, 후임 정해일. 송영무 장관 취임 후 군사보좌관이 바뀌면서 10월 후반기 장성인사까지 잠시 보직 대기 상태로 있던 것으로 보인다.[10] 지상작전사령부로 통합 개편되기 이전 제1야전군사령부의 마지막 작전처장이다.[11] 전임 황병태[12] 전임 황성훈, 후임 서천규[13] 전임 김태성, 후임 박후성[14] 전임 정상화, 후임 김규하[15] 전임 강건작[16] 2021년 12월 9일 군인사에서 육사 한 기수 선배 45기 여운태, 동기 46기 이규준, 이두희, 학군 27기 신희현, 3사 25기 장광선 소장과 함께 중장으로 진급하게 되었다.[17] 중장 진급과 함께 정보직 보임. 본래 국방비서관은 소장 편제였다. 문재인 정부는 이를 2019년 11월 김현종 비서관의 중장 진급과 함께 국방비서관을 중장 보직으로 격상시켰고, 후임으론 5군단장을 마치고 온 안준석 중장을 앉혔다. 소장 계급으로 이 보직에 보임되는 것은 소장을 중장 보직에 앉히는 격이었으니 다음 인사에서 즉시 진급시킨다는 시그널로 여겨졌고 실제로 강건작, 강신철 비서관 모두 중장으로 1차 진급했다.[18] 2021년 12월 14일부로 청와대 국가안보실 조직개편에 따라 1차장 휘하에 안보전략, 국방개혁, 사이버정보비서관 체제가 안보국방전략, 신기술사이버안보, 정보융합비서관 체제로 바뀌었다. # 하지만 정권 교체 이후 국가안보실 직제개편으로 계급이 하향되며 국방비서관으로 원복된다.[19] 후임 임기훈.[20] 전임 권영호 직무대리, 후임 심진선 직무대리[겸] 통합방위본부 부본부장 / 통합방위법 제8조(통합방위본부) ① 합동참모본부에 통합방위본부를 둔다. ② 통합방위본부에는 본부장과 부본부장 1명씩을 두되, 통합방위본부장은 합동참모의장이 되고 부본부장은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본부장이 된다.[22] 전임 전동진, 후임 강호필[23] 2023년 10월 군 인사에서 육사 동기 박안수(육군총장), 1기수 후배 손식(지작사령관), 3사 고창준(2작사령관) 등과 함께 진급했다.[24] 전임자 안병석[25] 대한민국 국군 대장 7명 중 김승겸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제외한 6명이 물갈이 되면서 대장 인사의 폭이 커짐에 따라 중장 보직이 많이 비게 된 터라 생긴 일.[26] 중장 첫 보직을 청와대에서 받은 이래 전역 대기직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거쳐 2차 보직인 작전본부장이 된 상당히 이례적인 경우이다.[27]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인사 대다수가 공유하는 경력이라 유리하다. 김태효 현 국가안보실 제1차장, 이종섭 전 국방장관 등이 이명박 정부 청와대 출신이다.[28] 해당 브리핑으로 대중들에게 전면적으로 노출되었는데, 군생활 중 휘하에서 근무했던 전역자들의 호평이 댓글로 많이 작성되었다.[29] 그 사이 부사령관들의 전임 직책은 다음과 같다. 김현집(제3야전군사령관) - 임호영(합참 전략기획본부장) - 김병주(3군단장) - 최병혁(육군참모차장) - 김승겸(육군참모차장) - 안병석(육군참모차장). 그의 직전임 3명은 연속으로 육군참모차장 출신이다.[30] 해당 문서 설명을 보면 육군 대장 진급자 4명 중 강신철 장군은 군사전략/국방정책 분야 전문가, 나머지 3명은 야전작전/교육훈련 분야 전문가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실제로 경력이나 거쳐 온 부대/보직이 상당히 다르다. 강신철 장군은 국방부/합참에서 주로 근무했고, 박안수 장군과 손식 장군은 육군본부와 야전부대, 고창준 장군은 야전부대와 교육기관에서 주로 근무했다.[31] 현직 해군 중장인 김명수 해작사령관이 대장 보직을 안 거치고 합참의장으로 영전했고, 중장 2차 보직이 전역 대기직인 국군의 날 행사단장이던 박안수 중장이 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했으며, 중장 진급 후 특전사령관에 보직된 지 1년도 안 된 손식 중장이 지상작전사령관으로 영전하는 등 해당 군 수뇌부 인사는 그간의 인사관행에 비추어 매우 파격적이고 이례적인 것이 맞다. 게다가 2년 연속으로 2기수씩 낮추는 세대 교체 인사가 재현되었다.[32] 민간 대학 출신을 따로 뽑기도 하지만 육사에서는 가끔 성적 우수자에게 군 위탁교육과 해외 유학 기회를 제공해 모교 교수로 활용하기도 한다. 서울에서만 근무하고 정년이 일반 군인보다 늦은 60세로 딱 국립대 교수 정도의 생활을 할 수 있기에 안정적이지만 진급이 느리고 준장인 교수부장이 되지 못하면 보통의 진급 상한선인 대령으로 전역해야 한다.[33] 교수요원/교수사관들은 진급 속도가 느려서 그렇지 계급에 비해 나이도 많고 짬도 있고, 또한 군인이기 이전에 학식을 갖춘 학자들이기 때문에 그 가치를 인정받아서 높으신 분들도 교수요원/교수사관들은 함부로 건드리지 않고 존중해주는 편이다.[34] 초급 지휘관 시절부터 평이 좋았다. 소대장 시절엔 선봉소대로 여러 차례 선정되었고 중대장 시절엔 우수 전투중대장에게 수여되는 재구상을 받았다.[35] 7사단 작전참모(중령), 합참 작전기획과장(대령), 1군 작전처장(준장), 합참 전략기획부장(소장), 합참 작전본부장(중장).[36] 수방사령관 비서실장(소령), 청와대 행정관(중령), 국방부 정책관리담당관(대령), 국방부 군사보좌관(준장), 청와대 국방비서관(소장-중장) 등 거의 매 계급마다 고위직을 수행하는 비서 직위를 맡았다. 당연히 이는 군에서 인정받았음을 방증한다.[37] 이 글에 함께 언급된 김승겸 대장은 합동참모의장에, 강신철 중장은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으로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38] 박성규 사단장과 강신철 사단장 사이의 사단장들 가운데 박성규 사단장의 후임인 류제승 사단장(육사 35기)과 강신철 사단장의 전전임인 박주경 사단장(육사 42기)이 중장으로 전역하였으며, 나머지 사단장들은 소장 전역하였다.[39] 군단장 경력이 없는 것은 능력 문제라기보단 인사 타이밍의 문제이다. 청와대 비서관으로 근무하던 도중 중장에 진급했으나 정권의 임기가 5개월 밖에 남지 않아 교체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작전본부장으로 영전 후에도 무리하게 인사이동하여 군단장 보직을 주기보다는 국군 작전을 총괄하는 작전본부장을 바꾸지 않는 안정을 선택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연합사 부사령관에 보임되며 군단장 미역임은 크게 상관이 없어졌다. 지휘하는 병력도 적고 직무 수행에 중요한 요소는 한미연합작전/군사전략에서의 역량이기 때문이다. 국방부에서도 군단장 경력은 없으나 합참 작전본부장을 하면서 작전 지휘 역량은 검증된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40] 2023년 전반기에 지작사령관 교체설이 돌 때 1순위 후보로 항상 거명되었다. # #[41] 과거에는 연합사 부사령관이 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관을 겸직해 작전 수행 측면에서도 중요한 자리였지만, 지상작전사령부가 창설되며 지상작전사령관이 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관을 맡게 되면서 연합사 부사령관은 단순히 한미연합군사령부의 한국 측 대표라는 의미만 갖게 되었다. 다만 최근에는 연부사가 UFS훈련을 지휘하는 등 전작권 전환을 대비하고 있어 중요성이 더해질 전망이다.[42] 총장과 연부사가 동기인 경우는 육사 27기 김장수-이희원, 28기 박흥렬-김병관, 31기 한민구-황의돈, 36기 장준규-김현집, 41기 서욱-최병혁 등 이전부터 자주 있던 일이었다.[43] 특히나 합참차장이 대장으로 승격되며 해병대 출신 대장을 진급시켜 윤석열의 대선 공약인 해병대 대장 배출이 필요해 육군에서 합참의장이 나올 확률이 매우 높다[44] 만약 합참의장 자리를 육해공 순으로 순번을 돌아가며 맡는 자리로 바꿀 경우 다음 의장은 공군 출신, 즉 이영수 공군총장이 된다. 원인철(공군)-김승겸(육군)-김명수(해군) 순으로 이어져 왔기 때문. 마침 이영수 총장도 합참에서 공중전력과장, 전력3처장, 전략기획본부장 등 주요 직위를 역임했다. 하지만 공군 내 전력 분야 전문가로서 작전 분야 경험이 부족한 편이기도 하다.[45] 천안함 피격 사건에서 합참의 대응이 지리멸렬했던 이유가 합참 근무 경험이 없었던 이상의 합참의장의 문제라고 지적하는 기사가 대대적으로 나온 적도 있다. 당시 합참엔 정부 교체 후 전 정부의 합동작전통 장교들을 배제하여 작전본부 주요 실무자 중에도 야전통이 다수였다. 합동작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이들이 합참에 많으면 육방부화는 더 심해져서 국군의 작전 효율이 저하할 수밖에 없다. #[46] 합참 합동작전과장-작전1처장-작전부장-작전본부장 직을 모두 거친 초엘리트다.[47] 미군이 이런 식으로 인사를 운영한다. 참모총장과 차장이 둘 다 대장이고, 차장이 진득하게 보좌하며 차기 총장직을 물려받기 위해 곁에서 일을 배우다 차기 총장이 되는 식.[48] 최근 연합사 부사령관은 김승겸 장군을 제외하곤 대부분 2차 보직 없이 전역했다. 이는 육군 대장 보직이 줄기도 했고 참모총장도 1차 보직이 되어 대장들이 보직을 2개 이상 하는 경우가 많이 줄었기에 필연적인 일이다.[49] 그의 전임 합참 작전본부장이었던 박정환(육사 44기), 전동진(육사 45기) 중장과 전임 연합사 부사령관이었던 김승겸(육사 42기), 안병석(육사 45기) 대장 모두 개신교 신자이다. 후임 작전본부장인 강호필(육사 47기) 중장은 불교 신자다. 물론 이는 국내에서 가장 신자 비율이 높은 종교가 개신교이기에 놀라운 것은 아니다. 특히 군인들은 예고 없이 다가올 수 있는 적과의 대치와 자신의 죽음을 의식해야 하는 직업이기에 사생관 문제로 종교를 믿는 비율이 높고, 군 내에서 접근성이 가장 높은 종교는 전도 및 외부 지원이 활발한 개신교이기에 자연히 개신교 신자의 절대수가 많을 수밖에 없다. 2022년 5월 인사로 형성된 대장급 인사들은 육군 대장 5인 전원(김승겸, 박정환, 전동진, 신희현, 안병석)이 개신교 신자였을 정도다.[육] 육군대학 수석, 교관, 학장[육] [52] 합참 본부장 시절에는 패용하고 있었으나 약장을 새로 바꾸며 11줄로 늘어나 옷깃 사이에 가려진 듯하다[육] [54] 평창 올림픽 기간 중 강원도를 관장하는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을 지냈다.[55] 군인들도 지휘관으로서 근무할 때애 비해 고위 참모로 근무할 때의 업무 강도가 높고, 중앙 정부의 고위 공무원과 다를 바 없을 정도의 업무량에 시달린다. 특히 합참 작전본부장은 신원식 장관이 공인한 군 내에서 가장 힘든 직위다. 국군의 작전을 통할하여 책임을 지는 자리이고 합참의 참모장 격이기에 그렇다.[56] 수도방위사령부 근무 시기, 이순신의 초기 임관 3년 함경도에서의 일화를 연구하여 저술한 '함경도 일기'를 발행하였다 # 하지만 연구의 계기가 된 '함경도 일기'가 위서로 밝혀졌기에 # 학술적 가치는 없어졌다.[57] 모바일 환경에서 열려면 '새 탭 열기' 사용[58] 육군대학 전술학 교관 재직 중 기고[59] 육군대학 전술학 교관으로 근무하며 근처 충남대에서 학위를 딴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