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00:38:56

미자계

미자 계에서 넘어옴
사기(史記)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0D2D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rowcolor=#ffffff> 1권 「오제본기(五帝本紀)」 2권 「하본기(夏本紀)」 3권 「은본기(殷本紀)」
공손헌원 · 전욱 · 제곡 · 방훈 · 중화
[ 펼치기 · 접기 ]
^^
하나라
^^
우왕 · 익왕 · 계왕 · 태강
중강 · 상왕 · 후예 · 한착
소강 · 저왕 · 괴왕 · 망왕
설왕 · 불강 · 경왕 · 근왕
공갑 · 고왕 · 발왕 · 걸왕
[ 펼치기 · 접기 ]
^^
선은 先殷
^^
· 소명 · 상토 · 창약 · 조어
· 왕해 · 왕항 · 상갑미 · 보을
보병 · 보정 · 주임 · 시계
^^
조은 早殷
^^
성탕 · 외병 · 중임 · 태갑 · 이윤
옥정 · 태경 · 소갑 · 옹기 · 태무
중정 · 외임 · 하단갑 · 조을 · 조신
옥갑 · 조정 · 남경 · 양갑
^^
만은 晩殷
^^
반경 · 소신 · 소을 · 무정 · 조경
조갑 · 늠신 · 경정 · 무을 · 태정
제을 · 제신
<rowcolor=#ffffff> 4권 「주본기(周本紀)」 5권 「진본기(秦本紀)」 6권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펼치기 · 접기 ]
^^
서백 西白
^^
후직 · 부줄 · · 공류· 경절
황복 · 차불 · 훼유 · 공비 · 고어
아어 · 주공 · 태왕 · 왕계 · 문왕
^^
서주 西周
^^
무왕 · 성왕 · 강왕 · 소왕 · 목왕
공왕 · 의왕 · 효왕 · 이왕 · 여왕
주정공 · 소목공 · 공백화
선왕 · 유왕 · 휴왕
^^
동주 東周
^^
평왕 · 환왕 · 장왕 · 희왕 · 혜왕
폐왕 · 양왕 · 후폐왕 · 경왕(頃王) · 광왕
정왕 · 간왕 · 영왕 · 경왕(景王) · 도왕
서왕 · 경왕(敬王) · 원왕 · 정정왕 · 애왕
사왕 · 고왕 · 위열왕 · 안왕 · 열왕
현왕 · 신정왕 · 난왕
[ 펼치기 · 접기 ]
^^
진(秦)나라
^^
비자 · 진후 · 공백 · 진중
장공 · 양공 · 문공 · 헌공(憲公)
출자 · 무공 · 덕공 · 선공
성공 · 목공 · 강공 · 공공
환공 · 경공 · 애공 · 혜공
도공 · 여공공 · 조공 · 회공
영공 · 간공 · 후혜공 · 출공
헌공(獻公) · 효공 · 혜문왕 · 무왕
소양왕 · 효문왕 · 장양왕
시황제 · 이세황제 · 진왕 자영
<rowcolor=#ffffff> 7권 「항우본기(項羽本紀)」 8권 「고조본기(高祖本紀)」 9권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
항우 유방 여치
<rowcolor=#ffffff> 10권 -2「효문본기(孝文本紀)」 11권 「효경본기(孝景本紀)」 12권 「효무본기(孝武本紀)」
유항 유계 유철
보사기(補史記) 「삼황본기(三皇本紀)」
복희 · 여와 · 신농
※ 13권 ~ 22권은 표에 해당, 23권 ~ 30권은 서에 해당. 사기 문서 참고
}}}}}}}}}}}}
⠀[ 세가(世家)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31권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2><width=33%> 32권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2><width=33%> 33권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61권 「백이열전(伯夷列傳)」 ||<-2><width=33%> 62권 「관안열전(管晏列傳)」 ||<-2><width=33%> 63권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 ||
}}} ||
송(宋)나라 초대 국군
미자 계
微子 啓
자(子)
송(宋)
계(啓)
아버지 제을(帝乙) 자선(子羡)
생몰 기간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재위 기간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1. 개요2. 행적3. 여담
[clearfix]

1. 개요

송나라의 초대 국군. 원래는 상나라의 왕자로 상나라 제28대 왕 제을아들이며, 마지막 왕 제신이복형이다. 현명하고 올바른 사람이었으나, 정실 소생이 아니라서 상왕이 되지는 못했다고 한다.

미(微)는 영지의 이름이고 자(子)는 작위 이름(자작)이고 계(啓)가 이름이므로 미자계는 '미 지역의 자작인 계'라는 뜻이다.

2. 행적

상나라 주왕 제신달기를 끼고 폭정을 행하자 주왕의 숙부인 기자는 간언하다가 노여움을 사서 미친 척하며 다니다 투옥되고, 마찬가지로 주왕의 숙부인 비간처형되었다.

이에 미자 계는 "신하된 자가 세 번을 충고했는데도 듣지 않으면 그 의리상 군주를 떠나도 괜찮다.”고 하며 상나라에 천명이 떠난 것을 알고 주 무왕의 편을 든다. 사기에 따르면 주 무왕이 상 주왕을 토벌하자 미자 계는 상의 종묘에 들어가서 왕실의 제기(祭器)를 가지고 나와 본인은 죄인처럼 웃통을 벗고 등 뒤로 손을 묶은 다음 무왕에게 바쳤는데, 한마디로 중요한 정치적 문제에 대해 일일이 제사를 지내고 점을 쳐서 결정하던 제정일치 사회였던 상나라의 상징적 제사 도구들까지 바친 셈이었다. 이에 무왕은 그를 풀어주고 지위를 회복시켜줬다.

천하가 평정되자 무왕에게 상나라의 사직은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해달라고 부탁했고, 이에 무왕은 주왕의 아들 무경(武庚)이 상나라를 계속 이을 수 있도록 해주었다. 물론 혹 일어날지 모르는 반란을 대비해서, 무왕의 동생들인 관숙(管叔) 선(鮮), 채숙(蔡叔) 도(度), 곽숙(霍叔) 처(處)[1] 세 사람을 무경 주변에 봉건해 무경을 감시하도록 했다. 이들을 세 명의 감시자라 하여 삼감(三監)이라고 부른다.

주 무왕이 죽고 어린 아들 성왕이 즉위하자 무왕의 동생인 주공단이 섭정했다. 무경은 이 틈을 노려 상나라 부활을 시도했고, 마침 삼감 역시 주공의 섭정에 불만을 품고 있어 무경에 협력하니 이를 '삼감의 난'이라고 한다. 여기서도 미자계는 주공단의 편을 들어서 진압에 공을 세웠다. 결국 패한 무경·관숙은 처형, 채숙·곽숙은 추방되었고, 미자계는 무경에게 할당했던 땅 등을 인계받아 제후국을 세우는데 이것이 송(宋)이다.

이후 미자계의 후사가 없어 송 땅은 그의 동생 미중 연이 이어받았고, 이후 송나라의 국군은 모두 연의 후손이 된다.

3. 여담



[1] 각각 관··곽의 제후라는 뜻이며 이름이 선·도·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