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18:52:52

마이히메

마이히메 시리즈
애니메이션 마이히메 마이오토메 0 S.if.r 마이오토메 마이오토메 Zwei
도서 마이오토메 아라시
(만화)
마이히메 데스티니 용의 무녀
(소설)
마이히메 EXA
(만화-단권)


마이히메 (2004~2005)
舞-HiME
파일:attachment/866.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학원
원작 야타테 하지메
감독 오하라 마사카즈
시리즈 구성 요시노 히로유키
캐릭터 디자인 히사유키 히로카즈
애니메이션 디렉터
세트 디자인 아오키 토모유키(青木智由紀)
크리처 디자인 미야타케 카즈타카(宮武一貴)
아쿠츠 준이치
게스트 메카 디자인 타이가 히로유키
제복 디자인 원안 이노마타 무츠미
엘레멘트 총 디자인 히라이 히사시
미술 감독 타카스가 신지(高須賀真二)
색채 설계 요코야마 사요코(横山さよ子)
촬영 감독 스에히로 타카시(末弘孝史)
편집 세키 카즈히코(関 一彦)
음향 감독 미마 마사후미
음악 카지우라 유키
미디어 라이트 키무라 노보루(木村 暢)
프로듀서 후루사토 나오타케
쿠니사키 히사노리(国崎久徳)
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 타니구치 고로
애니메이션 제작 선라이즈
제작 선라이즈
반다이 비주얼
방영 기간 2004. 10. 01. ~ 2005. 04. 0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금) 01:3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6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특징3. 등장인물4. 설정5. 음악
5.1. 주제가
5.1.1. OP5.1.2. ED
5.2. 삽입곡
6. 회차 목록7. 평가

[clearfix]

1. 개요

2004년 일본 선라이즈에서 제작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동명의 코믹스 및 PS2/PC로 출시된 게임도 존재한다. '舞-HiME'라고 쓰고 '마이히메'라고 읽는다. 프로젝트 주도자는 히사유키 히로카즈, 감독은 오하라 마사카즈로 본작이 감독 데뷔작이다. 연출가 나가이 타츠유키의 출세작이기도 하다.

마이히메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TV판으로 제작돼 2쿨 26편으로 완결됐다.

세라핌 콜 이후 한동안 명맥이 끊어졌다 다시 나온 선라이즈 미소녀 애니메이션으로 후루사토 나오타케 프로듀서가 기획했다. 후루사토 프로듀서는 고전 순정만화 같은 충격적이고 센세이셔널한 작품을 만들고 싶었다고 한다. 이런 작품은 신인이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감독과 각본가 전부 신인으로 기용했다고 한다.[1] 캐릭터 디자인은 후루사토가 평소 좋아하던 히사유키 히로카즈를 고용했다. 후루사토는 히사유키가 만든 미소녀 아이돌을 프로듀스하는 감각으로 작품 프로듀스를 했다고 한다.

초반은 모에 애니메이션인 것처럼 시작하지만 점점 전개가 모에 애니메이션의 공식에 어긋나는 것이 특징으로 후루사토에 따르면 중반 이후 반전을 위해 초반에 일부러 노린 전개를 많이 넣어 사람을 많이 낚았다고 한다. 여전사물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을 받는 작품이며 이러한 후루사토 식 여전사물의 혈통은 마이히메 시리즈는 물론이고 아이돌 마스터 제노그라시아, 우주를 달리는 소녀에도 이어진다.

미디어믹스 진행시 설정이 각 작품마다 다른데 (애니/코믹스/게임) 마이히메의 크리에이티브 디텍터였던 타니구치 고로의 방침 때문이었다. 이전에 스크라이드의 코믹스가 나왔을 때 '미디어 믹스가 가능하다면 애니메이션의 전개를 따르지 않았으면 한다. 어떤 전개라도 내가 인정하겠다.'라고 말을 했었고, 마이히메도 이를 따른 것. 실은 선라이즈 내부 회의로 그 결말이 결정되었다는 말이 있다.(원래는 설정상 3쿨 정도의 분량이 나왔어야 하는 역시 어른의 사정 때문에) 물론 삭제된 설정들은 게임판에서 다 해놨으니 해보시길. 특히 애니메이션 전개에 따라 엔딩이 다른데 미코토와 마이의 싸움에서 누구의 승리를 따를경우 파기된 설정으로 전개 되는데...... 문제는 그 파기된 설정 가지고 후속작을 만들었다.

히사유키 히로카즈가 캐릭터 디자인을 맡아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들을 잘 만들어냈고, 음악은 카지우라 유키가 담당하여 특유의 환상적이고 비장한 음악을 들려주고 있다. 특히 각종 각성 및 전투씬의 배경에 깔리는 '메자메(目覚め)'는 이 애니메이션을 관통하는 곡.

2. 특징

일단 성우진이 화려했고[2] , 당시 오덕계에 돌풍을 몰고 왔던 모에를 작품 곳곳에 잔뜩 뿌려서 많은 오덕들의 마음을 설레게 했다. 2004년 코미케에 출품된 동인지 중 가장 많이 인용된 작품 중 하나이기도 하다.

프리큐어 시리즈,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마법소녀물의 변종이라고 볼 수도 있다. 다만 중반에 다 해결했다고 등장인물들이 생각했을 때 나온 반전은... 그 반전 때문에 절정으로 치닫을수록 주연들이 정신적으로 무너져가는 전개가 작품의 주된 감상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오하라 마사카즈 감독에 따르면 모에 애니메이션이라고 광고했지만 좀 더 많이 팔고 관심 끌려고 한 사기 마케팅이었고 실제로는 배틀로얄,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영향을 받아 만든 작품이라고 한다. 그래서 1화는 장대한 사기극 같은 것이었고 점점 전개가 충격적으로 바뀐 것이라고 한다. #

특이한 점으로는 꽤 자극적인 백합식 전개를 보여 주면서 아니메위킥스 등의 백합 팬사이트에 큰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표면적으로는 남성향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여성향이란 말이 있을 정도. 소녀들의 심리를 잘 표현했다고 하던가. 그리고 마이히메로 백합 2차 창작을 하는 사람들은 절대 다수가 여자라는 기괴한 현상도 있다. 결국 다수의 평가는 백합물. 이렇기에 여성향 백합 지지자들은 백합이 남성향에서 뜨고 있어도 본질은 여성향이라는 증거로 사용되기도 한다.

실제로 마이히메 온리전에 가보았더니 남자가 낸 부스는 2개 밖에 없더라고 한다. 이 분도 여자, 저 분도 여자, 여자여자여자...... 분명히 계획은 남성향으로 만들었다고 하는데 여성향으로 평가받는 걸 보면 신기하다 해야 할지. 참고로 여자가 대부분이었던 마이히메 온리전은 절대다수가 후지노 시즈루를 내세웠다. 아무래도 후지노 시즈루란 캐릭터가 방영 당시 긍정적인 반응이건, 부정적인 반응이건 상당한 충격을 주었기 때문인 듯하다.

2010년 블루레이화에 힘입어 새로운 코믹스판인 마이히메 EXA도 발매되었다. 여기서도 타테 유이치는 게임판의 뒤를 이어 출연이 짤렸다.(...) 대신 마이와 이어지는 주역을 차지한 건 애니와 게임의 흑막인 칸자키 레이토. 이쯤 되면 타테 유이치는 실질적으로 페이크 주인공이라고 해도 될 정도이다. 하지만 동정의 여지는 없다고 하는 게 평가인데, 이유는 타테 유이치 문서 참조.

3. 등장인물

4. 설정

5. 음악

5.1. 주제가

5.1.1. OP

OP
Shining☆Days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쿠리바야시 미나미
작사
작곡 이이즈카 마사아키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히사유키 히로카즈
작화감독
연출 나가이 타츠유키
원화 니시다 아사코, 스즈키 유키에, 이나요시 토모시게, 타나카 마사요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1.2. ED

ED
君が空だった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미사토 아키
작사 하타 아키
작곡 이이즈카 마사아키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오하라 마사카즈
연출 나가이 타츠유키
작화감독 히사유키 히로카즈
CG 가공 스즈키 신고
원화 스즈키 유키에, 이나요시 토모시게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2. 삽입곡

15, 26화 삽입곡
小さな星が降りる時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쿠리바야시 미나미
작사
작곡
편곡 이이즈카 마사아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それは☆乙女の一大事
그건☆소녀의 중대사
요시노 히로유키 오하라 마사카즈 니시무라 타이키
(西村大樹)
히사유키 히로카즈
시게타 사토시[M]
카네다 마사히코[M]
(金田正彦)
2004.10.01.
제2화 ヒミツの放課後
비밀의 방과후
히사유키 히로카즈 오오타 마사히코 요네야마 코헤이
(米山浩平)
2004.10.08.
제3화 炎の舞/星の誓い
불꽃의 춤/별의 맹세
오노 마나부 타케우치 히로시
(竹内浩志)
시게타 사토시[M]
2004.10.15.
제4화 風のイ・タ・ズ・ラ
바람의 자아앙난
나가이 타츠유키 신보 타쿠로
타카세 켄이치
2004.10.22.
제5화 雨――。涙……
비――. 눈물……
카마쿠라 유미 아이사카 나오키[C]
(相坂直紀)
사카모토 슈지[M]
(坂本修司)
2004.10.29.
제6화 もえる十七歳(;)
불타는 17세(
;)
오노 마나부 지츠하라 노보루[C]
(実原 登)
오오츠카 켄[M]
2004.11.05.
제7화 迷子の仔猫たち
길 잃은 새끼고양이들
오오타 마사히코 요네야마 코헤이 2004.11.12.
제8화 たいせつなもの。
소중한 것.
미즈쿠사 카즈마
(水草一馬)
후쿠모토 키요시
(福本 潔)
타케우치 히로시[C]
이치카와 케이조[M]
(市川敬三)
2004.11.19.
제9화 海とオトメとなつきのヒミツ♪
바다와 소녀와 나츠키의 비밀♪
카마쿠라 유미 타나카 마사요시 2004.11.26.
제10화 ケーキ大戦!!!!
케이크 대전!!!!
히시카와 나오키
(菱川直樹)
이시노 사토시[C]
오오츠카 켄[M]
2004.12.03.
제11화 光と闇の輪舞
빛과 어둠의 윤무
스나가 츠카사 후쿠모토 키요시 신보 타쿠로
타카세 켄이치
2004.12.10.
제12화 天使のほほえみ
천사의 미소
오오타 마사히코 사카모토 슈지[C]
나가타 마사미[M]
(永田正美)
2004.12.17.
제13화 〜たまゆらの夜〜
~타마유라의 밤~
미즈쿠사 카즈마 타마카와 타츠후미
(玉川達文)
요네야마 코헤이 2004.12.24.
제14화 ねらわれる学園
노려지는 학원
스나가 츠카사 히시카와 나오키 타케우치 히로시[C]
카와하라 토모히로[M]
(川原智弘)
2005.01.07.
제15화 天翔けるミ☆ 女子高生
하늘을 달리는☆여고생
오노 마나부 이시노 사토시[C]
오오츠카 켄[M]
2005.01.14.
제16화 PARADE♪ 키무라 노보루 스나가 츠카사 후쿠모토 키요시 타나카 마사요시 2005.01.21.
제17화 うそつきな、唇
거짓말쟁이인 입술
요시노 히로유키 미즈쿠사 카즈마 오오타 마사히코 신보 타쿠로
타카세 켄이치
2005.01.28.
제18화 ――はじまり。
――시작.
히시카와 나오키 후쿠모토 키요시 사카모토 슈지[C]
카와하라 토모히로[M]
2005.02.04.
제19화 こころの迷宮
마음의 미궁
미나미 야스히로
(南 康宏)
요네야마 코헤이 2005.02.11.
제20화 炎の舞/涙の運命
불꽃의 춤/눈물의 운명
미즈쿠사 카즈마 타마카와 타츠후미 타케우치 히로시[C]
오오츠카 켄[M]
2005.02.18.
제21화 黒き君、目覚めるとき
검은 그대여 눈을 뜰 때다
스나가 츠카사 후쿠모토 키요시 이나요시 토모시게 2005.02.25.
제22화 くずれゆく……
무너져간다……
미나미 야스히로
스나가 츠카사
미나미 야스히로 타나카 마사요시[C]
이치카와 케이조[M]
2005.03.04.
제23화 愛情と友情、非情
애정과 우정, 비정
오오타 마사히코 타카노 카즈시[C]
(高野和史)
오오츠카 켄[M]
2005.03.11.
제24화 コイ・ハ・タタカイ
사랑 은 전쟁
미즈쿠사 카즈마 타마카와 타츠후미 요네야마 코헤이[C] 2005.03.18.
제25화 運命の刻へ
운명의 때로
스나가 츠카사 후쿠모토 키요시 사카모토 슈지[C]
이치카와 케이조[M]
2005.03.25.
제26화 SHINING☆DAYS 오하라 마사카즈 오오타 마사히코 타케우치 히로시[C]
오오츠카 켄[M]
2005.04.01.

7. 평가

가벼운 학원물처럼 시작해서 점차 복선을 깔다 비극으로 넘어가는 과정이 어색한 면이 별로 없어 잘 만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작품이나, 최종화 직전 방영된 화의 어떤 장면(미유 그리아 참조)에서 시청자들의 감상평을 '어?' 일색으로 만들더니 결국 바로 뒤이어 방영된 최종화가 구설수에 올랐다. 마지막화 나오기 전까지는 명작이라는 평가가 많았지만, 본 사람이라면 알다시피 제대로 된 복선도 거의 없이 뒤통수를 친 충격의 마지막화 때문에 감상평이 대부분 비난 일색이 되었던 작품이기도 하다. 거기다 떡밥이라고 할수 있는 마시로의 과거편 이야기 같은 건 그냥 흐지부지하게 넘어가버렸다. 해결 안 된 떡밥이나 복선은 이미 전술되었듯이 게임판인 운명의 계통수에서 상당 부분 해결되긴 하지만, 변경된 점 또한 많다 보니 애니판과 완벽히 같은 설정을 사용하고 있다 보기도 힘들다.

한줄로 요약하자면, 마지막 화만 빼면 수작. 이 마이히메의 초월적인 엔딩은 후에 마이히메식 엔딩이라는 고유명사화까지 됐다. 반대로 이런 충격적인 후반 전개 때문에 이후로도 회자되는 작품이 되었다. 최종화가 방영되고도 판매량도 크게 떨어지지 않았고 후속작도 나올 수 있었다.

가면라이더 류우키, 단간론파 시리즈 같은 충격적이고 자극적인 걸 좋아한다면 추천할 수 있는 작품이다.

DVD 판매량 평균 1만장에 박스판 3천장을 팔아 치우면서 상업적으로 꽤 성공한 작품이었고 동인계에서도 화제가 되었던 작품이다. 이 작품의 성공에 힘입어 선라이즈에서는 이후 후속작인 마이오토메와 관련 OVA를 만들게 되는데, 이 작품은 다음 작품들의 기초가 되기도 했다. 단, 이후 작품인 마이오토메와 세계관이 직접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한다.


[1] 오하라 마사카즈 감독은 후루사토가 기획 중일 때 마침 눈 앞에 있었다는 이유로 기용되었다고 한다.[2] 훗날 이벤트에서 언급에 의하면 이 작품의 성우진은 음향감독인 미마 마사후미의 스케쥴에 맞출 수 있는 성우들이 기준이었다고 한다. 그중 이노우에 키쿠코는 성우들간의 분위기 메이커용으로 캐스팅 된 것이며, 신도 나오미의 경우 당연히 교토벤이 가능하다는 조건으로 캐스팅 되었는데[37], 이 작품을 시작으로 다른 작품에서도 교토벤을 사용하는 배역을 자주 맡게 되었다고 한다.[3] 게임판 운명의 계통수의 주인공. 원작인 애니메이션판에 없는 오리지날 캐릭터. 타테 유이치의 자리를 차지했다.[4] 게임판 운명의 계통수의 추가 히로인. 타카무라 쿄우지와 마찬가지로 원작인 애니메이션에 없는 오리지널 캐릭터. 타테 유이치가 사라지면서 그의 소꿉친구였던 무나카타 시호의 자리를 대체했다.[C] [M] [M] [M] [M] [C] [M] [C] [M] [C] [M] [C] [M] [C] [M] [C] [M] [C] [M] [C] [M] [C] [M] [C] [M] [C] [M] [C] [C] [M] [C]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