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상상의 생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서유럽 | |||||
그렘린 · 홉고블린 · 네시 · 너커 · 레드캡 · 람히긴 어 두르 · 잭 오 랜턴 · 윌 오 더 위스프 · 잭 프로스트 · 프로스트 파더 · 레드 드래곤 · 파이어 드레이크 · 바게스트 · 블랙독 · 헬하운드 · 가이트래시 · 켈피 · 에흐으시커 · 타라스크 · 트로우 · 램튼 웜 · 누켈라비 · 퀘스팅 비스트 · 카스 팔루그 · 코카트리스 · 애습 · 아팡크 · 울버 · 야생 해기스 · 코드릴 · 쿠리드 · 부브리 · 마타고트 · 펠루다 · 루 카르콜 · 와이번 · 가고일 · 로 · 제보당의 괴수 · 부굴 노즈 · 오우거 · 바다 수도승 · 얀-간-이-탄 · 뷔브르 · 멜뤼진 · 에서슬론 · 브라우니/보가트 · 영국의 용 · 임프 · 그린딜로 · 픽시 · 이스시/디녀시(듀라한 · 랴난시 · 레프러콘 · 메로우 · 밴시 · 셀키 · 바반 시 · 카트시 · 푸카) · 바이콘 · 치체바세 · 도바츄 · 노커 · 그린맨 · 킬물리스 · 버그베어 · 털루이스 테그 · 그린 티스 제니 · 스프리건 · 그루아가흐 · 블랙 아니스 · 실키 · 엘리온 · 페그 파울러 · 부엉이 인간 · 스트론세이 괴물 · 라이버 버드 · 트라이큐스 · 고그마고그 | ||||||
중부유럽 | ||||||
코볼트 · 체인질링 · 볼퍼팅어 · 아플라나도르 · 알라우네 · 타첼부름 · 크램푸스 · 나흐체러 · 도플갱어 · 알베르 · 바벨의 용 · 웜 · 클라바우터만 · 잔트만 · 아스카프로아 · 니스푸크 · 에르트헨 · 바이세프라우 · 루첼프라우 · 이르부르츠 · 마녀 페치타 · 로겐무흐메 · 로겐볼프 · 뤼베잘 · 슈라트 · 나흐트크라프 · 라셀보크 · 아우프호커 · 바흐카우프 · 엘베트리치 · 마레 · 하믈 · 뷔더갱어 · 알프 | ||||||
남유럽(그리스 로마 신화) | ||||||
그리폰 · 히포그리프 · 페가수스 · 케르베로스 · 게리온 · 님프 · 우로보로스 · 스팀팔로스의 새 · 세이렌 · 에키드나 · 네메아의 사자 · 카토블레파스 · 오르토스 · 켄타우로스 · 키클롭스 · 스핑크스 · 드라콘 이스메니오스 · 히드라 · 키메라 · 스킬라 · 사티로스 · 하피 · 카리브디스 · 미노타우로스 · 엠푸사 · 메두사 · 티폰 · 라미아 · 고르고 · 카쿠스 · 피톤 · 라돈 · 에리만토스의 멧돼지 · 암피스바에나 · 모노케로스 · 캄페 · 파이아 · 테우메소스의 여우 · 카르키노스 · 케테아 · 히포캄푸스 · 디오메데스의 식인 암말 · 계피 새 | ||||||
남유럽(일반) | ||||||
기브르 · 헤렌스게 · 쿠엘레브레 · 라리오사우로 · 피라우스타 · 볼라 & 쿨세드라 · 담피르 · 비시오네 · 다후 · 마라베카 · 라벤나의 괴물 · 스콰스크 · 라미드레주 · 앙구아네 · 바달리스크 · 에이커벨츠 · 두엔데 · 모우로스 | ||||||
북유럽 | ||||||
그렌델 · 굴룬 · 니드호그 · 닉스 · 드라우그 · 엘프 · 드워프 · 아우둠라 · 신팍시 · 가름 · 굴린부르스티 · 라타토스크 · 린트부름 · 베드르폴니르와 이름 없는 수리 · 뵈이그 · 요르문간드 · 슬레이프니르 · 스콜 · 트롤 · 펜리르 · 파프니르 · 하티 · 흐레스벨그 · 흐룽그니르 · 일벨리 · 스켈야스크림슬리 · 외푸구기 · 플라이드루모디르 · 셀라모디르 · 스쾨투모디르 · 로드실룽거 · 비야른디라콩거 · 바트나게다 · 흐뢰칼 · 와르그 · 헬헤스트 · 게리 · 프레키 · 굴린캄비 · 굴팍시 · 그라니 · 무닌 · 후긴 · 스바딜페리 · 에이크쉬르니르 · 흐베르겔미르의 뱀 · 위그드라실의 수사슴 · 아바크르 · 알스비드르 · 세흐림니르 · 헤이드룬 · 크라켄 · 툴리케투 · 이쿠투르소 · 스코그스로엣 · 슬래튼패튼 | ||||||
동유럽 | ||||||
골렘 · 드레카바크 · 보카밧 · 불멸의 코셰이 · 스트리고이(쿠드라크) · 바다 주교 · 루살카 · 마브카 · 바바 야가 · 비이 · 불새 · 아나의 자식 · 오빈니크 · 즈메이 · 즈뮤 · 질란트 · 키키모라 · 크레스니크 · 비샤프 · 브로스노 호수의 용 · 레쉬 · 리코 · 셰리 볼크 · 스트리가 · 발라우르 · 보댜노이 · 드보로보이 · 도모보이 · 알코노스트 · 바니크 · 뷔리 · 사모디바 · 가가나 · 가마윤 · 부카박 · 바우크 · 인드리크 · 폴레비크 · 녹니차 · 폴칸 · 포로니에츠 · 소글라브 · 라로그 · 스크작 · 투가린 · 제우주크 · 쥐첸 · 시린 | ||||||
기타 | ||||||
고블린 · 드래곤 · 드레이크 · 요정(페어리) · 자쿠루스 · 샐러맨더 · 앰피티어 · 데비 존스 · 인어 · 불사조 · 레비아탄 · 묵시록의 붉은 용 · 베헤모스 · 유니콘 · 노움 · 바이퍼 · 흡혈귀 · 맨드레이크 · 만티코어 · 개미사자 · 몽마(서큐버스 · 인큐버스 · 캠비온) · 바실리스크 · 보나콘 · 시 서펀트 · 웨어울프 · 칼라드리우스 · 마녀 · 해그 · 패밀리어 · 금을 캐는 개미 · 그림 리퍼 · 쌍두수리 · 파르드 · 스프링힐드 잭 · 리치 · 묵시록의 4기사 | ||||||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 ||||||
구분 | 북아시아·중앙아시아 | |||||
아메리카 | 유럽 | 동아시아 | ||||
오세아니아 | 동남아·남아시아 | |||||
남극 |
린트부름 Lindwurm | Lindworm | |
<colbgcolor=#1E448A><colcolor=#FDCB0B> 기원 |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북유럽(북유럽 신화) 및 중부유럽 |
언어별 명칭 | Linþawurmiz (게르만조어) Linnormr (고대 노르드어) Lindworm / Lindwyrm (영어) Lindorm (스웨덴어, 덴마크어) Lindwurm (독일어) Linnormur (아이슬란드어) |
[clearfix]
1. 개요
린트부름(Lindwurm, Lindworm)은 북유럽 및 중부유럽 전설에 등장하는 독을 가진 드래곤이다.2. 특징
린트부름에서 '린트' 의 의미는 고대 독일어로 뱀을 뜻하는 'lint' 에서 유래되었는데, 실제로 린트부름을 묘사한 그림이나 조각 등에서는 뱀처럼 긴 체형으로 묘사된 것을 알 수 있다.린트부름의 명칭은 지역별 언어와 그에 따른 표기법, 번역 방식에 따라 '린노름', '린드웜', '린드부름' 등 제각각으로 발음 및 표기되며, 개중에는 일본어 표기인 'リントヴルム(린토부루무)' 를 보고 번역하여 린드블룸, 린트브룸과 같은 표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국내에서 주로 퍼진 표기는 독일어권에서 사용하는 명칭인 '린트부름(Lindwurm)'[1]과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명칭인 '린드웜(Lindworm)'이며, 일본 매체의 영향으로 -블룸과 같은 표기도 사용된다. 간혹 '린드드레이크(Linddrake)'라는 명칭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것 역시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명칭이다.
외형은 주로 날개와 앞다리가 없는 두 다리 달린 뱀과 비슷하게 표현되지만, 상상의 동물이 그렇듯 작품이나 상징에 따라서는 다리가 아예 없거나, 네 다리와 한 쌍의 날개를 가지거나, 조류처럼 한 쌍의 날개와 뒷다리를 가지는 등 여러 모습으로 표현된다. 또한 스웨덴 민담에서는 등 부분에 지느러미가 있는 것으로도 묘사된다.
몸집은 작고 말썽이 심해서 주로 교회같은 곳에서 말썽을 피운다고 하며, 북유럽의 이야기에서는 린트부름의 가죽을 지니면 약재와 자연에 대한 지식이 온다고 한다. 대부분의 성격은 심술궂다고 하며, 주로 가축을 공격하는 큰 개체도 있고 가끔은 공동묘지에서 시신을 먹는다. 구렁덩덩 선비와 비슷한 이야기인 '린트부름 왕자' 이야기도 존재한다.
3. 대중매체
-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에서 니드호그의 새끼들이 린트부름이라고 한다.
- 창궁의 파프너 - 린드블룸
창궁의 파프너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수송기 겸 전투기. 파프너의 수송과 지원을 담당하는 서포트 메카로서 운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린드블룸 문서 참조. - 양자의 바다의 린트부름
- 힐다 - 린드웜
3.1. 꿈꾸는 책들의 도시에 등장하는 종족 린트부름
린트부름 요새 |
발터 뫼르스의 판타지 세계관인 차모니아 시리즈에 등장하는 종족들로, 화산 호수에 몸을 숨기고 살아서 운석 충돌로 인한 멸종을 피해 살아남은 작은 공룡들의 후예들이라고 한다. 이들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원뿔형 지형이자 천연 요새인 '린트부름 요새'에 살면서 빙하기를 견뎌냈고, 그 과정에서 몸집은 작아지고, 조상들의 우월한 신체능력과 야성이 퇴화해버렸지만, 뇌가 발달하여 지성이 있는 종족으로 진화해 현대까지 살아남은 것은 물론, 종족 전체가 뛰어난 문학가들이 되었다고 한다. 꿈꾸는 책들의 도시의 주인공인 힐데군스트 폰 미텐메츠가 바로 린트부름 족.
작중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종족 전체가 순진한 문학덕후 그 자체. 무려 세상을 지배하던 공룡의 후손인데다 드래곤의 이름을 달고 있는 종족인데도 이름값을 전혀 못 한다. 그도 그럴것이, 린트부름 요새는 린트부름들이 딱히 방어하려고 힘쓰지 않아도 타고난 지형 자체가 외부에서는 공략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튼튼했기 때문에, 이들은 바깥 세상에 관심을 끊고 오로지 문학에만 몰두하며 살아올 수 있었고, 그 결과 싸움이라고는 전혀 할 줄 모르는 순하디 순한 종족이 되어버렸기 때문. 게다가 외부와의 교류도 없이 자기들끼리만 폐쇄적으로 살아온 탓에 세상 물정도 잘 모르는 듯.
처음에는 이들의 모습이 고전적인 드래곤의 이미지로 알려져 주변 종족들이 꽤 두려워했던 모양이지만, 이후 외부와 교류를 시작하면서 종족 전체가 보통 호구가 아니라는 사실이 차모니아 전역에 널리 알려졌고 린트부름 요새에 어마어마한 보물이 있다는 소문까지 겹쳐 차모니아 전역에서 몰려온 전투종족들에게 요새가 수많은 침략을 받았다고 한다. 린트부름 요새가 워낙 튼튼해서 그때마다 별다른 싸움 없이 역청을 붓는 것만으로 격퇴가 가능했고, 차모니아 최흉의 용병단인 구리병정이 침략했을 때도 음악과 춤으로 어이없게 물리칠 수 있었다고[2]
이 요새에 외부인이 들어온 것을 단 한 번으로, 스마이크 가문의 폴초탄 스마이크가 출판업자인 척 위장하고 린트부름을 속여 그가 이끄는 군대 전체가 요새 안에 무혈입성하는데까진 성공했지만, 생명의 위협을 느낀 린트부름들의 야성이 깨어나서 린트부름도 큰 피해를 입었지만 결국 전멸당했다. 과거의 공룡들 중에 가장 작은 놈들만 살아남아 까마득히 오랜 세월 동안 신체가 퇴화한 것이 린트부름들이지만, 썩어도 준치라고, 조상들이 워낙 대단한 괴수들이었던 덕에 린트부름들도 일단 야성만 되찾으면 맨몸으로도 중무장한 군대를 압도하는 생물병기급 전투력을 발휘하는 듯.
그러나 이건 린트부름들의 길었던 역사 중 단 한 번 뿐이었던 이례적인 사건이고, 그 이후로는 그냥 예전처럼 순박한 덕후들로 살아가는 듯 하다.
삽화와 소설의 묘사에 의하면, 이들은 각종 공룡들(육식 공룡, 초식 공룡 등)이 인간보다 조금 더 큰 형태로 축소된 모습으로, 거의 전부가 이족 보행을 하며 옷을 입는다. 또한 몇몇은 날개를 가지고 있지만, 퇴화되어 날 수는 없는 모양. 게다가 종족 전체가 어마어마하게 장수하여, 1000살이 인간의 나이로 100살 정도에 해당한다. 대신 정신적 성숙도 그에 비례해서 늦는 듯. 린트부름 기준으로는 30대의 나이도 꼬마아이에 불과하다. 또한 땀 냄새가 아주 지독하다고 하는데, 이건 과거에 조상이었던 공룡들이 먹이 사슬의 꼭대기에 있었던 시절 잡은 먹이를 공포에 몰아넣기 위해 그러한 냄새를 발산했다고 한다... 그러나 린트부름이 온화한 종족이 된 지금은 괜히 위험한 생물들로부터 숨을 수 없게 만드는, 때때로는 생명에 위협이 될 정도로 민폐만 끼치는 쓸데없는 신체적 특징. 제대로 된 언어로 말하는게 보통이지만, 맘만 먹으면 포효도 가능한데 포효소리도 예전의 공룡 그대로라 꿈꾸는 책들의 도시에서 주인공 힐데군스트가 포효했을 때는 흡혈괴조들의 음파탐지능력을 먹통으로 만들어 처치하는 활약을 하기도 했다.
참고로 사실 차모니아에는 이들 외에도 운석 충돌을 살아남은 공룡들의 후손이 몇 종류 더 있다.[3] 순한 문돌이들인 린트부름과 달리 이쪽은 진짜 흉폭한 드래곤들과 바다 괴수들.
[1] 실제 발음은 '린트부엄'에 가깝다.[2] 뭔가 아름다운 춤으로 현혹을 했다던가 평화적인 방법으로 무찌른 것이 아니다. 그들의 선조들에 비해서 소형화되었어도 린트부름은 차모니아 종족 중에서 상당히 거구에 체중이 많이 나가는 종족에 속하기 때문에, 모든 린트부름이 음악을 연주하고 춤을 추어, 린트부름 요새 전체가 국가 단위의 디스코 파티장으로 변모하자 대규모의 지진과 산사태가 일어나서 무적의 구리병단이라 할지라도 우두머리인 짹깍짹깍장군이 도망치고 절반이나 잃을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작 중 묘사로 보면 땅은 미치도록 흔들리고 바윗덩이나 산을 던진다는 말이 나왔을 정도이니. 이에 대한 이야기를 꺼낸 폴초탄 스마이크는 공룡 하나가 춤을 추면 벽이 흔들려, 여러 공룡들이 춤을 추면 땅이 흔들리지. 그런데 린투부름 요새의 모든 공룡이 한순간에 춤을 추면 우주가 부서진단 말이야. 라고 표현했을 정도이다.[3] 예를 들어 이형생물들의 도시이자 차모니아의 수도인 아틀란티스의 하수구에는 운하룡이라는 불을 뿜을 수 있는 거대한 공룡이 사는데, 원래는 지능이 없는 종이었지만 차모니아 세계관의 외계인인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수작질로 예상되는 알 수 없는 이유로 지능을 가지게 되었다.